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매천야록(梅泉野錄)』소재 ‘아리랑’기사에 대한 소론(小論)

        기미양 ( Ki Mee-yang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2 지역문화연구 Vol.11 No.-

        조선 말기 순국지사이며 시인인 황현(1855-1910)의 『매천야록』에 수록된 기사 세 편에는 1894년 아리랑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첫 기사에는 ‘아리랑타령’(阿里娘打令)으로 기록하고, 그 노래의 성격에 대해 ‘새로 생긴 고운 노래’ 즉, 신성염곡(新聲艶曲)이라고 했다. 또한 광대패들에게 아리랑 경창을 하게 하여 잘 하는 자에게는 상을 주었다고 했다. 두번째 기사에는 창덕궁 내에서 고종과 명성후가 광대패의 아리랑을 즐겼고, 광대패가 부른 노래 한 소절(각편)을 “오다가다 만난 정 즐거워라(來路去路逢情歡)/ 죽으면 죽었지 헤어지기 어렵더라(死則死兮難舍旃)”라고 기록했는데, 좌객 일부는 아리랑을 ‘잡된 소리’(雜調)라고도 했다. 세 번째 기사는 명성후가 지나치게 과분한 답례품을 광대패에게 하례하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상의 세 가지 기사문에서 아리랑의 정체성을 도출하기 위해, 동시대를 묘사한 『한양가』와 민요자료를 대비하고 동일 제보자로 추정되는 가주서(假主書) 이최승의 제보를 구술사적(口述史的) 맥락에서, 다음과 같은 아리랑의 실상과 특성이 확인되었다. 첫째는 이 기록이 명시적으로 ‘아리랑’이란 명칭을 쓴 것으로는 첫 기록이라는 점, 둘째는 수록된 사설은 1912년 총독부가 조사한『俚謠·俚諺及 通俗的讀物等 調査』에 의하면 아리랑의 각편이라는 점, 셋째는 아리랑의 성격을 ‘새로 생긴 아름다운 노래’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잡된 노래’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함께 했다는 점, 넷째는 이 같은 유행상을 통해 경복궁 중수 7년을 계기로 통속민요 또는 잡가로 성격 전환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서 『매천야록』소재 세 편의 기사를 19세기 말 아리랑 자료로 지표화(指標化) 하였다. The patriotic martyr and poet of late Chosŏn Hwang Hyŏn (1855-1910), He mentioned information on Arirang in his book “Maech‘ŏnnyarok” of Arirang article. In the first article 'Arirang Taryung' record, and the nature of the song is 'a newly created beautiful song'. 'In other words, He called Arirang a “Sinseongyeomgok(beautiful song of new sounds)”. Also the book also says that the King had wandering artists to perform “Arirang”, and awarded prizes to the best performers. Maech‘ŏnnyarok records that King Kojong and queen Myŏngsŏng-hwanghu enjoyed the Arirang performance at Ch‘angdŏkkung palace. Another article says that when the artist sang “it is of delight to meet you on my way of coming and leaving / I'd be rather be dead than to have us be separating”” some of the spectators commented “this song is crude (indecent song)”. According to the fourth article, Queen Myŏngsŏng hwanghu gave the artists excessive remuneration. To derive the identity of Arirang from the above 3 records, we contrasted a description of the same era in 『Hanyang-ga』and other material on folk song, and looked into a temporary night guard's testimony, whose name was Lee Choiseung and is suggested to be the information source of both materials, in a oral biographical context. From this, we confirmed the following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Arirang. The first fact is that the above 3 articles are the first written records that use the title 'Arirang.' The second fact is, that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of 1912, the words “to meet you is happiness, when the death comes it’s hard to part” are the verse from Arirang song. The third fact is that Arirang song was positively estimated as a “a newly created beautiful song”, but also negatively estimated as a “coarse song”. Fourth, such situation of performance shows that the 7 years of reconstruction was a transition point for Arirang and earned the characteristics of a folk song or Japga. Thus, the 3 articles in “Maech‘ŏnnyarok” were used as indices for historical material on Arirang of the late 19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