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현황과 향후 과제

        유상진 ( Yoo Sang-jin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9 지역문화연구 Vol.18 No.1

        국가와 지역의 관계는 중속, 지배관계가 아닌 상호작용의 관계다. 이상호작용의 관계는 국가문화정책과 지역문화정책이 다른 이유를 설명한다. 2014년 제정된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 2020>가 수립되었으나 실질적인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방안은 충분히 담지 못했다.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 2025>가 수립되어야 하는 시점에서 지역참여의 과정과 내용의 충실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실질적 지역문화진흥을 위해서는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은 현재의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과 단위 계획이 아닌 국가와 지역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실제 실행 구속력을 가지는 국가종합발전계획 등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일본은 지방창생 정책에서 지역문화정책을 지역종합발전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재원 확보가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는 다른 부처 또는 영역의 사업들과 연계한 협력방안들이 논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진흥 관련 대체재원의 확보뿐만 아니라 각 사업성과를 모아 종합적 성과로 보다 긍정적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재원의 분배방식 또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다. 현재의 개별 단위사업 지원에서 지역 상황과 필요에 따라 지역문화 정책과 사업이 시행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포괄예산제가 바람직할 수 있으나 포괄예산제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항목별 포괄예산제도 검토, 시행이 가능하다. 문화재단을 비롯한 중간지원조직들의 지역 내 역학관계의 구조도 재정비가 시급하다. 현재의 상호 경쟁체계는 지역문화 자원의 활용과 각각의 역할면에서 개선이 필요한데 향후 각각의 역할에 맞는 지역 내 포지셔닝을 확보토록 하여 상호 협력이 가능한 구조로 개편되어야 한다. 아울러 생활SOC와 같은 물리적 환경 구축에 있어서는 조성과 함께 향후 운영 관리 방안이 사전에 미리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Currently the government is zealously pushing forward regional cultural policy based on Regional Culture Promotion Act established in 2014. And the regional cultural policy prepare or provide a countermeasure pertinent to a problem pending in regional culture. A number of tasks for regional culture promotion are required in the field. Which are cross-cooperation between areas, securement of alternative financial resources, a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 between local cultural agencies,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local culture-based facilities. Nevertheless, discussion and suggestion on specific response plan are insufficient. major current issues on regional culture promotion include alternative financial resources, way of budget distribution for regional culture promotion. as well as the delivery system reform of local cultural policy.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as follow. Firstly, master plan for regional culture promo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lan and master plan of national land development. Second, alternative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secured by working culture projects together with other ministries. Thirdly, cooperative system between environment and facilities related to local culture promotion should be reconstructed. Also a judicious approach to Life SOC development for regional culture promotion related to investment in operational funds should be taken.

      • 변화의 시대 지방문화원의 역할

        황금자 ( Hwang Geum-ja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0 지역문화연구 Vol.19 No.1

        지역문화의 가치관을 발견하는 일은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더 나은 지역미래의 모습을 함께 꿈꾸는 일이다. 우리에게 참다운 지역문화는 지역의 관점에서 문화를 바라보는 주체가 지역민들로 자발적 참여에서 행동하고 활동하는 데서 시작된다. 그만큼 지역문화의 중요성은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어떻게 현대적 감각으로 녹이고 담아내어 현대인들이 인정하고 공감할 때 비로소 문화는 활짝 꽃피는 것이다. 지금까지 문화원들은 과거를 주로 다뤄왔다. 과거를 표현하는 향토, 역사, 전통은 지역문화원들이 사용하는 친숙한 주제어들로 이제 ‘전통은 지역문화’라는 말로 ‘향토는 마을’이라는 말로 ‘역사는 일상’이라는 말로 전환되어져 왔으나, 이제 지방문화원은 단편적인 일상의 주름진 이야기들이 모인 마을의 공동체 리빙아카이브와 거버넌스를 통한 기록 주권의 회복이라는 주제에도 집중해야 한다. 오늘의 일상이 뉴노멀(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기준) 시대의 일상문화가 무엇인지 지 역문화원이 답을 찾아가야하는데, 그 시작의 뿌리는 지역학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지역학은 미래지향적 학문으로 다양한 학문의 결합체이다. 지역학연구소 운영은 지역의 자료은행으로 알기(연구), 알리기(교육), 챙기기(조사), 활용하기, 상생하기, 소통하기(연계)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서 지역사회에 뿌리를 깊게 내릴수록 발전할 수 있다고 본다. 지방문화원의 미래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지방문화원은 그 지역의 정체성을 담보하는 수많은 정보를 축적해 놓고 있기 때문에 지역학적 접근이 매우 용이하다는 것이 최고의 장점인 만큼 지역대학과 연계하여 발전방향을 모색함이 바람직하다할 것이다. Discovering the values of local culture is a process of finding our own uniqueness and dreaming of a better local future together. Local culture that is true to us begins when the subject who sees the culture from a local perspective acts and act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 importance of such a local culture is that culture blooms in full bloom only when modern people recognize and empathize with how to dissolve and embo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a modem sense. Until now, cultural centers have mainly dealt with the past. Locality, history, and tradition that express the past are familiar keywords used by local cultural centers. Now, the word‘tradition is local culture’ and‘locality is village’ has been converted into ‘history is daily life’. We should also focus on the theme of the recovery of documentary sovereignty through a community living archive in a village where fragmentary stories of daily life are gathered and governance. Today’s daily life is the new normal (a standard that emerges from the change of the times) The local cultural center has to find the answer to what the daily culture is, and the root of the beginning can be found in regional studies. Regional studies are future-oriented studies and are a combination of various studies. The operation of the regional studies research center is a local data bank that develops the more deeply rooted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such efforts: know (research), inform (education), take care (investigation), use, win-win, and communicate (linkage). I think I can. I think the future of the local cultural center is also here. Since local cultural centers have accumulated a lot of information that guarantees the identity of the region, it is desirable to seek a direction for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local universities, as the best advantage is that the regional approach is very easy.

      • 제천시 문화예술축제 현황과 제언

        현경석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6 지역문화연구 Vol.15 No.1

        특정한 지역사회의 문화와 예술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그 지역의 오랜 역사와 관습, 시민의식은 물론 지리적 조건이나 환경에 대한 조사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 제천 시는 지리적으로 전국토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나 태백과 소백, 월악으로 이어지는 고산지대로 문화예술이 발달하기에는 척박한 조건을 가졌다. 전체면적의 74%가 산으로 둘러싸여 자연풍광이 아름답고 풍부한 자원과 민족 문화유산이라 할 의림지와 박달재가 있을 뿐 아니라 제천의병 정신의 고장이다.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 일찍이 의병제와 박달제(가요제)는 물론 청풍호 벚꽃축제와 동계민속축제, 금요음악회(‘힐링콘서트’로 개명), 국제음악영화제, 한방바이오축제 등 다양한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행사별로 다양한 의견들이 없지 않지만 역사성과 방향성을 정립하고 시민들과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은 일단 평가의 여지가 있다. 다만 문화예술적 가치로 완성되지 못하고 일회성 축제로 머물러 있는 현실의 문제는 무엇보다 전문가 부재의 현상이라 하겠다. 박물관, 미술관 하나 없고 공연장도 사람도 예산조차 부족한 현실에서 전문가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집중적인 투자 없이 문화예술의 발전은 요원하다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1)시민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타 도시 축제와의 차별화, 특성화를 통한 정체성 확립, 2)문화예술에 대한 관민의식의 전환- 오랜 투자와 열정이 있어야 성취 가능, 3)과감한 변화와 개선을 통한 생산적, 발전적 축제를 향한 노력부족, 4)철저한 사후평가제 도입, 5) 대소공연장 확보, 편의시설 부족 등 개선, 6)전문가의 발굴 육성으로 창조적 프로그램 개발 등이 시급하며, 특히 문화재단의 설립에 중지를 모우고, 눈앞의 경제논리를 뛰어넘는 문화예술회관 신축 등에 과감한 결정을 제안한다. 아울러 소극장 운동을 활성화하여 제반 문화예술 활동에 활력을 도모하고 지역소재 대학과의 긴밀한 윈윈전략으로 대학의 사명과 역할을 이끌어내는 특단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대학 안에 설립된 ‘지역문화연구소’ 같은 전문기구를 통한 고급인력의 참여와 역할을 강화 유도하는 정책을 수립 운영할 필요가 충분하다. 젊음의 열정과 패기가 캠퍼스를 달구고 지역사회 확산되는 선순환 구조야말로 지역사회 문화예술의 활성화와 발전을 담보하는 첩경이다. When discussing the culture and the arts of a specific community, research and study of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he environment as well as the long history, customs and civic consciousness of the area must be done first. Although Jecheo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nation geographically, it has a harsh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as a high mountain area that leads to Taebaek, Sobaek and Wolak. Because 74% of the total areas are surrounded by mountains, its natural scenery is beautiful and it also has abundant resources, Uirimji and Bakdaljae that can be said as ethnic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he spirit of faithful army of Jecheon memorial service. With much interest in culture and arts, there are many festivals including Cheongpungho Cherry Blossom Festival, Winter Folk Festival, Friday Concert (renamed as "Healing Concert"), International Music Film Festival and Oriental Biotechnology Festival as well as faithful army of Jecheon memorial service and Bakdalje (song festival). Although there are many opinions on each event, the constant efforts to establish history and direction and to reach consensus with the citizens leave room for evaluation. However, the problem of present situation, which is not completed as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and just remains as a one-time festival, is mainly because of a phenomenon of absence of experts. Under the situation without a museum, an art museum, a theater and people and even lack of budget,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would be difficult without the intensive investment to discover and nurture professionals.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proposes to execute urgently: 1) To induce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to differentiate from other city festivals and to establish identity through characterization; 2) to transform consciousness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on culture and art achievable only with long-term investment and enthusiasm; 3) to improve the problem of lack of effort toward productive and developmental festivals through bold changes and improvement; 4) to introduce a thorough post evaluation system; 5) to secure large or small scale performance facilities and to improve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6) to develop creative programs by finding and cultivating experts. In particular, we have to ask advice from many peop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foundation and make bold decision to build the new culture and arts center beyond the immediate economic argu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 special effort to revitalize the activities of small arts theater and to revitalize various cultural arts activities and to lead the university's mission and role through a close win-win strategy with local universiti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policy that encourages the participation and role of high-level human resources through specialized organizations such as 'Regional Culture Institute' to be established in the university. The virtuous cycle structure in which the passion and ambition of youth grow on the campus and spread to the community is the quick way to secure the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and arts.

      • 제천의병제와 지역문화예술

        엄태석 ( Um Tae-seok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2 지역문화연구 Vol.21 No.1

        1997년 치러진 창의100주년 제천의병제의 전후로 제천의 지역문화는 큰 변화를 겪는다. 제천의병제는 새로운 형식과 파격적인 퍼포먼스, 전 시민적 공감대를 무기로 기존의 문화예술지형을 흔들며 지역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제천의병제가 성공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지역의 지역민에 의한 지역민의 축제였다는 점이다. 자발적인 시민참여는 지역문화의 가장 큰 동력이다. 로컬의 시대, 점점 매머드화되어 가는 축제에서 지역민은 점점 더 고립되고 소외된다. 진정한 지역문화는 지역에서 생산되고, 소비되고, 유통되는 문화여야 한다. 작고 초라해도 독특하고 경쟁력 있는 제천만의 문화가 필요하다. 창조적 영감을 불어넣을 더 많은 ‘실패’가 필요하다. 제천의병제를 돌아보며 우리도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하루 빨리 지역성을 가진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의 경쟁력을 길러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 Before and after the ‘Jecheon Righteous Army Festival’ held in 1997, the 100th anniversary of creation, the local culture of Jecheon undergoes great changes. The ‘Jecheon Righteous Army Festival, opened a new horizon for local culture by shaking the existing cultural and artistic terrain with new forms, unconventional performances, and a common consensus among citizens. The biggest reason why the ‘Jecheon Righteous Army Festival’ was able to receive a successful evaluation is that it was a local festival by local residents.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is the biggest driving force of local culture. Local people are increasingly isolated and alienated in the local era and increasingly mammoth festivals. A true local culture must be a culture that is produced, consumed, and distributed locally. Even if it is small and shabby, it needs a unique and competitive Jecheon culture. We need more “failures” to inspire creativity. Looking back at the ‘Jecheon Righteous Army Festival’, we thought it was time for us to develop the compdihveness of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industrie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as soon as possible with a long-term perspective.

      • 중국 동북지역 ‘아리랑’의 전승 양상

        안상경 ( An Sang-gyeong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2 지역문화연구 Vol.11 No.-

        중국 동북지역의 ‘아리랑’은 조선족의 집단이주와 정착,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전승되고 있다. 따라서 이주문화의 기반 위에서 중국 동북지역의 ‘아리랑’을 주목할 때, 이면의 전승 배경에서 은폐되고 소외된 한국역사문화의 한 단면을 추출해낼 수 있다. 이는 곧 중국 동북지역의 ‘아리랑’이 지난 세기 한국역사문화 및 한국인의 정서를 확인할 수 있는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아리랑’이라는 텍스트 자체에 한정한 단선적인 차원의 조사·정리에 머물 것이 아니라, 그것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아리랑’과 결부하고 있는 중국 동북지역 조선족의 저마다 사연을 총체적으로 추적할 필요가 있다. 이른바 ‘아리랑 컨텍스트 집적’을 겨냥한 추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데, 조사 및 정리단계에서는 반드시 세부적인 분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세부적인 분류는 중국 동북지역 ‘아리랑’의 전승 주체로서 조선족이 절감했던 근·현대사의 질곡에 초점을 맞추어, ‘아리랑’의 이주, 정착, 침체, 재생, 단절 과정에 따른 단계별 모색이 타당하다. 구체적으로 1단계(1930 ∼ 1940)는 ‘아리랑’이 대중적 인기를 확보한 1920년대 이후 조선농민의 집단이주와 더불어 이주한 ‘아리랑의 이주단계’로 설정한다. 2단계(1940∼1960)는 집단이주 이후 집을 짓고 농사를 지으며 본격적으로 동북지역의 삶을 영위하던 ‘아리랑의 정착단계’로 설정한다. 3단계(1960∼1980)는 문화대혁명을 계기로 고국[고향]의 언어와 문화를 버릴 수밖에 없었던 ‘아리랑의 침체단계’로 설정한다. 4단계(1980∼1990)는 소수민족의 민간예술을 적극 장려하던 ‘아리랑의 재생단계’로 설정한다. 5단계(1990∼2000)는 중국의 개혁·개방정책에 따른 ‘아리랑의 단절 단계’로 설정한다. 이러한 방식의 ‘아리랑 컨텍스트 집적’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때라야 중국 동북지역 ‘아리랑’의 생성과 전파, 전승과 변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지난 세기 한국역사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도출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방식의 ‘아리랑 컨텍스트 집적’이 이루어질 때라야 이를 일종의 문화원형으로 삼아 차후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In Northeastern region in China ‘Native-Arirang’ the basic framework of the migration situation and had no choice but to choose a changed the lyrics resonate with creative folk tradition is. Where my old neighborhood is gone, but still retaining the old forms of traditional folk song lyrics, is also being transmitted. All ethnic Koreans who emigrated to this group a special situation and longing for home in the folk tradition is environmental. Therefore, in such situations have been passed down the Arirang attention, if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can be found at the same time. This is in northeast China's 'Arirang' in the last century,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and Korean heritage as a representative of the sentiments that have meanings suggested. Thus, ‘Arirang’, the text itself capped level survey of burnout. Order to stay in, but even it did not work properly, ‘Arirang’ is coupled with the lives of ethnic Koreans in Northeast China needs to keep track of overall. The so-called 'Arirang gathering context' can say that aimed at tracking geotinde, investigation and clean-up step must be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should be made. Detailed classification system in northeast China ‘Arirang’ was experienced by ethnic Koreans sang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hould focus on. Specifically, Phase 1(1930-1940), the ‘Arirang’ This gained popularity since the 1920s, a group of farmers migrationg the left with ‘Arirang migration step’ is set to. Phase 2(1940-1960) after migration the organization to build houses in earnest farmer who lived in the Northeast of China ‘Arirang settlement stage’ is set to. Phase 3(1960-1980), the occas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as a home language and culture had no choice but to throw away ‘Arirang downturn phase’ is set to. Step 4(1980-1990), the folk art of minorities who actively encouraged the 'Arirang regeneration step' is set to. Step 5(1990-2000),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Arirang break step’ is set to. In this way, ‘Arirang gathering context’ be done systematically in northeast China 'Arirang' generation and transmission, tradition and change can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Furthermore, the meaning and value can be derived. In addition, in this way, ‘Arirang gathering context’ be made based 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variety of Cultural-content. The dissolution of ethnic Koreans in Northeast China and Koreans society to respond to the president of the cultural heritage significance as a long-term cultural strategy will be granted.

      • 원주 지역 매지단오제의 의미와 가치창조

        김근하 ( Kim Geun-ha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2 지역문화연구 Vol.21 No.1

        본고는 매지단오제의 정체성과 내용을 정리해보고 그 가치창조를 통해 한국의 전통문화 중 단오제의 전통계승과 문화콘텐츠로서의 방향에 대해 제안해 본다. 먼저 매지 단오제는 단오절에 단오서 낭제, 원주매지 농악시연, 전통문화민속체험, 원주매지농악체험, 단오음식 나누기 등의 프로그램으로 매년 살아있는 문화재를 체험할 수 있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 원주 지역의 대표적인 축제이다. 이중 단오절에 마을제의를 행한다는 것이 매지단오제의 가장 큰 정체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매지단오제의 정체성과 내용을 바탕으로 매지단오제에 대한 문화콘텐츠 산업으로의 가치창조를 제안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매지단오인물 설화 둥으로 스토리텔링의 창작을 추진할 것, 두번째로 매지단오 관련 문화콘텐츠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연구위원회를 만들 것, 세 번째로 원주시 흥업면 매지리를 단오문화 전승특구로 지정해 원주시를 넘어 전 세계적인 관광특구 지역으로의 개발을 추진할 것, 네 번째로 원주학회의 단오유산과 더불어 원주 매지단오의 입장에서 단오문화의 정체성을 정립할 것, 다섯 번째로 매지단오 관련 문화상품개발 및 지속가능한 지원책과 조례를 제정할 것, 여섯 번째로 원주지역의 대학교에 매지단오나 매지농악과 관련된 전공과정의 개설과 전문연구소 개설할 것, 일곱 번째로 매지농악 보존회의 정기 공연을 추진할것, 마지막으로 매지농악을 영화로 만들기 위한 연구소를 설립하는 것이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identity and contents of Wonju Maejie Danoje and proposes the traditional succession of Danoje and its direction as cultural contents with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rough value creation. First of all, Maeji Danoje has Dano Seonangje, Maiji Nongak demonstrations, traditional cultural folk experience, Nongak experience, and Dano food sharing during Maijie Dano Festival. These programs are representative festivals in Wonju, where you can experience living cultural properties every year. Among them, the biggest identity of this event is holding a village ritual on Dano Day. Based on this, this paper proposes the creation of value as a cultural content industry for Maeji Danoje. First, the creation of storytelling is promoted through characters of Maeji Dano’s narratives. Next, a research committee should be formed to investigate and develop Maeji Dano-related cultural content. Not only that, Wonju-city Heungup-myeon is designated as a special zone for the transmission of Dano culture. Furthermore, from the perspective of Dano in Wonju, establish the identity of Wonju Maeji Dano culture. In addition, develop cultural products related to Dano and enact sustainable support measures and ordinances. Moreover, establish a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 and establish a major course related to Maeji Dano or Maiji Nongak at a university in

      • 외국인 이민정책과 지역사회

        김윤희 ( Kim Yun-hee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2 지역문화연구 Vol.21 No.1

        국내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의 정부와 유입문제가 국가의 의제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의제로 변화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관점에서 이민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지역 내 외국인주민의 정주화 현상을 지역 내 체류비자별 거주현황을 통해 분석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역의 산업구조를 파악하고 노동수요를 확인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이민정책은 인구소멸과 관계없이 추진되고 외국인주민의 특수성을 수용하는 인식개선 정책과 함께 하여 공생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국인과 지역주민의 공존과 소통이 부재한 이민정책은 지역의 체류관리 비용부담만 가중시킨다. 앞으로 외국인주민이 지속적으로 살고 싶은 소통과 공존의 지역이 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선행되고 어떤 조건이 필요할 것인지 지역사회가 적극 논의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directions on how immigration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of local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ies. The issue of settlement and the inflow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is changing from the national agenda to the agenda of local governments. The settlement of foreign residents in the region must be analyzed through the residence status to establish and promote immigration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identify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confirm labor demand to encourage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It is necessary to promote coexistence with policies to improve awareness that accepts foreign residents' specificity and promote regional immigration policies regardless of population extinction. Immigration policies that lack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foreigners and residents only increase the burden of local stay management costs. The local community should actively discuss what kind of efforts to precede and what conditions will be needed to become an area of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where foreign residents want to live continuously in the future.

      • 온돌 무형유산 문화유전자

        이창식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6 지역문화연구 Vol.15 No.1

        이 논문은 한국 온돌의 인류무형유산 등재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 방면의 향후 인식과정과 이 연장선에서 온돌의 가치를 몇 가지 국면으로 제기해 보았다. 온돌자원의 등재화, 이를 위한 실제 세계화로 피칭 워크숍마케팅이 그것이다. 온돌자료의 진정성 검증과 민속학적 해석, 관련 단체와 연구소의 선택과 집중, 문화권역을 넘어 소통할 수 있는 공유 전략 등이 동시다발로 지속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문화재청에서 전주에 무형유산원을 설립하였다. 각 지역마다 있는 유형문화재연구소(원)에 비해 늦은 감과 빈약한 것도 사실이다. 다만 이제라도 정형화될 수 없는 무형과 전통지식들이 중요시되었던 사실이다. 무형자원의 영역별 희소성과 관련 장소성, 수월성에 대해 확장하여 주목하게 되었다. 온돌문화재 관리화, 온돌문화권 가치화, 온돌온기의 창조화 등 일련의 과정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당위성을 확보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은 결코 과거와 무관할 수 없다. 멀리 가버린 과거는 현대인에게 현재를 제공해 주었고, 또한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슬기로운 지식과 지혜의 보고인 셈이다. 온돌유산에는 오래된 미래지혜로 자연친화적인 삶이 내재되어 있다. 온돌을 한국인의 전통지식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살펴야 할 시기라고 보았다. 온돌문화유산의 무형유산 등재 가능성은 크다. 다만 등재는 기초적인 연구와 민속지적 고민의 과정이 없이 서둘러 가서는 안 된다. 한국 온돌은 전통지식으로서 지역이나 환경적 특수성이 반영되고 인간의 삶이 중심이 된다. 이 때 정신적이고 실용적인 요소가 역동적으로 작용한다는 점도 특징이다. 전통을 토대로 한 지식체계, 창조물, 기술, 감성적 지혜 그리고 문화적 표현물을 통틀어서 전통지식-이러한 인식범주에서 구들 조사와 복원 노력-이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전승성과 함께 변화하는 환경에 부단히 진화한다는 특성이 있다. 온돌은 전통지식 영역에 부합하고 있으나 민속학 시각에서의 전승성과 미래성에 대한 깊은 논의가 부족하다. 온돌민속지 만들기, 온돌전승마을 지정, 왕토잽이 보유자 인정 등이 시급하다. 이 점이 세계지식재산권기구가 현재 가장 중심하는 전통지식자원인지 성찰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whether the ondol inheritance can be registered at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value of ondul is also suggested in some ways with the process of future recognition in this area and with the extension of that process. It is the pitching workshop marketing that enables ondol resources to be registered and also to be really globalized. It is thought that it should be lasted in multiple and spontaneous ways to verify the ondol resources to be true, to interpret them based on folklore, to select and focus on related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for them and to share common strategy which can be communicated even beyond their cultural zones.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was established at Jeonju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t is true that that was done a little late and poorly comparing to other research institutes of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ch have already existed individually in every area. But, what is meaningful is that the intangible and traditional knowledge about ondol which can’t be standardized were regarded to be very important. And scarcity per area and related places of such intangible resources were expanded and focused. By the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manage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of ondol, valuation of cultural zones of ondon, creation of warmth by ondol, etc., appropriateness was achieved and could be carried in an active way. Many problems that we are facing today can’t be unrelated to the past at all. The past which has gone far away provides us, the modern people, with the present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be a repository of wise knowledge which can watch the future. In ondon heritage, our natural friendly life is embedded with its old but future-oriented wisdom.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the right time to examine ondol integrally at the area of our Koreans’ traditional knowledge. Ondonl cultural heritage has a great possibility to be registered. But registration shouldn’t be hurried without fundamental study and without the process of anguish over its folkloric area. At ondo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as traditional knowledge and it has been a center of our human life. It also has another characteristic, which is mental and practical elements aree worked very actively at that time. It is said that knowledge system, creations, technology and cultural expressions, which are based on tradition, are told traditional knowledge in total research about gudeul and effort - to restore them - in this kind of recognition category. What is characteristic is that they are constantly evolved with the environment together with their traditionalization. Ondol is corresponded at traditional knowledge area - in Chapter 2, discussion about the theory of value on knowledge - but, as it is mentioned above, discussions about its tradition and future - in Chapter 3 - discussion of complement to registration - are not so deep. It is urgent to construct the ondol folk zones, to appoint the traditional village with ondol, to admit the holder for royal domain, etc. Now, it is the time to examin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is the hottest potato.

      • 문화콘텐츠로서의 제천의병 스토리 대중화 전략

        김기태 ( Kim Ki-tae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4 지역문화연구 Vol.13 No.-

        1895년 10월 명성황후가 일제에 의해 무참히 시해당한 을미사변을 계기로, 의암 류인석 등의 영도 아래 발흥한 제천의병은 일제 침략군에 항거하는 의병항쟁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나아가 충청지역은 물론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 등 중부지역 전체 의병을 연합하는 중심역할을 수행하였다. 비록 진압에 나선 일본군과 관군에 쫓겨 부득이 망명하게 되지만, 제천의병을 이끈 지도자들은 중국 동북부와 러시아의 연해주에 해외 독립전쟁 기지를 구축하는 일에 앞장섰다. 이러한 제천의병의 투혼은 광복단(1913), 의열단(1919), 독립군(1920), 조선의용대(1938), 광복군(1940) 등의 무장투쟁으로 이어졌고, 광복 후에는 대한민국 국군 창설로 이어짐으로써 제천의병의 숭고한 정신은 면면히 계승되어 왔다. 그럼에도 제천의병에 관한 연구는 그것의 역사적 의미와 정신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거나 특정인물 연구에 치우쳤을 뿐, 일반국민들에게는 그다지 특별한 감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사실이 드라마나 영화, 애니메이션, 베스트셀러 도서, 광고, 대중가요 등 각종 문화콘텐츠와 어울려 대중들과 호흡하는 가운데 인지도가 상승하고, 관련명소를 찾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등 다양한 시너지 효과가 생겨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문화콘텐츠를 적극 발굴하고 대중화하려는 노력에 앞장서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제천의병에 관한 다양한 연구성과를 문화산업의 핵심개념인 ‘문화콘텐츠’로 정립하여 대중들로 하여금 친근하게 느끼고 활용하는 가운데 제천의병의 참된 의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할 것인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써 ‘제천의병’을 원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과 더불어 문화콘텐츠화(문학, 영화, 드라마, 뮤지컬 등 장르 불문)하려는 노력이 지방자치단체를 구심점으로 하여 전 시민의 성원 속에 전개되어야 마땅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Eulmi Incident (Oct. 1895), a historical incident where Empress Myeongseong was miserably assassinated by imperial Japanese killers, contributed to sudden rise of the Faithful Army (Euibyeong) of Jecheon under the leadership of Euiam Ryu In-seok and other comrades, which became a turning point of Korean faithful volunteer army's resistance to propagate around the country against imperial Japanese invaders. Furthermore, the Faithful Army of Jecheon played a pivotal role in forming a nationwide union of volunteer army forces spanning centr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including Chungcheong, Gyeonggi, Gangwon and Gyeongsang province). Unfortunately, they could not help but go into exile to avoid tenacious pursue by imperial Japanese army and Joseon's governmental army to suppress such a nationwide resistance, but military leaders of the Faithful Army of Jecheon took the leading initiative in establishing overseas bases for independence war across northeast China (Manchuria) and the Maritime Territory of Russia. Such a fighting spirit exerted by the Faithful Army of Jecheon was handed down to anti-Japanese armed struggles led by Gwangbokdan (Korea Liberation Corps, 1913), Euiyeoldan (Korean Patriotic Corps, 1919), Dongnipgun (Korean National Army Liaison Unit, 1920), Joseon Euiyongdae (Korean Volunteer Corps, 1938) and Gwangbokgun (Korean Independence Army, 1940).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imperial Japan (1945), the volunteer army forces of Korea contributed to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Armed Forces. This way, the noble spirit of the Faithful Army of Jecheon has been ceaselessly handed down to our contemporary Korean army forces. Nevertheless, conventional studies on the Faithful Army of Jecheon have been unfortunately limited to re-highlighting its historical implications and spiritual values or researching certain historic figures, but fail to create any special inspiration to our contemporary people. By the way, it is interesting that a certain historical fact may get along with various cultural contents (like TV drama, movie, animation, bestseller, commercial (ad) and popular song) and may live with our popular life, so that it may contribute to creating synergic effects (e.g. creating brand awareness and motivating people to visit relevant historic sites). Based on such a synergy, it is important that our local governments make positive efforts to excavate and popularize local cultural contents. Starting from these points of critical mind,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ow we could establish a ‘cultural content’ (as a key concept of cultural industry) from the foundation of various research achievements regarding the Faithful Army of Jecheon, so people could get familiar with and use such a content, and could realize the true implications of the Faithful Army of Jecheon.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o emphasize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efforts to develop a storytelling based on ‘the Faithful Army of Jecheon’ and convert it into cultural content (literature, movie, TV drama, music or any other genres), so that the movements could be developed in civic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