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패드의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통한 생명과학 학습에서의 두뇌 활성 : FMRI 연구

        권용주,정대영,태민우,김윤영,권승혁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5 현장과학교육 Vol.9 No.2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측정을 기반으로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통해 생명과학 지식을 학습할 때 발생하는 두뇌의 활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북 소재의 일반계 남자 고등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생물의 구조에 대해 전통적인 고정형 이미지를 통한 학습을 할 때와 상호작용기반의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경험할 때의 fMRI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SPM8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정형 학습 콘텐츠 이용 시에 비해 디지털 학습 콘텐츠 이용 시의 특이적인 두뇌 활성 영역과 디지털 학습 콘텐츠 이용 시에 비해 고정형 학습 콘텐츠 이용 시의 특이적인 두뇌 활성 영역을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통한 학습에서는 시각정보와 언어정보의 연계와 공간적 주의조절을 담당하는 중측두이랑, 하측두이랑, 중후두이랑, 쐐기소엽 그리고 소뇌편도에서 유의미한 높은 활성을 확인하였다. 고정형 학습 콘텐츠를 통한 학습에서는 시각적 단어 인식, 학습 성공 경험, 손가락 움직임 조절을 담당하는 중심전이랑, 중심후이랑, 횡측두이랑, 대상이랑, 미상핵꼬리에서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통한 학습과 고정형 학습 콘텐츠를 통한 학습에서의 두뇌 활성은 서로 다르다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생물의 구조에 대한 학습 시 디지털 학습 콘텐츠와 고정형 학습 콘텐츠를 개발 및 적용하는데 실제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rain activations on biology learning with digital learning contents using smartpad, based on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Twenty male students enrolled general highschool were recruited for BOLD fMRI while learning about the structure of biological organism with traditional fixed learning image and digital learning contents, respectively, based on interaction. SPM8 software was applied to analyze the acquired MR images and identify the brain regions which are specific on using digital learning contents compared with fixed learning images and using fixed learning images compared with digital learning contents. Results have shown that high brain activations in middle temporal gyrus, inferior temporal gyrus, middle occipital gyrus, cuneus and cerebellar tonsil are associated with connections among visual image information, lingual information and regulation the spatial attention during learning with digital learning contents. And precentral gyrus, postcentral gyrus, transverse temporal gyrus, cingulate gyrus and caudate tail are related with perception of visual word, experience of successful learning and regulation finger movement during learning with fixed learning images. These results can suggest a possibility to elaborate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on biology.

      • KCI등재

        과학적 관찰과 규칙성 발견 활동에서 나타나는 감성단어 유형과 과학 지식 생성력과의 관계

        권용주,신동훈,한혜영,박윤복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학생들이 과학적 관찰 및 규칙 발견 활동을 수행할 때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 단어의 유형과 빈도, 강도를 분석하고, 둘째, 과학 지식 생성력과 과학적 감성지수(ISE)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과학적 감성을 정의하고, 효과적인 지식 생성 활동을 위해 겨울눈과 화석 관찰, 씨앗과 암석 분류의 4개의 과제를 개발 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원양성대학교 4학년 학생 161명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각 과제를 수행하면서 인지적 사고과정과 느낀 과학적 감성을 기록하고 형용사 이모티콘 척도 용지에 자신의 감성 강도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관찰 활동에서는 '흥미-수용-사랑-거부'의 순으로 감성유형이 나타났고, 규칙성 발견 활동에서는 '흥미-거부-수용-기대'의 순으로 감성유형이 나타났다. 각각의 감성 단어 빈도는 감성 강도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학적 감성 빈도(FSE)와 과학적 감성 강도(SSE)를 곱한 과학적 감성지수(ISE)는 과학적 감성능력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과학 지식 생성력과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개별적인 과학적 감성 지수에서는 '수용-사랑-슬픔-흥미'순으로 과학 지식 생성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ypes of scientific emotion word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E(Index of Scientific Emotion) and the ability of science-knowledge generation in subjects' scientific observation and rule-discovery.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four scientific tasks. The tasks were developed that are suitable for scientific observation and rule-discovery. In performing tasks, the subjects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generated science-knowledge and scientific emotion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 performing each task. The strength of their scientific emotion was also measured using adjective emoticon check lists. In subjects' scientific observing, they showed 33.3% of interest emotion which was the biggest, 15.0% of acceptance emotion, and 11.3% of love emotion, respectively. In scientific rule-discovering, types of emotion were shown as 23.8% of interest, 21.5% of disgust, and 10.8% of acceptance, respectively. In addition, ability of science-knowledge gener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ISE.

      • 승용자동차 엔진 성능이 소비자 구매에 미치는 영향연구 - 마력(hp)과 토크(kg・m)를 중심으로

        권용주 한국기계기술학회 2015 한국기계기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3

        This study is designed to measure the impact of a car’s horse power and torque - aspects related to performance among various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purchase decision-on consumers when buying a car. The research of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indicating that the premise, “The impact of torque and horsepower on consumer purchase decision is not significant,” is true.

      • 全州地方産 사과의 化學成分에 관한 硏究 : Ⅲ. 糖類의 含量變化에 관하여 Ⅲ.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Free Suger Contents

        權涌周,梁熙天 全北大學校 1976 論文集 Vol.18 No.-

        Eight varieties of apples were sampled periodically from Jeonju area during their growth and ripening and the change of the suger contents was surveyed. The sugars in the apples were first detected by T.L.C. method and then these sugars were fractionated by determining the contents of total soluble sugar, reducing sugar and aldohexose.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rom the early growing stage of the fruit body three kinds of sugar, D-glucose, D-fructose, and sucrose were detected in all the sample varieties. Of these sugars D-fructose was always detected as the biggest dark green spot. 2. At harvest, the content of fructose was 1.14-3.21 times of glucose and the content of sucrose 1.06-2.13 times of glucose. The content of non-reducing sugar increased continuously and remarkably with the growing of the fruit. The reducing sugar content increased remarkably at the early growing stage but after the fruit grew to a certain size the sugar content was observed to be fixed or to decrease slightly. 3. The toal soluble surgar content was at the range of 8.23-8.61 percent of early-maturing varieties and about 10 per cent of late-maturing varieties. Of late-maturing varieties golden delicious showed the highest sugar content, 12.14 per cent and ben davis the lowest, 8.75 per cent.

      • 乳糖의 酸 加水分解에 관한 硏究

        權湧周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79 農大論文集 Vol.10 No.-

        A study was made on acid catalyEed hydrolysis of lactose and whey and the results are sum-marifed as follows :1 . Hydrolysis by sulfuric acid was slower than hydrolysis by hydrochloric acid.2. 30% lactose solution was optimum for hydrolysis by sulfuric acid.3 . Hydrolysis of lactose in permeate from ultra filteration treatment wa9 faster than thatin whey of similar lactose content.

      • KCI등재후보

        지식생성형 학습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생물학 가설의 설명 경향 변화

        권용주,이준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8 敎員敎育 Vol.2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일정기간의 지속적인 학습프로그램 경험을 통해 그들의 가설지식 생성능력과 설명경향이 생물학자와 비교하여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규명해 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남부권 소재 과학고등학교 학생 14명과 생물학자 7인을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경우, 7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은 12주에 걸쳐 주 1회씩 생물학 가설에 관련된 지식생성형 학습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지식수용형 학습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하였다. 학습의 전과 후에 미리 제작된 생명현상에 관한 측정과제로 생성한 가설에 대한 설명경향과 가설생성능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변화 없이 설명대상을 분할하지 않고 가설을 생성하며, 2) 실험집단의 경우 사후에는 다차원적 설명자를 사용하는 변화를 보이나 비교집단은 그렇지 못했다. 3) 또한 실험집단은 사후에 현상적 설명자 뿐만 아니라 생물학자들처럼 이론적 설명자를 사용하는 빈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 설명자의 유사도 역시 증가된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지식생성형 학습프로그램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가설설명경향이 과학자와 유사한 형태로 변화되어갈 수 있고, 지식수용형 학습의 경험만으로는 학생들의 가설설명경향 및 가설생성능력의 변화를 유도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changing patterns of the science highschool students' hypothesis explanation pattern and hypothesis generation ability of before and after the sustainable experience of biological knowledge-generation learning program in comparison with biologists'. In this study, we selected 14 science highschool students and 7 biologist. Then, we divided them two groups - the experiential group (n=7) and control group (n=7). The experiential group was experienced biological knowledge-generation learning program for 12 weeks (1 topic per week).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was experienced biological knowledge-acceptance learning program for same time. Before and after the learning program, students in both group were tested their hypothesis explanation pattern and hypothesis generation abi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1) in experimental group, multi-level explicans was frequently used in their hypothesis after the learning program but it was not used in control group, 2) also in experimental group, not only phenomenal hypothesis explican but also theoretical hypothesis explican was frequently used in their hypothesis after the learning program and its degree of likeness was increasing too. Therefore sustainable experience of knowledge-generation learning program can be changed students' hypothesis explanation pattern and hypothesis generation ability to the similar forms of biologists'.

      • KCI등재

        A Case of Qigong-Induced Mental Disorder: a Differential Diagnosis

        권용주,조성훈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13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24 No.3

        Objectives:Qi gong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safe in most people when learned from a qualified instructor. But abnormal psychosomatic responses or mental disorder may be induced when Qigong is practiced inappropriately, excessively, or when practiced unguided in predisposed individuals. Here we reported a case of Qigong-induced Mental Disorder (QIMD). A woman who had not had a psychiatric disease, by chance started Qigong practice, and felt raising- Qisymptoms, including headache. Methods:We identifi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QIMD and discusses differences with other diseases such as somatoform disorder and schizophrenia. Results:To conclude, QIMD does not come under current somatoform disorder subtypes and schizophrenia.Conclusions:It has distinct characters that occurring after Qigong practice, symptoms of upper body, feeling that something to rise up.

      • KCI등재

        긴 파이프로 이뤄진 세장형 부이 구조물의 파랑 중 생존성에 관한 모형시험 및 수치해석 연구

        권용주,남보우,김남우,박인보,김시문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2 No.6

        In this study,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survivability of a long pipe-type buoy structure in waves. The buoy structure is an articulated tower consisting of an upper structure, buoyancy module, and gravity anchor with long pipes forming the base frame. A series of experiment were performed in the ocean engineering basin of KRISO with the scaled model of 1/22 to evaluate the survivability of the buoy structure at West Sea in South Korea. Survival condition was considered as the wave of 50 year return period. Addition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rent and wave period. The factors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buoy’s survival were the pitch angle of the structure, anchor reaction force, and the number of submergence of the upper structure. Numerica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with the OrcaFlex, the commercial program for the mooring analysis, with the aim of performing mutual validati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Based on the evaluation,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buoy structure were first examined according to the tidal conditions. The changes were investigated for the pitch angle and anchor reaction force at HAT and LAT conditions, and the results directly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numerical simulation. Secondly,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uoy structure were studied depending on the wave period and the presence of current velocity. Third, the number of submergence through video analysis was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results in relation to the submergence of the upper structure. Finally, the simulation results for structural responses which were not directly measured in the experiment were presented, and the structural safety discussed in the survival waves. Through a series of survivability evaluation studie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buoy structure were examined in survival waves. The vulnerability and utility of the buo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sensitivity studies of waves, current, and tides. 본 논문에서는 긴 파이프 이뤄진 세장형 부이 구조물의 파랑 중 거동특성에 관한 모형시험과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부이 구조물은 긴 파이프를 기본 뼈대로 하여, 상부구조물, 부력재, 중력식 앵커로 구성된 아티큘레이트(Articulated)형 부이 구조물이다. 대상해역인 서해에서의 본 부이 구조물의 생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축척비 1/22의 축소 모형을 제작하여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공학수조에서 일련의 모형시험을 진행하였다. 이 때 50년 재현주기의 극한파 조건을 고려하였으며, 또한 조류 및 주기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존성 평가를 위한 주된 평가항목으로는 구조물의 거동, 앵커 지지력, 침수 횟수를 고려하였다. 모형시험 결과와의 상호검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용계류해석 프로그램인 OrcaFlex를 이용하여 수치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였다. 평가결과로써 먼저 조위차에 따른 본 부이 구조물의 거동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조위와 저조위 조건에서의 종동요 응답, 앵커지지력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와의 직접 비교 검토하였다. 두 번째로는 파도 주기와 조류의 유무에 따른 부이 구조물의 응답 특성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세 번째로는 상부구조물의 침수와 관련하여 비디오 분석을 통한 침수 횟수를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시험에서 직접 계측하지 못한 구조응답과 관련하여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고, 극한파 중 구조적 안전성에 대해서 논하였다. 일련의 생존성 평가 연구를 통하여 본 부이 구조물의 극한파 중 거동 특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으며, 파도, 조류, 조위차에 따른 민감도 특성을 통해 본 부이구조물의 취약점 및 활용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