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Changes of Farm Households in Jeonbug Province,Korea,1969~1978 : A Shift Share Analysis
Park, Jung Keun,Choi, Kyu Ho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1 農大論文集 Vol.12 No.-
1960年代 以來 韓國經濟의 特徵인 工臺鉛 輸出主導型 高度成長은 韓國의 傳統的 農村內部에 構造的 變化를 招來하였다. 本 硏究는 傳統的 崙作農家 中心인 全兆農業의 經營形態別 農家戶數 變動을 shift-share業法에 의하여 分析함으로서 高度成長下 農材의 構造變化가 어떻게 이루어지며 地域 農業發展에 어떤 問題点을 內包하고 었는가를 究興하고자 한다. 一船的으로 高度成長下 所得增大에 따른 需要變動은 沓作中心에서 成長部門 擴大로 農業經營形態를 변모케 하는 바 最近 全北叢業은 이러한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成長部門中 音裵에 대한 生産與件과 技術問題가 制約條件으로 지적되고 있다.
A Study on the Indian and Pakistan Agricultural Productivity
Park, Jung Keun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0 農大論文集 Vol.11 No.-
傳統的인 農業을 近代化 하려는 試圖는 주어진 與件에 따라 각각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各者의 추어진 與件은 다르다 할지라도 그 同質性 및 異質性을 比較 分析하여 주어진 與件에 가장 적합한 政策變數를 찾기 위한 綜合的인 比較分析이 절실히 요구되며 最近 이에 대한 관심이 집중하고 있다. 本 論文의 目的은 인도 및 파키스탄의 農業生産力 變化推移를 살펴보고 그 要因分析을 통하여 韓國의 農業生産力發展과의 比較分析을 위한 基礎的 資料를 整理하고자 한 것이다. 인도, 파키스탄의 農業은 過剩人口, 低位生産力, 低位資本帶績 및 失業과 貧國의 傳統的인 後進國 農業特徵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最近 1970年代 이후 持續的인 農業政策을 通하여 農業生産力 增大를 보이고 있으며 그것은 주로 種子改善. 水利液設, 施肥增大 등 拉術進步에 의한 綠色草命을 통하여 農業生産力增進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工業化를 통한 農材勞動力 흡수나 市場機構를 통한 商業的 營農의 制約性은 農業生産力增進에 많은 問題点을 보이고 있다고할 수 있을 것이다.
General Equilibrium Model of Economic Growth and Structural Change in Agriculture
Park, Jung Keun,Kang, Chang Yong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4 農大論文集 Vol.15 No.-
經濟構造의 變化는 最終需要나 中間財需要等 需要條件의 變化에 따라 說明되기도 하고 資源, 技術 等 供給條件의 變化에 따라 論明되기도 한다. 그러나 需要·供給條件의 相五聯關性을 따른 經濟購造變化의 說明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수 있다. Tolley-Smidt, Kelley- williamson, Yamaguchi-Binswanger等은 經濟構造 變化를 一般均衡模型에 의하여 分析하였다. 그들의 模型은 모두 農業部門의 二部門 模型에 基礎를 둔다. 그러나 開發途上國의 經濟成長에 따른 農業內部의 構造變化는 食糧部門과 非食糧部門의 特性을 뚜렷하게 區分짓기 때문에 經濟成長과 構造變化는 食糧部門, 非食糧部門, 非農業部門의 三部門模型에 의하여 接近할 必要가 있다. 本硏衆 이와 같은 問題點에 立脚하여 Yamaguchi-Binswanger 部門 模型을 三部門模型으로 延長, 擴大코저 한다. A selective review of the hypotheses purporting to explain the structural changes of economy reveals the structure of final or intermediate demand as a key explanation of structural change, while others suggest that any model purporting to explain this phenomenon should explore differences in production technologies, factor substitution possibilities and rate of technical change. However, the critical importance of interdepende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condition naturally leades to general equilibrium model. Tolley-Smidt, Kelley-Williamson, and Yamaguchi-Binswanger analyzed the structural change with general equilibrium condition under the two sector (agriculture and industry) model. However, for most developing countries the structural change within agriculature can be observed as a result of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light of this poin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erms of vital relationship within agriculatural sectors (food grain and non-food grain) and between these sectors and industry and to extend Yamaguchi-Binswanger model to three sector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