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맥주보리의 저장장소 및 기간에 따른 원맥과 맥아의 품질 특성 분석

        신상현 ( Sang Hyun Shin ),김경훈 ( Kyeong Hoon Kim ),강천식 ( Chon Sik Kang ),조광민 ( Kwang Min Cho ),박철수 ( Chul Soo Park ),추병길 ( Byeong Gil Choo ),박종철 ( Jong Chul Park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1

        수확 후 원맥의 저장방법 및 기간에 따른 원맥과 맥아의 품질 특성 분석을 통해 맥주용 보리의 품질 향상을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재배면적이 가장 넓은 호품보리를 대상으로 농가 저장기간 및 수매 후 농협 창고 보관 시료에 대한 원맥과 맥아의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개별 농가에서는 단백질 함량은 평균 14.4%로 높았으나 농협 저장기간에는 평균 11.1%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수감수성은 8.0%에서 22.0%로 증가하였다. 수매 후 농협 창고 보관 시료의 맥아 수율 및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지만, 맥아의 신장도와 곡피율은 증가하였다. 개별농가에서 보관된 시료의 평균 맥아수율은 84.7%로 농협의 평균 81.1%에 비해 높았으며, 맥아 단백질은 15.6%로 농협에 보관된 시료 보다 높게 나타났다. 맥아의 신장도는 농협창고에 보관된 시료는 개별 농가에서 보관한 시료보다 평균 65.3%로 증가하였다. 국내 주요 육성품종에 대해 저장기간에 따른 원맥과 맥아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원맥을 30일까지 저장하였을 때는 맥아수율, 맥아 신장도, 및 맥아 단백질의 품종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맥아단백질 함량은 낮아졌다. 특히 맥아수율에서 진향보리가 평균 81.8%로 높게 나타났고, 맥아의 신장도는 맥향보리가 평균 67.4%로 높게 나타났다. 다른 품질 특성인 맥즙 여과시간, 맥즙 색도, 및 당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가의 재배관리와 수확 후 건조 등의 관리가 원맥 및 맥아의 품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evaluate to grain and malting quality of 2 row barley harvested from Jeju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harvested barley samples were stored up to 30 days in farm house and then Nonghyup storage house from 30 to 120 days. The protein content was high 14.4% in farm storage and decreased by 11.1% during Nonghyup storage period. Among the malting quality characteristics, malt yield and protein were significantly reduced, however malt acrospires length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In addition, grain and malting quality of five were evaluated during storage period up to 30 days.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1,000 kernel weight, husk ration, protei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malting barley cultivars while malting qualities such as filtration time, wort color, and sugar content did not affect on storage period. Theref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orage condition and period of grai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grain and malting quality.

      • General Equilibrium Model of Economic Growth and Structural Change in Agriculture

        Park, Jung Keun,Kang, Chang Yong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4 農大論文集 Vol.15 No.-

        經濟構造의 變化는 最終需要나 中間財需要等 需要條件의 變化에 따라 說明되기도 하고 資源, 技術 等 供給條件의 變化에 따라 論明되기도 한다. 그러나 需要·供給條件의 相五聯關性을 따른 經濟購造變化의 說明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수 있다. Tolley-Smidt, Kelley- williamson, Yamaguchi-Binswanger等은 經濟構造 變化를 一般均衡模型에 의하여 分析하였다. 그들의 模型은 모두 農業部門의 二部門 模型에 基礎를 둔다. 그러나 開發途上國의 經濟成長에 따른 農業內部의 構造變化는 食糧部門과 非食糧部門의 特性을 뚜렷하게 區分짓기 때문에 經濟成長과 構造變化는 食糧部門, 非食糧部門, 非農業部門의 三部門模型에 의하여 接近할 必要가 있다. 本硏衆 이와 같은 問題點에 立脚하여 Yamaguchi-Binswanger 部門 模型을 三部門模型으로 延長, 擴大코저 한다. A selective review of the hypotheses purporting to explain the structural changes of economy reveals the structure of final or intermediate demand as a key explanation of structural change, while others suggest that any model purporting to explain this phenomenon should explore differences in production technologies, factor substitution possibilities and rate of technical change. However, the critical importance of interdepende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condition naturally leades to general equilibrium model. Tolley-Smidt, Kelley-Williamson, and Yamaguchi-Binswanger analyzed the structural change with general equilibrium condition under the two sector (agriculture and industry) model. However, for most developing countries the structural change within agriculature can be observed as a result of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light of this poin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erms of vital relationship within agriculatural sectors (food grain and non-food grain) and between these sectors and industry and to extend Yamaguchi-Binswanger model to three sector model.

      • 스마트 팜 실현을 위한 온실 온도관리 모델 평가와 저온기 근권가온 시나리오

        주호종 ( Ho-jong Ju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7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2

        현재 한국의 농업은 많은 문제에 직면 해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농가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농부 노후화의 가속화 때문에 노동력 부족이다. 따라서 한국의 농산업은 다른 산업이나 다른 나라의 농산업에 비하여 매우 낮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고 거의 고사 위기에 있다. 정부는 농업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많은 해결책과 정책들을 제시하였다. 정보 통신 기술 (ICT)과 융합 된 원예 시설 온실이 현대화 된 스마트 농장을 통해 원예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한다. 농업에 이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농업이 가진 여러 당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 팜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정부 지원이 필요한 상태이다. 여기서 저자는 스마트 팜과 연관된 사항들을 검토하고, 스마트 팜 확산이 일환으로 저온기 스마트 팜에 적용하여 근권부난방의 효율성을 증개시키고 작물의 생산성 증대를 위한 온도 관리 시나리오를 제안하고자 한다. Korea's agricultural development is facing with many problems. The most serious one is labor shortage because of the continuous decrease in farm population and the acceleration of agricultural workers’ aging. Therefore, Korea's agricultural industry has very low competitiveness and almost endangered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even compared to agricultural industry in other countries. Korea government proposed many solutions and polic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n agricultural sector. The government has plann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horticulture crop through Smart farm which is very modernized greenhouse of horticultural facilities fused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ICT). The adoption of this new technology in agriculture may be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that agriculture had. However, it needs more studies and much more government support to spread Smart farm. Here, author review the issues related to Smart farms and I propose the temperature management scenario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oot heating and crop productivity by applying to Smart farm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

      • Changes of Farm Households in Jeonbug Province,Korea,1969~1978 : A Shift Share Analysis

        Park, Jung Keun,Choi, Kyu Ho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1 農大論文集 Vol.12 No.-

        1960年代 以來 韓國經濟의 特徵인 工臺鉛 輸出主導型 高度成長은 韓國의 傳統的 農村內部에 構造的 變化를 招來하였다. 本 硏究는 傳統的 崙作農家 中心인 全兆農業의 經營形態別 農家戶數 變動을 shift-share業法에 의하여 分析함으로서 高度成長下 農材의 構造變化가 어떻게 이루어지며 地域 農業發展에 어떤 問題点을 內包하고 었는가를 究興하고자 한다. 一船的으로 高度成長下 所得增大에 따른 需要變動은 沓作中心에서 成長部門 擴大로 農業經營形態를 변모케 하는 바 最近 全北叢業은 이러한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成長部門中 音裵에 대한 生産與件과 技術問題가 制約條件으로 지적되고 있다.

      • A Study on the Indian and Pakistan Agricultural Productivity

        Park, Jung Keun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0 農大論文集 Vol.11 No.-

        傳統的인 農業을 近代化 하려는 試圖는 주어진 與件에 따라 각각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各者의 추어진 與件은 다르다 할지라도 그 同質性 및 異質性을 比較 分析하여 주어진 與件에 가장 적합한 政策變數를 찾기 위한 綜合的인 比較分析이 절실히 요구되며 最近 이에 대한 관심이 집중하고 있다. 本 論文의 目的은 인도 및 파키스탄의 農業生産力 變化推移를 살펴보고 그 要因分析을 통하여 韓國의 農業生産力發展과의 比較分析을 위한 基礎的 資料를 整理하고자 한 것이다. 인도, 파키스탄의 農業은 過剩人口, 低位生産力, 低位資本帶績 및 失業과 貧國의 傳統的인 後進國 農業特徵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最近 1970年代 이후 持續的인 農業政策을 通하여 農業生産力 增大를 보이고 있으며 그것은 주로 種子改善. 水利液設, 施肥增大 등 拉術進步에 의한 綠色草命을 통하여 農業生産力增進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工業化를 통한 農材勞動力 흡수나 市場機構를 통한 商業的 營農의 制約性은 農業生産力增進에 많은 問題点을 보이고 있다고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