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행위분석 관점에서 본 혈흔형태분석과 화재조사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서영일,문병선,조영진,전우정,박종진,김성진,최용석,박남규 대한법의학회 2010 대한법의학회지 Vol.34 No.2

        Crime scene reconstruction is the use of scientific methods, physical evidence,deductive and inductive reasoning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to gain explicit knowledge of the series of events that surround the commission of a crime. Event analysis is the method of crime scene reconstruction. As disciplines of crime scene reconstruction,bloodstain pattern analysis and fire investigation have many common points. Comparing bloodstain pattern analysis with fire investigation in point view of event analysis helps us to further understand crime scene reconstruction as well as bloodstain pattern analysis and fire investigation themselves. We study event analysis and apply it to cases and we seek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bloodstain pattern analysis and fire investigation by analyzing the methodology of both of them. In a fire scene, the point with the greatest damage is the point where the fire burned longest,which is likely to be the origin. In bloodstained scenes this approach is reversed. The greatest bloodshed point is most likely the ending point of the incident and is likely at or near the point where the bloodshed started. Above this, there are other similarities between them. Mastering the crime scene reconstruction requires long time hard training. Thus if the fire investigation experts or arson experts among crime scene investigators join the field of bloodstain pattern analysis(or reverse), then there will be many synergy effects to both of them.

      • KCI등재

        쌍끌이 기선저인망 어선의 어업용 어군탐지기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서영일,박준성,장충식,강명희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17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3 No.4

        For scientific research, a number of acoustic surveys using commercial echosounders equipped in fishing vessels were conducted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few studies were performed in South Korea. Hence, this research is an preliminary study for presenting the application of a sounder from a fishing vessel. The fishing operations using a pair trawler (7 Cheonghae) was conducted in the Northwest-Western sea of Jeju Island from 20 to 23 April, 2016. Substantial impulse noises and attenuated signals were eliminated by the latest algorithms. Acoustic signals were grouped into the fish aggregations and long layer-like signals. The fish aggregations appeared between 30 and 60 m, and long layer-like signals showed the diurnal vertical migration. Energetic, morphological and positional properties of the fish aggregations and layer-like signals were described. The fish aggregations appeared mainly between sunrise and sunset; however layer-like signals tended to be presented regardless of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series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consignment sales, Scomberomorus niphonius, the target species of F/V 7 Cheonghae, was the highest catch with 4,280 kg (74.6%) and might have appeared in fish aggregations and layer forms. 쌍끌이 어선 선단의 망선 중 하나인 7청해호에 부착된 어업용 어군탐지기 (ES70)을 이용한 조사가 2017년 4월 20~23일 제주도 북서부~서부 해역에서 수행되었다. 어획 결과는 청해호의 이름으로 4월 23일에 위판된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하였으며, 해역의 수온 및 염분 데이터는 국립해양조사원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음향 데이터에는 임펄스 잡음과 감쇠신호가 존재하였으며, 후처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이 잡음들을 소거하였다. 잡음이 소거된 음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군의 신호와 띠 형태의 신호를 정의하였다. 정의된 어군 및 띠의 신호만을 남긴 에코그램을 생성하였다. 어군의 신호는 주로 수심 30~60 m에 출현하였으며, 띠의 신호는 전형적인 어류의 일주기적인 수직 이동을 나타내었다. 정의된 어군 및 띠의 특성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어군의 SV는 22, 23일에 각각 평균 -58.5±3.4, -58.5±4.2 dB로 가장 높았고, 분포 수심과 고도는 22일에 평균 50.4±14.8 m와 39.4±10.6 m로 가장 깊고 또한 가장 높은 곳에 분포하였다. 어군의 평균 길이와 면적은 각각 55.0±68.2 m와 193.6±586.2 m2로 가장 길고 넓었으며 평균 두께는 23일에 평균 6.3±4.9 m로 가장 두꺼웠다. 띠의 평균 SV는 23일에 -61.0±5.4 dB로 가장 높았고 분포 수심은 58.4±19.3으로 가장 깊었다. 띠의 평균 길이와 면적은 20일에 각각 23773.2±25566.7 m와 643340.9±764868.7 m2로 가장 길고 넓었으며 평균 두께는 51.1±26.2 m로 22일에 가장 두꺼웠다. 어군 및 띠의 NASC 값을 시계열로 선형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 어군의 신호들은 주로 일출과 일몰 시간 사이에 출현하였지만 띠의 신호는 주·야간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환경적인 요인인 수온·염분과 어군 및 띠의 NASC 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어군은 20일과 22일에 수온과 염분 모두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21일에는 염분만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띠는 20, 21일에 수온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고 22일의 염분에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위판결과를 정리한 결과, 청해호의 목표종인 삼치가 4,280 kg (74.6%)로 가장 높은 어획량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한 주요비산혈흔의 속도측정 및 비교고찰

        서영일,문병선,조영진,전우정,김성진,손부남,김기정,김영규,추창우,이승훈,홍우한,임채원,이종훈,류경진,유제설,최용석,박남규 대한법의학회 2011 대한법의학회지 Vol.35 No.1

        Bloodstain pattern analysis is a forensic discipline that reconstruct events of a crime scene by analyzing sizes, shapes, distributions, positions of bloodstains. Bloodstain pattern can be classified into the low velocity, medium velocity, and high velocity system. Velocities in this system represent the velocity of the wounding agent (the force applied) and not to the velocity of the blood in flight. Thus there is no reference system about the velocity of the blood in flight in the existing bloodstain classification system. Applying bloodstain pattern analysis to the real crime case, we needed to have the reference system of velocities of impact spatter, cast-off spatter, and expectorate spatter. Therefore we measured the velocities of these spatters using high speed camera and we analyzed the results. In this experiments the average velocity of impact spatter that generated by swinging a hammer with all experimenter’s strength at the pool of blood is about 4.7 times faster than that of swing cast-off spatter that generated by swinging a red-wat hammer with all experimenter’s strength, and about 3.9 times faster than that of expectorate spatter that generated by emitting blood from the mouth with all experimenter’s strength. The velocities of cast-off spatter and expectorate spatter, however, showed similar distributions. Our experiments that measure the velocities of droplets of blood spatters in flight under the specific conditions that generated at fastest speed can give some reference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velocities of bloodstains which is not distinct up to now, as well as some real bloodshed crime cases.

      • KCI등재

        동해 중부연안에 서식하는 대문어(Enteroctopus dofleini) 흘림낚시의 어획실태에 관한 연구

        서영일,이수정,양재형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2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8 No.4

        Giant pacific octopus, Enteroctopus dofleini, is a large mollusk distributed in the East Sea of Korea. In this study, the catch status of giant pacific octopus by drift line fishery and the effect of sea temperature on fishing ground were investigated in Goseong-gun, Gangwon-do, which is the central coast of the East Sea. The average catch of giant pacific octopus in Gangwon-do was 1,570 tons over the past ten years, and it accounted for 21% in 2008 and 44% in 2021 compared to the total catch in the East Sea during the same period. Such data indicates that the catch in Gangwon-do has recently increased. In this study area, giant pacific octopus weighing 1.1-5.0 kg dominated accounting for 56% of the total individuals, and followed by those weighing 1 kg or less. However, the ratio of catch of giant pacific octopus over 5.1 kg tended to increase in 2021, which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sea temperature that affected the fishing ground. The main depth of fishing ground was from 21 m to 50 m in this area and fishing grounds we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eason except summer. Fishing ground was formed with the conditions of bottom sea temperature under 10℃ and was diminished by moving of giant pacific octopus to deeper depth with conditions of bottom sea temperature over 18℃. 대문어는 우리나라 동해, 일본, 아류산열도, 알라스카 등에서 서식하는 연체동물로 본 연구에서는 동해 중부연안인 강원도 고성군 주변해역에서 서식하는 대문어 중 흘림낚시에 의해 어획되고 있는 실태를 파악하고, 수온에 따른 어장형성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강원도 대문어 어획량은 최근 10년 동안 평균 약 1,570톤이 어획되었으며, 동 시기의 동해안 문어류 어획량과 비교하면 2008년에는 21%, 2021년에는 44%를 차지하여 최근 강원도 대문어 어획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량별 어획 개체수는 1.1~5.0 kg의 대문어가 전체 개체수의 56%를 차지하여 우점하였으며, 다음으로 1 kg 이하 대문어 순으로 나타났으나, 2021년에는 5.1 kg 이상의 대문어 어획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어장에 영향을 미쳤던 수온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해역에서 주 조업수심은 21~50 m로 나타났는데, 여름철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에는 대문어의 어장이 넓게 분포했으나, 수온이 증가하는 여름철에는 수심 30 m 이내에서 어획되는 비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문어 어장은 수온 10℃ 이하의 조건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18℃ 이상의 고수온에서 서식하지 않고 깊은 수심으로 이동하여 어장이 축소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한성 백제의 교통로 상실과 웅진천도

        서영일 서울역사편찬원 2008 서울과 역사 Vol.- No.72

        Bakje made a west sea route with Daebang(대방) in the late of 3th century. After that, Bakje had taken control the sea route until early 4th century. In the late 4th century, Bakje's territory extended into Hwangjo(황주), bongsan(봉산) and saeheng(서흥). In 375, Goguryo taked the capture of the Soogok fortress(수곡성) and made an advanced post at the upper stream of yaesung river. Because of that, Bakje lose control power of Bangwon route(방원령로). After losing Bangwon route, Bakje worked as best they could for preventing of the west sea route. However, after 390, Bakje lost Seokhyen fortress(석현성) and Kwanmi fortress(관미성). In the result, Goguryo could attain the command of the weat sea. Loss of control power of traffic route and west sea route became one of important reasons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Wongjin(웅진), but Hansung could be a important post of Bakje for recovering of the northen route. The purpose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Wongjin was that reducing of Goguryo's attack. Also, the transfer of the capital had another reason. It was preparation for battle with Goguryo. Usually,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Wongjin considered as a big defeat of Bakje. This article talk about that this general view should be reconsidered. 백제는 3세기 후반경부터 서해 해로를 개척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4세기 전반까지 한강 하구에서 서한만에 이르는 해로를 서서히 장악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4세기 후반에는 고구려와 대결하면서 자비령로를 개척하고 황주·봉산·서흥 일대로 진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는 375년 수곡성을 함락시킨 후 예성강 상류에 전초기지를 마련하였다. 이로 인하여 백제는 방원령로의 통제권을 상실하게 되었다. 백제는 수곡성을 상실함으로써 고구려와의 전투를 주도하지 못하고 수세적인 입장에 처하게 되었다. 예성강 하류에서 자비령로를 유지하면서 서해 해로를 보호하는데 주력하였다. 그러나 390년 이후 수곡성에서 장단 방향으로 남하한 고구려군에 의하여 임진강 유역을 공략 당하였다. 이어서 서해 해로의 요충지인 관미성을 빼앗기고 서해 해로도 상실하였다. 이후 경기만과 서한만의 제해권 및 임진강 하류 지역 육로 요충지가 고구려의 차지가 되었다. 백제는 5세기 전반부터 서해 해로를 회복하기 위하여 부심하였다. 다소의 성과는 있었으나 390년 이전으로 회복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예성강과 임진강 상류 지역에서 백제는 별다른 회복 노력을 기울이지 못하였다. 이 때문에 한성은 방어상 허점이 계속 노출되었다. 다시 475년 고구려의 기습으로 다시 한성이 함락되었다. 두 번에 걸쳐 한성이 함락되었던 것은 백제가 북방교통로와 서해 해로를 상실하고 전략적 요충지를 빼앗겼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한성은 도성으로서 가치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고 웅진으로 천도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웅진천도 후에도 한성은 여전히 백제가 임진강 일대 육로를 복구하기 위한 전초기지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웅진천도는 수도가 점령당하는 위험을 줄이고, 고구려와의 전선을 정비하는 조치였다. 차후 북방교통로 회복을 위해 고구려와 결전을 준비하는 의미도 있었다. 그 결과 동성왕대부터 고구려와의 전세를 서서히 역전시킬 수 있었고, 무령왕 말기에는 다시 임진강 유역까지 진출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기존에 웅진천도를 백제의 일방적인 패퇴로 보는 관점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