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려 말~조선 초 백자의 위상(位相)변화와 배경

        김귀한 ( Kim¸ Kwihan ) 단국사학회 2020 史學志 Vol.60 No.-

        이 글은 조선 세종대 이후 백자의 소비가 확대되는 배경을 백자의 위상 강화라는 측면에서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려 말∼조선 초 자기의 중심은 청자였다. 백자는 청자에 비해 품질이 낮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1410∼1420년대 청자는 그릇의 전면에 문양을 빽빽하게 시문하는 등 장식성이 한층 강화되었다. 그러나 백자는 백토(白土)가 매장된 일부 지역에서만 제작되었다. 고려 말과 비교하여 품질 또한 개선되지 못하였다. 조선 초 조정은 명에 진공(進貢)하는 금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 명으로부터 금은을 면공(免貢)받고자 조선에서 금은이 생산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행히 1429년 조선의 의도대로 금은은 면공되었다. 이후 세종은 명 사신에게 금은기를 소비하지 않음을 선전(宣傳)해야 했다. 물론 조선 왕실은 계속 금은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금은기의 대체재(代替財)를 마련할 필요성 또한 절감하였다. 금은기는 당시 소비되던 기명 가운데 가장 위계(位階)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금은기의 대체재는 금은과 동등하거나 금은 다음으로 위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된 그릇이 선택될 가능성이 농후하였다. 세종대는 명 선덕제가 청화백자를 사여하는 등 중국 백자의 유입이 크게 증가하였다. 명과 조선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선덕제의 반사품(頒賜品)은 왕의 권위를 상징할 수 있는 개연성이 높았다. 세종에게 있어 선덕제의 하사품은 왕의 권위를 상징하면서도 명과의 외교 관계에서 실리를 취할 수 있는 현실적인 수단으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세종은 이러한 의도로 백자를 어기(御器)로 선택하였다. 세종이 백자를 어기로 채택한 후 백자에 대한 지배층의 인식은 변화되었다. 백자의 위상 또한 한층 강화되었다. 최고 권력자와 동일한 재질의 그릇을 소비하려는 욕구로 인해 백자의 수요는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1430년대부터 경질백자(硬質白磁)가 제작되었고, 1440년대는 비교적 뛰어난 품질의 백자가 생산될 수 있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increase in consumption of white porcelain based on the elevation of its status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period. Celadon was the most important type of porcelain from the late Goryeo to early Joseon era. In comparison, white porcelain, which registered lower qualities than celadon, failed to draw consumers' attention. In the 1410s and 1420s, celadon became increasingly more decorated, sometimes with patterns that covered the ware’s entire surface. White porcelain was usually produced in small volumes in areas storing white clay (白土). Moreover, its quality had not improved from the late Goryeo period. In the early Joseon era, the kingdom continuously strived to secure gold and silver to give as tributes (進貢) to the Ming Empire. To exempt itself from having to give away gold and silver (免貢), the Joseon kingdom stressed that these metals were not produced in Joseon. Fortunately, gold and silver were delisted, after which King Sejong had to reassure (宣傳) the Ming diplomats that his country was no longer consuming the material, even though the Joseon court continued their usage. At the same time, there was keen awareness of the need to find substitutes (代替財) for gold and silver ware as they were the topmost in the contemporary hierarchy (位階) of precious metals. Hence, a substitute had to be made of material of equal status as gold and silver or immediately below them. The King Sejong era saw an increase in imports of Chinese white porcelain, including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given by the Xuande Emperor (宣德帝) of Ming. Giv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and Ming dynasties, the gifts (頒賜品) from the Xuande Emperor were likely to symbolize the king's authority. To King Sejong, the gifts from the Xuande Emperor not only symbolized his authority but also served as a practical means to profit from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Ming. Thus King Sejong chose white porcelain as royal ware (御器). King Sejong’s choice of white porcelain as royal ware changed the ruling class's perception of it, boosting its status. Demand for white porcelain increased as people wanted w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used by the monarch. In line with these developments, hard white porcelain (硬質白磁) began to be produced in the 1430s, and eventually white porcelain of excellent quality was produced in the 1440s.

      • 남한의 초기 철기문화에 대한 몇 가지 논의

        이청규 ( Chung Kyu Lee ) 단국사학회 2013 史學志 Vol.46 No.-

        기원전 3-1세기경에 남한의 동부와 서부에 보급되는 철기 갖춤 새의 차이가 있다. 서남한에서는 기원전 2세기 전후에 부(斧), 착(鑿), 사(사) 등의 주조(鑄造)철기, 동남한에서는 기원전 1세기 전후에 검(劍), 모(모), 과(戈) 등의 단조(鍛造)철기가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차이는 지금까지 확보된 고고학 자료를 문헌기록의 정황과 맞추어 볼 때, 각각 위만조선(衛滿朝鮮)과의 물자기술교류, 위만조선 멸망 후 유이민(流移民)의 이주(移住)와 관련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The ironware sets which were supplied to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nd those to the western part of it, around the 3rd-the 1st century BCE,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round the 2nd century BCE, the casted ironwares such as axes(斧), chisels(鑿), and javelins(사) were concentrically spreaded; but in the eastern part of it, the forged ironwares such as swords(劍), lances(모), and spears (戈) were. When archeological materials obtained till now are compared with the circumstances in textual records, such differences seems to have the most provability to be related with the material and technical interchanges with Wiman-Joseon and with the migrators displaced by the fall of Wimanjoseon.

      • 일제침략에 대한 한중 공동항전의 역사적 경험과 과제

        한시준 ( Seejun Han ) 단국사학회 2016 史學志 Vol.52 No.-

        한국과 중국은 20세기 전반기에 공유하였던 역사적 경험이 있다. 한국과 중국 모두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을 받았고, 한중 양민족은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상호 협력하면서 공동으로 대일항전을 전개하였다. 일제를 상대로 한 한중의 공동항전은 중국 각 지역에서, 또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1931년 9월 일제가 만주를 침략하자 만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한중 양민족이 서로 연합하여, 공동으로 일본군과 싸웠다. 한국의 조선혁명군과 한국독립군이 중국의 요녕민중자위군· 길림구국군 등과 연합하여 공동항전을 전개한 것이 그러한 예이다. 중국관내지역에서도 다양한 방법의 공동항전이 이루어졌다. 1910년 이래 많은 한인청년들이 중국의 군관학교에 들어가 군사훈련을 받았고, 이들이 중국군으로 대일항전에 참전하였다. 또 한국의 독립운동 세력들이 조선의용대·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국광복군 조선의용군 등을 조직하여 중국군과 함께 항일전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20세기 전반기 한국과 중국은 일제를 상대로 공동항전을 전개하였고, 그 결과 일제의 침략을 물리치고 해방과 승전을 거두었다. 한중 양국은 일제의 침략을 물리친 공동의 경험을 기억하고, 이를 역사적으로 정리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There are historical experiences that were shared between Koreans and Chinese in the 1st half of the 20th century. Despite the temporal and methodological differences, both Korea and China were invad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nvaded by the Japanese empire, Korea and China came to share a ``common fate`` and considered the Japanese empire as their ``mutual enemy.`` And both Koreans and Chinese collaborated each other and fought the anti-Japanese war together. The Korean-Chinese coalitional war against the Japanese empire were developed throughout China in various forms. The typical area in which the Korean-Chinese coalitional war were developed was Manchuria. As the Japanese empire invaded Manchuria in September of 1931, Koreans and Chinese living in the area allied and fought against the Japanese army together. The fact that Korea`s Joseon Revolutionary Army(Joseon Hyeokmyeong-gun) and Korean Independence Army(Han-guk Dokripgun) working in Manchuria allied with China`s Liaoning People`s Self-Defence Army(Liaoning Minjung Jawigun) and Gillim National Salvation Army(Gillim Gugukgun) and developed the coalitional war was one of such examples. Also in the Inland China some coalitional wars of various methods were fought. Since 1910`s many Korean young men entered Chinese military academy, took military training, and then joined Chinese army to fight the anti-Japanese war. Som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organized Joseon Euiyongdae · Hanguk Cheongnyeon jeonji gongjakdae · Hanguk Gwangbokgun · Joseon Euiyonggun and fought the anti-Japanese war together with Chinese army. The fact that the Chinese Nationalist Party Government(Kuomintang)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upported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was an important example for the coalitional war. Since Sun Wen`s Constitutional Protection Government, the Chinese Nationalist Party Government suppo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elped Joseondokripdongmaeng`s activities in Yan`an. Especially, the result of Jiang Jieshi`s positive support and effort was that the Cairo Conference of 1943 confirmed Korea should become free and independent after the war. In the 1st half of the 20th century Korea and China went through a lot of suffering and ordeal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Throughout the process Korea and China deployed the coalitional war against the Japanese empire, and for the result defeated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and achieved the liberation and the victory. Korea and China together have the historical experiences defeating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Nonetheless, for over the 70 some years the history of the Korean-Chinese coalitional resistance has not been settled yet. Both Korean and Chinese must remember the communal experiences that they defeated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together, and prepare a plan to historically organiz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