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문 : 1910~1945년 길림지역의 한인과 독립운동 개황

        염송심 ( Song Xin Lian ) 단국사학회 2012 史學志 Vol.45 No.-

        이 글은 길림지역에 이주한 한인들의 생활상과 독립운동을 살펴본 것이다. 길림지역은 국치를 전후한 시기에 많은 한인들이 이주하여 정착한 지역이었다. 이러한 한인들은 한일 병탄 이후 망국노로의 전락을 원치 않았던 식자층과 일본의 식민통치에 의해 파산한 농민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까닭에 이 지역은 1919년 3·1운동 이후 민족독립운동의 근거지가 되었다. 한인들은 주로 두 가지 경로를 통해 길림지역으로 이주하였다. 첫째 함경도에서 두만강을 건너 길림성 동부지역으로 들어와, 그 중 일부가 서쪽으로 이동해 연길, 돈화, 교하를 거쳐 길림지역에 도착하는 경로이다. 또 다른 한 가지는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평안도에서 압록강을 건너 요녕성과 길림성 동남부 산악지역를 지난 후 용녕성 봉성, 관전, 환인을 거쳐 길림성의 혼강, 류하, 해룡, 화전을 경유해 최종적으로 길림지역에 도착하는 경로이다. 길림지역에 도착한 후 한인들 대부분은 심양 -길림 간 철도의 동측 산악지역과 장춘 -도문, 길림 -하얼빈 철도 연선지역에 정착해 생활하였다. 이주한인들은 1907년 이전시기부터 길림시내에 정착하여 살고 있었다고 한다. 이들 한인들은 지속적으로 길림시와 주변지역에 정착하여 만주사변 전까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면서 황무지를 개간하고 수전 경영을 하였다. 위만주국 설립 이후에는 길림시 외곽지역과 주변 농촌의 한인들이 대거 길림시 시내로 피난해와 정미소, 음식점, 옷가게, 이발소 등의 서비스업에 종사하기 시작하였다. 이 외에 두 곳의 주식회사와 약국, 병원이 있었다. 이러한 산업들은 일위정부(日僞政府)와 타협해 얻은 산물이었으리라 생각된다. 한인들은 길림지역으로 이주한 뒤 서당과 학교를 건립하기 시작했으나, 경비의 부족으로 인해 유지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대부분의 학교들은 독립운동가와의 밀접한 관계를 맺고 반일민족교육을 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 침략기관에 의해 탄압을 받고 문을 닫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만주사변 이전, 길림지역은 한인독립운동의 중심지 중 한 곳으로, 의열단, 정의부, 서로군정서 등 많은 독립운동단체들이 이곳에서 활동하였다. 반일애국인사들이 창건한 학교와 정미소는 독립운동가들의 연락기점이 되었다. 만주국이 수립된 이후, 대부분의 민족주의자들은 일위정부(日僞政府)와 타협하거나 혹은 관내지역으로 이주 하였다. 급진적 인사들은 공산주의단체에 가입해 중국공산당의 지도하에서 반제반봉건적 투쟁을 계속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투항하고 난 후, 정치목적을 가지고 길림지역으로 이주한 한인(많은 친일인사들을 포함) 대부분은 한국으로 돌아갔고, 광범위한 하층 군중들만 여전히 길림에 남아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민이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living stat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Korean migrants in Jilin province where many Koreans settled before and after the National Humiliation. Jilin became a ba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s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because the migrants were mostly the literate stratum who would not become a ruined people and the bankrupt farmers by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migrants moved to Jilin mainly through two routes. First, it is to cross Duman(Tumen) River from Hamkyung-do province to the eastern area in Jilin province; then, some of these shifted to the West and reached Jilin City via Yanji, Dunhua and Jiaohe. The other is to cross Amrok(Yalu) River from Gyeongsang-do, Jeolla-do, Chungcheong-do and Pyeongan-do province, pass the mountain regions of Southeast Liaoning and Jilin, go by Fengcheng, Kuandian and Huanren, and finally arrive at Jilin City by way of Hun River, Liuhe, Hai Long and Huadian. After arrival in Jilin, the most Koreans rooted in the eastern mountain regions of the Shenyang-Jilin railway line and the area along the railway of the Changchun-Tumen and Jilin-Harbin line. Korean migrants began living in the downtown of Jilin City before 1907. Having continually settled in and around Jilin, they were generally occupied with agriculture, developed the wild land, and managed paddy fields until Manchurian Incident. Since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a large number of Koreans fled from the remote and surrounding farm area to the downtown, starting to engage in service industry such as rice mill, restaurant, clothing and barbering businesses. Except these, there were two of stock companies, pharmacies and hospitals;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y may be the product of compromising with the Japanese puppet government. Korean migrants founded village schools of classical learning(Seodang) and modern-educational schools after moving to Jilin, but were in heavy difficulties to maintain with the lack of funds. As the most schools were connected with the leaders of independence movements, and progressed the anti-Japanese national education, it was frequent to be closed by the pressure of Japanese invasive organisations. Before Manchurian Incident Jilin was one of the centres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re were a great number of organisations for the independence, for example Uiyeoldan, Jeongeui-bu and Seoro-gunjeongseo. The schools and the rice mills set up by anti-Japanese patriots became junc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After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 most nationalists compromised with the Japanese puppet government, or moved to the Chinese mainland. The radicalists joined in communist organisations, keeping struggles under the leading of Chinese Communist Party. Since Japan`s surrender in August Fifteenth, 1945, some Koreans moving to Jilin with political purpose―including the pro-Japanese collaborator―had mostly returned to Korea; the wide-ranging populace has yet remained in Jilin, being citizen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고려 말~조선 초 백자의 위상(位相)변화와 배경

        김귀한 ( Kim¸ Kwihan ) 단국사학회 2020 史學志 Vol.60 No.-

        이 글은 조선 세종대 이후 백자의 소비가 확대되는 배경을 백자의 위상 강화라는 측면에서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려 말∼조선 초 자기의 중심은 청자였다. 백자는 청자에 비해 품질이 낮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1410∼1420년대 청자는 그릇의 전면에 문양을 빽빽하게 시문하는 등 장식성이 한층 강화되었다. 그러나 백자는 백토(白土)가 매장된 일부 지역에서만 제작되었다. 고려 말과 비교하여 품질 또한 개선되지 못하였다. 조선 초 조정은 명에 진공(進貢)하는 금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 명으로부터 금은을 면공(免貢)받고자 조선에서 금은이 생산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행히 1429년 조선의 의도대로 금은은 면공되었다. 이후 세종은 명 사신에게 금은기를 소비하지 않음을 선전(宣傳)해야 했다. 물론 조선 왕실은 계속 금은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금은기의 대체재(代替財)를 마련할 필요성 또한 절감하였다. 금은기는 당시 소비되던 기명 가운데 가장 위계(位階)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금은기의 대체재는 금은과 동등하거나 금은 다음으로 위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된 그릇이 선택될 가능성이 농후하였다. 세종대는 명 선덕제가 청화백자를 사여하는 등 중국 백자의 유입이 크게 증가하였다. 명과 조선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선덕제의 반사품(頒賜品)은 왕의 권위를 상징할 수 있는 개연성이 높았다. 세종에게 있어 선덕제의 하사품은 왕의 권위를 상징하면서도 명과의 외교 관계에서 실리를 취할 수 있는 현실적인 수단으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세종은 이러한 의도로 백자를 어기(御器)로 선택하였다. 세종이 백자를 어기로 채택한 후 백자에 대한 지배층의 인식은 변화되었다. 백자의 위상 또한 한층 강화되었다. 최고 권력자와 동일한 재질의 그릇을 소비하려는 욕구로 인해 백자의 수요는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1430년대부터 경질백자(硬質白磁)가 제작되었고, 1440년대는 비교적 뛰어난 품질의 백자가 생산될 수 있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increase in consumption of white porcelain based on the elevation of its status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period. Celadon was the most important type of porcelain from the late Goryeo to early Joseon era. In comparison, white porcelain, which registered lower qualities than celadon, failed to draw consumers' attention. In the 1410s and 1420s, celadon became increasingly more decorated, sometimes with patterns that covered the ware’s entire surface. White porcelain was usually produced in small volumes in areas storing white clay (白土). Moreover, its quality had not improved from the late Goryeo period. In the early Joseon era, the kingdom continuously strived to secure gold and silver to give as tributes (進貢) to the Ming Empire. To exempt itself from having to give away gold and silver (免貢), the Joseon kingdom stressed that these metals were not produced in Joseon. Fortunately, gold and silver were delisted, after which King Sejong had to reassure (宣傳) the Ming diplomats that his country was no longer consuming the material, even though the Joseon court continued their usage. At the same time, there was keen awareness of the need to find substitutes (代替財) for gold and silver ware as they were the topmost in the contemporary hierarchy (位階) of precious metals. Hence, a substitute had to be made of material of equal status as gold and silver or immediately below them. The King Sejong era saw an increase in imports of Chinese white porcelain, including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given by the Xuande Emperor (宣德帝) of Ming. Giv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and Ming dynasties, the gifts (頒賜品) from the Xuande Emperor were likely to symbolize the king's authority. To King Sejong, the gifts from the Xuande Emperor not only symbolized his authority but also served as a practical means to profit from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Ming. Thus King Sejong chose white porcelain as royal ware (御器). King Sejong’s choice of white porcelain as royal ware changed the ruling class's perception of it, boosting its status. Demand for white porcelain increased as people wanted w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used by the monarch. In line with these developments, hard white porcelain (硬質白磁) began to be produced in the 1430s, and eventually white porcelain of excellent quality was produced in the 144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