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The Efficacy and Safety of 4-n-butylresorcinol 0.1% Cream for the Treatment of Melasma: A Randomized Controlled Split-face Trial

        ( Sun Young Huh ),( Jung Won Shin ),( Jung Im Na ),( Chang Hun Huh ),( Sang Woong Youn ),( Kyoung Chan Park ) 대한피부과학회 2010 Annals of Dermatology Vol.22 No.1

        Background: Melasma is a common acquired symmetrical hypermelanosis that occurs on sun-exposed areas, and it is frequently observed among women.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have been tried, but none are completely satisfactory. 4-n-butylresorcinol, which is a resorcinol derivative that has an inhibitory effect on both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1, was introduced in 1995 and it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as a new hypopigmenting agent. However, the hypopigmenting effect of 4-n-butylresorcinol in human subjects has only been shown in a few studies.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pigmenting efficacy and safety of 4-n-butylresorcinol 0.1% cream for the treatment of melasma.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melasma were enrolled to this randomized, double-blind, vehicle-controlled, split-face comparative study. The patients were instructed to apply 4-n-butylresorcinol 0.1% cream or vehicle to each side of the face twice daily for 8 weeks. Mexameter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long with photography at baseline, 4 weeks and 8 weeks.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and recorded throughout the study. Results: All the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Mexameter measurements demonstrated that the melanin index of the treated sid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vehicle-treated side after 4 weeks (p=0.006) and after 8 weeks (p<0.0005). All the adverse reactions were mild and transient. Conclusion: 4-n-butylresorcinol 0.1% cream showed rapid efficacy and it was well tolerated when used for the treatment of melasma. (Ann Dermatol 22(1) 21∼25, 2010)

      • KCI등재후보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 분리 환자에서 황색포도알균의 내성

        김동욱,신선혜,김혜진,류선,이선희,장철훈,김영대,곽임수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1

        목적 :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로부터 S. aureus로의 vacomycin 내성 유전자의 전파는 오래전부터 예견되어져 왔으며 큰 걱정거리로 남아있다. 최근에 vanA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vancomycin-resistant S. aureus 2주가 미국에서 분리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VRE를 보균하고 있는 환자들에서 S. aureus 보균양상과 항균제 내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던 환자들 중 임상검체에서 VRE가 분리된 환자 7명과 2001년 9월부터 12월까지 외과 중 환자실에 입원하였던 환자들 중 VRE 감시배양을 시행하였던 2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전비공, 액와부, 회음부, 직장에서 매주 면봉으로 검체를 채취하였다. 선별배지에서 검체를 배양하여 S. aureus를 분리하였고 원판 확산법을 이용하여 methicillin 감수성을 측정하였다. Broth microdilution 법으로 vancomycin MIC를 측정하였다. 결과 : 총 27명에서 73회의 방문과 292회의 배양이 시행되었으며 총 67주의 S. aureus가 분리되었다. 이중 64주(95.5%)가 methicillin 내성이었다. 전비공 MRSA 보균율은 VRE를 보균하고 있었던 환자는 19명 중 11명(58%)에서, VRE를 보균하지 않았던 환자는 8명 중 3명(37.5%)으로 VRE 보균자에서 보균율이 더 높았다. 총 64주의 MRSA의 vancomycin MIC의 분포는 0.5-2㎍/mL였으며 2㎍/mL를 초과하는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64주 중 vancomycin MIC가 1㎍/mL인 균주가 54주(84.4%)로 가장 많았으며 2㎍/mL 6주(9.4%), 0.5㎍/mL 4주(6.3%)의 순이었다. 결론 : VRE 환자에서 S. aureus의 보균율은 비보균자 보다 높았으며 분리된 균주들은 대부분 MRSA였다. VRSA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Background : The transfer of vancomycin resistance from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to Staphylococcus aureus has been predi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antibiotics resistance of S. aureus among patients colonized with VRE. Methods : Between January 2001 and December 2001,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n 27 patients. Surveillance swabs from nasal cavity, axilla, perineum, and rectum were obtained at weekly intervals. Methicillin susceptability of S. aureus was determined by oxacillin disk diffusion test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for vancomycin by microdilution broth test. Results : Total of 292 swab cultures were performed and 67 S. aureus isolates were collected. 64 isolates (95.5%) were resistant to methicillin. The prevalence of nasal MRSA carrier in 19 patients colonized with VRE was higher than that in 8 patients not colonized with VRE (58% vs. 37.5%). In 64 MRSA isolates, MIC (㎍/mL) for vancomycin ranged from 0.5 to 2. No isolates with MIC >2 ㎍/mL were observed. MIC of 1 ㎍/mL was shown (observed) in 54 isolates, 2 ㎍/mL in 6 isolates, and 0.5 ㎍/mL in 4 isolates.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S. aureus with colonization of VRE is higher than that without colonization of VRE. Most of S. aureus isolates were resistant to methicillin. VRSA isolates were not observed.

      • 압전가속도센서의 온도영향 보상

        임종인,신병철,김선욱,백성기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1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사용한 압전세라믹스의 유전특성에 대한 온도의존성과 압전가속도 센서 특성과의 상관 관계를 기술하였다. 그러고 고온에서 사용가능한 압전가속도 센서를 설계하고, 정전용량의 NTC(Na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s)특성을 갖는 세라믹을 사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압전세라믹의 전기적특성을 안정화시킬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we descibed the influence of elevated temperature on dielectric properties of piezoelectric ceramics and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piezoceramics and piezoelectric accelerometers. And we also designd the piezoelectric accelerometer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A method of impedence stabilization is suggested, where the ceramics with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s is used to stabilize the electrical impedence of the piezoelectric accelerometers.

      • 表面活性化法에 의한 異種材料의 低溫接合에 관한 硏究

        임선빈,최병기,기준호,장만 朝鮮大學校 機械技術硏究所 1999 機械技術硏究 Vol.2 No.1

        본 논문은 서로 다른 재료를 표면활성화법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접합할 목적으로 이들 재료의 접합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들 접합계면에서의 접합 메카니즘을 검토할 목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7 Torr대의 진공도에서도 알루미늄은 알루미나, 질화 알루미늄, 질화규소, 지르코늄 등의 세라믹스와 양호한 접합이 가능하였다. 2) 알루미늄, 동, 은은 같은 금속끼리의 접합이 가능하였고, 또 알루미늄과 동의 이종재료의 접합도 가능하였다. 3) 실리콘은 알루미늄, 동, 은, 금 등과의 접합 실험결과 모든 금속과 접합이 가능하였다. In this paper considered it possible to bond different materials in low temperature using surface activated method. To do so, it was examined the possibility of bonding different materials and applied the bonding mechanism on the bonding surfac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1) It was possible that aluminum could be bonded well with ceramics such as alumina, nitrification aluminum, nitrification silicon, and zirconium at the vaccum level of 10-7 Torr. 2) It was possible that aluminum, copper, and copper could be bonded with each other and aluminum and copper could be bonded with other metals. 3) Silicon was bonded with aluminum, copper, silver, and gold which were tested before.

      • Ⅱ급1류 부정교합 치료시 제1소구치 발거가 골격치성요소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임선준,김상철 원광대학교 생체재료·매식연구소 1999 원광생체재료·매식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skeletodental factors in Class Ⅱ, division 1 malocclusion, following treatment with or without the extraction of four first premolars. one hundred and one treated cases were devided into four groups by sex and treatment type. Various skeletodental and facial factors in pre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and study model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Students'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facial height reduction in extraction group. 2. Extraction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in retraction of upper incisors and lips. 3. Lower incisors were titled lingually in extraction group, but labially in nonextraction group. 4. Maxillary space deficiency was resolved by lateral maxillary expansion in nonextraction group.

      • 運動으로서의 時調,그 畸形性(I) : 習性과 運動으로서의 時調(中)

        林仙默 단국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972 國文學論集 Vol.5-6 No.-

        1. 필자는 전교^(1)에서 <습성>의 시기에 이루어졌던 육당의 역할을 논의한바 있다. 육당이 시조르 ㄹ<우리에게 있어 진정한 것>으로 절실히 파악하고자 했던 자세는 「백팔변뇌」이후의 일이었다 하더라도, 그 시기, 버려진 문학의 일목을 지킴에 있어 외로운 길을 거의 전담했던 것은 사실이었고, 그것은 곧 다음에 운동의 시기를 가져오는 일을 다소나마 순조로이 할수 있었던 가교의 마련인 셈이기도 하였다. 습성기, 육당의 창작은 대개「청년」지 제12호(1918. 3)에서 보인 한샘 필명「매암이」(p. 60)무렵에서 일단락된다. 신문학도입기를 논의할 때 대두되는 잡다한 문제의 대부분을 일차적으로 육당에게서 구해보라는 제언이 가능할 수 있다면, 습성으로서의 시조도 육당의역할이 끝난 자리에서 종언을 고했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의 남은 역할이 운동의 시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