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호지킨 림프종의 임상적 고찰

        김태원,조은택,조기섭,정재용,허재봉,장영,박유환,정춘해 조선대학교 199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0 No.1

        A retrospective clinical and histologic study of 30 non-Hodgkin's lymphomas diagnosed at the Department of Hemato-oncology of the Chosun University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3 is presented. Among total 30 cases whose sexes were mentioned, male were 18 and female were 12 and the ratio is 1.5:1. The peak incidence of non-Hodgkin's lymphoma was found in the third decade. The case distributions by Working formulation were summarized in table 3. The most common histopathologic type of non-Hodgkin's lymphoma was the diffuse large cell type of intermediate grade. The presenting symptoms at the time of first visit to the hospital were summarized in table 4.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palpable mass. Lymph node enlargements were found in 87 %, and most frequently on cervical area(35%). The incidence of primary nodal lymphoma is more frequent than extranodal lymphoma, 1.2:1. The most common primary site of extranodal lymphoma is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the laboratory findings, the data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summarized in table 8, 9, Values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of female patients greater than those of male patients. The results of the immunophenotypings of nodal and extranodal lymphoma indicates that the B-cell lymphoma are predominant(B:T=1.4:1). The clinical stage was Ⅱ in 9 cases(30%) Ⅲ in 9 cases(30%), Ⅳ in 8 cases(26.7%), Ⅰin 4 cases(13.3%), 28 cases were treated with CHOP regimen. Among them, 17 cases(60.8%) achieved a complete remission. 5 cases had a partial response. The most frequent toxicities were toxic hepatitis.

      • 위장관 출혈을 일으킨 공장의 형활근종 1예

        김병수,장성종,부귀범,조운택,박찬국,김만우,변주남,김정용,전호종 조선대학교 2001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6 No.1

        Small bowel leiomyoma is a rare tumor which may occur wherever smooth muscle is present. The small bowel is the most common site and it makes up 20~30% of all benign small intestinal neoplasms. A spectrum of symptoms are common ranging from nausea, vomiting, abdominal pain, to massive intestinal bleeding. Bleeding is the most common symptom and is usually gross and recurrent. Occasionally it may be life threatening. But, the most serious problem is both the absence of specific clinical symptoms, and the difficulties shown in radiological diagnostics of the small bowel. If conventional diagnostic methods fail to reveal any positive findings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the diagnosis of intestinal leiomyoma should be suspected and an SMA angiography shoud be performed. The angiographic criteria of small bowel leiomyoma is very characteristic. We present a case of leiomyoma with considerable and prolonged gastrointestinal bleeding, which was diagnosed by angiography. A 61-year old woman was admitted with a history of melena over the last 10 days. An SMA angiography showed a hypervascular mass with a diameter of 3×3cm. A segmental resection was performed under the impression of the gastrointestinal bleeding due to leiomyoma of the small bowel.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lesion shows interlacing or whorl bundles of spindle shaped ces and no mitosis.

      • 제7차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장애관련 내용 보완자료

        김은숙,김수연,권택환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1

        장애학생이 일반학교에서 일반학생들과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교육과정적으로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이 모든 학생에게 반응적이어야 하며, 일반교사와 아동들의 장애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매일 학교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으로 수록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의 역할은 그 기능이 변화하긴 하였으나 아직도 가장 중요한 교육자료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교사와 학생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일반학생의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해 학년별, 교과별로 다양한 장애관련 내용을 담으려는 노력이 기울여 졌다. 그러므로 이 내용이 현장에서 당초 의도에 부합되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본래의 목적을 성취하는 데 충분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요구된다. 최근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는데 2003년도에 「유ㆍ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연구」를 시작으로 2004년도에는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연구」를 추진하였고 2005년도에는 지금까지 2년차에 걸쳐 분석된 결과를 종합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제7차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장애관련 내용 보완자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에, 2003년도부터 2005년도에 걸쳐 진행된 교과서 분석 연구를 해당 연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2003년도의「유ㆍ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분석으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12권과 초등학교 10 교과(생활의 길잡이, 사회과탐구, 실험관찰 포함) 교과서와 16개 시 도 우리들은 1학년 16권, 통합교과(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에서 장애와 관련된 내용을 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재 등으로 분석하여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 제시하였다. 2004년도의「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분석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 중에서 가장 장애관련 내용이 많은 국어, 사회, 도덕 교과를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총 52권의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재 등)내용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장애관련 용어는 별도로 정리하고 장애인 묘사를 통해 나타난 장애인관을 분석하였으며, 주제별 분석을 하였다. 2005년도「제7차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장애관련 내용 보완자료」연구에서는 2003년도부터 2004년도에 걸쳐 분석된 교과용 도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각 각의 내용을 수정ㆍ보완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자료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과제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교사를 중심으로 연구 협력진 9명을 구성하여 실제 교육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현장에 실제로 적용하여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현장성 있는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 중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교육활동 보완자료를 비롯하여 초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국어과, 사회과, 도덕과의 내용을 수정ㆍ보완한 자료를 개발하였고, 중학교의 도덕과, 사회과 및 고등학교 사회과를 중심으로 장애이해 교육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용 도서 내용 보완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제7차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유치원을 비롯한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교과용 도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상당히 많은 부분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또한 이러한 내용은 통합교육이 확산되어가는 현 시점에서 상당히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이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기존 교과용 도서 내용을 보완한 자료가 학교현장에서 적극 활용되어 어린이 시기부터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의 학생들에게 각 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함께 더불어 사는 통합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 장애이해 및 인식 교육에도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ays to improve school textbooks in order to promote disability understanding of all students. Revised and supplementary school textbooks which contains more positive and correct information on disability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all the textbook contents related to disabilities. This study looked at various methods of conveying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t also explores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disability published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2003 and 2004 which analyzed all contents related to disabilities within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7th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this paper intended to compile more suitable educational materials on disability for secondary school textbooks of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result of study we hope that school textbooks which represent different disabilities as realistic as possible will be developed and they will guide students to shape better understanding of disabilites. For this purpose a team of 9 researchers, including a few teachers, tried to develop reliable teaching materials regarding disabilities. As a result, the team developed materials modified from existing teaching materials used in kindergarten by teachers, and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ethics classe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in elementary school. A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middle school ethics and social studies classes has been developed. Therefore with applying the new school materials, we expect to see better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in our society. We hope that all children will gai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thus respect people with disabilities as equal members of the society regardless of disability category.

      • 통합학급 운영실태 분석 연구

        김은주,권택환,김정균,박현옥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12

        국가는 「특수교육」 종합발전 계획('03~'07)에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책무성 공유에 의한 모든 학생의 교육 성과 최대화"라는 추진 목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가 지향하는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통합학급을 중심으로 통합교육의 실행 전반을 점검한다는 데 그 의의를 두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통합학급의 운영 전반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통합교육과 관련된 제반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통합학급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 입안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통합학급의 일반적인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전집 조사, 즉 전국의 일반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 3,217개교에 있는 4,102개 통합학급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이루어줬다. 각 학교의 학교장, 통합학급 교사, 특수학급 교사, 통합학급 장애학생 학부모, 전국의 특수교육 전문직 등 총 13,911명을 통해 통합학급 운영 실태와 각 집단 별 의견을 조사ㆍ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에서 파악할 수 없는 세부적인 교육활동에 대한 실태는 학교급별로 표집된 학교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즉, 유치부 특수학급 2개교, 특수학급이 설치되지 않은 초등학교 5개교,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 4개교ㆍ중학교 3개교ㆍ고등학교 3개교 등 총 14개 표집학교를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한편 통합교육의 효과 인식 및 통합학급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지원 요구를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본원과 장애인먼저실천중앙협의회가 공동 주최한 통합캠프에 참가한 전국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 총 48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활용하였다. 통합학급 운영 실태 및 요구 분석을 위해 실시한 선행연구 탐색, 설문조사,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등 일련의 연구 방법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통합학급 운영 실태 설문조사 결과 분석 첫째, 설문조사 대상 기관 및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학급 설치교의 3분의 2 이상이 초등학교로, 학교급간에 통합학급의 수가 불균형적이므로 장애학생이 통합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특히 특수학급 교사의 담당 장애학생수가 많은 것으로 보아 고등학교 통합학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여실히 알 수 있었다. 통합된 장애학생의 장애유형별 비율이 학교급별로 균형적인 분포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초ㆍ중ㆍ고 교사들이 장애개념에 대해 다르게 이해하고 있거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심해지는 학습격차를 정신지체로만 인식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갖게 하였다. 대부분의 통합된 장애학생들이 초등학교 입학전 교육 경험이 있었으나 군ㆍ읍ㆍ면 지역의 장애학생은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가 3분의 1가량 되는 것으로 보아 장애영유아 특수교육에 대한 지역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학급 교사의 85%, 학교장의 55.5%, 특수교육 담당전문직의 27.2%가 특수교육 관련 연수를 이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장애학생 및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 증진과 지도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 혹은 연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특수학급 교사 중 특수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85%가량으로, 지역별로 볼 때 군ㆍ읍ㆍ면 지역과 학교급별로 볼 때 유치원의 특수학급 교사의 자격증 소지율이 약 70%로 낮아 자격을 갖춘 특수교사가 통합된 환경에 배치되어 특수교육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통합학급 운영과 관련된 행ㆍ재정적 지원실태에 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교육 운영 지침이 수립되어 있는 교육청은 66.3%였고, 장학지도시 지침 활용여부를 확인 하는 교육청은 68.3%였다. 통합교육 관련 장학시 아직도 특수학급 교사와만 협의하는 경우가 약 27%에 이르렀다. 특수교육 보조원의 역할로 장애학생의 '일상생활지원', '문제행동 관리'이 선정되었는데, 특히 교사집단의 30%정도는 '일상생활지원' 다음으로 '교수-학습활동 지원'을 해야 한다고 보아 통합학급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사들의 교수-학습 지원 요구가 매우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지원으로 월 5만원 수당지급과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가산점수의 2분 1수준이 적정하다는 의견이 각각 약 50%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혹은 통학학급 교사에 대한 지원 요구 모두 일반학생 수 경감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고, 그 다음 보조원 배치에 대한 지원을 요구했다. 위 두 가지 외에 통합학급 운영을 위해서는 재정지원, 특수교사 수 증가를 요구하였고, 통합학급 교사를 위해서는 통합교육 관련 연수, 사무 경감, 가산점 부여, 수당지급 순으로 요구하였다. 셋째,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장애인식개선 활동 실태에 대한 조사결과이다. 대상학교의 반수 정도만이 교직원 대상 특수교육 관련 교내연수를 실시하였고, 학교차원에서 일반 학부모를 대상으로 특수교육 관련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는 22% 정도, 통합학급 차원에서 학부모 대상 특수교육 관련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학급은 17.5%에 불과해 통합교육이나 장애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구체적인 이해 교육이나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 활동으로 학교장이 훈시하는 경우는 58.8%, 학급에서 실시하는 경우는 비교적 많은 80.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합학급 교사가 일반학생 대상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업무과다(38.3%), 지식부족(35.1%), 자료부족(17.1%) 등으로 나타나 장애이해교육 활성화로 통합교육 여건을 마련하려면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업무감축, 연수기회제공, 장애이해교육 자료제공 등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통합학급 운영 체계의 실태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학급 교사들은 73.2%가 학급을 배정 받은 후 장애학생을 확인하게 되었고 희망하여 배정 받은 교사는 16.7%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일반교사들은 대체로 자신의 의지보다는 학교의 상황이나 타인에 의해 장애학생을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일반교사들이 통합학급을 담당하기 전 연수 등을 통해 장애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준비를 하도록 해야 할 것이며, 보다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통합학급을 담당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행·재정적인 지원이 반드시 뒤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통합학급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통합학급 급당 인원수는 16명에서 25명 사이로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장애학생은 학교의 모든 행사에 통합되는 편이나(73.2%), 아직도 장애학생의 안전이 염려되어서(55.8%), 혹은 장애학생을 지도할 만한 여유가 없어서(27.9%) 등의 이유로 모든 행사에 통합하지 못하고 있었다. 장애학생은 아직도 주로 예ㆍ체능 교과 위주로 통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약 60%) 장애학생이 통합학급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수정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통합학급에서의 교수-학습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통합학급 교사들은 장애학생과 관련하여 일반 학부모로부터 상담을 의뢰 받는 사례는 약 27.6% 가량이며, 주로 장애학생이 자녀의 학습을 방해되기 때문(48.9%)에 상담을 하거나 장애학생과의 짝을 교체해 달라고(27.1%) 상담을 의뢰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실행 실태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된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계획을 수립하는 교사들은 주로 교과활등지도에 중점을 둔다면, 부모들은 자녀의 주요 교육목표를 주로 사회성 발달에 두고 있었는데, 장애학생의 IEP는 대부분 특수학급 교사가 작성하였고, IEP작성시 참여하는 부모는 반수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교육계획 수립 과정에 특수학급 교사의 부모를 비롯 다양한 관련인사 참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학급 교사들의 경우 입급 대상 장애학생에 대한 기초 정보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장애학생에 대한 정보 부족은 학생들의 현재 수행능력을 파악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의 부모 및 통합담당 교사간의 정기적 모임의 강화를 통해 장애학생들에게 최적의 교육적 지원이 제공될 수 있는 노력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장애학생들을 위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작성시 협력팀간의 관계가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학급 교사와 장애학생들에게 가장 유용한 서비스 제공자로 고려되는 특수교사와의 협력체제 또한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들에게 유용한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장애학생들의 인식 공유를 위한 서비스 제공자들의 모임 기회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으며, 장애학생들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필요 시 교사간 협력 교수의 제공은 물론 학생들의 성취도 파악에 있어서도 유용하고도 긍정적인 결과들이 산출될 수 있도록 교사간 신뢰 및 협력체제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 통합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장애학생들의 경우 교우관계 및 사회성 발달에 유익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일반학생들의 경우 장애이해에 대한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 학생들과 일반학생들 모두 교과 및 학습능력에 대한 기대는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학생들의 능력에 대한 제한적 기대의 결과에서 귀인된 것으로 추측되며, 이에 가능한 모든 활동 영역에서 장애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이 협력하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들을 보다 많이 제공해 줌으로서 장애학생의 능력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통합교육 운영시 방해 요인으로 특수교사와 학부모, 전문직은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부족을 꼽은 데 반해, 일반교사와 학교장의 경우 장애학생에 대한 지도 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료 및 시설 부족, 교사간 협력 부족, 행·재정적 지원 부족 또한 통합교육 운영을 저해할 수 있는 방해요인들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통합교육을 적절히 지원해 줄 수 있는 체제 구축의 미흡을 반영하고 있으며, 따라서 통합교육의 효율적 운영과 평가를 위한 초학제간 협력팀을 구축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들이 정책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효율적인 통합교육의 수행을 위한 지침안 마련과 교수 서비스 접근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곱째, 통합학급 운영 관련 부모 참여 및 가족 지원 실태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들의 경우 일반학급 입급시 장애학생들의 사회성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입급시 필요한 정보들은 주로 다른 장애학생의 부모나 특수교육관련 전문가나 특수학급 교사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교사나 관리자들도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관련하여 학부모들에게 전문적인 교육상담이 가능하도록 관련연수 및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작성과 부모들의 참여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큰 원인으로는 연락을 받지 못해서나 학교에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의 작성시 여전히 교사중심의 업무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와 가정간의 협력체제의 부족을 반증하는 것으로 학교는 자녀의 교육활동에 부모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통합된 장애학생의 부모들은 자녀가 교과활동의 어려움, 자녀의 문제행동, 친구로부터의 따돌림 등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았고 사회성에 대한 기대가 큼에도 불구하고 자녀가 일반 친구들로부터 언어적 인 놀림이나 따돌림을 받고 있다고 친구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학부모들의 37% 가량은 아직도 자녀의 통학을 위해 도움을 주어야 했고, 학급 좌석 배치나 화장실 등에 대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불만을 나타내고 있었다. 장애학생의 부모들은 자녀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지원을 필요로 하는데, 이에 대한 지원이 충분하게 이루질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2.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실시 결과 첫째, 유치부에 설치된 통합학급에서는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을 '자신보다 능력이 별 하기 때문에 늘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으로 어려서부터 적절한 이해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치부라는 특성상 보육도 중요하지만 장애아동의 능력과 특성에 적합한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통합된 환경에서도 특수교사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특수 교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의 통합학급에 대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결과, 통합학급 운영으로 장애아동의 사회적 적응, 교우관계의 형성, 학업성취도 향상 등을 기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교사간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질적인 서비스 제공을 하고, 통합학급 운영에 필요한 교계와 교구 및 시설이 충족될 수 있도록 행ㆍ재정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합학급 교사 선정과 장애아동의 배치, 협력교수에 대한 교사간 이견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통합학급을 담당하게 되는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통합학급 운영을 위해 급당인원수 감축, 보조원 배치, 연수기회 제공, 부모교육 실시, 자료 및 교제 제공 등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중학교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은 교과수업에 의미 있게 참여하지 못했고, 일반학생과 같이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무의미한 평가를 받아야 했다. 하지만 특수학급에서는 적극적으로 흥미 있게 참여하였고 사회적응 훈련을 받았으며, 다른 장애친구와 더 많은 상호작용을 나누었고, 통합 학급에서 일반학생과의 관계에서보다 더 편안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통합학급에서 학업성취 향상을 기대할 수 없지만, 생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었다고 인식되었다. 중학교 통합학급에게 직업교육의 기회를 늘려주고 고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기회를 확대시켜 줄 것을 요구하였다. 넷째, 고등학교 통합학급의 경우 학교가 실업계인지 인문계인지에 따라 통합학급의 운영 면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실업계인 경우 특수교육 대상학생이 아닌 정원 외로 입급 학생으로 인해 일반교사들이 특수학급 학생에 대해 좋은 인식을 갖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실업계 고등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은 대부분의 시간을 통합학급에서 보냈고, 졸업 후 성인생활 준비를 보다 면밀하게 할 수 있는 편이었다. 고등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은 초반에 일반학생과의 관계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를 이해하게 되고 나름대로 대처전략도 생겨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사안이 발생했을 때 책임소지문제로 교사간에 이견이 생기는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체계적인 교사간 협력방안이 필요하였다. 또한 중학교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평가 문제가 IEP 기록과 학생기록부로 이분화되어 있어 실질적인 평가 실시 및 기록이 필요하였다. 다섯째, 특수학급이 없는 통합학급에서는 '장애아동'을 장애아동이 아닌 그냥 '몸이 불편한 아동'으로 인식하고 오히려 순회특수교사가 오는 통합학급에서는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이 명백하다. 통합학급 교사는 장애아동에게 개별적인 교육적 조치를 취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지만 특수교육적 전문 지도가 부족하다는 것에 대해 자신 없어 한다.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장애아동이나 통합학급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전혀 없고, 체계적인 장애이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사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 혹은 '일반보다 못하다'는 식의 부정적인 경향이 있어 상대방의 전문성을 인정하는데서 출발하는 교사간 협력, 공동주인의식이 무엇보다 필요하였다. 일반아동과 장애아동과의 관계는 '수직적 보살핌과 의존관계', '수평적 배려와 소외의 관계'로 특징 지어진다. 일반교사들은 장애아동이 통합된 환경에서 일반아동과 평범한 생활을 하면서 수준에 맞는 교육을 받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생활 적응을 위해서 적극적인 의미를 지닌 '소극적인 방치'를 하였고, 학습을 위해서 특수학급과 같이 의미 있는 '적극적인 분리' 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특수학급이 없는 통합학급에서도 급당 인원수 조정, 업무 면제나 가산점 부여 등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혜택이 필요하고 특히 교사들간의 정보교환이나 인수인계 등의 제도화로 일관성 있고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하다고 보았다. 3. 제언 첫째, 통합학급이 물리적 통합 단계를 넘어서서 진정한 의미에서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학급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통합학급 내에서도 장애학생이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통합학급 교사가 장애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활동이나 특정 교과에 대해서만 통합하려고 하는 인식을 버리고 모든 교육활동에 장애학생이 통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통합학급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지원 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등 교사집단도 통합교육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교과ㆍ학업능력 향상에 덜 효과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고, 일부 일반학생의 학부모들은 장애학생으로 인해 자녀의 학습이 방해 받는다고 여기고 있다. 통합학급에 장애학생을 배치하는 것이 장애학생의 사회성이나 일상생활 능력 향상, 일반학생의 인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만 인식되고 있다. 단순히 통합 배치나 통합 보육 차원에서 생활 적응이나 사회성 발달의 도모하는 것 이상으로 장애학생에게 적합한 학습 프로그램이 통합학급에 제공되어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교과 학습 면에서도 효과적일 수 있음이 입증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통합학급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 보급이 매우 시급하다고 하겠다. 통합된 교육환경에서도 전문적인 특수교육 지원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직업교육, 치료교육 등 장애학생의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적인 특수교육적 서비스를 통합된 교육환경에서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할 것이다. 둘째, 통합학급 운영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통합학급 교사는 물론 학교 관리자, 일반학생과 일반학생의 학부모, 학교 직원, 심지어 장애학생 학부모에 이르기까지 각 대상 별로 적절한 교육 혹은 연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자격을 갖춘 교사에게 통합학급을 담당하게 하거나 모든 교사가 장애학생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든 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겠지만, 아직 우리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통합학급 교사와 장애학생의 학부모처럼 장애학생 지도 등 특수교육 관련 교육이 필요하기도 하고, 대상에 따라서는 장애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이해교육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특수교육 관련 지식 혹은 장애이해교육 등 같은 내용의 교육이나 연수가 필요하더라도 부모, 중ㆍ고등학생, 관리자 등 그 대상에 따라 접근 방식이나 교육 내용의 범위, 활용 자료 등에서 차별화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수교육 관련 연수, 장애학생 지도 관련 부모교육, 장애이해교육 등 대상 별 교육 및 연수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적절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하며, 각각의 교육 및 연수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자료도 충분히 지원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통합학급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교사와 학부모간 협력이 우선되어야 하고, 그를 위해 무엇보다도 기본적인 정보 및 의견을 교류할 수 있는 의사소통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통합된 장애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 교사와 학부모간에 장애학생의 장애 유형이나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이견으로 인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장애학생이 나타내는 학습부진을 정신지체와 같은 지적 인 장애에서 기인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어 장애유형간 불균형적인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통합학급 교사나 학부모가 장애학생의 IEP 자체를 모르거나 IEP 작성시 연락을 받지 못해서 참여하지 못하는 사례도 상당 수 있는 것으로 보아 통합학급에 있는 장애학생을 위한 모든 교육활동에 부모가 참여하고 협력하여 교육을 계획ㆍ실행ㆍ평가해 나갈 수 있는 체계가 시급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장애 학생을 담당하는 교사들간에도 비공식적인 차원에서 사안이 발생했을 때 위주로 협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이 공동 책임 하에 실행될 수 있도록 공식적인 의사소통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장애학생이 통합학급에서 학습활동에 참여하고 교실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일반학생들도 통합교육을 통해 긍정전인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수교육 보조원의 통합학급 배치를 전국적으로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모든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통합학급 당 학생 수가 감축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치는 특수학급 미 설치교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별 통합학급의 수가 균형을 이루어 전 학령기에서 통합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통합학급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가 공동주인의식을 갖고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에 대한 교육을 책임지려고 하는 공동의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통합교육의 확산으로 통합학급에 입급 되는 장애학생 수가 늘고 있고, 통합학급 교사가 장애학생을 지도해야 하는 시간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통합학급 교사가 장애학생에 대한 지도를 부담으로만 느끼지 않고 책무성을 갖고 보다 적극적으로 지도에 임할 수 있도록 통합학급 교사 개개인에 대한 우대책이 여러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선택 가산점이 적용되고는 있지만, 지역마다 일관되게 적용되고 있지 못하다. 학교 업무 축소, 급담 인원수 감축과 함께 일정액의 수당지급을 새롭게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여덟째, 통합학급이 있는 일반학교의 물리적인 환경이 장애학생의 통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도 장애학생의 부모들이 화장실과 같이 매우 기초적인 시설 설비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일반학교 내 장애학생 관련 편의시설이 실제 활용 측면에서 제대로 갖추어졌는지에 대한 실태가 면밀하게 이루어져 물리적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 part of the research on the statu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In the 'analytical research on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that was took in 2002, most 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room in our country were analyzed. Over the years, attention to the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continued to grow. Therefore, in 2003 we have analyzed and investigated in the priority of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Specially, our country aimed to enlarge the outcome of education for all students through joint responsibility of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hat was a project of comprehensive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To realize this project's aim, the meaning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overall condition of special education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raw up a improvement plan that lead to successive inclusion through to investigate the overall management and execution of inclusive classroom and to collect opinions of many professionals in inclusive education, To realize these purpose we first reviewed many preceding empirical researches and theoretical literatures that relevant to inclusive education. Secondly we surveyed with questionnaire the general managem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and collected variety view of professionals. Beside, we executed deep interview wi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preschool,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actual participating observation in inclusive setting. Specially, we surveyed entire general school that exist special classroom, that was 4,793 preschool, elementall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there 19,556 inclusive classroom. Through the above-mentioned methods, this research consists of following contents. : Chapter1 titled introduction present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 and substance of this research, and the methods of it. Chapter2, theoretical background, explains the conceptual apprecia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inclusive education, factors of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Chapter3 analyses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status of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classifying into seven territories as follows : the general status related inclusive classroom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inclusive classrooms,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for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the system of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the status of teaching in inclusive classrooms, the recognition of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s,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or families. Chapter 4 presents the results of the participating observations and depth interviews dividing into five domains like inclusive classrooms of preschools,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high schools which have special classrooms, and inclusive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s which don't have special classrooms. Chapter 5 presents the results of interviews carried out in the inclusive camp, and finally, chapter 6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gives some propositions for improvement of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 유·초등학교 교과용도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 Focusing on the Views of Disability

        권택환,김수연,박은영,이유훈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2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행은 특수교육뿐 만 아니라 교육 전반의 당면과제이자 목표이다. 장애학생이 일반학교에서 일반아동들과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교육과정적으로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이 모든 학생에게 반응적이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일반교육의 재구조화가 촉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일반교사와 아동들의 장애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의 개선은 필수 전제조건으로 지적되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인식 개선은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겠으나, 학생들이 매일의 학교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과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간과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문제이다. 시대적으로 교과서의 역할과 기능은 변화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는 변함없이 교사와 학생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는 현 교육정책 속에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특히 일반학생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하여 학년별, 교과별로 다양한 장애관련 내용을 담으려는 노력이 역력하므로 적합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나, 아직까지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으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12권 과 초등학교 10개 교과(생활의 길잡이, 사회과 탐구, 실험 관찰 포함)의 교과서, 16개 시ㆍ도 우리들은 1학년 16권, 통합교과(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에서 장애와 관련된 내용(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계 등)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 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통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먼저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내용을 읽으면서 관련 주제어를 기록하였다. 각자 주제어를 기록한 뒤 연구자 협의를 통해 공통으로 기록한 주제어를 추출하고, 다르게 기록한 주제어는 합의를 거쳐 최종 분석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주제어는 다음 6가지이다 (1)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2) 장애 체험 활동, (3) 장애인 묘사, (4) 직접적 정보 제공 및 접촉, (5)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 (6) 장애 관련 인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용어와 삽화, 그리고 6가지 주제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용어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그 중에는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용어도 있었다(예, 장애 인형, 장애 그림, 정상인, 지체부자유자). 이에 반해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는 직접적인 장애를 지칭하는 용어는 제시되어 있지 않고, 2학년부터 장애인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체육교과의 '장애물'과 실험관찰의 '앉은뱅이 저울'과 같이 교과교육 전문가와 함께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해 용어 수정을 협의해야 할 필요성도 지적되었다. 둘째, 장애관련 삽화는 지체부자유와 시각장애인이 가장 많이 묘사되어 있었으며, 이들을 도와주는 방식은 주로 휠체어 밀기, 가방 들어 주기였다. 장애아동이 또래들과 수업 및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삽화가 증가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인들은 주로 장애로 인해 불편한 '처지'에 놓인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일반인들은 이들의 어려움을 이해하여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장애인의 불편함을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된 주요한 방법은 장애체험 활동이었다. 그리고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사회복지 측면에서, 그러고 공정성의 확보 측면에서 장애인에게 제공되어야 할 중요한 지원의 하나인 것으로 명시되어 있었다. 장애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의 외모, 국적, 능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수용하고 존중해야 함을 담고 있는 내용도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재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교육이 확산되어 가는 현 시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르지 않은 용어와 삽화, 그리고 지문의 내용은 교과서 개정 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초등학교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장애이해 교육이 보다 효과적이며,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세한 지도 방법이 '교사용 지도서' 에 안내되어야 할 것이다.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an urgent task not only for special education but also education in general. As is often suggested, teachers'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rucial for this task. Particularly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way the textbooks depict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yet to be done about this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We employ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as our research method. 12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10 different subject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the 16 first-grade textbooks of 16 cities and states (they have the same title, 'We are first-graders," but their contents differ), and the contents of subject-integrated texts concerning disabilit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grades and subjects. We devise six frameworks of analysis and analysis indicators are as follows: (1)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2) the simulation of disabilities (3) the description of disabilities (4) providing direct information on disabilities and direct contact with disabilities (5)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6)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ummary of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appear most frequently in instructional materials of kindergarten, and there are some words that need to be changed (e.g. a normal person and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t is also pointed out that word change would be considered in consultation with specific textbook specialists to foster positive perceptions about disabilities (e.g. "hindrance" in the textbook of physical education and "a crippled scale" in the textbook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Second,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and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appear predominantly in the illustrations depicting disabilities, and the major activities to aid these children are wheelchair-pulling and backpack-carrying. To increase illustrations that portra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room activities as well as various non-classroom activities interacting with their peer children is required. Third, in the textbooks people with disability are mainly depicted as being put in an uncomfortable "situation," and as those who need help from others. In addition, they suggest the simulative experience of disability as the major way to understand the uncomfortable situation of disability. They also propose that the expansion of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main support for disabilities. We can find in these textbooks that although they do not refer to disability directly, there are many contents that encourage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the difference of countenance, nationality, ability, and gender). In conclusion, we find out that curren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con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y. We regard this as very encouraging.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our study will help to choose more proper words, illustrations, and content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which help teachers to teach appropriate contents in a more effective and perceptive way in the classroom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국내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지원요구

        권택환,박현옥,김은주 국립특수교육원 2008 특수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국내 통합학급 운영 실태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지원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 결과 부모들은 일반학급 입급 시 장애학생들의 사회성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한 정보들은 주로 다른 장애학생의 부모나 특수교육관련 전문가 및 특수학급 교사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 프로그램의 작성에 부모 참여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학교생활에 관련하여서는 교과활동의 어려움, 문제행동, 친구들로부터의 따돌림 등으로 인해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사회성에 대한 기대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녀가 일반 친구들로부터 언어적 놀림이나 따돌림을 받고 있는 것이 교우관계의 어려움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추후 통합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arent's perception and demand on the inclusive classroom. We surveyed nationwide parents who have student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inclusive classroom. The survey showed that, for the most, the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be socialized, And, they depended mostly on other parents, special classroom teacher and other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field for information on school adjustment, school work of their children. Also, the parents' participation on IEP meeting were very low. For their children's difficulty in school, the parents were quite aware of problem behavior, low achievement on general curriculum, and maliciously alienating fellow classmates. The verbal ridicule or alienation from classmate worked as an obstruction in making friends within the classroom. Ta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and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classroom.

      • 피부 병변을 동반한 악성조직구증 1예

        조은택,박용관,김진호,강정원,천영욱,전익섭,박유환,전춘해 조선대학교 199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0 No.1

        Malignant histiocytosis, originally described in 1939 as histiocytic medullary reticulosis by Scott and Robb-Smith, is a rare histiocytic proliferative disorder that often shows an acute onset and used to progress to death within a few months. This disorder characterized clinically by fever, generalized weakness, lymphadenopathy and hepatosplenomegaly, and shows a variable range of pancytopenia. Extranodal involvement is common, with an incidence ranging from 50% to as high as 90%, skin involves8ment was noted in 10% to 15%. Typical skin lesions were mainly founded in extremity. i.e. erythematous papule and nodule occasionally become to necrosis and ulceration. We experienced one case of malignant histiocytosis in a 46-years-old female. The major clinical findings are fever, malaise, hepatosplenomegaly and erythematous skin lesion. In the laboratory study, pancytopenia is noted on the peripheral blood. And also aggregation of many atypical histiocytes were shown on skin and bone marrow biopsy. So we reported one related case with malignant histiocytosis as well as reviewing literature .

      •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장애관련 내용분석 : Focusing on the Views of Disability

        우이구,김수연,권택환,박은영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4

        제 7차 교육과정은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여, 교과용 도서에서도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않게 수록되어 있다. 장애관련 내용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내용이 어떠한 관점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학생들의 장애이해교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2003년 유ㆍ초등학교 교과용 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연구의 후속연구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의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등교육에서의 장애학생 통합교육은 초등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도 매우 부족하고 질적인 면에서도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사양성 교육에서도 중등교사는 특수교육 관련 과목을 제대로 이수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어릴 수록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청소년은 초등 학생에 비해 개인의 능력이나 외모의 차이에 더욱 민감한 시기이다. 또한 중등교육의 목표 중에 대학 입학 준비가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장애학생 통합 및 개인의 다양성 수용을 강조하는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든 조건이다. 따라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매일의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를 통해 장애이해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분석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장애관련 내용이 많은 국어, 사회, 도덕 교과목을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으로 총 52권의 교과서에서 장애 관련 내용(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계 등)내용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장애관련 용어는 별도로 정리하고 장애인 묘사를 통해 드러난 장애인관을 분석하였으며, 주제별 분석을 하였다. 주제별 분석을 하기 위해 공통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두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내용을 읽으면서 관련 주제어를 기록하고 연구자 협의를 통해 공통으로 기록한 주제어를 추출한 다음, 다르게 기록한 주제어는 합의를 거쳐 최종 분석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1) 장애체험활동, 2) 장애관련 인물, 3)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4)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 장애인 묘사는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1) 봉사활동의 대상으로서의 장애인, 2) 장애인을 돕는 장애인, 3) 장애인 본인의 목소리, 4) 문학작품 속에 그려진 장애인, 5) 장애인과 비장애인과의 관계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용어와 삽화, 장애인 묘사, 그리고 4가지 주제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용어는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용어가 있었다. (예, 장애자, 벙어리, 귀머거리, 장애 기사) 국어교과서에는 현대에는 사용하면 안되는 장애관련 용어가 문학작품이라는 이유로 빈번하게 언급되었다. 이는 교과서의 각주와 교사용지도서에 별도의 안내가 보강되어야 하겠다. 둘째, 장애관련 삽화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또한 중등교과서는 그 내용이 심화되고 분량이 많으므로 장애 관련 내용이 직접 언급되기보다 삽화와 삽화설명을 통해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본문의 내용에 적합하지 않은 삽화는 수정되어야 하며, 장애인 수용시설의 사진은 좀더 신중하게 선정되어야 하겠다. 미국의 사회 교과서와 비교하였을 때 삽화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미국의 사회 교과서에도 휠체어 탄 장애인이 많이 등장하였는데, 다른 사람이 휠체어를 밀어주는 모습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장애인 묘사에서 드러난 장애인관을 살펴보면, 장애인 개인 또는 집단의 목소리를 통해 주체적인 모습을 느낄 수 있는 내용도 있기는 하였으나, 많은 내용은 일반인의 봉사나 도움의 수혜자로서 그려지고 있었다. 성공한 장애인이라 할지라도 장애는 극복의 대상이며, 초인간적인 영웅의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넷째, 공동체 사회의 구현과 정의로운 복지사회의 실현을 위해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현대 사회의 다양한 집단의 권리 존중의 측면에서 장애인의 권리가 보호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사회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각 출판사마다 장애관련 내용의 비중과 수준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음이 드러나 장애 관련 내용에 대한 표준 지침이 마련되어야 함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와 마찬가지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도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통합교육이 확산되어가는 현 시점에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르지 않은 용어와 삽화, 그리고 지문의 내용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장애이해 교육이 좀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세한 지도방법과, 교과용 도서 출판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condary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We employ content analysis as our research method, 3 different subject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according to grades and subjects. We devise five framework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description of disabilities (2) the simulation of disabilities (3) accommodative devices and facilities (4)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5) people with disabilities. To summarize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words that need to be changed (e.g. cripple, handicapped person). Secon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ppear predominantly in the illustrations depicting disabilities. For the most part, they receive help from others. To increase illustrations that portray perso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inclusive community is required. Third, they suggest the simulative experience of disability as the major way to understand the uncomfortable situation of disability. They also propose that the expansion of accommodative devices and facilit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main support for disabilities. In conclusion, we find out that curren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econdary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con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y. We regard this as very encouraging.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our study will help to choose more proper words, illustrations, and content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that help teachers to teach appropriate contents in a more effective and perceptive way in the classrooms of second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 위장관의 원발성 B 세포 악성 림프종의 재분류와 bcl-2, cyclin D1, bcl-6 및 p53 발현의 의미

        서정균,김태원,김병수,조은택,박찬국,김만우,이미자,전호종 조선대학교 2001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6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 In recent years, the REAL (Revised European American Lymphoma) classification provided a new category of MALT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and mantle cell lymphoma in B cell lymphomas. We have analyzed the expression of bcl-2, cyclin D1, bcl-6 and p53 and correlated with the subtypes and histologic grade of primary gastrointestinal B cell lymphoma. Also we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immunophenotypic features in diagnosis of low grade B cell lymphoma.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two cases of primary gastrointestinal B cell lymphoma were recategorized in low grade MALT lymphoma, low/high grade MALT lymphoma, high grade MALT lymphoma, and diffuse large cell lymphoma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findings.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bcl-2, cyclin D1, bcl-6 and p53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Results : The bcl-2 protein expression was higher in the low grade MALT lymphoma than in the high grade lymphoma. The cyclin D1 protein expression was negative in all cases. The expression of bcl-6 and p53 protein was negative in all low grade MALT lymphoma.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we can differentiate the low grade lymphoma from the high grade lymphoma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bcl-2, bcl-6, and p53 protien.

      • 세 학교의 통합교육 운영 사례

        강경숙,권택환,김수연,김은주 국립특수교육원 2000 통합교육 시범학교 운영사례집 Vol.2000 No.-

        통합교육은 특수교육의 중요한 철학이자 목표일뿐만 아니라 교육현장에서, 매일의 수업 및 생활장면에서 장애아동이 일반학급의 한 구성원으로 또래와 함께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하는 노력의 과정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통합교육의 이론이나 모형 개발, 혹은 구체적인 교수방법에 대해서 적지 않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교육의 실제를 통해 성공과 실패 요인들을 분석해내는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진 외국의 사례나 이론에 맞추어서 바람직한 통합교육의 모습을 알리고 실행방법을 보급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우리 나라 상황에서 실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교육 현장의 실제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반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매일의 수업과 생활장면에서 통합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사례를 확산시키고,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례에 대해서는 그 이유와 원인을 분석하여 제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의 공립초등학교 2개교와 경기도의 공립초등학교 1개교로 모두 세 학교의 통합교육 사례를 연구하였다. 한 명의 장애아동을 중심으로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을 오가면서 세 명의 연구자가 수업을 참여관찰하고 교사 및 아동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관찰 기간은 2000년 4월 10일부터 9월 9일까지로 일주일에 1회, 총 12회 이상 방문하였다. 연구대상 학교의 모든 일반교사와 일반아동, 일반아동의 학부모, 장애아동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깊이 있는 면담을 실시할 수는 없었으므로 통합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종 서류와 문서들을 내용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참여관찰 및 면담, 설문분석과 내용분석을 통해 세 학교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자간 협의를 거쳐 다음의 네 가지 영역으로 연구 결과를 분석 기술하였다: (1) 통합환경에서의 교육과정 운영; (2) 통합환경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3) 통합교육을 위한 부모 및 가족 지원과 협력관계; (4) 행정적인 지원 및 지역사회의 연계를 비롯한 여건 조성.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환경에서의 교육과정 운영 면을 살펴보면, 특수학급에서는 특수학급 고유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 중에는 기능적인 교육과정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특수학급에서의 수업뿐만 아니라 일반학급에서의 수업을 지원하는 것에 대해 특수교사, 일반교사, 부모 모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제로 시행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부분적이나마 장애아동이 일반학급에서 받는 수업을 지원하기 위해 크고 작은 시도를 하고 있었는데, 세 학교 모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문제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아동이 일반학급에서 받는 수업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도적인 지원들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둘째, 통합환경에서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면을 살펴보면, 통합교육이 비교적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세 학교 모두 장애아동이 일반학급에서 긍정적으로 수용되고 있었으며,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장애아동의 사회적인 통합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었다. 다만 장애아동을 도와주는 친구들은 많이 있으나 동등한 위치의 친구라기보다는 도우미, 혹은 또래 교사로서 도와주는 방법에 더 익숙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장애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교사의 지원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들이 제시되었다. 셋째, 부모 및 가족과의 협력관계를 보면, 장애아동의 부모는 통합교육을 간절히 원하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자녀를 통합장면에 배치시키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마음의 고충을 많이 겪고 있었다. 장애아동의 부모는 우선적으로 일반아동들과 일반교사들의 장애아동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하였으며, 일반아동의 부모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기를 원하였다. 장애아동의 부모가 자녀의 통합교육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경우에는 부모들간의 모임을 통해 실패의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교사와 협력하여 통합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넷째, 행정적 지원 및 전반적인 여건 조성 면에서는 세 학교 중에서 비교적 효율적인 통합교육의 실행에 필요한 행정적인 지원이 제도화되어 있는 한 학교를 중심으로 방법이 설명되었다. 통합교육이 교사 혼자의 의지와 노력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행정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특히 학교장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제기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통합교육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특수 교사와 일반교사의 긴밀한 협력관계가 특히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세 학교 모두 특수교사나 일반교사가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많은 노력과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기는 하나, 수업 참여를 위한 교수방법이나 또래 교수 혹은 우정을 형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프로그램에 대한 자원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다양한 지원체계가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Inclusion is not only the main philosophy and purpose of special education but also the process of supporting ful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very aspect of daily and school life. As the number of special classes increased rapidly in late 80s, inclusion became a central topic in research and practice. In late 90s, the discussion was developed into the application of more concrete strategies for successful inclusion.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also began to draw attention.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about the facilitating factors and impeding factors of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existing practices of inclusive education conducted in real school settin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is really going on in the classes and schools wher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included. Rather than aiming to disseminate the desirable aspects of inclusive education in developed countr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urrent practices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address the facilitators of inclusion based on exemplary cases, and make suggestions to remove impeding factors. Two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one public elementary school in Kyunggi-do are the main sites of the study. Over a period of time between April 10th and September 9th, the three researchers observed a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each site both in his or her self-contained and integrated settings. For the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s visited the sites once a week, at least 12 times for each school. Since it was unrealistic to interview all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and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three schoo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ocuments gathered to examine overall state of managing inclusive education. Findings are organized into four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 survey, and document reviews: (a) curriculum management in inclusive settings; (b) social interactions in inclusive settings; (c) collaboration with or supports from parents and families; and (d) administrative support and connection with communities as a foundation of inclusion. First, regarding curriculum management, the study found that special education classes had unique curricula of their own which included functional curriculum.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study expressed their needs for supports both in self-contained and integrated educational settings. The special and general teachers in the study made their own efforts to facilitate inclusion, but they indicated that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not easy. The supports at the system level to promote the quality of education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e in inclusive settings are also discussed. Second, regarding social interactions,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ccepted positively in inclusive settings. Both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ough it was partly because the three sites for the study were the schools where inclusive education had been administered quite a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tudy found that man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accustomed to helping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a helper or a peer-tutor, rather than as a true friend. In this section, implications for teachers are provided regarding how to facilitate peer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ird, regarding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families, the study found that the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eagerly wanted their children to be included in the general classes and experienced emotional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rying to make the inclusion work. The paren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acceptance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had been the biggest issue in inclusive education. The parents also expressed their desire to establish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Especially, those paren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inclusion supported othe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sharing information, concerns, and experiences through parent group meetings. Fourth, in terms of administrative supports and overall foundations for inclusion, findings are described based on the one school where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supports was exemplary. Since successful inclusion cannot be achieved by the willingness and efforts of a single teacher, the roles of principals were emphasized. Though there would be so many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inclusive education, the study found that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the most essential factor. These stakeholders should work in partnership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information exchange, and mutual supports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that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in inclusive settings. Though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aliz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in the three schools, there was a need for (a) more information regarding instructional strategies, peer tutoring methods, and facilitation of friendships, and (b) resources to develop programs in these area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more comprehensive systems of support should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