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품 중 카드뮴의 위해성평가

        이효민,임철주,윤은경,김종욱,최시내,김효미,한지연,김부영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쳐근의 선진외국에서 수행되고 있는 식품중 오염물질의 관리경향을 살펴보면 위험성확인, 노출평가,용량-반응평가, 위해도결정 등의 4단계로 진행되는 위해성평가 (risk assessment)를 통해 그 안전여부를 판단하고 있고, 노출집단의 식품섭취패턴을 고려한 위해성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굴에서는 식품섭취를 통한 카드뭄의 1일노출수준을 파악하고 독성자료를 이용하여 현 노출의 안전여부를 판단코자 하였으며, 식품섭취량을 고려한 식품군별 카드윰의 인체노출기여도를 고려하므로 위해성평가결과에 근거찬 관리패안을 제시코자 하였다. 평가에 고려된 식품꼬염도자료는 친종의 식품을 대상으로 수집된 오염도자료(식품의약품안전청, 국링 수의과학검역원, 국립수산연구소, 1992-1998)를 Meta 분석」동일 목적으로 수행된 독립적 연구결과들을 종합 ·분석하여 대표값을 유도하는 방법)을 통해 얻어진 가중평균 값을 활용하였다. 인체노출평가를 위해 평가대상인구집단을, 우리나라 평균성인으로 하여, 60kg (한국표준과학연구원,1998.1 성인으로 하였으며, 개별식품의 평균오염도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1일인체노출량을 모두 합산하여 정량화하는 만성노출평가와 단일식품의 최대오염도값을 이용하여 1일인체노출수준을 정량화하는 단기 노출평가를 수행하였다. 인체노출평가에 ·.초려된 식품소비량자료는 최근에 보고된바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보고서 (보건 복지븐, 2000)의 연령별 (20-64세) 최고값 (단기노출)과 펼균값 (만섣노출)을 활용하였다. 용량-반응평가에 쓰여진 카드윰의 독성값들은 만성위해성평가를 위하여 FAOJWHO, U.S.FDA,U.S.EPA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신장독성을 toxicologlcal endpoint로 하는 1일 허욥노출수준인 TDI(Tolerable Daily Intakr), RfD (Reference Dose)를 고려하였으며, 단기위해성평가를 웠해서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생식 · 발생독성에 근거한 단기독성자료를 선별하여 구해진 NOAEL 값에 불확실성 계수 100(10 ;from animal to human, 10 , human variabaity)을 고려하므로 단기1일허용노출수준 (Permissible Intake Level, PU)을 구하였다. 노출평가결과와 용량-반응평가결과를 종합하는 위해도결정단계에서는 1일인체노출량을 1일허용노출 수준으로 나누어주므로 러험지수 (퍼azard Index, Hl)를 구하였고, Hl가 1이상일 경우 식품을 통한 카드윰노출로 인하여 유해떵향발생이 기대된다고 판단하며 Hl가 1이하일 경우는 유해영향발쟁이 기대륵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위해성평가결과에 근거한 관리대안끼시를 위하여 식품섭취를 통한 카드윰1일인체노출량이 만성1일허용노출수준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이론하에 식봄섭취패펀(식품군별 소비량, 카드윰의 인체노출기여도)과 체중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인체노출평가를 통해 구해진 급성노출펑가에서의 식품군별 노출량범위는 곡류(8.Br10-9_1.)4H )0-"mg/Btg/day), 과일류(6.1·7H10~s_1.46 H 10-in)g/kg/day), 두류(1.53×10-7_3.47×10-6mg/1tg/day), 서류(7.45 H 10-6_8.4×10-smg/kg/day), 어 패류(1.i8×107 _ 1.27x tO-imgAgJday), 윽류(1.07 f 10-3_1.33x10-"n19fg/day), 채소류(ri.23r10-7_1.28×10-img/lfg/day)먼으며, 모든 식품의 평균 인체노출량을 합산한 만성인체노출량은 2.09r10-4mgfg/day 였다. 용량-반응평가메서 산출된 신장독성에 근거하 만성1일허용노출수준은 TDI 0.Oo079ing/kg/day, RfD 0.001mg/)tg/daf였으며, 생식 ·발생독성에 근거한 단기1일허용노출수준은 PIL 0.O071mg/kg/daylf)와 0.03smg/h9/dayis)로 산출되었다. 식품섭취를 통한 카드윰의 만성로출에 대한 위해도결정을 위하여 만성인체뇨출량 2.09×10-4D9/k9/0ay를 가장 엄격한 만성1일허용노출수준인 TDI 0.Oo079rrlg/kg/day으로 나누어수므로 구한 Hl는 0,26으로써 본 평가에 고려된 로출상황에서는 유허영향발생(신장독성)이 기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졌고, 단기 노출에 대한 위해도결정을 인해서는 단일식품의 단기인체노출량 6.17×10-8_1.33×10-4m8/1t9/day을 가장 엄격한 단기1일허용노출수준인 0.0071in9/k9/0ay로 나누어주므로 53종 식품에 대한 Hl범위가 8.5 x10-s_1.gx10-2로 산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모체의 식품섭취를 통한 단기 카드윰노출로 인해 태아의 생식 ·발생독성이 기대뵉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위해성평가에 고려된 총식품량은 176g/4ay로서 성인1일총식품섭취량 ll18g/day(모건복지부,1999)의 약 70%에 해당하는 란으로 본 평가에 고려되지 않은 기타 식품섭취로 인한 카드윰노출과 대기. 토양을 통한 노출을 고려한다면 인체노출량은 다소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관리대안제시를 위해 구해진 식품군별 인체노출기여도 순위는 곡류(40.2%), 채소류(19.8%), 육류 (18.1%), 어패류(8.3%) 순이었고, 식품을 통글 1일 인체노출량이 만성1일허용노출수준인 RfD를 초과하지 말하야 한다는 이론을 배결으로 산출된 식품군별 관러대안은 곡류 0.068ppm, 채소류 0.036ppm, 육류 0.148ppm, 어패류 0.066pp1n 퐁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위해성평가자료에 근거하여 식품섭취패턴을 고려하므로 노출비중을 구분힐여 관리해야 한다는 기초자료로서 비용-편익분석, 사회 ·경제적 영향 등을 파악후 쓰여져야 할 것이다. The lerel of individual dietary cadntum varies upon the national food consLrnption pattern and the cadnllum levels in foods. This study aimed to quantify the humandietary cadudvm intake in order to assess the whether the current dietary cadntium exposure issafe and to provide 3nanaging information based on results of the risk assessment.In order to quantify the dietary cadmium make, data were obtained from both the caduiumlevels in foods and consumption data for 53 foods, fhich were selected as foods mostcdrnBontf censumed by the general Korean. The survey data from the Korea food and DrugAdministration and r#rlated agencies were co31ected between 1992 and 1998. The tolerable dailyintake (TDI, U.S.EPA, 1993), which Itidney toricity as toxicologicaB endpoint of cadmium wasapplied, was used for chronic risk assessment and the permissible intake level(PIL) forshort-term risk assersment was calcufated by dividing NOAEL based on reproductive toxicity(Ali et al., 1986) by the uncertaint)· factor of 100 (from animal to human 10, humanvariabilitf'10). The chronic mean intake of daily dietary cadmium, which the general Koreanadult group with 60kg was regarded as the target population and the adult mean in the Reporton National Hea?f? and Nutrition Survey (1999) was used as consumption data for theindividual foods, "tfas estimated to be 2.09×10-a m9/k9/day. The dietary cadmium intake aschronic mean was compared to the TDI of 0.Oo079 mgag/day, from which the hagard index bythe cadmium of 0.26 was produced. If the dietary cadmium exposure was considered along withthe contributions frorri other sources such as ambient air and soil, the hazard index bIT thecadnlium would be higher. The short-term intake of daily dietary cadmium, which was based on single commodityronsumption and maxiuum reported residue level, was estimated between 6.17×10-smg/ltg/dayand 1.33×10-4mg/1tg/day. The aetary cadmium intake as short-term intake was compared tothe PU of 0.0071 mg/kg/day, from Ivhich the haEard indek between 8.7×10-6_1.gx10-2 wasProduced. This study also suggested strategies to manage the hazar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total daily cadrrlium inta.to should be controlled below the TDI. For applying this information, acost-benefit analysis, an analysis of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and other related studieswill be implemented in a future study

      • 식품중 잔류농약 1일 섭취량 조사연구(Ⅱ)

        원경풍,황인균,최동미,이강봉,오금순,서정혁,박성수,최영미,진영선,서동원,이은경,최수미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우리 국민이 일상의 식사를 통해 실제로 접취하는 농약의 양을 파악하기 위해 농약의 1일 섭취량 조사를 실시하였다. 패상식품은 국민건강 영양조사('98)를 글거로 농산물 및 육류, 어패류, 가공식픔 등 국민 다소비식풍 18개군 110종을 선정하여 전국 4개 도시(서울, 부샨, 대전, 광주1에서 구입하였으며 각각의 식품을 통상적인 방법에 파라 조리하여 동일식품별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농약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대상농약은 동시분석이 가능한 120종의 농약을 선택하여 BB-5 및 DB-17 c'apillary column을 이용, GC/ECD 및 GCJNPD로 분석한 후 CC/btSD로 확인하였다. 분꼭켤과 채소류 3건(오이, 토마토,껏잎) 및 과실류 1건(참외)에서 procymidone이 각각 0.073m9/kg, 0.03m9/kg, 1.149m9/kg, 0-065m9/ 검출되었으며, 그 꼭의 식품군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proc)rmidone의 1일 추정 섭취량 (EDI : Estimated Dail)· Intake)은 2.82#g/person/dat·이었으며, ADI와 비교하였을 패 0.05ff 이하로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만다 한편 비지방성 식품(쌀, 사과) 및 지방성 식픔(식용유)에 대한 븐석대상 농약들의 회수율은 70~120% 범위호 비교적 양호하였다. In order to estimate the intake of pesticide residues through food that is prepared to eat, Total Diet Study(TDS) was carried. The food Itst for the TDS was establishedthrough a nationwide food consumption survey('98) conducted by bfinistry of Health f: Welfare.Meats and their p~ffu(:Is, seafood fishes, processed foods as we31 as agricultural products vi'erepurchased at the grocery stores at 4 large cities(Seoul, Busan, Gwangju and Daejon) in Korea.The collected sampBes from 4 cities were treated in a similar cooking method that Ivas used a)honle and mixed into one sample. For this study, 120 pesticides con?monly anal?Fzed wereselected and the muBticlass multiresidue analIFsis methods for nonfatt? foods or fatt? foods deleanal!7zed bIF GC/ECD and NFD with DB-S and DB-17 capillary column and confirmed b!'eC/LISD. As a resu.It, procymidone fFas detected in three of vegetables and one offriuts(cucumber, tomato, perilla leaf and Korean melon) )t·ith 0.073re'k9, 0.030n1a/kg, 1.149m9/kgand 0.06ima#'kg. respectivelIT. These values were corresponded to 2.8f#8/person/da? of It)eestimated dail? intake(TDI). Comparing u·ith acceptable dailt'intake(.tDl). EDI w3s bolo)u0.oj% of .tDf. Recoveries o( IfO pesticides foFtifled In rice, apple and so?bean oil Ivere rangedfrom TO to 120%.

      • 미량영양성분 분석법 개선을 위한 연구(Ⅰ) : 식품중의 비타민 B_(6),엽산의 HPLC 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determining vitamin B_(6) and folic acid in foods

        김대병,박혜경,박건상,구용의,장재희,최윤주,이혜영,박상욱,엄세정,김보영,권우정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식품총전상 미생물학적 분석법으로 분석하게 되어 있는 식품중 비타민 Bs 와 엽산의 HPLC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비타민 B6 강화식품에서 비타민 B6의 추출은 초음파로 하있고, 형괄검출기(Ex290nrv7m 396run)를 이용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회수율은 86%~102%이었으며, 검출한계는 씨료에 관계없이 0.25pprn이었고, 측정값은 12건의 시료에서 모두 표시값보다 높았다. 비타민 B6의 핀PLC 분석법은 여러 가지 식품과 농도에서 모두 적용할 수 있었다. 엽산 강화식품에서 엽산은 끓는 물에 방치한 후 초음파로 추출하였고, UV 검출기(280nm, 350nm)를 이용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회수율은 35%~94%이었으며, 측정값은 la건의 새료에서 모두 표시값 보다 높았다. 그.러나 엾산의 농도가 높은 시료는 분석이 잘 되지만 엽산의 농도가 낮은 시료는 분석이 잘 되지 않아, 식품 중 엽산의 분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퍼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f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evelop HPLC method for determining vitamin B6 and folic acid in fortif;ed foods oThich are deteremined b)T rnlcrobiological assa)· inkorean food code. Vitamin Bs(P)·rldoxine) rTas determined b)· reversed-phase HPLC using?uorescence dectector (EK 290nn1/396nm) after extraction by sonication without clean-upprocedure. Recoveries of vitamin Bs were 86~ 102% and detection limits were 0.?sppm in all 12samples. The vitamin B6 contents measured b!· HPLC methof were more 1.fan those of labelclaim in all samples. HPLC method for determining vitamin B6 in this study is available invarious fortified foods with various vitamin B6 level.Fotic acid(pteroylmonoglutamic acid) f·as determined bE· reversed-phase ion-pair HPLC usingUV absolution(280nm, 3sonmf after extraction bt· boiling and sonication. Folic acid in fortifiedfoods Ivas well determiHed in high level, but uras not well determined in low level in thisstud)'. So more studie.3 on HPLC method for determining folic acid are required.

      • 재조합 인터페론 알파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손여원,신원,정자영,최영주,정지원,오일웅,진재호,박선영,박태성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재조합 인터페론 알파의 역가시험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국내제조 5개사,수입 1개사 및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참여하여 공동연구를 실시하였다. 공동연구 참여사의 역가시험법의 상대적인 감도와 상용표준품의 활성을 비교 ·보정하기 위하여 공통의 인터페론 알파 시험물질에 대하여 5회 이상의 독립적인 시험들 실시하고 시험결과의 정확도, 정밀포 및 재현성을 비교하였다.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모든 참여사는 자사 제품의 품질관리에 적용되고 있는 역가시험법과 더불어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공한 참조씨험법을 함께 시험하였고 시험결과를 자사의 계산법과 동시에 평행선분석법으로 각각 계산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시험의 정밀도와 재현성은 각 참여사의 자사 뵉가시험법과 평행선분석법을 적용하였을 째 보다 우수하게 나타났고 대부븐의 참여사에서 1표시역가의 80%~l%', 신뢰구간 '표시울가의 64%~l56%' 내에 분포하여 상대적인 감도가 고르면서 정확포가 높았다. 또한 각 참여사의 자사 결과계산법과 평행선분석법 간의 차이를 't-Test'로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모든 찹여사의 두 가지 시험법과 분석법으로부터 얻은 평균값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모든 참여사의 인터페론 역가시헌이 '표준화'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평행선분석법 및 신뢰구간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specific activiw of recombinant interferons made by different manufacturers can vary and bioassay systems which are utilized to determine the biological potency ofinterferon may he affected by a number of factors, such as ceIB lines, viruses and the statisticalanalysis of the assay. Tllerefore the bioassay of interferon, like as other biological products, isessentially comparative and thus requires a fHxed reference standard and standardized assayconditions. A collaborative study was performed for standardization of interferon bloassay. Sixlaboratories of interferon Danufacturers and KFD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laboratories measured the potency of'the same inteferon samples'by their own routinemethods and the reference method which was offered by KFBA. The results were analysed byboth ways using their own data analysis methods and the usual statistical methods for aparallel line assay The relatiue sensitivities of each assay system and the potency of eachworking standard of the participants were compared by assessing the assay performance svchas accuracy, precision and reproducibility. The results showed best pr·ecision and reproducibiBitywhen the potency was measured by the manufacturer's routine methods and calculated byparallel line analysis. Tte estimated potency was from 80% to 125% and the confidence limitwas from 64% to 156% of the stated potency in most laboratofes, which showed goodaccuracy. Differences in data analysis between the manufacturer's routine analytical method andthe Parallel line assay were not significant by't-Test'and differences in all results fromroutine assay and reference assay also were not significant by'analysis of valiance'. Based onthe results of the collaboriltive study, all participants were'standardized'in the interferonbioassay and we may consider the change of the data analysis of Inteferon potency to thestatistical method for a parallel line assay.

      • 항생물질의 표준품에 관한 연구(Ⅲ) : 세파졸린과 세포페라존디하이드레이트의 표준품 제조 The preparation of cefazolin and cefoperazone dihydrate reference standards

        강찬순,김인규,박승희,장정윤,최선옥,이경희,이지현,김동현 식품의약품안전청 1997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1 No.-

        세파졸린』세포페라존디하이드레이트의 식품의약품안전청표준품(KFDA reference sadard)을 제조하 고자 하였다. 이 물질들을 가지고 fT-lR, DSC, NMR, TLC, UV를 통하여 확인 및 동정을 하였고, 역가시험으로 액체크로마토그라프법 , 미생물학적방벗을 시행하여 비교 검토하였고, TLC, HPLC를 이용한 순도시험과 기타 규격새험과 잔류용매 시험을 실시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 표준품을제조하고 그 규격을 확립하였다. Cefazolin aild cefoperazone dihydrate materials were tested for the preparation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 Reference Standards. We purchased the candidate materials and the materials were identified as cefazolin and cefoperazone dihydrate materials by FT-IR, DSC, NMR, TLC and UV. We determined their potencies by HPLC and microbiological method and compared results of the two methods. Purity tests were performed by HPLC and TLC. We looked into water contenL, heavy metals and residual solvents, also.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we made KFDA specification. Materials were authorized as the cefazolin and cefoperazone dihydrate KFBA Reference Standards for the further distribution.

      • 의약품 표준품 규격제정 및 제조 : 향균·항생물질의약품의 표준품 제조사업 The preparation of reference standard of antibacterial antibiotics drug

        장정윤,장성재,이송득,박승희,정혜윤,민충식,이경희,이정은,우미희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황산네틸마이신, 토브라마이신, 오플즉사신, 리팜피신, 황산폴리믹신B의 대한약전 및 식품의약품안전청표준품(KFD.f, reference)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 물질들을 가지고 FT-lR, TLC, UV를 통하여 확인 및 동정을 하였고, 역가시험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 미생물학적방법을 시행하여 검토하였고, TLC, HPLC를 디용한 순도시헐과 기타 규격시험을 실시하여 대한약전 및 식품의약품안전청 표준풍을 제조하고 그 규격을 확립하였다. Netilmycin sulfate, tobramycin sulfate, ofloxacin, rifampicin, polymixin B sulfate were tested for the preparation of Korea Pharmacopoeia(KP) and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 Reference Standards. We purchased the candidate materials and the materials were identified as netilmycin sulfate, tobramycin sulfate, ofloxacin, rifampicin, polymixin B sulfate by FT-IR, TLC and UV. We determined their potencies by HPLC and microbiological method and compared results of two methods. Purity tests were performed by HPLC and TLC. We looked into water content, pH also.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we made KFDA specification. Materials were authorized as the netilmycin sulfate, tobramycin sulfate, ofloxacin, rifampicin, polymixin B sulfate KFDA Reference Standard for the further distribution.

      • 한국식품성분에 관한 연구 : 지방산 함량 측정(Ⅱ) Determination of fatty acid contents(Ⅱ)

        이달수,권혁희,김소희,김인복,권오란,이혜영,장재희,최종택,김동술,윤인숙,박지영,강주희 식품의약품안전청 1997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1 No.-

        본 연구는 식품의 종류에 따른 인공감미료(아스파탐, 삭카린나트릅)의 소비실태 파악하고 국내의 식이를 통해 실제섭처되는 인공감미료의 총 섭쒸량을 조사하여 Ffto/w됐0에서 설정한 일일섭취허용량(ADI)과 비교검토함으로서 인공감미료에 대한 ADI관련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인공감미료의 실제 섭취량과 현행 사용기준사이의 안전수준평가 및 사용기준에 환련된 국가정책반됨 자료로 활용하고rl수행하였파. 이에 똔 연국에서는 시증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중 시리얼, 껌, 캔디류, 다류, 주퓨, 쥬스, 탄산음료, 아이스크림, 발효유의 총 9종 239품목(아스파탐) 및 쥬스, 탄신음료, 어묵, 잣갈류의 총 4종 115품목(삭카린나트륨)을 래상으로 시료를 수짐한 후 분석대상식품별로 함량을 측정하고 국띤영양조사잔료에 근거하여 진제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HPLC에 의해 분석한 결과 아스파탐 분석데상식품의 회수율은 91.97~97,04%으로 매우 양호하였으며 대살식품 239품목중 22품목이 검출되었고, 검출된 대상식품별 평균농도 41.6~3308.OPpm으로 나타났다. 삭카린나트륨 분석대상식품의 회수율은 88.39~91.48%로 양호한 결과를 얻얼으며 대상식품 115품목중 6품목이 검출되었고, 검출된 대상식품별 편균농도는 8.3~41.appm의 범위였다. 국민영양조 사표의 식품별 1인 1일당섭취쟈과 평균검출농도를 곱한 일일추정섭취량(EDT)을 산출하였을 매 아스파탐은 2.334ing으로 ADI(0"40mg/kg b.w.fday을 국민평균체중 S5kg으로 환산하였을 래의 0~2200mg)와 배교하였을 때 파우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삭카린나트륨도 0.259rng으로 ADI(e~Smg/kg b.w./day을 국민평균체중 55kg으로 환산하였을 때의 0"275ing)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가공식품을 통한 조사대상 인공감미료꿀 아스파탐과 삭카린나트륨의 한국인 일일섭취량은 FAO/WHO에서 정가된 일일섭취허용량(ADT)의 1% 미만이므로 대상식품을 통한 첨가물 썹취는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The types and quantity of fatty acids are very important fot the public health due to their different functions on the bod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ardiovascular disease. Thus, it's necessary to establish fatty acid database, by which we can estimate more accurately nutritional ststus of the people. The fatty acid database, however, is lacking in Korea. Therefore, we determined fatty acid contents and the composition of 50 species in Korean common foods in 1996, and continued to do those of 60 species in 1997.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Grains, fungi, seeds nuts and pulses had much more n-6 fatty acids than any other fatty acids and the important n-6 fatty acid was linoleic acid. In contrast, vegetables and seafoods were high in n-3 fatty acids, and linolenic acid was the major fatty acid in case of leaff vegetables, on the other hand,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raenoic acid were the major fatty acids in case of seafoods. Meats had high saturated fatty acids in comparison with other food groups. Monounsaturated fatty acid was relativety high in seeds · nuts and meats. The results will be basic data on several nutritional studies, education and policy to improve the public health and to prevent them from disease.

      • 식품중 잔류농약 1일 섭취량 조사연구(Ⅰ)

        원경풍,황인균,박건상,최동미,최윤주,이강봉,서정혁,허수정,최영내,최영미,심유신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본 연구는 국민이 식사를 통하여 식품에 잔류하는 농약을 어느 정도 섭취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Darket basket 방식'fT 따라 농약의 1일 섭취량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식품은 국민건강·영양조사 ('98) 자료를 기초로 한 농산물 이외 육류, 가공식품 등 국민 다소비식품 18개군 110종을 전국 4개 도시에서 구입하였다. 조리가 필요한 식품에 대해서는 통상의 방법에 준하여 조리하고 동일식품별로 균일하게 몬합한 후 농약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대상농약은 국내외쩍으로 괌범위하게 사용되고 동시분석 가능한 100종의 농약을 선택하였다. 각 농약의 분석은 식품공전의 잔류농약 시험법 등에 따라 분석하고 GCAfSD로 할인하였다. 분석결과 18개 식품군중 채소류 및 곡류에서 ethoprophos와 chlorpyrifos-methyl이 각각 0-151과 0,077m9/ 긷출되었다. 검출된 ethoprophos와 chloTyrifos-methyl의 1일 추정 섭취량(EDI : Estimated D쏘Iy Intake)은 0.54와 0.64r노person/day이었으며, 이들 농악의 1인 1일 섭취허용량과 비교하였을 때 각각 2.47과 0.01% 수준으로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In order to estimate the intake of pesticide residues through food that is read? to eat, Total Diet Studt·(TBS) was carried. The food list for the TDS Ivas established throughthe nationwide food consumption survey('98) conducted b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featsand meat products. Dr·3cessed foods as we13 as arricultural eroducts were nurcha,)ff a# #Hrgrocerl'stores af 4 large cities(Seoul, Busan, Gwangju, Daejon) in Korea. The collected samples from 4 cities were treate(t in a similar cooking rrlethod that was used at home and mixed intoene sample. For thls stLldy, 100 pesticides corrunonly used were selected ard samples werefollowed by multiclass multiresidues anall·sis methods for nonfatty foods or fatty foods.Ethoprophos and chlofyrifos-nlethyl were detected in 1 of cereals and 1 of vegetables with0.151 and 0.077mg/kg and these vaBues were corresponded to 0.54 and 0-64#a/person/day of theestimfted daill· intake(Ef)I) values. Compared with acceptable daily intake(ADf), EDI valueswere 2.47 and 0.01% of trle respective ADI.

      • 곡류 중 아플라톡신 B1의 위해성평가

        이효민,윤은경,최윤호,이근영,조연숙,임철주,김종욱,양지선,양기화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Aflatoxins은 fspergijfus fovur,4.forofj'cus,4.uonlius의 B차 대사산물로써, 유전독성을 지닌 강력한 발암물질로 알려지고 있으며, 간장, 신장,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독성을 지니고있다. Aflatoxin은 열에 대한 저항성o'S 매우 커서 일반적인 열처리에 의해서 쉽게 파괴되지 않고, 식품섭친패턴이나 기후언1 따라 인체노출량이 상이하여 나라별 1일인체노출량이 3.5-Tln토Ag/day 정도인 것으로 보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flatoxin중 가장 대표적인 Bl을 대상으로 한 위해성평가방땁론 연구를 통해 국내 곡류중 aflatoxin Bl 오염도자료와 식품섭취 패턴을 고려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고 우리나라 국민들의 식품섭취와 관.된 aflatoxin 위해정도를 고려핫으로 그 관리대안을 제시코자 하였다. Aflatoxin의 인체노출평가를 위하여 우리나라 일반성인들을 대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보고서에 제시된 식품소비량자료와 국내에써 조사된 바 있는 곡류, 두류, 견과류의 식붐오염도자료(1989-2000)를 활총하였다. 식품오염도자료는 결과의 대표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bootstrap방법을 활용하여 정확도 검정을 실시함으로 얻어진 평근값을 활용하였다. 위해도결정에 쓰여진 a(latoxin 31의 발암력은 Yeh 등 t1989)이 제안한 자료로 B형간염비보균자의 경우 9(mg/kg/day)-'. B형간염보균자의 경우 230(mgAg/daH)-'을 사응하였다. 계산죈=ftatoxin Bl의 총인체노출량은 6.05×10-img/kg/'day였고, 인체노출량에 발암력을 고려하므로 계산된추골나라 일반성인에게 aflatoxin Bl식이노출로 나타날 수 있는 간암발생확률은 B형간암fT보균자의 경우차 보균f·『의 경우 각각 5.45×10-"와 1.39r10-'로 산출되었다. 머린이나 노약자, 그궈고 B형간염보균자 등을 포함한 민감그룹과 aflatorin B2, Cl, G2 등의 동시노출을 고려한다딴 식픔섭취를 통한 a긴atoxiri의 인체위해수준은 더 커질것으로 예측된다. 실제로 B형간염보균자의 경우, 식이섭취를 통한 만성 a친atoxin Bl 노출로 인해 간암이 발생할 확률이 비보균자에 비해 26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철저한 씩이 관리가 필요하다. 일반성인(B형간염비보군자)의 경우, aflatoxin 31곡 대글 관리목표치를 십만명당 1명으로 할 경우 인체노출수준은 1.Ix10-srng/kg/day 이하로 조절되어야하고, 우리나라 일반성인의 1일 곡류, 두류, 견과류 섭취량 393.46g./da!·(보건복지부, 1999)과 체중(60kg)을 고려하고, 조리시 감소콘는 오염수준, aflatoxin에 오염된 식픔을 동시에 섭취할 가능성의 배제, 현실적 인 분석기술 수준의 미흡, 그리고 현기준과 비교된 비용-편익적인 면엔서의 문제점을 고려한다만, 곡류, 두류, 견과류 등을 포함한 식품들의 aflatorin Bl 최대오염수준은 0.2ppb이하로 조정되어야 할 것을 제아할 수 있다 Aflatoxins are unaviodable contaminats of corn, peanuts, rice, barley, soybean and other agricultural products that are stored under warm and humid conditions for sometime. The prominent aflatoxins found on food is aflatoxin B1, Which has most potent toxicological and carcinogenic properties of the aflatoxins. The range of human daily intake has been reported as 3.5-77ng/kg/day from various countries and human daily intake was mainly affected by food consumption pattern and climate of each other count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excess cancer risk on aflatoxin B1 induced by domestic cereals ingestion and to suggest regulatory option on aflatoxin B1 for management based on acceptable risk value. For the quantification of human exposure dose to general adult, aflatoxin pollution data in foods were collected(1989-2000)and more accurate mean±data were obtained by bootstrapping, using the S-plus^()(Mathsoft) and also, daily food consumption data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ort(Min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and body weight(60kg, Korea Reserch institute of Standard and Science, 1997) were regarede. The used cancer potency of aflatoxin B1 was 9(mg/kg/day)^(-1) for individuals negative for hepatitis B and 230(mg/kg/day)^(-1) for individuals positive for hepatitis B suggested from epidemiological study by Yeh et al(1989). Estimated human exposure dose of aflatoxin B1 by cereals ingestion were 5.89×10^(-7)mg/kg/day and excess cancer risk value to liver cancer incidence were 5.30×10^(-6) for individuals negative for hepatitis B and 1.4×10^(-4) for individuals positive for hepatitis B. Individuals positive for hepatitis B revealed 26 fold higher excess liver cancer risk than individuals negative and therefore, they should be managed having special consideration. And, if the excess cancer risk for aflatoxins B1 is 10^(-5) as managing goal, human exposure level should be controlled as below 1.1×10^(-6)mg/kg/day. Thus, this study has suggested regulatory option as below 0.2ppb for aflatoxin B1 in cereals, legumes. and nuts.

      • 식이를 통한 농약섭취량에 관한 연구 : 두류, 서류, 견과류, 종실류, 채소류, 과실류 및 그 가공품에 대하여 legumes,potatoes,nuts,seeds,vegetables,fruits and their products

        원경풍,홍무기,최동미,오창환,박건상,최윤주,안장혁,황인균,정지윤,정선미,박일경,이정복,장선영,홍주연,최영내 식품의약품안전청 1998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2 No.-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을 수세 , 탈피, 가열 등으로 섭취직전의 상태로 조리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식품 섭처를 통한 농약의 1일 춘정 섭취량(EDI : estimated daily intake)을 파악하고 이를 농약의 1일섭취허용량(ADI : acceptabte daily intake) 및 이론적 최대섭취량(TffDt : theoretical maxiraum daily in늘he)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국민이 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 농약의 양에 대한 안전성을 평71하였다. 보편성있는 식품수거를 위채 수거대상 지역은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대도시인 서울, 부산, 대구』 인천 , 대전, 광주, 수원, 전주, 마산과 춘천의 10곳을 선정하였다. 대상식품으로는 두류 및 가공품 11종, 서류 및 가공품 3종.견과류 및 가공품 8종, 기호식물류 1종, 종실류 2총, 과실류 및 가공품 20종, 채소류 21종의 총 50종of었다. 분석대상농약은 동시다셩분 분석채 가능한 농약으로 HPD대상농약 11종 및 ECD대상농약 48종으로 총 59졸이었다. 1995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수행되어 온 본 딴구는 큼년이 4차년도였으며,종전보다 대상식품 및 대상농약을 크게 늘리고 시료 전처리에 있어석 자동화된 고상추출 정제법을 사용하여 시료 처리속도를 창상시켰다. 분쇄된 시료들은 acetonitrile로 추출한 후 정제하여 GC/BCD 및 GC/HPD로 분석하고 검출된 성분들은 GC/MSD로 재확인차였다. 분석 결과 총 660 식품중 9식품(딸기, 복숭아, 풋고추, 고춧가루, 파, 피망, 상추, 시금치 , 깻잎 )에서 4종의 농약(procymidone, EPN, endosulfan, chlorpyrifos)이 검출피었으며, 이들 식품 십취를 통한 농약의 추정 섭취량()801)은 0.01 ~ 1.28rg/person/day 수준으로 극히 미팡이었다. 대상농약중에서 가장 많이 섭취되고 있는 농약은 on(losulfan으로 그 EDI를 ADI와 ㅂ1교한 결과 0.39%에 불과 하였으며, 이론적 최대섭취량(TMDI)과 비교한 결과도 0.49%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식품을 섭치할 경우 분석대상 농약으로 인한 안전성에는 문제가 얼는 것으로 려가되었다. In order to rstimate the intake of pesticide residues through foods which is prepared ready to eat, total diet study(TDS) was carried. The foods(legumes, potatees, nuts, seeds, fruits, vegeta-bles a8d their products) were purchased at the retail stores in 10 large cities of Korea, respectively. Thecollected 660 samples(66 foods x10 regions) were pr,etreated in a manBer similar to that used at home(washing, trimming, peeling. boiling and etc ) and followed Uy the automated solid phase extraction.Frem the extracted samples, total 59 pesticides were determined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withECD, NPD and MSD. The levels of pesticide residues were resulted in not detected or orders of magni-tude lower than maximum residve limits for most of samples. However, in 9 samples(strawberrf, peach,green pepper, red pepper powder, scallion, bell pepper, lettuce korean, spinach, wild sesame leaf),4 pesti-cides(procymidone, chlorpyrifos, endosulfan, EPN) were detected with the estimated daily intake(EDE)values of fftl ~l.28rg/person/day. These EBI values were corresponded to <0.01 ~ 1.82% of ADT(for55kg person) and <0.01 ~O.49% of TMD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