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실행 분석: 특수학교의 '통합교육'을 향한 시도

        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4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implementation of link programs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in Korea: Special schools' 'inclusive education' attempts 본 연구는 분리교육 환경인 특수학교의 통합을 향한 노력의 맥락에서 시작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전국 실태를 조사하여 현재 초보적 시행에 있는 연계 프로그램의 쟁점들을 판별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국내에서의 첫 번째 전국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 개발, 실행, 평가, 및 지원 전반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여, 이 연계 프로그램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개발과 실행에서의 쟁점들을 판별하여 종합하고,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1차적으로 조사하고 그의 대상학교인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2차적으로 조사하여, 양 학교간의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구체적 자료 및 양 학교의 관점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한 학교들은 전국적으로 특수학교가 66개교, 일반학교가 47개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첫째, 연계 프로그램 실시의 기본정보; 둘째,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과 개발; 셋째, 연계 프로그램의 실행; 넷째,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와 지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의 다양한 측면에서 양 학교가 다른 관점을 보였으나, 연계 프로그램의 향상과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의 지적은 공유된 시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일반학교의 통합교육 내실화에 주로 정책적 배려 및 연구적 관심이 집중된 한국적 특수교육 상황에서 특수학교의 통합을 향한 연계 프로그램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초보적 시행의 묘사적 자료들을 처음으로 제공하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활성화 지원책과 미래 발전 방향성을 탐색하였다는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주제어> 통합교육, 특수학교 변화, 연계 프로그램, 통합 프로그램

      • KCI등재

        전국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분석: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대한 함의

        박승희,김지수,이성아,양여경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대학교 法學 Vol.6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law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and to generate some suggestions for law school educat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y Questionnaire(K-ATTID) developed by Kim & Park(2018) was used to measure the multidimentional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of 541 students randomly selected from eleven law schools nationwide.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 36 items of K-ATTID by 5 point likert scale(5: very true to 1: not at all). The higher the score on the items of K-ATTID, the more positive was th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The mean of 541 students’ multidementional attitudes was 3.53,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not positive but medium level of attitudes. The respondent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persons with severe ID compared to persons with mild ID. The respondents’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gender, degree of inclusive classes in their earlier schooling, lengths of volunteer works, and number of acquaintance with ID were related with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hat examines the law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and brings out the issue that enhancing lawy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is critical for providing high-quality legal services for persons with ID. This study can promote the need for reexamination of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law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nurture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law school students and lawyers and to provide high quality legal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예비 법조인인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및 3가지(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하위태도의 수준과 양상 및 배경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를 국내에서 최초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진은 예비 법조인과 법조인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위해 태도의 중요성 문제를 제기하며 긍정적 태도 육성에 관심과 교육 기회 증진을 촉구하며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전국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조사」라는 무기명 질문지이며, 태도 척도는 2018년에 김유경과 박승희가 타당화한 도구인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ATTID)」이다. 전국 로스쿨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11개 로스쿨에서 표집된 총 541명 예비 법조인의 응답 자료가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및 추리통계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전국 11개 로스쿨의 541명 예비 법조인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의 평균은 5점 라이커트 척도에서 3.53으로 3점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3가지 하위태도 수준은 인지적, 행동적, 정의적 태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적장애인의 지적기능성 수준에 따른 태도 차이는 경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중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배경변인 중 성별, 장애학생과의 통합수업 경험, 장애인 대상 봉사활동 기간, 알고 있는 지적장애인의 수가 예비 법조인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국 로스쿨 운영 10년 차를 맞은 현시점에서 본 연구 결과가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지니는 함의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등록제도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의 인식 및 활용실태 분석

        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2

        This is a first nationwide research which survey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use of the system of disability registration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s and perceptions on the regulations of disability registra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disability registration of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ir special classes; use of the disability registr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implementation; and problems and improvement needs of the system of disability regulations from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The survey responses were compared by two group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es in regular schools and the others in segregated special schools. The respondents were 192 teachers from special schools and 104 from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n regular schools, who were stratified sampled based on the locations and levels of teaching(primary, junior high, and senior high). The results were discussed on practices, uses, problems and suggested improvements of the disability registration.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as an original study in Korea investigating perspectives, practices and applications of the disability registration regulations to the special eudcation field from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본 연구는 장애인등록제도에 대한 전국 특수교육교사의 인식과 활용에 대해 그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첫 번째의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등록제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담당학생들의 장애인등록 현황은 어떠하며, 특수교육 실제에서 장애인등록제도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고, 어떠한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장애인등록제도가 특수교육분야와 관련되어서는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전체 의견과 이 두 집단의 차이를 질문지 연구조사법으로 조사하여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국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를 지역과 학교과정별(초등, 중등부, 고등부)로 층화표집하여, 총 296명의 자료(특수학교 192명, 특수학급 104명)가 분석되었다. 특수교육교사의 장애인등록제도에 대한 정확한 지식 부족, 담당학생의 장애인등록의 적절성 문제, 담당학생의 장애인등록 활용 실태의 문제,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장애인등록제도의 문제와 개선방안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등록제도가 특수교육분야와 접목한 부문에 대해 특수교육교사가 지각한 장애인등록제도의 현행 쟁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제언을 처음으로 제시하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 학생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학생의 고등부 교육과정운영 개선 요구

        박승희,나수현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8 No.3

        A Nationwide Study on Special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Needs for Quality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특수학교 고등부 교육과정에서의 대학진학지원 현황과 고등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지원요구 및 학생들의 만족도와 지원요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표집된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33개교의 교육과정 담당교사 33명과 고등부 교사 187명 및 고등부 학생 174명의 질문지 응답자료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하였고,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만족도와 지원요구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학생들의 대학진학지원은 미흡하였고,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를 보였는데,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지원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분석 결과 시각장애 학생들과 청각장애 학생들 간의 지원요구와 지체부자유 학생들과 청각장애 학생들간의 지원요구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장애유형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 분석결과 시각장애 학생들과 지체부자유 학생들간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수학교 학생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해 현재 특수학교 고등부 교육과정 운영의 시급한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들과 더불어 일반 중고등학교에서의 질 높은 통합교육 제공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검색어> 장애학생 대학진학, 특수학교 고등부교육과정, 장애학생 특별전형, 교육과정운영개선

      • KCI등재

        원자흡광법(原子吸光法)에 의(依)한 현미중(玄米中)의 중금속(重金屬) 함량분석(含量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박승희,Park, Seung Heui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1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8 No.1

        주곡중(主穀中)에 함유(含有)된 유해중금속원소(有害重金屬元素)의 집적량(集積量)을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이들 원소(元素)의 축적(畜積)이 비교적(比較的) 많을 것으로 예상(豫想)되는 경인(京仁), 전주(全州), 이리(裡里) 지역(地域)의 공업단지주변답(工業團地周邊沓)에서 생산(生産)된 시료(試料) (현미(玄米))중(中)의 Cu, Zn, Pb, Cd함량(含量)을 공해관계공정분석법(公害關係公定分析法)으로 통용(通用)되는 원자흡광법(原子吸光法)으로 정량(定量)한 바, 이에서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현미중(玄米中)에 집적(集積)된 Cu의 함유량(含有量)은 2.93ppm(이리(裡里))~3.65ppm(시흥(始興) 서면(西面))의 범위(範圍)였고, 농도별비율분포(濃度別比率分布)는 일본통상치(日本通常値)*인 4ppm이하(以下)가 점(占)하는 비율(比率)은 약(約) 77%였다. 2. Zn은 지역간(地域間)의 차이(差異)는 적은 편(便)에며, 20.56~27.21ppm의 범위(範圍)로 25ppm*이하(以下)의 농도분포(濃度分布)는 약(約) 91%였다. 3. Pb는 최저(最低) 0.38ppm (전주공단(全州工團)), 최고(最高) 0.53ppm(구로공단((九老工團))이며, 0.35*이하(以下)의 분포(分布)는 약(約) 37%로 비교적(比較的) 적은 편(便)이었다. 4. 함량(含量)이 규제(規制)되고 있는 현미중(玄米中)의 Cd는 최고(最高) 0.509ppm(시흥(始興) 서면(西面))으로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며, 0.4ppm을 초과(超過)하는 미산작경작지(米産作耕作地)는 요관찰지역(要觀察地域)의 대상(對象)이 됨으로 이 지역(地域)에 대(對)하여는 특별(特別)한 대책(對策)이 요망(要望)된다. 시흥(始興) 서면외(西面外)의 시료(始料)는 0.040~0.136ppm의 범위(範圍)로 아주 낮은 수준(水準)이며, 농도분포(濃度分布)는 0.15ppm*이하(以下)를 기준(基準)으로 약(約) 80%였다. 5. Cd에 있어서의 국지적(局地的)인 일례(一例)를 제외(除外)하고, 공시현미중(供試玄米中)의 검출중금속함량(檢出重金屬含量)은 모두 통상치범위(通常値範圍)의 낮은 안전수준(安全水準)이었다. Rice grains harvested from paddy fields around industrial areas of Kyongin, Iri, and Jeonju were taken and analysed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accumulated in those rice grains.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was applied for analysis of heavy metals such as copper(Cu), zinc(Zn), lead(Pb) and cadmium (Cd) in unpolished rice grains. The content of Cu in rice grains harvested from Iri was the lowest, 2.94 ppm, while those from Seo-Myon, Shiheung-Gun was the highest, 3.65 ppm. The contents of Zn and Pb in rice grains were ranged 20.56~27.21 ppm and 0.38~0.53 ppm, respectively. Cd content were exceptionally lower than the regulated level, 1.0 ppm. The content of this metal detected in rice grains from Seo-Myon was the highest, 0.509 ppm, but those of other areas were much lower, ranged 0.040~0.136 ppm. The present concentrations of Cu, Zn, and Pb in rice grains were also lower than the expected level and below the maximum permissible concentrations.

      • SCIEKCI등재

        Benzotriazole 계 유도체의 제초활성과 분자설계

        박승희,박현주,임치환,성낙도 한국농화학회 1991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4 No.2

        Benzotriazole계 유도체들의 정량적인 구조에 따른 벼(Oryzae sativa L., OS) 및 갈피 (Echinochloa crusgalli., EC)에 대한 생장 저해 활성 값(pI_50)과 치환기(X)의 physicochemical parameters로부터 정량적 구조 활성 관계(QSAR)를 검토한 바, 자유라디칼 파라미터(ER)가 매우 중요한 생장 저해 활성의 요인이었다. 일반적으로 생장 저해 활성은 (4, Y=0) 보다 (3, Y=S)이 컸으며 분자설계 결과, EC에 대한 생장 저해 활성은 치환기(X)가 센 전자 끌게(4-NO₂)이고 적정값 (ER=0.52(Y=0)와 0.15(Y=S)을 만족하는 경우에 가장 컸으며 이 사실로부터 benzotriazole계 유도체의 생장 저해 활성은 광합성 반응(PS-II)에서 전자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결과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ramework for components of the inclusive exchange program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Currently, the inclusive exchange programs have gradually increased since year 2000 due to constant emphasis on inclusive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This study attempted first to delineate a framework of components for an inclusive exchange program through suggestions provided from the previous study of the first national survey on the inclusive exchange programs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and literature review on inclusive education and ideas collected from the meetings of practitioners who had experiences in regularly implementing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A framework for components of the program includes five components and three stages. Above all, values of the inclusive exchange program should be acknowledged and shared by participating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And, both schools' intent to implement the inclusive exchange program should be secured. First three components comprising first stage is to develop a goal of an inclusive exchange program and making a plan of the inclusive exchange program and develop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Second stage is to implement an inclusive exchange program and third stage is to evaluate a program. The first component is to establish a goal of the inclusive exchange program. It is very important that establishment of common goals which can be agreed by both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The second component is to plan an inclusive exchange program. Planning a program requires six factors: (1) deciding a participating school; (2) deciding participating students; (3) eciding responsible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convening program preparation meetings; (4) providing teachers and students with a program guide education before the program implemented; (5) parents' supports for the program; and (6) deciding the timetable of sessions of the program. The third component is to develop the contents of the inclusive exchange program. A strategy for developing contents of the program is first to decide the type of the contents and secondly to specify the activities within the type. Four types of the contents include: (1) specific curriculum subjects, (2) extra-curricula activities, (3) field trip experiences, and (4) school events. Specific activity contents are determined by the consideration of students' age, abilities, interests, limitations imposed by disabilities, needs, and teachers' specific talents. Fourth component is related to the factors needed for implementing the programs. Four factors needed to be considered for the implementation include: (1) fair division of roles and collaborations by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2) roles and supports of school administrators, (3) extra personnel supports, and (4)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ifth component is evaluation of the program. Specific evaluation areas include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components and implementation, change of students' attitudes and performances, teachers' teaching abilities,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s of the program. The evaluation data of the process and outcomes of the program can be used for guides for improving the future inclusive exchange program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ing a framework for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present useful information and data which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xpanding a quality inclusive exchange program between nationwide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요건의 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제안과 통합교육 실행 관련문헌에서 추출한 내용 및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경험적 전문성을 지닌 현장 실무자들과의 협의회와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를 통해 제공된 제안들을 기초로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요건의 한 모형이 제시된다. 1990년대 말 이후 한국 특수학교들이 직면하는 도전은 분리교육 환경의 문제 극복과 교육의 질 제고 압력에 적합한 반응을 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전국 특수학교들의 일부는 산발적이지만 관련 일반학교들과 일종의 통합 프로그램을 초보적이지만 시작하였고, 이러한 통합 프로그램의 구성요건에 대한 구체적 지식이 요구되는데 참조할 수 있는 문헌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요건으로 5가지 요소와 3단계로 진행되는 모형을 제시하게 되었다. 모든 단계에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의 가치와 실시의지에 대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공유된 인식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실시를 위해서는 1단계에는 (1)프로그램 목표 설정, (2)프로그램의 계획, (3)프로그램의 내용 개발; 2단계에는 (4)프로그램의 실행; 3단계에는 (5)프로그램의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 프로그램 구성요건 모형의 5가지 요소들에 대한 설명과 각 요소에 대한 구체적 지침이 제공된다.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 구성요건 모형은 전국의 특수학교와 그와 연계하는 일반학교에서 양질의 체계적인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 및 확산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한다. 이 프로그램 구성요건은 이미 실시된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의 질 점검과 개선을 위한 평가요목 체계로도 활용가능하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현재 분리교육 환경인 특수학교의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변화의 촉발제로 기여하고, 특수학교 재학생의 통합교육 기회 증진을 위한 자극제로서 기여하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연적 지원:개념화와 적용에서의 쟁점

        박승희,홍정아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oint out issues and suggestions related to conceptualizing and applying natural supports, which were evolved in the area of supported employment, and to propose some issues and suggestions for the use of natural supports in the contexts of inclusive schools in Korea. We analyzed the total of 26 articles published in 10 different peer-reviewed international journals,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articles published from 1988 to 2007. We derived 8 different themes from 13 articles which addressed the related issues to conceptualizing natural supports. We analyzed the major content of 16 articles reporting the results of application of natural supports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articles: survey research, case study, single subject study, and literature review. The main outcomes of natural supports included that natural supports increased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inclusion among employee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tegrated job settings. Based on the review of 15 articles which proposed the definitions of natural supports, we figured out some common elements in the most of definitions and generated 4 tendencies in defining natural supports for last 20 years. In conclusion, we identified the issues that associated with the conceptualization and application of natural supports in the context of inclusive schools. Finally, we pointed out the potential of contributions of the natural supports to enhancing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and suggested futrure research needs and research agenda. 본 연구의 목적은 지원고용 및 직업환경에서 태동되고 진전된 자연적 지원(natural supports)을 통합교육 맥락에서 개념화하고 적용하는 것과 관련된 쟁점과 제언을 지적하고 우리나라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연적 지원 개념과 적용에 관련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10가지 국제 학술지에 지난 20년(1988년부터 2007년)사이에 출판된 자연적 지원 관련 논문 총 26편이었다. 자연적 지원의 개념화 관련 논문들은 13편으로 논문들의 전체 내용의 개요가 정리되었으며 그 논문들에서 다룬 내용에서 8가지 주제들을 추출하였다. 자연적 지원의 적용관련 논문들은 16편으로 사용된 연구방법별(조사연구, 사례연구, 단일대상연구, 및 문헌연구)로 정리되었으며 자연적 지원의 적용 결과는 직업환경에서 장애인근로자의 직업적응과 사회적 통합에 긍정적 성과를 초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연적 지원의 정의를 제시한 논문은 15편으로 대부분 정의들에 내포된 공통 요소들을 추출하였고 정의가 시기적으로 진전되는 양상에서 4가지 경향성을 도출해 내었다. 결론에서 직업환경이 아닌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연적 지원의 개념화와 적용과 관련된 쟁점들을 지적하였고,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자연적 지원이 기여할 수 있는 점들을 추출하여 논의와 제언을 제공하였다. 자연적 지원은 통합교육 맥락에서 장애학생을 최적합하게 지원하는 것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관점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잠재력이 있다. 통합학교 맥락에서 다양한 구성원에 의해 장애학생에게 제공될 자연적 지원 전략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