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종골수이식 후의 이식편대숙주 질환의 빈도와 임상양상 : 단일 병원 치료 경험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이규형,이제환,이정신,서철원,김상위,김성배,김정균,김신,김우건,김상희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7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2 No.1

        배경: 이식편대숙주 질환은 동종골수 이식후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이식편대숙주 질환이 서구에 비하여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 저자들은 1993년 12월부터 1997년 6월까지 동종골수이식을 받은 전체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 및 만성 이식편대숙주 질환의 빈도와 임상 양상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대상환자중 남자가 27명 (61%) 이었고, 여자가 17명 (39%)이었다. 중앙연령은 33.5세 (범위, 16-47세)였다. 17명은 급성골수성 백혈병, 6명은 급성림프구성백혈병, 11명은 만성골수성백혈병, 8명은 중증재생불량성빈혈, 1명은 골수이형성증후군, 그리고 나머지 1명은 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 환자였다. 이식편대숙주 질환 예방으로 methodtrexate와 cyclosporine복합요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3명에서 급성 이식편대숙주 질환이 이식후 18일에서 48일 사이에 관찰되었다(빈도, 7%). 급성 이식편대숙주 질환정도는 3도, 2도 그리고 1도가 각 한명씩이었다. 4도 급성 이식편대숙주 질환은 관찰되지 않았다. 13명의 환자가 만성 이식편대숙주 질환을 경험하였다(30%). 이들 중 10예는 제한성 병변이었고 3예는 전신성 병변이었다. 만성 이식편대숙주 질환의 주된 발병 증상 또는 징후는 황달/간기능 이상(8예)과 구강점막병변(4예)이었다. 한 명의 환자가 이식 후 107일에 간 이식편대숙주 질환에 의한 간부전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한국인 환자에서는 동종골수이식 후 급성 및 만성 이식편대숙주 질환의 빈도가 구미의 환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고 그 정도도 덜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인 환자에 가장 적합한 이식편대숙주 질환 예방 방법의 정립을 위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Background: Graft-versus-host (GVHD) diseas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lications after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Generally, it has been known that graft-versus-host disease is less frequent after allogeneic BMT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when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clinical pattern of acute and chronic GVHD in 44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between December 1993 and June 1997. There were 27 male (61%) and 17 female (39%) patients with median age of 33.5 years (range, 16-47). Seventeen patients had acute myelocytic leukemia (AML), 6 acute lymphocytic leukemia (ALL), 11 chronic myelocytic leukemia (CML), 8 severe aplastic anemia (SAA), 1 myelodysplastic syndrome, and 1 neuroblastoma. Methotrexate/cyclosporine combination was given for acute GVHD prophylaxis. Results: There patients (7%) developed acute GVHD median 31 days (range, 18-48) after BMT. There were one grade 3 acute GVHD involving the liver. There was no patient with grade 4 acute GVHD. Thirteen patients (30%) developed chronic GVHD median 100 day (range, 53-266) after BMT. Ten cases were limited stage and 3 were extensive stage. Frequent initial manifestations of chronic GVHD were jaundice/liver function abnormality in 8 cases and oral mucosal lesion in 4 cases. One patient died due to liver failure which were felt to be seconday to chronic GVHD 107 days after BMT. Conclusion: Acute and chronic GVHD are less frequent in Korean patients after allogeneic BMT when compared to historical data from patients from western Europe or United States. In cases of chronic GVHD, mild forms of disease predominate. Optimal strategy for GVHD prophylaxis in Korean patients remains to be defined.

      • 중증 재생불량성빈혈에서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위한 cyclophosphamide와 antithymocyte globulin전처치 요법

        이정희,이제환,김신,설미이,이정신,김우건,김상희,지현숙,박찬정,이규형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1

        배경: Cyclophosphamide와 ATG의 전처치 요법은 HLA가 일치하는 형제간 골수이식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에서는 전처치 요법으로서 불충분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주요 문제는 착상 부전이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극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에서 발표되는 보고에 의하면 타인이식을 포함하여 골수이식 후 착상 부전과 이식편대숙주질환의 발생이 서구 국가들로부터의 보고에서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6예의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들에서 질병 초기에 Cyclophosphamide와 ATG만을 이용하여 전처치를 한 후에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하였다.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성인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수이식을 위한 전처치 요법으로 cyclophosphamide (50 mg/kg/d x 4)와 ATG (30 mg/kg/d x 3)를 투여하였는데, 골수이식 전에 ATG에 대하여 과민 반응을 보였던 한 예 (UPN 120)에서는 ATG 대신에 fludarabine (30 mg/m2/d x 3)을 투여하였다.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cyclosporine과 methotrexate를 투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에 모두 6예가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았는데, 5예는 타인으로부터 골수를 공여 받았으며, 1예는 HLA의 표현형이 하나의 유전자좌에서 일치하지 않는 형제로부터 골수를 공여 받았다. 타인 골수이식을 받은 5예 중에서 3예의 공여자는 HLA의 표현형이 일치하였으며, 1예는 하나의 유전자좌가 major mismatch였고, 1예는 하나의 유전자좌가 minor mismatch였다.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406일 (범위, 328-643일)인데, 6예 모두에서 착상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생존해있다. 2예에서 3도의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과 전신성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하였다. 결론: Cyclophosphamide와 ATG의 전처치 요법은 재생불량성빈혈의 초기에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한국인 환자들에서 충분히 착상을 가져올 수 있는 요법으로 생각된다. 비록 본 연구의 대상 환자 수가 적지만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다. HLA가 일치하는 형제가 없는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의 경우에 타인 골수 공여자에 대한 검색을 조기에 시행해야 하며,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질병 초기에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Cyclophosphamide (CY) and ATG regimen was reported to be insufficient for alternative donor BMT in SAA patients due to high incidence of graft rejection. The rates of graft rejection and GVHD after allogeneic BMT including unrelated donor transplants seemed to be lower in reports from Asian countries of Far East. We applied CY/ATG regimen to six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SAA transplanted with marrow from alternative donors other than HLA-identical siblings. Methods: Three patients were transplanted from HLA-phenotypically identical unrelated donors, two from one-locus mismatched unrelated donors, and one from an one-locus mismatched sibling donor. Four patients received no previous therapy for SAA, and two received one course of immunosuppressive therapy with ATG. Preparative regimen was CY (200 mg/kg) plus ATG (90 mg/kg) in all patients except one who had had an anaphylactic reaction to ATG prior to BMT and received fludarabine (90 mg/m2) in place of ATG. Cyclosporine plus methotrexate were given for GVHD prophylaxis. Results: All six patients engrafted and all are alive with durable engraftment at a median follow-up of 406 days (range, 328 to 643). Two patients developed grade III acute GVHD and extensive chronic GVHD. Conclusions: CY/ATG regimen may be sufficient in Korean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SAA transplanted with marrow from alternative donors.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in present study is small, results are encouraging. Stem cell transplantation using alternative donors may be considered at early stage of aplastic anemia.

      • 집적화된 실리콘 압력센서의 출력전압 보상파라미터 추출 및 그 특성

        이보나,김건년,박효덕,신상모,이경탁,김찬,권혁채,이상조,박현주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8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9 No.1

        An integrated silicon pressure sensor has been designed, fabricated and tested. The signal conditioning circuits were designed to include calibration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of output voltage through trimming of diffusion and ion-implanted resistors. Before trimming of resistors, the compensation parameters such as pressure sensitivity, temperature coefficient of pressure sensitivity, temperature coefficient of piezoresistors and pressure sensitivity of piezoresistors were measured. Then offset voltage, span, and temperature coefficients of offset voltage and span were calibrated by trimming of resistors. The measured output voltage met our design specification and simulation value above room temperature. But, the measured output voltage at -30°C deviated from our design specification and simulation value because the offset voltages were found to vary randomly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 비혈연간 동종 골수이식의 임상적 고찰 : 단일병원 임상 경험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이기현,이규형,이제환,이정신,박건욱,김상희,김우건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2

        연구배경: 급만성 백혈병이나 재생불량성 빈혈을 포함한 혈액종양 질환 및 기타 악성 조양 질환에서의 동종 골수이식은 관해요법 후의 완치 및 재발방지와 장기 생존 효과를 가져와 최근 그 시행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HLA가 일치하는 비혈연간의 동종골수이식 횟수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비혈연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받은 1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 성적을 분석하였고, 이것을 형제간 골수이식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6년1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에서 타인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받았던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골수이식 후의 생착정도와 합병증, 생존여부 등을 살펴보았으며, 이들의 성적을 1993년 12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본원에서 형제간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92명의 환자의 성적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13명의 대상환자들의 중앙 연령치는 23세 (15-41세)이었고 이중 남자가 7명이었다. 일차관해 상태인 급성 골수성백혈병 환자가 2명이었고, 6명이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이었으며 이들 중 일차관해 상태는 3명 이차관해 상태인 환자는 2명이었다.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이 1명이었고, 만성시기에 있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가 1명이었고, blastic crisis에 있는 환자가 3명이었다. 주입된 골수의 단핵구수는 중앙값이 0.53×10^(8)/kg이었고, CD34+ 세포의 수는 1.2×10^(6)/kg 이었다. 모든 환자의 골수는 생착에 성공하였고 절대과립구가 500㎕ 이상을 보인 중앙 생착기는 18일(11-28일)이었다. 백혈구와 혈소판의 생착 시기는 형제간 골수이식과 비교하여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적혈구와 혈소판의 수혈을 필요로 하였던 경우는 비혈연 동종 골수이식군에서 형제간 이식의 경우보다 의미있게 더 많았다. 급성 이식편대숙주반응의 빈도는 비혈연간에서 의미 있게 많았으며 (53.8% vs 10.9% p<0.001). , 급성 이식편대숙주반응이 나타나는 시기도 이른 경향을 보였다. (12일 vs 34일 , p=0.063). 만성 이식편대숙주반응과 간정맥폐쇄질환은 비혈연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한 경우나 형제간 이식을 시행한 경우나 그 빈도에서는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13명의 환자중 6명이 생존하고 있었고, 이들의 중앙 추적기간은 275일(115-691일)이었다. 이들 13명의 2년 생존율은 42%였고, 전체생존기간(overall survival)은 130일이었다. 이것은 형제간 이식군에서 보인 전체 생존기간 529일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08) 결론: 비혈연간 동종 골수이식의 경우 형제간 골수이식에 비해 급성 이식편대숙주반응이 의미있게 심하였다. 비혈연 동종 골수이식의 전체 생존율은 형제간 이식에 낮음을 볼 수 있었으나 1년 이상 생존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 장기적인 생존을 기대할 수 있겠다. Thirteen patients with various hematologic disorders underwent allogeneic bone marrow trnasplantation from HLA-matched unrelated donors (mud-BMT) at University of Ulsan, Asan Medical Center between November, 1996 and June, 1999.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 after mud-BMT were compared to those of silbling donor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llo-BMT). The median age of thirteen patients who underwent mud-BMT were 23 years (range, 15-41) with seven male patients. Underlying disease were 2 patients with AML (all 1st CR), 6 with ALL(1st CR:3. 2nd CR:2 more advanced:1) 4 with CML(chonic phase:1, 1st blast crisis:3) and one with severe aplastic anemia. The median cell count of transplanted mononuclear cell and CD34+ stem cells were 0.53×10^(8)/kg and 1.2×10^(6)/kg, respectively. All patient engrafted with ANC over 500㎕ on median day 18 (range 11-28). The days of leukocyte and platelet engraftment were similar to those of ninety-two patients who underwent sibling donor allo-BMT. The amount of transfusion requirement in patients who underwent mud-BM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who underwent sibling donor allo-BMT. The actuarial incidened of acute GVHD in mud-BMT was sing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ibling donor allo-BMT (53.8% vs 10.9% p<0.001). The median day of onset of acute GVHD was shorter in mud-BMT than sibling donor allo-BMT (day 12 vs day 34, P=0.063). Frequencies of VOD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 (61.5% vs 52.2%). Among 13 patients who underwent mud-BMT, 6 patients were alive for median 275 days (range, 115-691 days).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is 130 days. Our study showed patients who underwent mud-BMT showed higher frequency of aGVHD. A fraction of patients are surviving longer than a year and likely to be long term survivors.

      • In situ 고상 에피택시 방법에 의한 CoSi₂/Si(111)구조의 형성

        이정주,강민성,김현수,최치규,이운환,이종덕,이영백,김건호,이정용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6 基礎科學硏究 Vol.9 No.2

        초고진공에서 공상에피택시(solid-phase epiyaxy, SPE) 방법으로 CoSi₂를 Si(111)기판 위에 에피택시 성장시켰다. 2MeV⁴He++ ion후방산란 분광기와 사중결정 x-선 회절기 및 고분해 투과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성장된 CoSi₂의 상과 조성, 결정성, 그리고 계면의 미시구조를 조사하였다. 초고진공상태의 실온에서 Si(111)-7X7기판에 Co를 약 20 ~50 ?? 중착한 후 SPE에 의하여 실리사이드를 형성시키는 경우 600℃에서는 B-형의 CoSi₂가, 그리고 700℃에서는 A형의 CoSi₂가 선택적으로 에피택시 성장하였으며, 정합성은 B-CoSi₂[110]//Si[110] and CoSi₂(111)//Si(111)이, 그리고 700℃에서는 A-CoSi₂[110]//Si[110], CoSi₂(002)//Si(002)을 나타내었다. Epitaxial films of CoSi₂were grown on Si(111) substrates by in situ solid-phase epitaxy in a ultrahigh vacuum. The phase, the chemical composition, the crystallinity,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Silicide/Si interface were investigated by 2-MeV⁴He++ ion-backscattering spectrometry, quadruple crystal X-ray diffractometry, and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tron micorscopy. High-quality films of either B-type or A-type CoSi₂ could be grown selectively on Si(111) substrates by depositing ~ 20 ~ 50 ?? of Co on a Si(111)-7X7 substrate followed by in situ annealing at 600℃ or 700℃ for 10 min. The matching face relationships are CoSi₂[110]//Si[110] and CoSi₂(111)//Si(111) by B-type CoSi₂ and CoSi₂[110]//Si[110]//Si[110] and CoSi₂(002)//Si(002) for A-type CoSi₂.

      • 플라즈마 표지소자의 제작

        이상윤,라병욱,박동수,황인헌,이덕동,신영남,박성배,이동욱,박용석,박형근,손상호,권태근,채경락,정경득 慶北大學校 自然科學大學 1986 自然科學論文集 Vol.4 No.-

        An Ac-type Plasma Display Panel (PDP) operating with Ne-Ar(0.1%) Penning mixture gas is fabicated. The characterics of the panel with electrodes covered with thin and thick dielectric layers are studied. The brightness of the Neon-orange light emitted by the panel measured as function of applied voltage and frequency. As an application, a graphic display system equipped with PDP showing still and moving pictures is made.

      • 급성백혈병의 화학요법에서 조혈간세포 보충요법

        이규보,배선근,손상균,이재태,이건수,이경혜,서장수 경북대학교 병원 1997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1 No.1

        1. 목적 급성백혈병의 화학요법에 있어서 관해유도 요법시에 보다 더 강력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골수억제의 회복을 위하여 말초혈액에서 채취한 조혈모세포의 투여로 그 효과를 증대시키고자 시도하였다. 2. 방법 관해유도 화학요법후에 골수억제시기로부터 회복단계로서 백혈구감소증이 호전도면서 단핵세포가 증가될 때에 말초혈액에서 조혈간세포(stem cell)로 인정되고 있는 CD34+세포의 함유량이 1% 이상되는 시기를 찾아내고 그 때부터 평균 4차례의 단핵구를 분리채집을 하여 -74。C에 냉동보관하였다가 제2차 화학요법후에 해동시켜서 정맥주입하였다. 3. 결과 대상 급성백혈병환자는 6명에 23회의 조혈간세포를 함유한 단핵구 채집을 시행하였고 유효한 단핵구의 채집은 4례에서 가능하였고 2례에서는 유효한 채집이 못되었다. 채집효율은 39.0-74.5%로서 평균 49.8%였다. 채집 후에 혈액학적 변화는 혈색소의 약간 감소 (평균 1.34g/dl)와 혈소판의 감소 (평균20.25%)를 나타내었다. 해동 단핵구를 투여할시에 일과성인 불쾌감, 기침, 흉부압박감, 호흡곤란 등이 있었다. 4. 결론 자가골수이식에서 자기말초혈액조혈간세포이식으로 관심이 이행되는 현시점에 자가조혈간세포를 채집하여 수혈하는 기술이 확립되는 기초를 이루었다고 본다. 이번 대상들은 재발된 금성백혈병들에 시행하였으나, 향후에는 초발시에 제일차 관해유도 화학요법 과정에 시도해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 Peripheral blood stem cells(PBSC) were collected after remission induction chemotherapy and reinfused after intensified chemotherapy in order to increase the chemotherapeutic efficacy. Method: Collection of mononuclear cells (MNC) was started when CD34+ cells above 1% and WBC above 1,000/ul with mononuclear cell percentage above 30%, the collection procedures were done 2-6 time in each patient of total 6 cases. The collected MNCs were stored in - 750C and reinfused after thawing in the water bath at 370C Results: Twenty three collection procedures from the 6 cases of acute leukemia had made effective MNC collection in 4 cases and mean collection efficiency was 49.8%(from 39.0% to 74.5%). Hematological changes after the procedure were mean reduction of hemoglobin 1.34g/dl and mean 20.25% of decreased platelet count. There were noticed transient symptoms of discomfort, coughing, chest tightness and dyspnea in association with the infusion of stored cells. Conclusion: The basic process for the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was accomplished with this supportive care for the consolidation chemotherapy of acute leukemia. Effective PBSCT would be warrented with more qualified process and high does chemotherapy. (Korean J Blood Transfus 6(2) : 41~47,1995)

      • 급성골수성 백혈병에서 CD34와 P-당단백의 발현

        이제환,김우건,김상위,이정신,이규형,장대영,최종수,김상희,김성배,서철원,지현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1995 울산의대학술지 Vol.4 No.1

        Backgrounds : The expression of the MDR-1(multidrug resistance)encoded P-170 glycoprotein(p-170)and CD34 have been well known to be associated with drug resistance in AML(acute myelogenous leukemia). P-170 and CD34 expression in AML have been reported as unfavorble prognostic parameters separately. Methods : P-170 glycoprotein expression was analyzed in correlation with CD34 expression and clinical response in 15 consecutive patients with de novo acute myelgenous leukemia (AML). They were measured with flow cytometry after direct and indirect immunofluorescence staining simultaneously. Results : 1) The positive rate of P-glycoprotein and CD34 were in two of 15 patients(13%), seven of 15 patients(46%), respectively. 2) One of two P-170 positive patients as compared with 7 of 13 P-170 negative patients achieved a complete remission(CR), which showed no clinical significant difference.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glycoprotein and CD34 expression(r=0.29, p=0.28). 4) In de novo acute myelogenous leukemia, there was no case which expressed both P-170 and CD34 simultaneously. 5) P-glycoprotein and CD34 were not expressed in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group. 6) Cytogenetic abnormaliti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P-glycoprotein expression, CD34 expression and complete remission. Conclusion : CD34 and P-glycoprotein in acute myelogenous leukemia were independent parameter in this study. Further investigations are warranted for clinical implication.

      • KCI등재

        수부 주상골 요부의 전위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

        조용만,이영기,강흥식,리건영,이천동,오상수 대한골절학회 1997 대한골절학회지 Vol.10 No.1

        The authors surveyed the clinical study of 17cases of scaphoid fractures from March 1989 to September 1994 with minimal I year follow up at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Lee-Rha general Hospital.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clinical survey. l. Of all l 7 cases, they were l3 males and 4 females; Among the 13 males, 10 cases were aged between 20 and 39 years. forming 56.8% of all. 2. All 17 cases were treated by open reduction. Unions were obtained at average l l.5 weeks in 7 cases treated with Herbert screw fixation and l 2 weeks in l 0 cases treated with K-wire fixation. 3. Two of ten K-wire treated cases resulted in delayed union, one of seven Herbert screw treated cases resulted in delayed union. 4. Unions were obtained at average 20 weeks in 3 cases of delayed union. We concluded that open reduction and K-wire fixation were recomanded for the compatible treatment method of displaced waist fracture of scaphoid.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