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과 영역의 모성 사망율에 관한 임상적 고찰

        박춘식(CS Park),박찬용(CY Park),박창서(CS Park),이규완(KW Lee),주영철(YC J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4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66년 1월 1일부터 1977년 12월 31일까지 만 12년간 임산부 사망 총 65례를 임상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망한 임산부는 총 65명이었고 동 기간중 총 생아출생수는 14,978명이었으며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생존분만당 434.0명이었다. 2. 임산부 사망 원인으로 가장 많았던 것은 임신중독사(32.3%)였고 출혈사(24.6%), 그리고 감염사(20.0%)의 순위였다. 3. 동 기간중 전체 산모 사망의 연도별 추세로 보면 병원사(35례)와 타 병원에서 이송되었던 례(30례) 공히 다소 기복을 보여주었으나 모두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최근 2년간의 모성사망율은 16년간의 평균사망율의 3/4으로 감소되었다. 4. 임신중독증의 주요 임상적 사인은 폐수종, 급성 신부전증, 심장마비, 그리고 뇌출혈이었으며 계절별로 춘계에 다소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5. 출혈사의 주요 임상적 사인은 이완성 자궁출혈 및 자궁파열이 62.5%로 대부분이었고 그의 태반조기박리, 자궁외임신, 혈액응고부전, 유산후 출혈, 경관 손상 등이었다. 6. 감염사의 주요 사인은 폐혈성 유산이 61.5%로 제일 많았다. 7. 간접사인 14례 중 11례는 융모상피암, 2례는 심장질환, 1례는 간질환이었다. 8. 출혈사는 모두 산전관호를 규칙적으로 받은 바 없었고 임신중독증도 2례를 제외하고는 산전관호를 받은 바 없었다. 9. 임신중독증사는 1회 초산부에서 52.4%, 출혈사는 4회 이상 경산부에서 37.5%로 높은 사망률 을 보였고 감염사는 여러 연령층에서 고르게 분포되었다. 임신중독증사는 30세 미만에서 85.7%, 출혈사는 31∼35세 군에서 68.8%, 감염사는 30세 미만에서 76.9%의 빈도를 보였다. 10. 입원후 사망시간으로는 임신중독증, 출혈 및 감염으로 24시간 내에 사망했던 율은 각각 57.1%, 62.5%, 61.5%로 높았으며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임산부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임산부에게 올바른 건강교육과 산전관호의 철저, 의료인의 질적 향상, 병원시설의 확충 및 병원분만이 절대 필요하다고 본다. Clinical analysis on maternal mortality in N.M.C. was made for the period of 12 years from 1966 through 1977.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65 maternal deaths including 35 cases of hospital death and 30 cases transferea from outside were encountered among 14978 live births. Maternal mortality rate was 434.0 per 100,000 live births. 2. The leading causes of maternal deaths were toxemia(32.3%), hemorrhage(24.6%), infection(20.1%) and choriocarcinoma(16.9%) in the frequency of order. 3. Maternal mortality showed decreasing tendency down to about 75% in the recent 2 years compared with that of 16 years ago. 4. The leading clinical causes of deaths in toxemia were cardiopulmonary insufficiency, acute renal failure, heart failure and cerebral hemorrhage. 5. The leading clinical causes of deaths in hemorrhage were atonic uterine bleeding and uterine rupture. 6. The leading clinical cause of deaths in infection was septic abortion. 7. The choriocarcinoma indicate the majority of indirect causes of maternal deaths(78.6%) and the rest of causes were cardiac valvular disease(14.3%) and infectious hepatitis(7.1%). 8. All cases of deaths due to hemorrhage did not take the regular antenatal care and all cases of deaths due to toxemia except 2 cases did not, also. 9. 52.4% of maternal deaths due to toxemia occurred in para 0 state and 37.5% of ones due to hemorrhage occurred in para 4 or more state but maternal deaths due to infection showed rather even distribution in Each para state. 10. Most of the maternal deaths were considered to be preventable one(81.5%) in viewing of the medical mismanagement at local clinics in the majority of cases(41.7%) and of delayed admission(43.4%). In order to prevent avoidable maternal deaths on the base of the study, every possible efforts should be emphasized. Particularly,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the patients, high quality antenatal care, early identification of high risk patients, regular service in training of both general practioners and paramedical personne

      • KCI등재

        임산부의 임상통계학적 관찰 ( 제 1보 )

        박인서(IS Park),주영철(YC Joo),김용철(YC Kim),박춘식(CS Park),박창서(CS Park),차인환(IW Cha)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2

        결론 1961년 1월 1일부터 1978년 12월 31일까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21,650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 다. 1. 총 분만 21,650예 중 산전, 분만, 산욕기에 합병증이 없었던 경우는 14,665예(66.7%)이며 합병증이 있었던 경우는 6,985예 (32.3%)이었다. 2. 연령 분포는 25-29세군이 48.4%로 가장 많았고 전체 산모의 평균 연령은 28.0세로 초산부는 25.3세, 경산부는 29.1세이었다. 3. 총 분만 21,650예 중 8,032예(37.1%)는 초산부이었고 13,618예(62.9%)는 경산부로 평균 분만 횟수는 1.4회이었다. 4. 제태기간은 38-41주군이 80.3%로 가장 많았다. 5. 태위는 두위가 93.5%, 둔위가 4.2%, 횡위가 0.5%, 안면위가 0.3% 등의 순이었다. 6. 분만 방법은 자연분만이 16,534예(76.4%), 흡입분만이 2,746예(11.4%), 제왕절개술이 1,689(7.8%), 둔위만출이 49.6예 (2.3%), 감자분만이 438예(2.0%), 개두술이 17예(0.1%)의 순이었다. 또한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7. 전체 태아의 평균 체중은 3,056gm이었고 재태기간에 따른 평균 체중은 30주 이하의 군이 811.2gm, 30-33주군이 1,1591.0gm, 34-37주 군이 2,289.8gm, 38-41주 군이 3,213.1gm, 42주 이상의 군이 3,454.5gm이었다. 8. 분만 방법에 따른 출혈량은 자연분만시 184.5ml, 흡인 및 감자분만시 260.1ml, 제왕절개술시 608.2ml이었다. 9. 재태기간에 따른 태반의 중량은 30주 이하의 경우 322.3gm, 30-33주가 460.0gm, 34-37주가 523.5gm, 38-41주가 640.0gm, 42 주 이상이 803.9gm이었다. 10. 합볍증은 자간전증이 44.1%, 산후출혈이 12.3%, 조기파수가 9.2%, 태반계류가 7.6%, 자간 및 아두골반 불균형이 각각 6.1% 등의 순이었다. 11. 평균 주산기 사망율은 32.1이었다. 12. 자궁내 태아삼ㅇ의 원인은 원인불명이 71.6%, 태반조기 박리가 6.3%, 임신중독증이 5.5%, 횡위가 3.7%등의 순이었으며, 신 생아 사망의 원인은 조숙아가 41.7%, 원인불명이 30.1%, 선천성 기형이 12.3%, 분만시의 외상이 4.5% 등의 순이었다. Vital statistics is essential to perfom and program maternal-chaild services, Maternal-child welfare is an index of socioeconomic and educational status of their country.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clinical and statistical data, 21,650 women who had been admitted and delivered at National Medical Center were studied during the period from Jan. 1961 to Dec. 1978.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collection and study were carried out in 21,650 cases: 14,665 cases(67.7%) with normal and 6,985(32.3%) with complications during antepartum, and/or intrapartum, and/or postpartum, respectively. 2) The group of 38-41 gestational week occupied majority of casese(80.3%) 3) Nullipara were 8,032 cases(37.1%)and 13,816(62.9%) in multipara, with the mean parity of 1.4. 4) The age group of 25-29 was most commoc(48.4%). The average age of all cases was 28.0 year old. 5) The incidence of presentation was as follows: vertex:20,549(93.5%) , breech: 931(4.2%) , shouder: 98(0.5%), face: 65(0.3%), brow 8(cases) and compound 2(0.0%) 6) There werw 16,534 cases(76.4%) of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and others were vacuum 2,476(11.4%), forceps438(2.0%), breech extraction 496(2.3%), Cesarean section 1,689(7.8%), and craniotomy 17(0.1%). The incidence od Cesarean section had a tendency to gradual increment. 7) The mean birth weight of total cases was 3,065gm and those by week were as follows : less than 30 weeks: 811.2gh, 30-33 week: 1,591.0gm 34-37 weeks: 2,289.8gm, 38-41 weeks: 3,213.1gm and more than 42 weeks: 3,454.5gh. 8) The mean blood loss in cases of spontaneous vaginal deliverywas 184+_24.6ml and 260+_30.4ml in operative vaginal delivery. The cases of Cesarean section had 608.2+_54.2ml in average blood loss. 9) The placental weight by weeks was as follows: less than 30 weeks: 322.3gm, 30-33 weels: 460.0gm, 34-37 weeks: 523.5gm, 38-41 weeks: 640.0gm, and more than 42 weeks: 803.9gm 10) The major complications in complocated cases(6,985) were preeclampsia(44.1%), postpartum hemorrhage(12.3%),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9.2%), retainedplacenta(7.6%) eclampsia and cephalopelvic disproportion(6.1%) repectively. 11) The mean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32.1. 12) The majority of stillbirth got unknown causes(71.6%), but those of neonatal death were prematurity(41.7%), unknown (30.1%), congenital anomalies(12.*%), obstetric trauma(4.5%) and so on.

      • KCI등재

        자간전증 환자의 혈청 , 양수 및 태아 혈청 요산농도

        박창수,변지수,송태복,김윤하,최진,김석모,이계율,김경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목적: 정상 임신과 자간전증 환자의 혈청, 양수 및 태아 요산농도를 분석하여 자간전증시 이들의 변화와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임신과 태아 예후에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평가하고자한다. 연구 방법: 1996년 1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하거나 입원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하였다. 임신 28주이상의 자간전증 환자 47례와 임신주수가 비슷한 정상 산모 28예에서 혈액과 분만시 제대동맥 혈액을 얻었다. 임신 17주에서부터 27주사이의 정상 산모에서 양수채취는 염색체 배양검사를 하기위해 양수천자를 할 때 얻었고 이들 중 염색체 이상소견이 없는 태아의 양수 84예와 임신 28주이상의 정상 산모 양수는 제대혈액채취적응증인 경우 양수천자를 하여 정상 태아 양수와 제왕절개술을 시행하면서 28예를 얻었으며 임신 28주 이상의 자간전증 환자 47예에서는 양수천자와 제왕절개시 양수를 채취하였다. 요산은 Uricase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 임신시 양수내 요산은 17주 3.38±0.3 mg/dl, 24주 4.23±0.33 mg/dl, 28주 5.23±0.97 mg/dl, 34주 5.87±1.58, 38주 6.97±0.76 mg/dl으로 임신 주수가 증가할수록 농도가 증가하였다[n=112, r=0.75, p$lt;0.01]. 임신 28주 이 상에서 환자군의 산모 혈청 요산 6.33±1.55 mg/dl, 양수 요산 9.62±2.65mg/dl, 제대동맥 혈청 요산 6.44±1.49 mg/dl는 정상군의 산모 혈청 요산 4.37±0.64 mg/dl, 양수 요산 6.36±1.95 mg/dl, 제대동맥 혈청 요산 4.30±0.92 mg/d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lt;0.01]. 결론: 정상임신에서 양수내 요산농도가 임신주수가 증가 할수록 증가하였고, 자간전증에서 산모 혈청, 양수 및 태아 혈청의 요산 농도가 정상 임신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에따라 자간전증에서 산모의 고요산혈증은 신장기능의 장애로 인한 요산배설의 감소 뿐 만 아니라 태반 및 태아에서 생성된 것도 반영된 것으로 여겨지며 태아 예후 판정에 의미있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uric acid concentrations of maternal serum, amniotic fluid, and fetal serum in normal pregnancy and preeclampsia. Methods: 112 samples of amniotic fluid obtained from normal pregnancies 17 to 38 weeks gestation, and 28 samples of maternal serum and umbilical arterial cord serum obtained from normal pregnancies in third trimester. Samples of maternal serum, amniotic fluid, and umbilical arterial cord serum were collected from 47 women with preeclampsia in third trimester. Uric acid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enzymatic spectrophotometric method using the enzyme uricase. Results: Amniotic fluid uric acid concentrations increased progressively from 17 to 38 weeks gestation in normal pregnancy [17; 3.38±0.3, 24; 4.23±0.33, 28; 5.23±0.97, 34; 5.87±1.58, 38 weeks; 6.97±0.76 mg/dl, n=112, r=0.75, p$lt;0.01]. In third trimester, amniotic fluid uric ac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women with preeclampsia than with normal pregnancy [9.62±2.65 vs. 6.36±1.95 mg/dl, p$lt;0.01]. Maternal serum [MS] and umbilical arterial cord serum [CS] uric acid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women with preeclampsia than with normal pregnancy [MS; 6.33±1.55 vs. 4.37± 0.64, p$lt;0.01, CS; 6.44±1.49 vs. 4.30±0.92 mg/dl, p$lt;0.01]. Conclusions:Serum uric acid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egnant women and fetuses with preeclampsia. Increased production of uric acid in fetus and placenta may contribute to maternal hyperuricemia and high amniotic fluid uric acid concentration in preeclampsia partly.

      • KCI등재

        근치적 외음부절제술 , 서혜부 임파절제술 및 박근 근피판 이식술로 치료한 외음부암 1 례

        박인서,김혜경,박찬용,박창서,홍성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3

        저자들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50세의 여성에서 발생한 외음부 편평상피암을 외음부절제술, 심층서혜부 임파 절제술을 시행하고 박근 근피판을 이용한 회음부 재건술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xtensive en bloc surgery is recommended as the treatment method of choice for invasive carcinoma of the vulva and has enhanced the probabilities of increased 5-year survival. At the same time, reconstruction of vulvar defect following radical surgery has been great concern to surgeon. Among surgeries for vulvovaginal reconstruction, gracilis myocutaneous falps can afford simple and save methods. Our experience with myocutaneous gracilis flap at the time of radical vulvectomy for vulvar cancer will lead us to adopt it as our routine proced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