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지역 초,중여학생의 초경 및 월경 양상에 관한 조사 연구

        박건채(GC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10

        농촌지역 여학생들의 초경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의 관계 그후 월경양상에 관한 요 인을 파악하기 위해 농촌지역내에 잇는 초중여학생 1280(초경을 경험한 여학생 577명)을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초경 연령 분포는 9세부터 15세범위내에 잇으며 가장 빠른 초경연령은 9.2녀, 평균 초경 연령은 12.5±1.0세로 연대별로 보면 초경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고 잇다. 2. 같은 나이에 초경을 경험한 여학생이 경험안한 여학생보다 평균체중, 신장면에서 월등히 무겁고 커보였다. 3. 초경당시 평균체중은 41.0±5.1kg 평균지방은 10.3±1.8kg 체중에 대한 평균 지방 백분율 은 24.4±0.8%이었으며 지방 백분율이 초경 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4. 부모의 교육정도 ,직업 및 형제수가 초경연령과 깊은 연관성을 보여 주었으나 다른 요인 들과는 연관성이 적었다. 5. 최근 6개월간의 월경 양상을 불 때 규칙적인 경우가 45.4% 불규칙적인 경우가 54.6% 이 었으며 정상월경은 55.4% 회발월경은 30.7% 빈발월경은 8.4%무월경은 5.5%로 44.6%의 높 은 월경장애를 보여주었다. The study was desinged to obtain the menarch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menarche and the menstraul patterns after menarche. For the data sampling self-administred questionnarie survey was made in July 1987. among the 1280 elimentary and middle school girls (577 total menarcheal girls) in rural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menarche was 12.5±1.0 years old. And earliest menarcheal age was 9.2 years old , ranged from 9 years old to 15 years old. 2. The girls at menarche were taller and heavier than those of the same age who had not experinced menarche. 3. The mean weight at menarche was 41.0±5.1 kg, the mean body fat was 10.31±1.8 kg and 24.2±0.8% of body weight . The fat percentage of weight was more important for the menarcheal onset. 4. The menarcheal ag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iblings, the educational level and occupations of the parents but less influenced by others. 5. The irregularity of menaruation was 54.6% and the proportion of normal menstruation, ploymenorrhea, olignomenorrhea and amenorrhera were 55.4%, 8.4%, 30.7% and 5.5% respectively. The mean menstraul interval was 34.0±10.2 day and the mean duration was 4.1±1.4day.

      • KCI등재

        폐경후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환자에서의 골밀도에 대한 Tibolone 치료효과

        박진완,허의종,신광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6

        목적: 자연 폐경후 골감소증 또는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여성을 대상으로 1년간의 tibolone 투여 후 요추골의 골밀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골감소증 또는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1년 이상 자연 폐경된 여성 50예를 대상으로 tibolone 2.5 mg을 1일 1회씩 1년간 경구투여하였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으로 요추 해면골[L2-L4]을 측정하였으며, tibolone 투여전, 투여후 6개월, 12개월째 측정하였다. 혈청 난포자극호르몬치와 난포호르몬치는 tibolone 투여전과 12개월째 측정하였다. 결과: Tiboloene 투여전 골밀도는 0.76±0.09 g/cm2 [T-점수: -2.46±0.62], 6개월후는 0.80±0.08 g/cm2 [T-점수: -2.19±0.09] [p=NS], 그리고 12개월후는 0.81±0.09 g/cm2 [T-점수: -2.12±0.60] 였으며, tiboloene 투여전과 비교하여 12개월 투여후의 요추골 골밀도 증가는 6.6%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lt;0.05]. 혈청 FSH치와 E2치는 투여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골감소증 또는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폐경 여성에서의 지속적인 tibolone의 투여는 골량의 증가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e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of 1 year of treatment with tibolone on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enia or osteoporosis. Methods: Fifty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enia or osteoporosis entered a 1 year randomized study of treatment with tibolone 2.5mg/day. BMD of lumbar spine [L2-L4] was assessed by dual energy absorptiometry at baseline, 6 months, and 12 months. Serum FSH and E2 level were also assessed at baseline and 12 months. Results: BMD at the studied site after 12 months of tibolone [0.81±0.09 g/cm2] was significantly higher as compared to baseline [0.76±0.09 g/cm2]. The gain of BMD was 6.6% [p$lt;0.05]. Serum FSH and E2 values were remained stable as compared to baselin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ibolone treatment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enia or osteoposis is effective.

      • 척수내 결핵종 1예

        황금철,이채혁,고영초,박효일,주미 인제대학교 1998 仁濟醫學 Vol.19 No.2

        척수내 결핵종은 매우 드물다. 척수내 결핵종은 항결핵제에 비교적 잘 반응한다고 보고 되고 있고, 수술적 치료는 간혹 요구된다고 하였다. 저자들은 척수내 결핵종으로 항결핵제를 투여하였으나, 임상적으로 호전되지 않고 더 악화되어 수술적으로 제거한 후 항결핵제를 병행 투여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ntramedullary tuberculomas are extremly rare. Intramedullry tuberculomas normally respond well to conventional antiturculous medications requiring surgery only occasionally. We report a case of an intramedullry tubercaloma that the lesion unchanged during appropriate medical therapy, and thus reguired surgical excision. Excellent clinical outcome was obtained with combination of medical and surgical mangement.

      • KCI등재

        분만전후 산모에서 급성반응물질로서 혈중 Lipoprotein (a) 의 농도변화

        이재찬,허민,박형무,서정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3

        Lipoprotein(a)[Lp(a)] represents a class of lipoprotein particles defined by the presence of apolipoprotein(a), a unique glycoprotein linked by a disulfide bond to apolipoprotein B-100 to form a single macromolecule. It was known that Lp(a) levels were associated with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were fluctuated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In the present study, plasma Lp(a) levels were estimated in two groups of women comprising 48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group and 52 Cesarean section delivery group. The changes of plasma Lp(a) concentrations were serially estimated before delivery, postpartum 1 weeks and postpartum 6 weeks.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ean ploasma Lp(a) levels were changed from 43.9 +or- 28.4 mg/dl at delivery to 68.5 +or- 35.5 mg/dl at postpartum 1 weeks, 45.6+-26.4 mg/dl at postpartum 6 weeks in total delivery group. 2. Before delivery, mean plasma Lp(a) levels were 48.9+-25.4 mg/dl in MSVD group versus 39.2+- 30.4mg/dl in C/S group, with a rising level after postpartum 1 weeks 73.1 +or- 35.7 mg/dl versus 63.7 +or- 35.1 mg/dl. And after postpartum 6 weeks, mean plasma Lp(a) levels were returned to near initial levels 48.4 +or- 21.1 mg/dl versus 42.2 +or- 16.7 mg/dl. 3. Lp(a) levels were significantly rised postpartum 1 weeks compared with before delivery(p$lt;0.05) and after postpatum 6 weeks(p$lt;0.05). In conclusion, serum Lp(a) levels were increased postpartum 1 weeks with significant value, and returned to initial levels after postpartum 6 weeks. Our findings suggests that Lp(a)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acute phase reactant rather modulated by endogenous hormone.

      • KCI등재

        임산부 체형특성과 만삭아 출생체중과의 관계

        진건,박충학,고경심,박혜영,하진완,신광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합병증이 없는 만삭아를 분만한 임산부들의 신체적 특성과 만삭아의 출생체중 및 경량아 및 적정체중아 분만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산전관리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5 년 11 월부터 1996 년 12 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산모 중 합병증이 없는 만삭분만아를 출산한 임산부 307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만삭 경량아는 15 예가 있었으며 적정체중아는 241 예가 있었다. 만삭 경량아 출산과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산모 연령, 출산력, 교육연한과 산모의 신장을 보정하기 위하여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보정 상대위험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산모의 체형이 저체중군인 경우 정상체중군보다 임신전 산모 체중, 분만시 산모 체중 및 총 체중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경량아 출산이 더 많았다. 산모의 체질량지수가 19.8 kg/㎡ 미만일 때 경량아 출산의 상대위험도는 6.2 배였으며, 임신전 산모체중이 50 kg 미만일 때, 상대위험도는 9.9 배였다. 출산시 산모체중이 60 kg 미만일 경우 경량아 출산의 상대위험도는 25.0 배였으며, 임신 중 체중증가가 12.5 kg 미만일 경우 상대위험도는 5.5 배로 증가하였다. 산모의 신장이 155 cm 미만일 때, 교육기간이 12 년 미만일 때, 경산부일 때, 직업이 있을 때, 신생아 성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대위험도가 증가하지 않았다. 결론: 전체중의 임산부와 임신 중 불충분한 체중증가를 보이는 경우 태아체중의 적절한 증가에 제한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산전진찰시 적절한 태아의 체중 증가를 도모하기 위하여 산모의 체형을 고려해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 Our aim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maternal body characteristics and fullterm infant birthweight without complications. Methods: We used data collected from 307 pregnant women who delivered fullterm singleton infants without complications i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1995 to December 1996. Fifteen cases of SGA infants were identified and other infants were analysed as control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controlling maternal age, parity, years of education and maternal height. Adjusted odds ratios[AOR] and 95% confidence intervals[CI] were calculated. Results: In the underweight mothers, the pre-pregnancy body weight, body weight at delivery, total body weight gain and delivery of SGA infants were greater than that in the normal weight mothers. The adjusted odds ratios for delivery of SGA infants were 6.2 in the women of BMI less than 19.8 kg/㎡, 9.9 of pre-pregnancy body weight less than 50 kg, 25.0 of body weight at delivery less than 60 kg, and 5.5 of gestational weight gain less than 12.5 kg. The risk of delivering SGA infants was not increased in the women of height over than 155 cm, of education less than 12 years, of multiparity and with occupation. Conclusion: Women of underweight and inadequat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may be associated with fetal growth restriction. We should focus to check maternal body characteristics to ensure the adequate infant birthweight for prenatal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