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과 영역의 모성 사망율에 관한 임상적 고찰

        박춘식(CS Park),박찬용(CY Park),박창서(CS Park),이규완(KW Lee),주영철(YC J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4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66년 1월 1일부터 1977년 12월 31일까지 만 12년간 임산부 사망 총 65례를 임상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망한 임산부는 총 65명이었고 동 기간중 총 생아출생수는 14,978명이었으며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생존분만당 434.0명이었다. 2. 임산부 사망 원인으로 가장 많았던 것은 임신중독사(32.3%)였고 출혈사(24.6%), 그리고 감염사(20.0%)의 순위였다. 3. 동 기간중 전체 산모 사망의 연도별 추세로 보면 병원사(35례)와 타 병원에서 이송되었던 례(30례) 공히 다소 기복을 보여주었으나 모두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최근 2년간의 모성사망율은 16년간의 평균사망율의 3/4으로 감소되었다. 4. 임신중독증의 주요 임상적 사인은 폐수종, 급성 신부전증, 심장마비, 그리고 뇌출혈이었으며 계절별로 춘계에 다소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5. 출혈사의 주요 임상적 사인은 이완성 자궁출혈 및 자궁파열이 62.5%로 대부분이었고 그의 태반조기박리, 자궁외임신, 혈액응고부전, 유산후 출혈, 경관 손상 등이었다. 6. 감염사의 주요 사인은 폐혈성 유산이 61.5%로 제일 많았다. 7. 간접사인 14례 중 11례는 융모상피암, 2례는 심장질환, 1례는 간질환이었다. 8. 출혈사는 모두 산전관호를 규칙적으로 받은 바 없었고 임신중독증도 2례를 제외하고는 산전관호를 받은 바 없었다. 9. 임신중독증사는 1회 초산부에서 52.4%, 출혈사는 4회 이상 경산부에서 37.5%로 높은 사망률 을 보였고 감염사는 여러 연령층에서 고르게 분포되었다. 임신중독증사는 30세 미만에서 85.7%, 출혈사는 31∼35세 군에서 68.8%, 감염사는 30세 미만에서 76.9%의 빈도를 보였다. 10. 입원후 사망시간으로는 임신중독증, 출혈 및 감염으로 24시간 내에 사망했던 율은 각각 57.1%, 62.5%, 61.5%로 높았으며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임산부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임산부에게 올바른 건강교육과 산전관호의 철저, 의료인의 질적 향상, 병원시설의 확충 및 병원분만이 절대 필요하다고 본다. Clinical analysis on maternal mortality in N.M.C. was made for the period of 12 years from 1966 through 1977.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65 maternal deaths including 35 cases of hospital death and 30 cases transferea from outside were encountered among 14978 live births. Maternal mortality rate was 434.0 per 100,000 live births. 2. The leading causes of maternal deaths were toxemia(32.3%), hemorrhage(24.6%), infection(20.1%) and choriocarcinoma(16.9%) in the frequency of order. 3. Maternal mortality showed decreasing tendency down to about 75% in the recent 2 years compared with that of 16 years ago. 4. The leading clinical causes of deaths in toxemia were cardiopulmonary insufficiency, acute renal failure, heart failure and cerebral hemorrhage. 5. The leading clinical causes of deaths in hemorrhage were atonic uterine bleeding and uterine rupture. 6. The leading clinical cause of deaths in infection was septic abortion. 7. The choriocarcinoma indicate the majority of indirect causes of maternal deaths(78.6%) and the rest of causes were cardiac valvular disease(14.3%) and infectious hepatitis(7.1%). 8. All cases of deaths due to hemorrhage did not take the regular antenatal care and all cases of deaths due to toxemia except 2 cases did not, also. 9. 52.4% of maternal deaths due to toxemia occurred in para 0 state and 37.5% of ones due to hemorrhage occurred in para 4 or more state but maternal deaths due to infection showed rather even distribution in Each para state. 10. Most of the maternal deaths were considered to be preventable one(81.5%) in viewing of the medical mismanagement at local clinics in the majority of cases(41.7%) and of delayed admission(43.4%). In order to prevent avoidable maternal deaths on the base of the study, every possible efforts should be emphasized. Particularly,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the patients, high quality antenatal care, early identification of high risk patients, regular service in training of both general practioners and paramedical personne

      • KCI등재

        유아기 , 소아기 및 청소년기의 난소종양에 대한 임상병리학적 고찰

        박춘식(C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8

        1. 20세 이하 난소종양의 발생빈도는 전 난소종양의 79.6%이었고 이중 가성종양은 12.5%, 진성종양은 87.5%이었으며 진성종양중 양성종양은 73.6%, 악성 종양은 13.9%이었다. 2. 양성종양 중 전 난소종양에 대한 발생빈도는 양성낭포성기형종은 44.5%, 점액성낭선종은 20.8%, 장액성낭선종은 8.3%이었다. 3. 조직학적 분류에 의한 생식세포종양은 58.7%, 상피세포종양은 39.7%, 과립막세포종은 1.6%의 발생빈도를 각각 보였다. 4. 종양의 평균 연령은 10.8세였고 각 종양별 평균 연령은 생식세포종양이 12.8세, 상피세포종양은 16.0세, 과립막세포종은 4.0세, 가성종얀은 15.2세였다. 5. 주 증상인 하복부 종양이 72.2%, 하복통 59.7%, 고열 13.9%, 소화장애 9.7% 순위였다. 6. 증상기간으로는 1개월에서 1년 사이가 44.4%로 제일 많았다. 7. 진찰 소견은 하복부 및 골반내 종양이 77.8%, 복부팽대 및 복수가 25.0%, 복부압통이 15.3%를 보였다. 8. 종양의 크기는 양성종양, 악성종양 및 가성종양의 최장 평균 직경이 각각 12.8cm, 18.2cm, 12.1cm이었다. 9. 종양의 위치는 전 종양의 50.0%가 우측에, 38.9%가 좌측에 위치하였다. 특히 가성종양은 우측이 66.7%로 약 2/3에 해당하였다. 양측성은 전 종양의 11.1%, 양성종양의 9.7%, 악성종양의 20.0%이었고 양성낭포성기형종의 12.5%, 가성종양의 11.1%, 상피세포종양의 4.8%이었다. 10. 가성종양의 일차 수술 적용기준은 거대낭포 4례, 급성충수염으로 오진되어 수술한 경우 3례, 다른 난소종양과 공존된 경우 2례였다. 11. 진단의 정확도는 72.2%였고, 가성종양은 44.4%, 진성종양은 76.2%였다. 12. 종양의 합병증은 경염전이 27.8%, 파열과 감염은 매우 드물었다. 종양별 경염전의 빈도는 장액성낭선종이 50.0%, 양성낭포성기형종이 37.5%, 가성종양이 33.3%, 악성종양이 10.0%, 점액성낭선종이 6.7%였다. 염전의 정도는 반회전부터 3회전 이상까지 비교적 고른 분포이었고 방향은 시계 방향이 80.0%이었다. 13. 악성종양의 임상적 진행도는 제1도 50.0%, 제2도 0%, 제3도 40.0%, 제4도 10.0%였다. 14. 외과적 수술 처치는 일측 자궁부속기 적출술이 84.7%, 양측 자궁부속기 적출술이 11.1%로 대부분이었다. 15. 종양의 공존 질환은 매우 드물었고 그 중 골반장기염증이 3례로 제일 많았다. 16. 양성과 악성종양의 발생빈도의 비교는 양성낭포성 기형종이 13.5%, 점액성낭선종이 21.1%, 장액성낭선종은 0%가 악성이었다. 17. 악성 Clinicopathological observation was made one series of 72 ovarian tumors operated upon and confirmed after postoperative histopathological study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logy, National Medical Center, Seoul Korea during a period of 18 years from January 1, 1959 to December 31, 1976.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all ovarian tumors under the age of 20 years was 79.6% in all ovarian tumors in all ranges of age. The incidence of non-neoplastic cysts was 12.5% in all cases and neoplastic tumors 87.5%, of which benign tumors was 73.6% and malignant tumors 13.9%, respectively. 2. The incidence of dermoid cysts, mucinous cystadenomas and serous cystadenomas was 44.5%, 20.8% and 8.3% in all benign tumors, respectively. 3. The incidence of germ cell tumors, epithelial ltumors and gonadal stromal tumors was 58.7%, 39.7% and 1.6%, respectively in all ovarian tumors by histological classification. 4. The mean age of all ovarian tumors was 10.8 years. The mean ages of germ cell tumors, epithelial tumors, gonadal stromal tumors and non-neoplastic tumors were 12.8 years, 16.0 years, 4.0 years and 15.2 years, respectively. 5. As to subjective complaints in all ovarian tumors, low abdominal mass or distension was noted in 72.2% of all cases, low abdominal pain and discomfort in 59.7%, high fever in 13.9%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9.7%. 6. As to the duration of symptoms, 44.4% af all ovarian tumors were noted from 1 month till 1 year. 7. Palpable abdominal mass or pelvic mass was observed in 77.8% of all cases, abdominal distension or ascites in 25.0% and abdominal tenderness in 15.3% in objective findings. 8. The sizes of benign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ranged between 12.8cm and 18.2cm in the largest diameter, respectively, and that of non-neoplastic cysts among benign tumors was on average 12.1cm. 9. Of all the ovarian tumors, 50.0% were noted in the right ovary, 38.9% in the left. Especially, 66.7% in the nonneoplastic cysts were located in the right ovary. Bilat

      • KCI등재

        임산부의 임상통계학적 관찰 ( 제 1보 )

        박인서(IS Park),주영철(YC Joo),김용철(YC Kim),박춘식(CS Park),박창서(CS Park),차인환(IW Cha)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2

        결론 1961년 1월 1일부터 1978년 12월 31일까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21,650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 다. 1. 총 분만 21,650예 중 산전, 분만, 산욕기에 합병증이 없었던 경우는 14,665예(66.7%)이며 합병증이 있었던 경우는 6,985예 (32.3%)이었다. 2. 연령 분포는 25-29세군이 48.4%로 가장 많았고 전체 산모의 평균 연령은 28.0세로 초산부는 25.3세, 경산부는 29.1세이었다. 3. 총 분만 21,650예 중 8,032예(37.1%)는 초산부이었고 13,618예(62.9%)는 경산부로 평균 분만 횟수는 1.4회이었다. 4. 제태기간은 38-41주군이 80.3%로 가장 많았다. 5. 태위는 두위가 93.5%, 둔위가 4.2%, 횡위가 0.5%, 안면위가 0.3% 등의 순이었다. 6. 분만 방법은 자연분만이 16,534예(76.4%), 흡입분만이 2,746예(11.4%), 제왕절개술이 1,689(7.8%), 둔위만출이 49.6예 (2.3%), 감자분만이 438예(2.0%), 개두술이 17예(0.1%)의 순이었다. 또한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7. 전체 태아의 평균 체중은 3,056gm이었고 재태기간에 따른 평균 체중은 30주 이하의 군이 811.2gm, 30-33주군이 1,1591.0gm, 34-37주 군이 2,289.8gm, 38-41주 군이 3,213.1gm, 42주 이상의 군이 3,454.5gm이었다. 8. 분만 방법에 따른 출혈량은 자연분만시 184.5ml, 흡인 및 감자분만시 260.1ml, 제왕절개술시 608.2ml이었다. 9. 재태기간에 따른 태반의 중량은 30주 이하의 경우 322.3gm, 30-33주가 460.0gm, 34-37주가 523.5gm, 38-41주가 640.0gm, 42 주 이상이 803.9gm이었다. 10. 합볍증은 자간전증이 44.1%, 산후출혈이 12.3%, 조기파수가 9.2%, 태반계류가 7.6%, 자간 및 아두골반 불균형이 각각 6.1% 등의 순이었다. 11. 평균 주산기 사망율은 32.1이었다. 12. 자궁내 태아삼ㅇ의 원인은 원인불명이 71.6%, 태반조기 박리가 6.3%, 임신중독증이 5.5%, 횡위가 3.7%등의 순이었으며, 신 생아 사망의 원인은 조숙아가 41.7%, 원인불명이 30.1%, 선천성 기형이 12.3%, 분만시의 외상이 4.5% 등의 순이었다. Vital statistics is essential to perfom and program maternal-chaild services, Maternal-child welfare is an index of socioeconomic and educational status of their country.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clinical and statistical data, 21,650 women who had been admitted and delivered at National Medical Center were studied during the period from Jan. 1961 to Dec. 1978.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collection and study were carried out in 21,650 cases: 14,665 cases(67.7%) with normal and 6,985(32.3%) with complications during antepartum, and/or intrapartum, and/or postpartum, respectively. 2) The group of 38-41 gestational week occupied majority of casese(80.3%) 3) Nullipara were 8,032 cases(37.1%)and 13,816(62.9%) in multipara, with the mean parity of 1.4. 4) The age group of 25-29 was most commoc(48.4%). The average age of all cases was 28.0 year old. 5) The incidence of presentation was as follows: vertex:20,549(93.5%) , breech: 931(4.2%) , shouder: 98(0.5%), face: 65(0.3%), brow 8(cases) and compound 2(0.0%) 6) There werw 16,534 cases(76.4%) of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and others were vacuum 2,476(11.4%), forceps438(2.0%), breech extraction 496(2.3%), Cesarean section 1,689(7.8%), and craniotomy 17(0.1%). The incidence od Cesarean section had a tendency to gradual increment. 7) The mean birth weight of total cases was 3,065gm and those by week were as follows : less than 30 weeks: 811.2gh, 30-33 week: 1,591.0gm 34-37 weeks: 2,289.8gm, 38-41 weeks: 3,213.1gm and more than 42 weeks: 3,454.5gh. 8) The mean blood loss in cases of spontaneous vaginal deliverywas 184+_24.6ml and 260+_30.4ml in operative vaginal delivery. The cases of Cesarean section had 608.2+_54.2ml in average blood loss. 9) The placental weight by weeks was as follows: less than 30 weeks: 322.3gm, 30-33 weels: 460.0gm, 34-37 weeks: 523.5gm, 38-41 weeks: 640.0gm, and more than 42 weeks: 803.9gm 10) The major complications in complocated cases(6,985) were preeclampsia(44.1%), postpartum hemorrhage(12.3%),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9.2%), retainedplacenta(7.6%) eclampsia and cephalopelvic disproportion(6.1%) repectively. 11) The mean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32.1. 12) The majority of stillbirth got unknown causes(71.6%), but those of neonatal death were prematurity(41.7%), unknown (30.1%), congenital anomalies(12.*%), obstetric trauma(4.5%) and so on.

      • KCI등재

        기능성 난소종양 ( 특히 여성난소종양 ) 의 임상적 관찰

        박인서(IS Park),강옥희(OK Kang),조성진(SJ Cho),박춘식(C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5

        1. 여성화난소종양의 발생빈도는 전 난소종양의 1.7%, 전 악성난소종양의 15.7%이었다. 2. 여성화난소종양중 과립막세포종이 62.5%, 세포막세포종 25.0%, 과립막 세포막 세포종 12.5%이 었다. 3. 여성화난소종양 환자의 최소연령은 23세, 최고연령은 72세이었고 평균연령은 42.6세 이었다. 4. 여성화난소종양 16예 중 7예(43.8%)는 5회 이상의 경산부이었고 6예(37.5%)는 미산부이었다. 5. 생식 연령층이 10례(62.5%)로 가장 많았고, 폐경기후가 5예(31.3%), 생식기전 연령충이 1예(6.3%)이었다. 6. 임상증세로 하복부 종양촉지가 13예(81.3%), 복수 9예(56.3%), 월경과다 6예(37.5%) 의 순위이었다. 7. 자궁내막선암이 공존하였던 경우가 8예(50.5%), 자궁내막중식증이 있었던 경우가 6 예(37.5%)이었다. 8.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방사선 치료를 선택적으로 시행하였다. 9. 수술 후 경과 및 예후는 16예 중 10예(62.5%)에서 재발없이 생존하고 있었다. Clinical observation was made on sixteen cases of granulosa-theca cell tumors collec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rom January 1,1960 to December 31,197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feminizing ovarian tumors for all ovarian neoplasm and for all ovarian malignancy were 1.7% and 15.7%, respectively. 2. Granulosa cell tumor occupied 62.5%, theca cell tumor 25.0% and granulosa-theca cell tumor 12.5% of all feminizing ovarian tumors. 3. The youngest age and oldest age for feminizing ovarian tumors were 23 and 72 year old, respectively. The mean age was 42.6 year old. 4. Out of 16 feminizing ovarian tumors, 7 cases (43.8%) belonged to more than 5 parity group and 6 cases (37.5%) to nulliparous group. 5. Out of 16 feminizing ovarian tumors, 10 cases (62.5%) occured in menstruating period, 5 cases (31.3%) in postmenopausal period and 1 case(6.3%) in premenstrating period. 6. Clinical manifestations revealed palpable mass in 13 cases(81.3%), ascites in 9 cases (56.3%) and hypermenorrhea in 6 cases(37.5%) 7. Endometrial adenocarcinoma concomitantly existed in 8 cases (50.0%) and endometrial hyperplasis in 6 cases (37.5%) 8. Treatment primarily resorted to surgical intervention and followed by irradiation therapy in the selective cases. 9. Ten cases out of 16 (62.5%) were survival without sign of recurrence so f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