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파막에 대한 임상적 고찰

        주영철(YC Joo),주창남(CN Joo),장명익(MI Chang),김경태(KT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6

        본원 산부인과에서 1969년 1월부터 1974년 12월까지 만 5년간 조기파수로 입원하였던 임산부 229예에 대하여 임상적 관찰을 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 조기파수의 빈도는 총 8,219 분만예 중 229예 이었다. ② 조기 분만에 654예 중 41예에서 조기파수가 발생하여 6.5%에 해당하였다. ③ 조기파수229예 중 사산을 한 경우가 7예, 신생아 사망이 2예 이었다. ④ 모체의 감염군에서 잠재기간이 18시간 이내인 경우는 사산이 없었으며 4예의 사산은 잠재기간이 전부 24시간 이상의 예이었다. ⑤ 주산기사망 9예 중 6예가 체중이 2500gm 이하이었다. ⑥ 모체의 이병율은 45예로 29.0% 이었다. ⑦ 합병증으로 빈혈이 35예(15.2%), 임신중독증 21예(9.1%), 이상태위가 13예(5.6%) 의 순이었다. ⑧ 조산아와 성숙아에서 모체의 감염 분포를 보면 조산아 분만예에서 16예(42.2%), 성숙아 분만에 38예(31.9%)였다. ⑨ 제왕절개술은 12예로 아두골반 불균형이 5예, 이상태위가 5예, 전치태반과 제대탈출이 각각 1예 이었다. ⑩ 잠재기간이 24시간 이내인 경우는 신생아 체중이 2500gm이상인 예에서 78예로서 65.5%이었다. The spontaneou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has presented unsolved problems and controversy in treatment in three major aspects such as an increase in prematurity, an increase in infection of the mother and an increase infection of infant. We have clinical analysis of 229 cases of spontaneou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in Korea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incidence of S.P.R.M. is 2.8% (229 cases out of 8,219 deliveries) 2) The incidence of S.P.R.M. of premature deliveries is 6.5% (41 cases out of 554 premature deliveries) 3) Perinatal death cases are 9 cases ( F.D.I.U. 7 cases and 2 cases of neonatal death) 4) There is no fetal death case in the group of within 18 hours of latent period. 5) The main cause of perinatal death is prematurity. 6) The incidence of maternal morbidity is 29.0% (45 cases out of 229 cases) 7)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during pregnancy in S.P.R.M are anemia, toxemia and abnormal presentations. 8) the incidence of C-section is 15.3% and the most common indications of C-section are C.P.D. (5cases), fetal distress (5 cases) and abnormal presentations (5 cases). 9) The latent period is within 24 hours in most cases of over 2500 gm of fetal weight.

      • KCI등재

        임산부의 임상통계학적 관찰 ( 제 1보 )

        박인서(IS Park),주영철(YC Joo),김용철(YC Kim),박춘식(CS Park),박창서(CS Park),차인환(IW Cha)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2

        결론 1961년 1월 1일부터 1978년 12월 31일까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21,650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 다. 1. 총 분만 21,650예 중 산전, 분만, 산욕기에 합병증이 없었던 경우는 14,665예(66.7%)이며 합병증이 있었던 경우는 6,985예 (32.3%)이었다. 2. 연령 분포는 25-29세군이 48.4%로 가장 많았고 전체 산모의 평균 연령은 28.0세로 초산부는 25.3세, 경산부는 29.1세이었다. 3. 총 분만 21,650예 중 8,032예(37.1%)는 초산부이었고 13,618예(62.9%)는 경산부로 평균 분만 횟수는 1.4회이었다. 4. 제태기간은 38-41주군이 80.3%로 가장 많았다. 5. 태위는 두위가 93.5%, 둔위가 4.2%, 횡위가 0.5%, 안면위가 0.3% 등의 순이었다. 6. 분만 방법은 자연분만이 16,534예(76.4%), 흡입분만이 2,746예(11.4%), 제왕절개술이 1,689(7.8%), 둔위만출이 49.6예 (2.3%), 감자분만이 438예(2.0%), 개두술이 17예(0.1%)의 순이었다. 또한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7. 전체 태아의 평균 체중은 3,056gm이었고 재태기간에 따른 평균 체중은 30주 이하의 군이 811.2gm, 30-33주군이 1,1591.0gm, 34-37주 군이 2,289.8gm, 38-41주 군이 3,213.1gm, 42주 이상의 군이 3,454.5gm이었다. 8. 분만 방법에 따른 출혈량은 자연분만시 184.5ml, 흡인 및 감자분만시 260.1ml, 제왕절개술시 608.2ml이었다. 9. 재태기간에 따른 태반의 중량은 30주 이하의 경우 322.3gm, 30-33주가 460.0gm, 34-37주가 523.5gm, 38-41주가 640.0gm, 42 주 이상이 803.9gm이었다. 10. 합볍증은 자간전증이 44.1%, 산후출혈이 12.3%, 조기파수가 9.2%, 태반계류가 7.6%, 자간 및 아두골반 불균형이 각각 6.1% 등의 순이었다. 11. 평균 주산기 사망율은 32.1이었다. 12. 자궁내 태아삼ㅇ의 원인은 원인불명이 71.6%, 태반조기 박리가 6.3%, 임신중독증이 5.5%, 횡위가 3.7%등의 순이었으며, 신 생아 사망의 원인은 조숙아가 41.7%, 원인불명이 30.1%, 선천성 기형이 12.3%, 분만시의 외상이 4.5% 등의 순이었다. Vital statistics is essential to perfom and program maternal-chaild services, Maternal-child welfare is an index of socioeconomic and educational status of their country.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clinical and statistical data, 21,650 women who had been admitted and delivered at National Medical Center were studied during the period from Jan. 1961 to Dec. 1978.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collection and study were carried out in 21,650 cases: 14,665 cases(67.7%) with normal and 6,985(32.3%) with complications during antepartum, and/or intrapartum, and/or postpartum, respectively. 2) The group of 38-41 gestational week occupied majority of casese(80.3%) 3) Nullipara were 8,032 cases(37.1%)and 13,816(62.9%) in multipara, with the mean parity of 1.4. 4) The age group of 25-29 was most commoc(48.4%). The average age of all cases was 28.0 year old. 5) The incidence of presentation was as follows: vertex:20,549(93.5%) , breech: 931(4.2%) , shouder: 98(0.5%), face: 65(0.3%), brow 8(cases) and compound 2(0.0%) 6) There werw 16,534 cases(76.4%) of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and others were vacuum 2,476(11.4%), forceps438(2.0%), breech extraction 496(2.3%), Cesarean section 1,689(7.8%), and craniotomy 17(0.1%). The incidence od Cesarean section had a tendency to gradual increment. 7) The mean birth weight of total cases was 3,065gm and those by week were as follows : less than 30 weeks: 811.2gh, 30-33 week: 1,591.0gm 34-37 weeks: 2,289.8gm, 38-41 weeks: 3,213.1gm and more than 42 weeks: 3,454.5gh. 8) The mean blood loss in cases of spontaneous vaginal deliverywas 184+_24.6ml and 260+_30.4ml in operative vaginal delivery. The cases of Cesarean section had 608.2+_54.2ml in average blood loss. 9) The placental weight by weeks was as follows: less than 30 weeks: 322.3gm, 30-33 weels: 460.0gm, 34-37 weeks: 523.5gm, 38-41 weeks: 640.0gm, and more than 42 weeks: 803.9gm 10) The major complications in complocated cases(6,985) were preeclampsia(44.1%), postpartum hemorrhage(12.3%),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9.2%), retainedplacenta(7.6%) eclampsia and cephalopelvic disproportion(6.1%) repectively. 11) The mean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32.1. 12) The majority of stillbirth got unknown causes(71.6%), but those of neonatal death were prematurity(41.7%), unknown (30.1%), congenital anomalies(12.*%), obstetric trauma(4.5%) and so on.

      • KCI등재

        난관결찰술후 발생한 자궁외임신 2 예

        양석기(SK Yang),주영철(YC Joo),정학영(HY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6 No.10

        난관결찰술후 발생한 자궁외임신 2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Two cases of failed tubal ligation followed by ectopic pregnancy are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임부에 병발된 전이성 융모암 1 예

        이부순(BS Lee),박영주(YJ Park),주영철(YC Joo),유태숙(TS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10

        임신 32주에 병발된 전이성융모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적 고찰과 아울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case to be reported is unusual intersting patient becauses of coexisting metastatic choriocarcinoma and pregnancy. A 32 year old multigravida had genital bleeding from vulvar metastatic lesion of choriocarcinoma at 32 gestational week. During the 1st admission cesarean section and tubal ligation were performed and a living female baby weighing 1,700 gm was delevered. Two courses of methotrexate(12.5mg/day, 72.5mg/course) treatment were cone without notable side effect and patient was discharged with complete remission of trophoblastic tumor. During the 2nd admission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left salpingo-oophorectomy and right salpingectomy were performed and possible primary lesion of choriocarcinoma was found at the mid-posterior aspect of uterine cavity. After total 4 courses of methotrexate(72.5mg/day- 100mg/course) treatment without remarkable side effect, patient was discharged with partial remission of trophoblastic tumor. Chest lesions still remained but vulvar metastatic lesion disappeared completely. The patient was readmitted due to severe headache and limitation of extension of the right elbow and knee. Skull x-ray showed several small bean sized metastatic lesions in the skull vault. Left carotid angiography revealed possible brain metastasis from choriocarcinoma, which was disclosed by autopsy later on. In spite of additional 7th & 8th course of methotrexate (37.5mg-75mg/each course) and 6 mercaptopurine (40mg x 3 for 3 days) treatment the patient`s had getting worse and finally, the patient expired on Feb. 19, 1973. Literatures are briefly reviewed.

      • KCI등재

        산과영역에 있어서 지속성 경막외마취에 관한 임상적 고찰

        조성진(SJ Cho),주경란(KR Joo),박찬용(CY Park),김경태(KT Kim),송인철(IC Song),주영철(YC Joo),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5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78년 1월 초부터 1978년 8월 말까지 산과적 합병증이 없었던 산모 100명을 정상 산모군 50예와 경막외마취 시행군 50예로 나누어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산모의 분만회수별 분포는 대조군에서 초산부 26예, 경산부 24예이었고,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는 초산부 30예, 경산부 20예였다. 연령별 분포는 각각 공히 26∼30세군이 제일 많은 분포이었다. 2. 분만 제1기의 기간은 초산부에서는 자궁개대가 5cm 이하인 경우 및 5∼10cm인 경우 대조군은 각각 460.5±36.18분, 165.9±19.67분이었고,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는 각각 480.3±32.43분, 158.5±18.39분이었다. 경산부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각각 228.8±23.46분, 77.5±13.24분, 경막외마취 시행군의 경우 각 216.3±24.17분, 104.0±14.31분을 보여 초산부에서는 경막의 마취 사용할 때 분만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분만 제2기의 기간은 초산부에서 대조군이 48.0±6.62분, 경막외마취 시행군이 96.2±13.15분이었고 경산부에서는 각각 20.1±1.79분, 54.8±3.73분을 보여 분만 제2기의 기간은 경막외마취 시행시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4. 객관적 및 주관적 점수를 합하여 측정한 경막외마취의 효과는 0∼4(Good)군이 42예(84.0%), 5∼8(Fair)군이 7예(14.0%), 9∼12(Poor)군이 1예(2.0%)로 경막외마취 사용할 때 무통분만의 큰 효과를 볼 수 있었다. 5. 태아절박증은 대조군에서 50예 중 2예(4.0%),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 50예 중 1예(2.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1분 Apgar 평점은 7-10점군이 대조군 50예 중 47예, 경막외마취 시행군 50예 중 48예이었고 5분 Apgar평점은 7-10점군이 대조군 50예 중 49예, 경막외마취 시행군 50예 전례로서 경막외마취가 태아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 분만형태는 대조군에서는 정상분만 42예(84.0%), 흡인분만 5예(10.0%), 제왕절개술 3예(6.0%)이었고,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는 각각 25예(50.0%), 23예(46.0%), 2예(4.0%)를 보여 경막외마취 시행시 흡인분만의 빈도가 4.6배 증가하였다. 7. 경막외마취 시행 후 진통효과는 평균 12.3±5.4분에 나타났으며, 약 반수(48.0%)에서 11∼15분 사이에 진통효과가 나타났다. 8. 총 lidocaine사용량은 분만 제1기에 144.3±21.7mg, 분만 제2기에 120±8.3mg이었고, 일회 투여량에 의한 진통효과의 지속기간은 각각 52.4±9.4분, 66.2±3.5분이었다. 9. 분만소요기간은 태아의 체중 Clinical research was made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continuous epidural analgesia on labor in 50 cases of uncomplicated pregnancies in comparison with 50 cases of control group who did not undergo analgesia during labor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rom January to August, 197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ntrol group, 26 women were primipara and 24 women were multipara, while 30 women were primipara and 20 women were multipara who underwent labor and delivery under epidural analgesia. The most common maternal age ranged from 26 to 30 in both groups. 2. D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labor was measured subdividely according to the extent of cervical dilatation, which revealed shortening of labor in primipara under epidural anesthesia. It took 460±36.18 minutes until cervix dilated to 5cm and 165±19.67 minutes over 5cm to full dilatation in the control primipara. It was 480±32.43 and 158±18.39 minutes in primipara under epidural anesthesia, respectively. In the multipara, it took 228.8±23.46 minutes and 77.5±13.24 minutes in the control group and 216.3±24.17 and 104±14.31 minutes in the anesthesized group. 3. Duration of the second stage of labor was lengthened in anesthetic group. While it took 48.0±4.62 minutes in the control primipara and 96.2±13.15 minutes in the women under anesthesia, it was 20.1±1.79 minutes in the control multipara and 54.8±3.73 minutes in the multipara under the epidural anesthesia. 4. Subjective and objective scoring were applied to evaluate the extent of pain relief in anesthetic group: 42 women(84.0%) had good score(0-4), 7(14.0%) fair score(5-8) and only one(2.0%) poor score(9-12). 5. Fetal distress occured in 2 cases in control group and 1 case in the anesthetic group. 47 and 48 cases had good 1 minutes Apgar score(7-10) in control group and anesthetic group, respectively. 49 cases of the control group and all cases of anesthetic group had 5 minutes Apgar score over 7, which showed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f epidural

      • KCI등재

        한국여성의 융모종양의 임상적 고찰

        박성구(SK Park),김현찬(HC Kim),주영철(YC Joo),장명익(MI Chang),김태홍(TH Kim),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7

        1. 빈도 : 분만수에 대한 융모종의 발생빈도는 1:71분만(1.41%), 융모암은 1:279분만(0.36%)이었다. 2. 새로운 분류방법에 의한 융모종양의 분포는 양성융모종양 39예(52.7%), 악성융모종양 47.3%의 분포이었고 비전이성 32.4%, 전이성 12.9%이었다. 3. 연령 : 융모종의 연령분포는 생식능력이 강한 20∼34세가 대부분이라 추정된다. 4.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융모종 67예중 포상기태 38예(56.7%), 융모암 12예(17.9%), 파괴성기태 2예(3.0%), 조직불분명 15예(22.4%)이었다. 5. 양성융모종양의 임상적 증상의 기간은 2개월내가 71.8%로 대부분이었고, 증상별로 는 부정성기출혈이 35.4%, 태아심음청취불능은 11.8%, 태동을 느끼지 못하는 예 9.5% 의 순위이었다. 6. 포상기태 환자들 중 예방적 화학요법을 실시한 예는 완전소퇴율이 88.9%, 실시하지 않은 예가 66.7%로 예방적 화학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예에서 악성 융모종양으로 되는 율이 많 았다. 7. 악성 융모종양환자의 임상증상중 비전이성 악성융모종환자는 출혈 19예, 자궁팽대 4예인 반면 전이성 악성융모종환자는 출혈 16예, 출혈 6예, 무월경 6예의 순위이었다. 8. 악성융모종양의 화학요법에 의한 총괄적 치료효과는 비전이성 악성융모종양은 81.8%의 소퇴율을 보이고 전이성 악성융모종양은 54.1%를 나타내어 비전이성 융모종양의 완전소퇴율이 높았다. 9. 악성융모종양의 병리조직학적 검사소견과 화학요법의 치료효과는 파괴성기태 (100.0%), 융모암(83.3%), 포상기태(66.6%)의 순위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 전이성융모종의 화학요법에서 관찰한 증상은 소퇴 13예의 환자들중 소퇴기간은 1~2년 사이가 6예로 제일 많았으며 이들은 적어도 5년이상의 추적을 요한다. 11. 전이성 융모종양의 완전 소퇴를 위하여 소요된 투약횟수는 3회기가 5예, 2회기가 3 예의 순위이었으며 5회기도 2예나 되었다. 12. 악성융모종양의 화학요법에 있어서 발병과 투약 개시사이의 기간이 치료성적에 미 치는 영향은 4개월이내에 치료를 개시한 환자가 79.2%의 소퇴율, 4개월이상이 27.3%로 소퇴율의 큰 차이를 보였다. 13. 전이성 융모종양의 전이부위와 화학요법과의 관계는 골반내, 폐, 질의 순서이었으며 두개골 전이는 예후가 불량하였다. 14. 화학요법의 중독증상은 구강염 46예, 소화기 장애 41예, 골수기능저하 및 고열 22예의 순위이었다. 15. 화학요법 중독증상으로부터 회복되는데 소요되는 필요한 월수는 각 회기를 통하여 대부분이 3주이내에 회복되었다. 16. 비전이성 융모종양환자 및 전이성 융모종양환자들 중 화학요법 및 수술요법을 병행한 환자의 소퇴율은 단일요법보다는 좋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17. Goldstein의 분류법에 의한 소퇴율은 class 3(100%), class 2(75%), class 4(63.2%), class 5(20%)로 class가 올라갈수록 소퇴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article is the report of trophoblastic tumor treated in the gynecological ward of the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72 to December 31, 1975. Trophoblastic tumors occured once in about 71 deliveries (1.4%) and choriocarcinoma once in about 279 deliveries (0.36%). A total of 67 cases was seen with the following distributions; hydatidiform mole 39, chorioadenoma destruens 2, choriocarcinoma 17, and unknown 9. The distributions of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total 67 cases were as followings; hydatidiform mole 38 (56.7%), chorioadenoma destruens 2 (3.0%), choriocarcinoma 12 (17.9%) and unknown 15 (22.4%). The distribution of new classification of total 67 cases were as followings; benign trophoblastic tumors 39 cases (52.7%), malignant trophoblastic tumors 38 cases (47.3%) (non-metastatic T.D. 32.4% and metastatic T.D. 12.9%). The distributions of Goldstein classification of total 67 cases were as followings; class 1.39 cases, class 2, 8, class 3, 3, class 4, 19, class 5, 5 cases. Complete remission rate tends to be poo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Goldstein classification number. Patient could be seen most frequently in 20-34 age group. In 35 cases with malignant trophoblastic tumors 9 cases in 11 (81.8%), metastatic malignant trophoblastic tumors 13 cases in 24 (54.1%). Analysis of 17 metastatic trophoblastic cases treated with chemotherapy, according to histopat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100% of 2 invasive mole, 83.3% of 13 choriocarcinoma and 66.6% of 3 hydatidiform mole cases obtained complete remission. The number of courses of chemotherapy required to induce complete remissin indicated from 1 to 5 courses, with a high frequency of complete remission being induced by 2 to 3 courses. Perhap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he response to chemotherpy appeared to be the duration of the disease process prior to the onest of treatment and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 treated within 4 months of the onset of the disease revealed markedly favorable prognosis (complete remission 79.2%) and in patient treated over 4 months revealed poor outcome (complete remission 27.3%) The effect of metastatic site on response to the chemotherapy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pelvic metastases fared most favorable, pulmonary metastases were most poor. Manifestations of toxicity with chemotherapy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stomatitis (46 cases), gastrointestinal trouble (41 cases) and bone marrow depression (22 cases) in the order. The time interval required for recovery from toxicity of chemotherapy after each course showed no big difference and the great majority of patients recovered from toxicity within 3 weeks.

      • KCI등재

        산과 영역의 모성 사망율에 관한 임상적 고찰

        박춘식(CS Park),박찬용(CY Park),박창서(CS Park),이규완(KW Lee),주영철(YC J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4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66년 1월 1일부터 1977년 12월 31일까지 만 12년간 임산부 사망 총 65례를 임상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망한 임산부는 총 65명이었고 동 기간중 총 생아출생수는 14,978명이었으며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생존분만당 434.0명이었다. 2. 임산부 사망 원인으로 가장 많았던 것은 임신중독사(32.3%)였고 출혈사(24.6%), 그리고 감염사(20.0%)의 순위였다. 3. 동 기간중 전체 산모 사망의 연도별 추세로 보면 병원사(35례)와 타 병원에서 이송되었던 례(30례) 공히 다소 기복을 보여주었으나 모두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최근 2년간의 모성사망율은 16년간의 평균사망율의 3/4으로 감소되었다. 4. 임신중독증의 주요 임상적 사인은 폐수종, 급성 신부전증, 심장마비, 그리고 뇌출혈이었으며 계절별로 춘계에 다소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5. 출혈사의 주요 임상적 사인은 이완성 자궁출혈 및 자궁파열이 62.5%로 대부분이었고 그의 태반조기박리, 자궁외임신, 혈액응고부전, 유산후 출혈, 경관 손상 등이었다. 6. 감염사의 주요 사인은 폐혈성 유산이 61.5%로 제일 많았다. 7. 간접사인 14례 중 11례는 융모상피암, 2례는 심장질환, 1례는 간질환이었다. 8. 출혈사는 모두 산전관호를 규칙적으로 받은 바 없었고 임신중독증도 2례를 제외하고는 산전관호를 받은 바 없었다. 9. 임신중독증사는 1회 초산부에서 52.4%, 출혈사는 4회 이상 경산부에서 37.5%로 높은 사망률 을 보였고 감염사는 여러 연령층에서 고르게 분포되었다. 임신중독증사는 30세 미만에서 85.7%, 출혈사는 31∼35세 군에서 68.8%, 감염사는 30세 미만에서 76.9%의 빈도를 보였다. 10. 입원후 사망시간으로는 임신중독증, 출혈 및 감염으로 24시간 내에 사망했던 율은 각각 57.1%, 62.5%, 61.5%로 높았으며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임산부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임산부에게 올바른 건강교육과 산전관호의 철저, 의료인의 질적 향상, 병원시설의 확충 및 병원분만이 절대 필요하다고 본다. Clinical analysis on maternal mortality in N.M.C. was made for the period of 12 years from 1966 through 1977.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65 maternal deaths including 35 cases of hospital death and 30 cases transferea from outside were encountered among 14978 live births. Maternal mortality rate was 434.0 per 100,000 live births. 2. The leading causes of maternal deaths were toxemia(32.3%), hemorrhage(24.6%), infection(20.1%) and choriocarcinoma(16.9%) in the frequency of order. 3. Maternal mortality showed decreasing tendency down to about 75% in the recent 2 years compared with that of 16 years ago. 4. The leading clinical causes of deaths in toxemia were cardiopulmonary insufficiency, acute renal failure, heart failure and cerebral hemorrhage. 5. The leading clinical causes of deaths in hemorrhage were atonic uterine bleeding and uterine rupture. 6. The leading clinical cause of deaths in infection was septic abortion. 7. The choriocarcinoma indicate the majority of indirect causes of maternal deaths(78.6%) and the rest of causes were cardiac valvular disease(14.3%) and infectious hepatitis(7.1%). 8. All cases of deaths due to hemorrhage did not take the regular antenatal care and all cases of deaths due to toxemia except 2 cases did not, also. 9. 52.4% of maternal deaths due to toxemia occurred in para 0 state and 37.5% of ones due to hemorrhage occurred in para 4 or more state but maternal deaths due to infection showed rather even distribution in Each para state. 10. Most of the maternal deaths were considered to be preventable one(81.5%) in viewing of the medical mismanagement at local clinics in the majority of cases(41.7%) and of delayed admission(43.4%). In order to prevent avoidable maternal deaths on the base of the study, every possible efforts should be emphasized. Particularly,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the patients, high quality antenatal care, early identification of high risk patients, regular service in training of both general practioners and paramedical person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