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부인과 영역에 있어서 초음파장치의 임상적 이용 ( I )

        박찬무(CM Park),박영세(YS Park),김용철(YC Kim),박찬용(CY Park),엄승호(SH Ohm),이우홍(W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3

        저자는 자궁내 태낭의 성장속도와 태아의 성숙도 및 태아예상체중을 위한 방법으로 정상임 신부 422명중 63명에게는 태낭을 위해 1회의 초음파 단층촬영을, 359명에게는 아두대횡경치 를 위해 1회의 초음파단층촬영을 실시했고 아두대횡경치에 의한 태아 예상체중을 위해 신생 아 97명의 분만후 24시간내에 신생아 체중을 계측하여 임신월령에 따른 태아 아두 및 예상 체중의 희귀직선을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재태기간 제 5주부터 12주사이의 정상임신부에서 태낭은 제 5주에 5명중 3명에서 (66%) 제 6주는 9명중 7명에서 (77%) 최초로 태낭이 보였고 7주 이후에서는 모든 예에서 태 낭이 관찰되었다. 2. 임신재태기간 제 5주부터 12주까지 임신주수에 다른 태낭의 성장은 y=0.62 X (wks) - 1.75로 0.57cm/week의 비율로 성장한다. 3. 임신재태기간 제 11주부터 40주까지 임신주수에 따른 아두대횡경치는 y=0.27 X (wks) - 0.88로 성장하고 임신재태기간 제11주부터 20주까지는 0.34cm/week로 제 21주부터 40주까지 는 0.23cm/week의 증가율을 나타낸다. 4. 임신제대기간 제 35주부터 40주까지 각 임신주수에 다른 아두대횡경치에 의한 아두대횡 경치에 의한 태아 예상체중은 y=1.14 X (mean BPD) - 7.2(kg)로 0.16kg/week의 증가율로 나타난다. The ultrasonic measurements of fetal biparietal diameter (BPD) were obtained by real time scanning (ADR 2130) from 380 times in normal 359 pregnant women between 11th to 40th gestational weeks. Before 11th gestational weeks of pregnancy, gestational sac was measured by same method from 81 times (63cases). The results of these data were as follows; 1. the regression line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gestational sac between 5th and 12th gestational weeks; y=0.62 X (wks) - 1.75. 2. The regression line from 11th to term of biparietal diameter ; y=0.27 X (wks) - 0.88 and the growth rate of the biparietal diameter during same period (0.34cm/week) was faster than one of 21th-40th gestational weeks (0.23cm/week). 3. The expected fetal body weight was calculated from the regression line (y=1.14 X (mean BPD) - 7.2(kg)) was obtained from sonar measurement of biparietal diameter (from 35th to 40 th gestational weeks).

      • KCI등재

        산과 영역의 모성 사망율에 관한 임상적 고찰

        박춘식(CS Park),박찬용(CY Park),박창서(CS Park),이규완(KW Lee),주영철(YC J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4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66년 1월 1일부터 1977년 12월 31일까지 만 12년간 임산부 사망 총 65례를 임상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망한 임산부는 총 65명이었고 동 기간중 총 생아출생수는 14,978명이었으며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생존분만당 434.0명이었다. 2. 임산부 사망 원인으로 가장 많았던 것은 임신중독사(32.3%)였고 출혈사(24.6%), 그리고 감염사(20.0%)의 순위였다. 3. 동 기간중 전체 산모 사망의 연도별 추세로 보면 병원사(35례)와 타 병원에서 이송되었던 례(30례) 공히 다소 기복을 보여주었으나 모두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최근 2년간의 모성사망율은 16년간의 평균사망율의 3/4으로 감소되었다. 4. 임신중독증의 주요 임상적 사인은 폐수종, 급성 신부전증, 심장마비, 그리고 뇌출혈이었으며 계절별로 춘계에 다소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5. 출혈사의 주요 임상적 사인은 이완성 자궁출혈 및 자궁파열이 62.5%로 대부분이었고 그의 태반조기박리, 자궁외임신, 혈액응고부전, 유산후 출혈, 경관 손상 등이었다. 6. 감염사의 주요 사인은 폐혈성 유산이 61.5%로 제일 많았다. 7. 간접사인 14례 중 11례는 융모상피암, 2례는 심장질환, 1례는 간질환이었다. 8. 출혈사는 모두 산전관호를 규칙적으로 받은 바 없었고 임신중독증도 2례를 제외하고는 산전관호를 받은 바 없었다. 9. 임신중독증사는 1회 초산부에서 52.4%, 출혈사는 4회 이상 경산부에서 37.5%로 높은 사망률 을 보였고 감염사는 여러 연령층에서 고르게 분포되었다. 임신중독증사는 30세 미만에서 85.7%, 출혈사는 31∼35세 군에서 68.8%, 감염사는 30세 미만에서 76.9%의 빈도를 보였다. 10. 입원후 사망시간으로는 임신중독증, 출혈 및 감염으로 24시간 내에 사망했던 율은 각각 57.1%, 62.5%, 61.5%로 높았으며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임산부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임산부에게 올바른 건강교육과 산전관호의 철저, 의료인의 질적 향상, 병원시설의 확충 및 병원분만이 절대 필요하다고 본다. Clinical analysis on maternal mortality in N.M.C. was made for the period of 12 years from 1966 through 1977.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65 maternal deaths including 35 cases of hospital death and 30 cases transferea from outside were encountered among 14978 live births. Maternal mortality rate was 434.0 per 100,000 live births. 2. The leading causes of maternal deaths were toxemia(32.3%), hemorrhage(24.6%), infection(20.1%) and choriocarcinoma(16.9%) in the frequency of order. 3. Maternal mortality showed decreasing tendency down to about 75% in the recent 2 years compared with that of 16 years ago. 4. The leading clinical causes of deaths in toxemia were cardiopulmonary insufficiency, acute renal failure, heart failure and cerebral hemorrhage. 5. The leading clinical causes of deaths in hemorrhage were atonic uterine bleeding and uterine rupture. 6. The leading clinical cause of deaths in infection was septic abortion. 7. The choriocarcinoma indicate the majority of indirect causes of maternal deaths(78.6%) and the rest of causes were cardiac valvular disease(14.3%) and infectious hepatitis(7.1%). 8. All cases of deaths due to hemorrhage did not take the regular antenatal care and all cases of deaths due to toxemia except 2 cases did not, also. 9. 52.4% of maternal deaths due to toxemia occurred in para 0 state and 37.5% of ones due to hemorrhage occurred in para 4 or more state but maternal deaths due to infection showed rather even distribution in Each para state. 10. Most of the maternal deaths were considered to be preventable one(81.5%) in viewing of the medical mismanagement at local clinics in the majority of cases(41.7%) and of delayed admission(43.4%). In order to prevent avoidable maternal deaths on the base of the study, every possible efforts should be emphasized. Particularly,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the patients, high quality antenatal care, early identification of high risk patients, regular service in training of both general practioners and paramedical personne

      • KCI등재

        분만 예에 있어서 모성건강기록의 임상통계학적 분석 ( II )

        박인서(IS Park),이규완(KW Lee),조명준(MJ Cho),박찬용(CY Park),박창서(CS Park),차인환(IW Cha)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3

        1980년 2월1일부터 1980년 7월31일까지 만 6개월간 국립의료원 산과에 입원, 분만한 총 551 예를 대상으로 분석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분만 551예중 초산부가 287예(50.63%) , 경산부가 271(49.37%)이었다. 2. 산전 산모의 상태는 합병증이 없는 경우가 397예(71.24%)로 가장 많고 합병증이 있는 경 우는 임신성 고혈압 54예(10.15%) 생식기 및 골반의 이상이 20예(3.76%), 감염이 13예(2.44%) 및 산전 질출혈이 12예(2.26%)순이었다. 3. 분만 방법은 정상 질식분만이 333예(60.84%)로 가장 많고 기계분만 113예(20.58%) 및 제 왕절개술 93예(16.94%)의 순이었다. 4. 분만 중 합병증은 분만지연이 24예(초산 19예, 경산 5예)로 가장 많았고 태반계류가 15예 (4:11), hypotonic uteruie contraction 이 8예(5:3) 전치태반 7예(3:4)의 순이었다. 5. 총 분만 549예중 일반 전공의 (인턴)가 분만을 시술한 경우는 45예(8.20%)로 초산모 8예, 경산모 37예이며 나머지 502예(91.44%)는 산부인과 전공의 (레지던트)이상이 시술하엿다. 6.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은 제왕술의 기왕력이 36예(38.70%)로 가장 많고 이상태위 13예 (13.98%), 전치태반 8예(8.60%)의 순이었다. 7. 신생아의 평균 1분 Apgar score는 7.65±1.07이었으며 5분 Apgar score는 7.68±1.54이었 다. 8. 평균 신생아 체중은 3125.22±598.78gm이었으며 초산은 3054.07±587.21gm이었고 경산은 3194.62±603.73gm이었다. 9. 산후 합병증은 치료를 요하였던 산욕열이 18예로 제일 많았고 치료를 요하였던 산후출혈 6예, 요로감염증 6예, 봉합술파열 1예의 순이었다. 10. 총 분만 551예 중 모성 사망은 한 예도 없었으며 신생아 사망률 은 1000명당 42.11이었다. This is a review of 551 cases of delivered women in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Feb. 1 to July 31, 1980. Maternity record which was designed by Korean Institute for Family Planning was checked for all delivered cases The results of these material were as follows; 1. The times of mean antenatal visit was 3.05±2.84, gestational weeks; 39.11±3.94, Hb. level ; 10.53±1.87gm%, mean age ; 28.05±3.95 year and mean educational duration 10.82±1.76 years. 2. The incidence of primary antenatal complications was 28.76% in 532 cases, of which hypertensive disorder was most one (10.15%). 3. The methods of deliveries were as follows; spontaneous viaginal delivery ; 334 (60.84%) operative one 113(20.58%) and C-section 93 (16.94%). 4. Of 82 cases of intrapartum complications, prolonged labor was major one (24 case) others were as retained placenta hypotonic uterine contration and placenata previa. etc. 5. Majority of attendant at delivery was resident or staff (91.44%). 6. Indications for cesarean section revealed as previous history of cesarean section (38.70%), malpresentation (13.98%), placenta previa (8.60%) and so. 7. The mean Apgar score at one minute was 7.65±1.07 and at 5 minutes after birth 7.68±1.54. 8. The mean body weight of newborn was 3125.22±598.78gm 9. of analized 542 cases, 42 cases had postpartum complications as purepheral fever, postpartum hemorrhage and urinary tract infection. 10.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42.11 per 1000 infants delivered, but maternal one was zero.

      • KCI등재

        인삼덱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고찰

        박인서(IS Park),박찬용(CY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3

        결론 1979년 7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개복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 중 80명을 선택하여 그 중 50 명에 인삼덱스 2ml(인삼 600mg에 해당)을 수술 후 10일간 근육주사하고, 3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치료 전후의 혈액성상 및 체 중,혈압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혈색소치, hematocrit치, 백혈구수는 대조군 및 치료군 공히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혈청 총 단백량과 albumin량은 치료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형당은 양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혈청 총 cholesterol치는 치료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5.체중 및 혈압은 양군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6.부작용은 전무하였다. The effects of Insamdex on postoperative rexovery in gynecologic patients were studied during July to October, 1979. 2ml of Insamdex containing 600mg of ginseng was given intramuscularly for 10 days after laparotomy in 50 patients and 30 patient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Hemoglobin, hematocrit, leukocyte, serum total protein, albumin, glucose, total cholesterol,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Changes in hemoglobin, hematocrit,and leukocyte count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groups. 2.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eated group. 3.Change in serum glucose was not significant in both groups. 4.Serum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reated group. 5.Changes in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group. 6.The side effect was nil.

      • KCI등재

        제왕절개수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경태(KT Kim),박찬용(CY Park),송인철(IC Song),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12

        1967년 1월초부터 1976년 12월말까지 만 10년간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제왕절개술 1121예중 의무기록이 만족스러웠던 705예에 대한 임상통계학적 고찰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총분만수 12,742예중 1121예로 8.8%에 해당되었으며 이중 의무 기록이 만족스러웠던 705예에 대한 빈도는 5.5%에 해당되었고 대체적으로 매년 증가하 는 추세이었다. 2)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은 아두골반불균형이 27.5%로 가장 많았으며 반복제절24.5%, 태위이상 16.5%, 전치태반8.8%, 태아절박증 6.1%등의 순위이었다. 3) 일반적으로 임신중독증 자체만으로는 제절의 적응증이 되지 못하였으나 (자간전증 4.6%, 자간증 25%) 태반성질환 즉 전치태반은 48.6%, 태반조기박리는 16.4%에서 제절 을 행하여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4) 술식의 종류로는 자궁경부횡절개술이 663예(94.0%), 자궁체부종절개술 38예(5.4%), 제왕절개자궁척출술이 4예(0.6%)이었다. 5) 마취방법은 전신마취 610예로 86.5%, 전신마취 및 국소마취가 91예(12.9%), 척수마 취가 4예(0.6%)이었다. 6) 신생아 체중 별분포는 3,001∼3,500gm군이 268예로 37.0%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 며 미숙아는 87예로 12.1%이었고 성숙아는 636예로 87.9%이었다. 7) 총주산기사망은 59예로 주산기사망율은 8.3%이었으며 사산 37예, 신생아사망 23예의 분포이었고 미숙아군이 32예로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8) 모성사망은 3예로 0.43%에 해당되었다. 9) 제왕절개술과 병행된 수술예는 292예로 41.4%에서 시행하였고 난관피임수술이 233 예(79.9%)로 가장 많았고 충수적출술이 6.9%, 난소난관적출술이 3.4%의 순위이었다. 10) 수술중 출혈량은 평균 600cc이었고 500cc이하가 63.9%이었다. 11) 모성합병증은 이환율이 29.8%이었고 가장 빈번한 증상은 원인불명의 고열이 44.2% 이었고 뇨로감염증이 22.8%, 복부창상감염이 14.8%등의 순위이었다. The rise in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has been noteworthy in many areas of our country since mid of 1960s. There are several reasons, but basic justification lies in lowering of maternal mortality with an increasing fetal salvage rate as compared with certain operativr procedures of vaginal delivery.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carried out based on the clinical charts of patients who had 705 Cesarean sections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Pbstetricw & Gyne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67 to December 197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esarean section rate was 5.5% in 12,742 total deliveries. It has been a tendency to gradual increment. 2. the indications for Cesarean section were cephalo-pelvid disproportion (27.5%) that was most prevalent, repeat section(12.5%), malpresentation(16.5%),placenta previa(8.8%), fetal distress(6.1%)and so on. 3. There was no absolute indication of Cesarean section rate in toxemic pregnancy, but high rate was noted in antepartum hemorrhage cases such as placenta previa(48.6%) and abruptio placentae(16.4%) 4. Low cervical section was performed in 94.0%, classical section in 5.4% & Cesarean hysterectomy in 0.6% 5. Types of anesthesia was general(86.5%), local and general(12.9%) and spinal (0.6%) 6. The weight group of 3,001-3,500g, comprised of 37.0% of all newborns. In comparison with prematurity and maturity, prematurity was 12.5%, and mature infant was 87.9%. 7.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8.3%. Its main carses were prematurity, abruptio placentae and so on. 8. Them were 3 maternal deaths in 12,742 pregnant woman, and a mortality rate was 0.43%. 9. Of 292 combined operations with Cesarean section, tubal ligation(79.9%), appendectomy(6.9%), and salpingooophorectomy(3.4%) were noted. 10. Average blood loss during operation was estimated about 600cc and blood loss under 500cc was observed in 63.9%. 11. Among the complication of Cesarean section, puerperal fever was the most frequent(44.2%), urinary tract infection(22.8%), abdominal wound infection(14.8%) and so on.

      • KCI등재

        산부인과 영역에 있어서 패혈증의 임상적 고찰

        이규완(KW Lee),박찬용(CY Park),박창서(CS Park),박완석(W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4

        1970년 1월1일부터 1979년 12월31일까지 만 10년간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입원가료를 받 았던 환자 17114명 중 폐혈성 쇼크로 진단받고 치료하였던 42예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 다. 1. 폐혈성 쇼크의 발생빈도는 0.25%이었으며 년령분포는 26-30세군이 12예(29%)로 가장 많 았고, 31-35세군이 3예의 순이었다. 2. 폐혈성 쇼크의 원인적 질환을 보면 유산 수술후가 31예로 74%를 차지하였으며 산욕열 5 예, chorioamnionitis 3예, 수술후 감염 3예, 신우신염 1예 등이었다. 3. 임신 주 수에 따른 분포를 보면 34예중 20예에서 중기 임신의 유산으로 59%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4. 분만과 인공유산의 개조자에 따른 분포는 일반의가 21예(50%) 전문의 5예, 조산원 5예, 무자격 조수 5예 환자나 그 가족이 5예이었다. 5. 본원 내원시의 주소들은 오한, 고열, 빈맥, 호흡곤란, 질출혈, 하복통, 저혈압 등이었다. 6. 사망률 은 42예중 15례로 35.7%를 나타내었으며, 사망요인을 추정하여 급성신부전, 폐수 종, 혈액응고부전증, 심부전 등이었다. 7. 치료는 내과적 치료를 주로하였던 예가 23예(54.7%)이었고, 외과적 치료가 19예에서 실시 되었으며 소파술이 12예, 자궁적출술이 3예 등이었다. 1. The incidence of the septic shock was 0.25% Twenty six to 30 year old group was most frequent and 31 to 35 year group followed them. 2. Underlying diseases of the septic shock were 31 cases of induced abortion 5 cases of puerperal infection 3 cases of chorioamnionitis and postoperative infection and one cases of pyelonephritis on order. 3. Majority of the cases belonged to the second trimeter, having incidence 59% in 34 pregnant cases. 4. The distribution of attendant of delivery and artificial abortion was as followings ; General physician 21 (50%), Obstrician 6, Midwife 5, Unqualified assistant 5, patients and without care 5. 5. Chief complaints on admission were fever, chilling, tachycardia, dyspnea, vaginal bleeding, lower abdominal pain, and hypotension in decreasing order. 6. The positive result for becterial culture were following such as 30.5% in blood culture, 16.6% in urine culture and 56.6% in vaginal discharge culture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organism was E.coli and the other were pseudomonas and proteus, etc. 7. The mortality rate was 35.7%(15/42) The causes of death were, acute renal failure, pulmonary edema, coagulation defect, and haert failure the leading treatment of patients were medical treatment 23(54.7%) and surgical 19 (45.3%)

      • KCI등재

        Krukenberg 종양 18예

        김경태(KT Kim),박찬용(CY Park),송인철(IC Song),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2

        There is a high incidence of carcinoma of the stomach in Korea and it has lead to the general impression that there are large number of Krukenberg Tumor . Eighteen Krukenberg Tumor among 980 cases of ovarian tumors were found in the hospital records at National Medical Center for 18 year from Jan. 1959 to Dec 1976. The results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the Krukenberg Tumor among ovarian tumor (980 cases ) and malignant ovarian tumor (149 cases) were 1.8 percent, 12.1 percent respectively. 2. Average age was 43 years with range of 19 to 63. 3. Clincal symptoms and signs were abdominal pain and distension, abdominal mass, ascites menstrual irregularity and GI symptoms in order of frequency. 4. Abdominal pain and mass in 12 cases was present for 1 to 5 months before diagnosis. 5. Primary site of carcinoma was found in the stomach in 12 cases breast in a case and colon in one cases. 11 patients (61.1 percent) were bilateral.

      • KCI등재

        악성 난소종양 환자의 혈청내 LDH황성도에 관한 연구 ( 제1보 )

        김용철(YC Kim),조성진(SJ Cho),박찬용(CY Park),이우홍(W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4

        혈청내 LDH치와 난소암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71예의 양성 난소종양의 혈청내 LDH는 평균 187.2 18.2 units로 정상군(241.4 21.0 unit)보다 높지 않았다. 2.13예의 양성골반 내 질환에서도 176.8 48.7unit로 특이한 사항은 없었다. 3.악성 난소암 13예의 수술 전 혈청내 LDH치는 정상보다 평균 2.6배(624.1 51.5 unit)ㄹ 증가를 보였으며 적절한 처치를 시행 치 않고 단지 시험개복만을 행하였던 2예에서는 수술 후 혈청내 LDH치는 (625/476,620/528 unit) 수술 전 보다 상승되는 경향을 보였다. 4.침윤성 자궁경부암 11예의 경우 LDH는 209.5 21.1 unit로 정상과 차이를 발견 할 수 없었으나 융모성 상피암 5예의 편균 LDH 치는 442.8 69.6 unit로 정상 보다 증가되어 있다. The incidence and prognosis of ovarian cancer were variable. Recently the diagnostic methods of other gynecologic malignancy such as cervical cancer and choriocarcinom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ut unfortunately there was no effective secreening techinques available to detect the ovarian cancer in the early siage. In addition to variable familial methods for evaluation of ovarian cancer, biochemical investigations as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lpha-fetoprotein and lactic gehydrogenase were attempted. These studies were designed to gind correlation between serum-LDH activity and ovarian cancer. 97 patients who were impressed as ovarian tumor were checked by means of routine studies and serum-LDH at National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77 to December 1979. The results were as follews: 13cases with ovarian cancer gad a signigicant elevated level of serum-LDH(mean; 642.1 51.5 unit) and which dropped agter proper managemen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erum-LDH level and voth cases of benign ovarian tumors (mean; 187.2 18.2 unit) and other benihn pelvic masses (mean; 176.8 48.7 unit), but other gynecologic malignancier had a normal or rather elevated value of serum-LDH in contrast to normal group (cervical cancer; 209.5 21.1 unit, choriocarcinoma; 422.8 69.6 unit).

      • KCI등재

        산과영역에 있어서 지속성 경막외마취에 관한 임상적 고찰

        조성진(SJ Cho),주경란(KR Joo),박찬용(CY Park),김경태(KT Kim),송인철(IC Song),주영철(YC Joo),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5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78년 1월 초부터 1978년 8월 말까지 산과적 합병증이 없었던 산모 100명을 정상 산모군 50예와 경막외마취 시행군 50예로 나누어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산모의 분만회수별 분포는 대조군에서 초산부 26예, 경산부 24예이었고,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는 초산부 30예, 경산부 20예였다. 연령별 분포는 각각 공히 26∼30세군이 제일 많은 분포이었다. 2. 분만 제1기의 기간은 초산부에서는 자궁개대가 5cm 이하인 경우 및 5∼10cm인 경우 대조군은 각각 460.5±36.18분, 165.9±19.67분이었고,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는 각각 480.3±32.43분, 158.5±18.39분이었다. 경산부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각각 228.8±23.46분, 77.5±13.24분, 경막외마취 시행군의 경우 각 216.3±24.17분, 104.0±14.31분을 보여 초산부에서는 경막의 마취 사용할 때 분만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분만 제2기의 기간은 초산부에서 대조군이 48.0±6.62분, 경막외마취 시행군이 96.2±13.15분이었고 경산부에서는 각각 20.1±1.79분, 54.8±3.73분을 보여 분만 제2기의 기간은 경막외마취 시행시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4. 객관적 및 주관적 점수를 합하여 측정한 경막외마취의 효과는 0∼4(Good)군이 42예(84.0%), 5∼8(Fair)군이 7예(14.0%), 9∼12(Poor)군이 1예(2.0%)로 경막외마취 사용할 때 무통분만의 큰 효과를 볼 수 있었다. 5. 태아절박증은 대조군에서 50예 중 2예(4.0%),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 50예 중 1예(2.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1분 Apgar 평점은 7-10점군이 대조군 50예 중 47예, 경막외마취 시행군 50예 중 48예이었고 5분 Apgar평점은 7-10점군이 대조군 50예 중 49예, 경막외마취 시행군 50예 전례로서 경막외마취가 태아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 분만형태는 대조군에서는 정상분만 42예(84.0%), 흡인분만 5예(10.0%), 제왕절개술 3예(6.0%)이었고,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는 각각 25예(50.0%), 23예(46.0%), 2예(4.0%)를 보여 경막외마취 시행시 흡인분만의 빈도가 4.6배 증가하였다. 7. 경막외마취 시행 후 진통효과는 평균 12.3±5.4분에 나타났으며, 약 반수(48.0%)에서 11∼15분 사이에 진통효과가 나타났다. 8. 총 lidocaine사용량은 분만 제1기에 144.3±21.7mg, 분만 제2기에 120±8.3mg이었고, 일회 투여량에 의한 진통효과의 지속기간은 각각 52.4±9.4분, 66.2±3.5분이었다. 9. 분만소요기간은 태아의 체중 Clinical research was made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continuous epidural analgesia on labor in 50 cases of uncomplicated pregnancies in comparison with 50 cases of control group who did not undergo analgesia during labor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rom January to August, 197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ntrol group, 26 women were primipara and 24 women were multipara, while 30 women were primipara and 20 women were multipara who underwent labor and delivery under epidural analgesia. The most common maternal age ranged from 26 to 30 in both groups. 2. D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labor was measured subdividely according to the extent of cervical dilatation, which revealed shortening of labor in primipara under epidural anesthesia. It took 460±36.18 minutes until cervix dilated to 5cm and 165±19.67 minutes over 5cm to full dilatation in the control primipara. It was 480±32.43 and 158±18.39 minutes in primipara under epidural anesthesia, respectively. In the multipara, it took 228.8±23.46 minutes and 77.5±13.24 minutes in the control group and 216.3±24.17 and 104±14.31 minutes in the anesthesized group. 3. Duration of the second stage of labor was lengthened in anesthetic group. While it took 48.0±4.62 minutes in the control primipara and 96.2±13.15 minutes in the women under anesthesia, it was 20.1±1.79 minutes in the control multipara and 54.8±3.73 minutes in the multipara under the epidural anesthesia. 4. Subjective and objective scoring were applied to evaluate the extent of pain relief in anesthetic group: 42 women(84.0%) had good score(0-4), 7(14.0%) fair score(5-8) and only one(2.0%) poor score(9-12). 5. Fetal distress occured in 2 cases in control group and 1 case in the anesthetic group. 47 and 48 cases had good 1 minutes Apgar score(7-10) in control group and anesthetic group, respectively. 49 cases of the control group and all cases of anesthetic group had 5 minutes Apgar score over 7, which showed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f epidural

      • KCI등재

        양수내 Creatinine치에 관한 연구

        김영석(YS Kim),민병철(BC Min),이명아(MA Lee),박창서(CS Park),박찬용(CY Park),조성진(SJ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10

        정확한 태아 성숙도 판정을 위해서 임신 제 35주에서 제 41주까지의 정상임부 35례, 자간전 증을 합병한 임부 28예에서 양수와 모체혈청의 creatinine concentration측정 및 shake test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그리고 전례에서 호흡장해증후군의 발생을 관찰하여 위의 검사결과에 입각한 태아 성숙도 판정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양수내 creatinine concentration 및 AF/MS비는 정상임신군 및 자간전증군에서 임신주수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다. 2. 자간전증군의 양수와 모체혈청 creatinine concentration 및 평균 AF/MS비는 정상임신군의 수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태아 성숙기준을 임신 제 37주이상으로 정하였고 양수 creatinine concentration 2.0mg%이 상, AF/MS비 2.5이상 그리고 positive shake test를 성숙기준으로 선택할 때 ,그 정확도는 정 상임신군에서는 85.7%, 82.9% 88.9%이었고, 자간전증군에서는 89.3% 95.7% 92.9% 이었다. 그리고태아체중 2500g을 성숙기준으로 하고 똑같은 방법으로 예측한 태아 성숙판정의 정확 도는 정상임신군에서는 88.6% 91.4% 85.7% 이엇고, 자간전증군에서는 75.0% 78.6% 75.0%ㅇ 었다. 4. 총 7예의 신생아에서 신생아 호흡장해증후군이 발생했는데 4례는 정상임신군에서 3례는 자간전증군에서였다. Accurate estimation of fetal maturity is neccessary where termination of pregnancy before term is indicated. To predict the fetal maturity creatine concentration of amniotic fluid and maternal serum were measured and shake test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e 35 normal pregnancy women and 28 preeclamptic women between 35 to 41 gestational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reatinine concentration of amniotic fluid and aminiotic fluid/maternal serum concentration of creatinine (AF/MS) ratio increased gradually related to gestational weeks in normal and preeclamptic pregnancy. 2. The mean amniotic fluid and maternal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 and the mean AF/MS ratio in preeclamptic pregna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f the the normal pregnancy. 3. Assuming a creatinine concentration 2.0mg% or greater in the amniotic fluid, AF/MS ratio of 2.5 or greater and positive shake test to corespond with 37 weeks of gestational age, the accuracy in predicting fetal maturity was 85.7%, 82.9% and 88.9% in normal pregnancy and 89.3% , 95.7% and 92.9% in preeclamptic pregnancy, respectively. Assuming same indication to correspond with 2500 mg of fetal weight , the accuracy in predicting fetal maturity was 88.6%, 91.4% and 85.7% in normal pregnancy and 75%, 78.6% and 75% in preeclamptic pregnancy, respectively. 4. Total 7 neonates develop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four in normal group and remainder in preeclamptic pregnancy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