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음적 형태 공간의 이용 실태 분석과 속성에 관한 연구

        정연무,박성룡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공간에서 건축물과 시설물들이 설치되면서 생성되는 틈, 구석, 간격, 구멍과 같은 음적 형태 공간은 주로 쓰레기 폐기나 사유물의 적치 장소로 이용되며 보행을 방해하거나 미관을 해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문제가 심각한 장소는 관계 기관이 단속과 계도를 하지만 그 효과는 크지 않으며, 이용자에게 바람직한 대응은 아니라고 보았다. 따라서 공간 구성과 인식의 관점으로 전환한 방법적 제시를 통해 대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음적 형태 공간의 형성 원리와 현장에서 발생되는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속성을 밝혀봄으로써, 향후 공공 환경의 기획과 디자인 과정에서 생겨날 수 있는 음적 형태 공간의 형성과 유발 행위를 사전에 예측하고 조절하여 긍정적인 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초 자료의 발굴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현장 관찰 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대입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었다. 관찰 조사는 보행 가로 공간에서 발견된 음적 형태 공간을 이용한 흔적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음적 형태 공간의 개념과 4가지의 구조적 유형을 정의하고 물체 표상에 따른 행동 반응과 시각적 경험의 회상 처리 기제에 대한 지각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현장 관찰 조사에서 수집한 행위 흔적과 행동 자료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연구를 통해 음적 형태 공간의 구조적·행위적 유형과 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종합하여 지각 과정에 따라 정리하였다. (결과) 음적 형태 공간은 6가지의 조합 구조와 폐쇄도에 따른 4단계의 구조적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용 유형에 따라 폐기·수납의 2가지 행위적 유형과 숨김·고정·맞춤의 3가지 세부 특성을 추출하였고 폐쇄성·적합성·확산성의 3가지 활용 속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내용을 종합해 지각 과정에 따라 정리한 결과, 행위자의 목적과 음적 형태 공간의 행위적 유형이 일치할 때 양 뱡향 지각이 이루어지며 4가지의 구조적 유형과 5가지의 활용 속성의 상호 관계에 따라 구체적인 행위가 선택되고 이로 인해 남은 흔적이 음적 형태 공간을 재생성하며 순환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음적 형태 공간은 입체물이 배치되면서 필연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그러나 폐쇄도가 낮은 열린 공간일수록, 이용되는 사물의 크기나 형태가 수용될 수 없거나 고정·맞춤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일 때 활용 빈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공간에 시설물을 구성할 때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이 억제될 수 있도록 배치하거나 반대로 특정한 영역에 의도적으로 음적 형태 공간을 조성하여 이용자의 활용은 유지하되 미관을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을 대신해 음적 형태 공간을 이용하도록 한다면 추가적인 시설물의 설치 없이도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공공환경의 기획과 디자인 과정에서 구조·시설물의 구성과 배치에 적용되어 불필요한 규제 없이도 깨끗하고 쾌적한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Based on the perception theory of the behavioral response and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object’s representation, negative form space such as gaps, corners, and holes created by buildings and facilities in public space is used mainly to store garbage or private things. It blocks the way and gives a bad image. I tried to find alternatives by changing the perspective of space composition and 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inciple of negative form space and its usage in the field and to identify basic data that can be predicted and adjusted to serve a positive function. (Meth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zing data collected through field observations. Observations were made on the traces using the negative form space found in the walking space. The concept of negative form space and the four structural types were defined through a theoretical study. I tried to find alternatives to using the facilities in public space for garbage and storage of private things by changing the perspective of space composition and cognition. (Results) The negative form space was divided into six types of combination structures and four structural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losure. Thre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wo behavioral types—hidden, fixed, and custom—were extracted and three utilization attributes—closure, conformity, and diffusion—were derived. The perception of the duality was made when the actor 's purpose and the behavioral type of the negative form space coincided, and a relationship was perceived between the four structural types and the five attributes. As a result, the remaining traces are reproduced and recurrently spread the negative form space. (Conclusions) The negative form space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because it is inevitably formed when objects are placed. In an open space the utilization frequency is lowered when the frame or shape is unacceptable or is not suited to fixing and alignment purposes. When constructing the facilities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negative form space, or it can be intentionally created in a specific space, so that the users’ utilization of the space can be maintained. If one uses a negative form space instead of a facility, it will be possible to utilize the space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facil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structures and facilities in the public environment during the planning and design process;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create a clean and comfortable space without unnecessary regulation.

      • KCI등재

        식도 조직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호산구 식도염의 임상적 의의

        정연무 ( Youn Mu Jung ),이혜승 ( Hye Seung Lee ),이동호 ( Dong Ho Lee ),정유정 ( You Jeong Jeong ),최태혁 ( Tae Hyuck Choi ),이상협 ( Sang Hyub Lee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ok Hwang ),김진욱 ( Jin Wook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5 No.3

        목적: 호산구 식도염은 식도에 호산구가 심하게 침윤하여 삼킴 곤란이나 음식 막힘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만성적인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나라 식도 조직 검사상 호산구 식도염의 발견율과 임상 특징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서울대병원에서 2006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식도 생검을 받은 환자들의 조직소견을 후향 분석하여 고배율에서 20개 이상의 호산구가 관찰될 때 호산구 식도염이라 정하였고 각 환자들의 임상 특징과 내시경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과: 2년 8개월간 내시경 식도 점막 이상으로 식도 생검을 받은 환자 1,609명 중 7명(0.4%)에서 고배율당 20개 이상의 호산구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심와부 동통, 역류증세 및 소화장애 등의 비특이적인 소화기 증상과 백색 삼출과 백색 결절, 식도 용종 및 식도 비후증 등의 내시경 소견을 보였다. 결론: 생검을 시행한 환자들의 후향적인 식도 조직 재검토 결과 0.4%에서 호산구 식도염이 발견되었고, 임상 양상과 내시경 소견은 비특이적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호산구 식도염의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때 만성적인 삼킴 곤란 증상이 있거나 특히 산 억제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역류성 식도염 환자에서 호산구 식도염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세심한 진단 접근 및 식도 생검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향후 대규모 전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Eosinophilic esophagitis (EE)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characterized by abnormal dense eosinophilic infiltration of esophageal mucosa and results in dysphasia and food impaction. EE is being increasingly recognized in adults. The prevalence is largely unknow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etection rate of EE diagnosed based on pathologic criteria and to def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E in Korea. Methods: We reviewed biopsy specimen of the 1,609 patients who underwent esophageal biopsy from January 2006 till August 2008. The presence of more than 20 eosinophils per high power field in biopsy specimens was considered cases of EE. Clinical information and endoscopic findings were obtained. Results: 7 (0.4%) patients were diagnosed as EE based on pathologic criteria retrospectively. Clinical symptoms were epigastric pain (43%), regurgitation (29%), dyspepsia (14%), and no symptom (14%). Endoscopic findings were whitish exudates or granules (57%), esophageal polyp (29%), and hyperemic change (14%). Two patients received treatment. One patient with bronchial asthma improved after treatment with inhaled corticosteroid, and one patient improved after 8 week proton pump inhibitor therapy. Conclusions: Eosinophilic esophagitis was found in 0.4% of the total esophageal biopsied cases. Our results suggest that Korean patients with eosinophilic esophagitis showed symptoms mimicking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atypical endoscopic findings. Therefore, regardless of the gross appearance of the mucosa, meticulous diagnostic approaches are needed for patients with swallowing difficulty and lack of response to proton pump inhibitor.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162-168)

      • KCI등재

        Depth Jump 시 하지 관절 상해에 관한 운동역학적 분석

        소재,김윤지,이종희,서진희,정연,김광기 한국운동역학회 2005 한국운동역학회지 Vol.15 No.1

        J. M. SO, Y. J. KIM, J. H. LEE, H. J. SEO, Y. O. CHUNG ? K. K. KIM. The analysis of lower extremities injury on depth jump.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ol. 15, No. 1, pp. 127-142, 2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biomechanics of the lower extremities injury the heights(40cm, 60cm, 80cm) of jump box as performed depth jump motion by 6 females aerobic athletes and 6 non-experience females students. The event of depth jump were set to be drop, landing and jump. The depth jump motions on the force plate were filmed using a digital video camera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cinematography and force plat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1. The landing time of skill group was shorter than unskill group at 40cm, 60cm drop height during drop-landing-jump phase especially. The landing time of 60cm drop height was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p<.05). 2. The peak GRF of sagittal and frontal direction following drop height improve was variety pattern and the peak vertical force of 40cm drop height was significantly(p<.05). 3. The magnitude of peak passive force was not increase to change the drop height. 4. The peak passive forces was significant at 40cm drop height between two groups(p<.05)

      • SCOPUSKCI등재
      • 에어로빅댄스 지도자들의 경력에 따른 신체구성 및 체력요인의 비교 분석

        서진희,정연,소재 建國大學校 敎育硏究所 2003 論文集 Vol.27 No.-

        this study was to analyze leader career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subjects were 3 groups for careers(below 1-5, 6-10, and above 11 yeats). The following conclusion are supported by findings of this study: 1. On the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by leader careers, It didn't show th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2. On the comparison of physical fitness by leader careers, It didn't show th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