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태국 유학생의 한국어 숙달수준, SNS 활용수준 및 자아효능감이 대학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른렁파차리 ( Roenrerng Patcharee ),이종연 ( Jong Yeon Lee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5 No.-

        최근 국내 대학들은 급증하고 있는 외국 유학생들의 대학교육 만족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그들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외국 유학생들의 대학교육 만족도는 그들의 국적 및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태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어 숙달수준, SNS 활용수준 및 자아효능감이 대학교육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태국 유학생을 위한 대학교육 만족도 신장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현재 전국 대학에 재학 중인 태국 유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한국어 숙달수준과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소속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아효능감은 한국어 숙달수준에 비해 대학교육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SNS 활용수준은 대학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태국 유학생들의 자아효능감 및 한국어 숙달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은 태국 유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를 높여 그들을 한국에 지속적으로 유치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the number of Thai students is especially increasing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it is needed to arrange a strategy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 education provided by the university they belo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ai student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 SNS use and self-efficacy on their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and to make suggestion to improve i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ne hundred twenty five Thai students in college in South Korea. They have been given an online survey to measure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 SNS us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Korean proficiency level and self-efficacy of Thai stud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However, their SNS use had hardly significant influence on it. Thus,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pecific action plan to improve Thai students`` Korean proficiency level and self-efficacy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 A Cultural Trend and the Demands of a Society Determine College and University Curriculum

        Sohn, Tae-Kun 建國大學校 敎育硏究所 1982 論文集 Vol.6 No.-

        大學 敎育課程의 內容과 開發은 文化的 傾向과 한 社會의 要請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추정하여, 本 論文은 大學敎育課程 開發의 價値性과 必要性을 결정하는 몇 가지 文化的 및 社會的 要因들을 연구하는 데 力點을 두었다. 타바는 그의 일곱 가지 階段의 敎育課程 計劃에서 敎育課程 內容은 社會와 文化的 現實들과 補助가 맞아야 된다고 論及했다. 이런 觀點에서 敎育課程 內容을 일반적으로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哲學的 質問들의 順序로 이루어지는 것을 認知할 수 있다. 첫째, 누가 敎育이 되어야 하느냐, 둘째, 學習者 集團들에게 어떠한 敎育的 經驗을 제공하여야 하느냐, 세째, 현재 大學들은 그전만큼 좋으냐, 네째, 어떻게 하면 個體的인 學習者들의 要求를 충족할 수 있느냐, 다섯째, 學習經驗들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學校는 지나친 점들이나 혹은 가야 할 지점까지 갔느냐, 그리고 여섯째는 努力만큼 敎育課程을 改善할 價値가 있느냐는 것이다. 本 硏究의 槪念的인 準據로서 筆者는 베나볼의 大學 敎育課程을 開發하는 데 考慮되는 다음의 네 가지 基本的인 要素들을 사용하였다. 1) 學習者, 2) 課題, 3) 學習過程, 4) 敎育機關이다. 本 論文의 內容은 대개 처음에 文化·社會·敎育과 敎育課程의 用語들을 定義하고 다음에 韓國·美國·나이제리아와 브라질 4개국의 적절한 敎育課程을 결정하는 文化的 傾向과 社會的 要求들을 敎育課程開發의 네 가지 本質的인 要素들로 준거하여 비교·검토하였다. 다음은 위의 4개국에 대해서 몇가지 敎育課程 模型들을 소개하고, 또한 첨가해서 大學院 專門敎育에 영향을 줄 수 있는 敎育 모델을 소개·논의하고 世界敎育을 추구하는 博士學位 過程硏究生을 위한 하나의 敎育過程 模型도 다루어 보았다. 本 論文을 통한 硏究의 結果, 筆者는 敎育過程開發과 變化는 확실히 文化的 傾向과 社會의 要請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觀察할 수 있었다. 네 나라를 비교해 볼 때, 美國에 있어서는 敎育課程이 文化的 그리고 社會的 必要性에 근거하여 발전하고 변화한 것을 분명히 볼 수 있었다. 그외 다른 세 나라에서도 일반적으로는 같은 證據들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이들의 고등교육 敎育課程의 修正과 變化는 傳統性에 속박되어 있는 경향이 많고, 發展過程에 있어서도 體制性이 미약하고 또한 그 速度도 매우 완만한 것을 認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3개국은 또한 共通的으로 각기의 特殊性을 보여 주었다.

      •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정인재,우정호 建國大學校 敎育硏究所 1988 論文集 Vol.12 No.-

        지금까지 사범대학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상황적 문제점을 해소하고 교직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확보하는 길은 교과교육 과목의 개발에 있으며, 이는 원천적으로 각 교과교육학으로부터 연역되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수학교육학의 학문적 특성을 개관하고 그에 비추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수학교육과 교육과정 분야를 제시하여 보았다. 한편으로 아직도 일천한 수학교육학을 거론하면서 그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한 수학교사 교육 커리클럼에 대해 논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닌 것 같다. 본고는 극히 제한된 자료를 근거로 그것도 충분한 사고를 거칠 시간적 여유를 갖지 못한 채 제시된 것으로 관점이 지극히 빈약하고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점을 빠뜨리고 있음에 틀림없다고 생각된다. 끝으로 한 가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사번대학 수학교육과 장래는 무엇보다도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수단에 의해 결정적으로 좌우되리라는 점이며 진정한 교육 활동이란 자신의 정직한 확신에 따라 교육에의 바른 길을 더듬어 찾아가는 것이란 점이다.

      • 문화적(文化的) 경향(傾向)과 사회적(社會的) 요청(要請)에 의(依)한 대학교육과정결정(大學敎育課程決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손태근 ( Tae Kun Sohn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1982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6 No.-

        大學 敎育課程의 內容과 開發은 文化的 傾向과 한 社會의 要請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추정하여, 本 論文은 大學敎育課程 開發의 價値性과 必要性을 결정하는 몇가지 文化的 및 社會的 要因들을 연구하는 데 力點을 두었다. 타바는 그의 일곱 가지 段階의 敎育課程 計劃에서 敎育課程 內容은 社會와 文化的 現實들과 補助가 맞아야 된다고 論及했다. 이런 觀點에서 敎育課程 內容을 일반적으로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哲學的 質問들의 順序로 이루어지는 것을 認知할 수 있다. 첫째, 누가 敎育이 되어야 하느냐, 둘째, 學習者 集團들에게 어떠한 敎育的 經驗을 제공하여야 하느냐, 세째, 현재 大學들은 그전만큼 좋으냐, 네째, 어떻게 하면 個體的인 學習者들의 要求를 충족할 수 있느냐, 다섯째, 學習經驗들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學校는 지나친 점들이나 혹은 가야 할 지점까지 갔느냐, 그리고 여섯째는 努力만큼 敎育課程을 改善할 價値가 있느냐는 것이다. 本 硏究의 槪念的인 準據로서 筆者는 베나볼의 大學 敎育課程을 開發하는 데 考慮되는 다음의 네 가지 基本的인 要素들을 사용하였다. 1) 學習者, 2) 課題, 3) 學習過程, 4) 敎育機關이다. 本 論文의 內容은 대개 처음에 文化 · 社會 · 敎育과 敎育課程의 用語들을 定義하고 다음에 韓國 · 美國 · 나이제리아와 브라질 4개국의 적절한 敎育課程을 결정하는 文化的 傾向과 社會的 要求들을 敎育課程開發의 네 가지 本質的인 要素들로 준거하여 비교 · 검토하였다. 다음은 위의 4개국에 대해서 몇가지 敎育課程 模型들을 소개하고, 또한 첨가해서 大學院 專門敎育에 영향을 줄 수 있는 敎育 모델을 소개 · 논의하고 世界敎育을 추구하는 博士學位 過程 硏究生을 위한 하나의 敎育過程 模型도 다루어 보았다. 本 論文을 통한 硏究의 結果, 筆者는 敎育過程開發과 變化는 확실히 文化的 傾向과 社會의 要請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觀察할 수 있었다. 네 나라를 비교해 볼 때, 美國에 있어서는 敎育課程이 文化的 그리고 社會的 必要性에 근거하여 발전하고 변화한 것을 분명히 볼 수 있었다. 그외 다른 세 나라에서도 일반적으로는 같은 證據들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이들의 고등교육 敎育課程의 修正과 變化는 傳統性에 속박되어 있는 경향이 많고, 發展過程에 있어서도 體制性이 마약하고 또한 그 速度도 매우 완만한 것을 認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3개국은 또한 共通的으로 각기의 特殊性을 보여 주었다.

      • 生涯敎育의 理論的 接近

        金忠起 建國大學校 敎育硏究所 1978 論文集 Vol.3 No.-

        A primary motive for developing career education is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large number of students who are graduating or leaving school and are unable or ill-equipped to cope with complexities of the world of work. This situation is compounded by a fragmented, disjointed, and uncoordinated educational system which dose not parallel the lifelong needs of people for career development. The concept of career education in not a new or revolutionary idea; rather it has evolved as a result of (1) redirected educational goals, (2) educational legislation, and (3) reserch in human development. Career education has not been precisely defined, but one concept see it as a systematic attempt to increase the career options open to all students and to facilitate more rational and valid career planning and preparation. Career education is viewed as a developmental process which capacitates individuals for their several life roles: economic, community, home, avocational, religious, and aesthe-tic. It begins in Kindergarten, continues through a student's schooling to grade twelve, and extends into his adult years, Every student progresses from awareness and orientation to exploration and skill development in a continuous advancement to ward his individual career. Currently, there are four alternative ways of delivering or facilitating career educa-tion goals-school-based, employer-based, home/community-based, and residential-based model, A successful program depends in large measure on the quality of leadership career education provides a viable vehicle for relating to diverse community groups and interests.

      • 體育敎育科 敎育課程運營에 關한 硏究

        李東玉 建國大學校 敎育硏究所 1985 論文集 Vol.9 No.-

        Physical education should always be an integral part of the total school, concerned with achieving the over-all aims and objective of public education. Thus,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s have thoughtfully worked to develop programs that gave substance and relevancy to society's current and future needs. Most programs at teacher's college and universities curricula in Korea showed that a similarity exists throught their program, and curriculum at national teacher's college in Japan showed that a similarity. But, U.S.A, they have the detailed and specialized courses with many seminars, and they have many practical courses such as driving, physical therapy, safety education, swimming instruction and recreation fields. The major function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teacher's college and universities in Korea is directed to make physical educator in th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But in the curriculum for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re relatively poor. The certification for teaching includes requirments centered on performance and teaching skills in aquatics, dance, and sports; professional physical education coursework in the areas of evaluation, adapted physical educati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dministr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ong with all students in the genera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they must take course focusing on education foundation, educational psychology, concepts, methods and techniques involved in teaching, and use of medi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hysical education in Korea, at all teacher's college the physical education faculty and physical education staff of several school district must develop its own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 and is responsible for its own evaluative criteria there is a substantial amount of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ionals regarding curricula.

      •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어종별 분포 -제2차∼2009개정 교육과정 색인을 중심으로-

        최혜정 ( Hyejung Choi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5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일본어 교육이 처음 시작된 제2차 교육과정부터 현재 교육과정인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색인어휘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 교과서는 총 91권으로 교과서의 색인 어휘를 대상으로 살펴본 계량적 연구로서 교육과정별 색인어휘를 어종별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1)제2차와 제3차 교육과정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고유어>한자어>외래어>혼종어의 순으로 나타났다. (2)제2, 3차 교육과정에서만 고유어>한자어>혼종어>외래어의 순으로 나타난 이유로는, 제2차 교육과정에서는 단어가 아닌 관용구 형태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다른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외래어보다 혼종어의 비율이 더 많았다. (3)제2, 3차 교육과정 교과서는 각 1종임에도 불구하고 개별어수의 차이로 제2차 교육과정 교과서가 제3차 교육과정보다 더욱 다양한 어휘를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4)제3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는 외래어의 사용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5)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다른 교육과정들과 비교해서 가장 많은 수의 외래어를 사용함을 알 수 있었고, 가장 적은 제3차 교육과정과의 공통 외래어는 24어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 index vocabulary from the second primary education curriculum that Japanese education has begun until 2009 revised curriculum of the current curriculum in Korea. Textbook of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word type the curriculum by index vocabulary as quantitative research examined the subject textbook index vocabulary a total of 91 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ecame the overall native Japanese words> Chinese>foreign language> hybrid word of the order, except for the second-order and third-order curriculum. (2) native Japanese words> Chinese> hybrid word> reason that became the order of the foreign words in the second and third-order educational process, because in the secondary curriculum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a phrase rather than a word, other when compared to the curriculum, there was still a lot ratio of hybrid word from a foreign language. (3) the second and third primary curriculum textbook, in spite of it is each one, that the second-order curriculum textbooks to use a more diverse vocabulary than tertiary education courses in Ili language difference have I found. (4) In the tertiary education course textbook use of foreign words has become the least. (5) In the Sixth curriculum can be learned using the largest number of foreign words, compared to other curriculum, it was common foreign language 24words with the lowest tertiary curriculum.

      • 敎育行政의 政治的 樣相에 관한 一硏究

        趙誠一 建國大學校 敎育硏究所 1993 論文集 Vol.17 N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material available in setting a correct direc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making an analysis of the political activity of educational policy. And this study clarified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 and politics and the political natur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made an inquiry into the developmental trends of educational politics, and presented discussion over the political aspect in the transforming process of college tuition policy. Educational adminstration must be made to link political decisions with its understanding of the public rationally, have all employed in education participat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nable them to exhibit their creativity to a maximum. The persons in charge of educational policy should consider the rationality of educational polic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specialists into the alternative to policy and the convergence of related groups opinions. In particular, in order to perform educational policy smoothly, the opinion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neglected for the time should be innovatively res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