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 참여를 통한 초등학교 교실 리모델링 연구

        박진희 ( Park Ji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초등학교는 미래 주역인 아이들의 주 생활공간으로 아이들이 창의적이고 건강한 인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꿈을 담은 교실 만들기’사업은 노후화된 교실을 개선하여 창의적 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의 요구사항, 행태조사를 반영하는 참여 디자인은 필수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결과물을 내놓으며 새로운 공간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디자인 사례가 하나의 지표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공간 계획에 대한 객관적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실의 주 이용자이자 학생의 관찰자인 교사가 참여한 교실 리모델링 결과물을 제시하고 디자인 속성을 논함으로써 창의적 교실 조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동작구 소재 초등학교 2학년 교실 4개소이다. 저학년 아이들의 행태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인 교사가 전반적인 디자인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단계별로 조사 방법 및 내용을 달리하며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의견 수렴의 과정은 크게 3단계로 브레인스토밍 및 현장조사, 선호 이미지 조사, 교실 내 행태조사로 구성하였다. 참여디자인을 포함한 설계기간은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이며, 공간 개선 공사는 2020년 9월 완공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과정에서 도출한 참여자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디자인 결과물에 반영을 하였다. 공간디자인의 개념은 학습과 놀이의 균형이었고 교실이 학습공간이자 놀이공간으로 조성되기 위한 공간 디자인 속성들을 반영하였다. 교사 의견 조사 결과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창의적 교실 디자인 속성 10개 중 다양성, 복합성, 자율성, 안락함, 융통성, 충분성, 유희성, 연결성의 8개 속성이 주요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학년 교실에서 다양성, 복합성, 유희성, 안락함은 우선적으로 고려될 속성이다. 둘째, 교실이 실질적인 교육 및 공간 이용행태를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여 충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적 측면과 놀이적 측면 모두 자율성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고, 아이들의 자율적 행태 및 신체치수를 고려한 공간디자인이 필요하다. 넷째, 일방향적 교육이 아닌 창의적 교육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융통성 있는 공간이 조성되어 학습형태에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 다섯째, 교실 외에 복도도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디자인하여 교실과의 연결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실 공간의 재구성과 그 안에 포함된 디자인 속성들은 미래 학교의 조성에서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Elementary school is the main living space for children, and it must support children’s behavior in order for children to grow into creative and healthy adults. The projects of ‘Dreaming Classroom’ started to improve the old school space and to make the creative classroom, are based on the user participation design. Until now, they have presented various results and new spatial models. Now, in order for the design case to be used as an index, it is necessary to objectively analyze the spatial desig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results of classroom remodeling in which teachers, who are the main users of the classroom and observers of students participated,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creative classroom discussing design attributes.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is four 2nd grade classrooms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jak-gu. The teachers who understand the behavior of the lower grades best and actually use spaces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overall design process. This study collected the opinions of teachers by various survey methods and contents step by step, and derived the design results.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was largely composed of three steps: 1)brainstorming and field survey, 2)preferred image survey, and 3) classroom behavior survey. The design period was from April to June 2020, and the space improvement work was completed in September 2020. (Results) This study was comprehensively summarized the opinions of participants derived in the process and reflected them in the design results. The concept of space design was a balance between learning and play, and the space design contents derived through participation were reflected. As a result of the teacher opinion survey, 8 attributes of diversity, complexity, autonomy, comfort, flexibility, sufficiency, playfulness and connectivity among the 10 creative classroom design attributes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were derived as major attribut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versity, complexity, playfulness, and comfort are the attributes to be considered first in the lower grade classroom.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ufficiency of classroom space by understanding practical education and classroom usage behavior. Third, both the learning aspect and the play aspect should be able to support autonomy, and a space design should consider children's autonomous behavior and body size. Fourth, in order for creative education rather than one-way education to be possible, a flexible space must be created to cope with the various learning style. Fifth, in addition to classrooms, corridors should be recognized as a space and designed to strengthen connectivity. (Conclusions) The reorganization of the classroom spac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design attributes included therein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the composition of the future school.

      • KCI등재

        다감각자극환경 기반의 치유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미선 ( Kim Misun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들은 과도한 스트레스와 초고령화 사회에 들어오면서 정신적, 신체적 장애 현상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치유공간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치유공간은 인간의 몸과 감각의 통합 작용을 통해 신체적 행동과 심리적 변화를 동반한 복합적인 치유가 이루어져야 하는 활동을 수용하는 장소이다, 그러므로 심리적으로 편안하고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치유 공간 디자인을 위한 특성으로서 다감각자극환경의 요소를 적용하여 치유공간의 디자인 계획에 새로운 가능성 및 기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치유의 개념과 다감각자극환경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의한다. 둘째, 치유공간 디자인 요소와 다감각자극환경의 특성에 대해 선행 연구와 문헌을 통해서 공간구성과 다감각자극환경의 특성들을 추출하여 평가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셋째, 분석모형을 통해 치유공간 디자인 중 노인 요양원과 노인 주택을 중심으로 선진사례를 선정하여 치유공간 디자인과 다감각자극환경과의 관계성을 해석하고,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와 특성을 검증하여 본연구의 의미를 확인한다. (결과)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을 둔 삶의 질의 문제는 현대인이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려고 하는 욕구와 같다. 인간의 존엄성을 회복시키고, 소통의 장으로서 삶을 재생,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치유를 위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감각자극환경 요소를 확장성, 반복성, 상호관계성, 시간성, 몰입성으로 나누었고, 치유공간 디자인의 요소는 물리적 환경요소, 기능적 환경요소, 인지적 환경요소, 사회적 환경요소, 심리적 환경요소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치유공간 디자인과 다감각자극환경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었으나 자연환경 요소는 아직도 부족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결론) 미래의 치유 디자인은 웰빙(Well-being) 비전에 지향점을 두고 진정한 삶의 의미와 가치 표현을 위한 공간으로서 치유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치유를 위한 공간 디자인에서 필요한 요소와 다감각자극환경의 특성이 골고루 반영 되었을 때에 진정한 치유의 공간으로서 삶의 질을 높이는 공간 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다. 향후 치유공간 디자인을 위한 유의미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 Purpose) Contemporary society is burdened by excessive stress and mental and physical disorders along with the transition into an ultra-aging society.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heightened interest in healing spaces. The healing space is a place for activities that seek to produce holistic healing, that is, physical,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actions engaging the human body and sens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new possibilities and opportunities in the design of healing spaces by applying the element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to create a healing space design that provides psychological comfort. (Method) First,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healing and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 this study proposed an evaluation and analysis model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through consideration of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in connection with healing space desig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ing space design and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by selecting advanced cases of elderly nursing homes and elderly housing in the healing space design through the analysis model, and examined the meaning of this study by verifying specific desig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Results) Human dignity is a key component in determining quality of life and the importance given to protecting human dignity while designing contemporary spaces reflects the desire of contemporary people to pursue well-being. Research on healing space design should be continued to restore human dignity and create spaces that encourage human connection and easy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elements were divided into extensibility, repetition, interrelationship, temporality, and immersion, while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healing space design were classified into physical, functional, cognitive, soci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al element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healing spac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were well reflected, but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were found to be still insufficient. (Conclusion) The healing design of the future should focus on well-being and posit the healing space as a healer that supports individuals in finding the meaning of life and expressing their emotions. Spatial design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as a true healing space will be achieved when the elements necessary for healing space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are evenly reflected.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data for healing space design in the future.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의 공간디자인 매뉴얼 개발 - 롯데백화점 시시호시 브랜딩 사례를 중심으로 -

        정강화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백화점은 '무엇이든 파는 공간'으로써 도시형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해왔다. 하지만 최근 온라인 쇼핑몰 및 대형 근교형 복합 상가의 발달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변화에 맞는 콘셉트의 재정립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삶의 질 향상과 개성 표현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수익을 위한 투자가 아닌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주거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백화점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에 대한 브랜딩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큐레이션 개념을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 브랜딩 프로세스에 접목하고, 이를 통해 실증적인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디자인의 대상은 롯데백화점의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브랜딩 및 공간디자인 매뉴얼 개발을 위한 것으로, 국내 매장에 유연하게 운용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및 큐레이션, 편집매장 등의 주요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브랜드 콘셉트 및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셋째, 월별, 계절별, 기념일 등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콘텐츠의 기획에 맞춰 변용이 가능한 공간의 구성을 계획하였다. 넷째, 이를 연출함에 있어 자연스럽게 하나의 풍경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배치 및 운용 계획을 제안하였고, 또한 고객의 관심을 유도하고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동선계획과 조명디자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다섯째, 이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백화점 매장의 요구사항에 대응 가능한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큐레이션 개념을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 브랜딩 프로세스에 접목하여 롯데백화점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시시호시'의 브랜딩 디자인 및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브랜드의 콘셉트를 '매일매일 좋은 날, 즐거운 일상을 위한 제안을 파는 상점'으로 도출하고 톤 앤 매너를 가진 MD 구성 및 조명, 집기 시스템을 매뉴얼화하였다. 구매로 이어지기 위한 동선계획 및 집기 배치계획을 설계하고 의식주 복합전시 방식을 통한 VMD 계획을 제안하였다. 브랜드 확장을 고려한 프로그램 가변형 공간 운영 방안과 매장별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집기 및 조명 시스템을 각각 매뉴얼화 하였고 스케치업 및 V-RAY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결론) 큐레이션 개념이 접목된 '시시호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편집매장은 공간의 변주가 가능한 가변형 연출 개념으로, 고객에게 새롭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본 연구가 향후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경험 공간을 기획하고자 할 때 디자인 프로세스와 가이드라인으로써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epartment stores have lead the urban lifestyle as selling variety for a long period. Howeve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e-commerce and suburban shopping mall, the concept needs to be redefined for new chang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st.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desire to express individuality has led to a growing interest in lifestyle perspective residential space, not an investment for revenue. This trend has made department stores to attempt brand-based lifestyle select stores, but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orporate curation concept into lifestyle select store branding process, and standardize empirical spatial design. (Method) The design targets lifestyle select shop, ‘SISIHOSI’ from Lotte Department Store. First of all,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branding and standardized spatial design, which made it possible to operate flexibly in Korean domestic stores. Second, major concepts such as lifestyle, curation, and select store were discussed and the brand concept and spatial design standard were developed.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of adaptable spaces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planning of contents that change over time, such as monthly, seasonal, and anniversaries. Moreover, in directing this, the layout and operation plan was proposed so that it could naturally be recognized as a landscape, and also the route plan in order to induce customer to interest and lead to purchase. Finally, based on this, a spatial design manual was presented to accommodate the requirements of various department stores. (Result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cura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lifestyle select store branding process and presented the branding design and spatial design standard of Lotte Department Store's lifestyle brand ‘SISIHOSI’. The concept of the brand was derived as 'The store that suggests for daily life on a good day' and standardized the MD configuration, lighting and equipment system with tone and manners. The design of the route plan and the furniture layout plan to lead to the purchase and the proposed VMD plan through the ritualistic complex exhibition method. The program's variable space operation plan considering brand expansion and the flexible furniture an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store characteristics were standardized and simulations were conducted with sketch-up and V-RAY programs. (Conclusions) The ‘SISIHOSI’ lifestyle brand select store, which incorporates the concept of curation, is a variable directing concept that can vary space, providing new and diverse experiences to custom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as a design guideline when planning various lifestyle experience spaces in the future.

      • KCI등재

        컬러 테라피를 적용한 의료시설 공간 디자인 계획

        이규홍 ( Kyuhong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의료시설들은 점차 대형화, 기업화 되어가면서 각 의료시설마다 차별화된 공간 디자인의 필요와 고객들에게 전략적인 마케팅 제공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의료시설은 치료 중심의 공간으로 쾌적하고 위생성을 중시하는 공간을 제공해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과 주로 환자들의 공간으로 병원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감성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의료시설 디자인은 주로 제도적, 기능적 측면의 시설 개선 위주로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차별화된 의료시설 디자인을 위하여 최근 들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심리적, 정신적 치유를 하는 방법 중 하나인 컬러 테라피 기법을 도입하여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에 도움을 제공하는 기능 및 기존과 차별화된 미적 공간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컬러 테라피가 적용된 의료시설 디자인은 기능적 측면에서 쾌적하고 안전한 의료시설 디자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감성적으로 환자들에게 치유 능력을 향상 시키고 치열한 경쟁 속에 놓인 의료시설에 컬러마케팅을 통해 의료시설에 디자인 전략적 가치를 배가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의 단계로는 의료시설에 기본 역할 및 특성을 고찰하고 컬러 테라피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각 색채별 컬러 특성 및 효과를 분석한다. 또한 각각의 색채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컬러 치료 기능을 이용하여 공간 안에서의 색채연출이 인간에게 끼치는 정신적, 육체적효과를 분석 한다. 이를 이용하여, 의료시설의 공간별로 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컬러를 대입시켜 적합한 디자인을 제안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 시대의 의료시설의 특성과 전략적인 의료시설 디자인을 위해 컬러 테라피를 공간별로 적용한 컨셉으로 각 공간별 기능적 특징에 맞게 디자인 계획을 제시하였다. 공간 구성은 로비, 복도, 어린이 병동, 치과 병동, 휴게 공간, 수술실, 병실 등 의료시설의 대표적 기능적 특징이 드러나는 공간을 선별하여 기존 공간 이미지를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그 중 수술실은 핏빛 보색 잔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그린(Green), 블루(Blue) 컬러로 제안하고 가장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치과 공간에 우울한 기분을 상승시키는 그린(Green) 컬러를 포인트로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화이트(White)로 마감하였다. 또한 환자들의 왕래가 많은 복도 공간은 쾌감 호르몬을 분비시키는 옐로우(Yellow)와 진정과 안정의 효과를 주는 블루(blue), 그린(Green)컬러를 적절히 사용하여 환자들에게 우울증 예방 및 에너지 회복 기능을 도움을 주고 자칫 지루해 보일 수 있는 긴 복도에 다양한 컬러와 패턴을 주어 단조로움을 없애는 디자인 제안을 한다. (결론) 컬러 테라피가 적용된 의료시설 공간 디자인은 기능적 측면에서 쾌적하고 안전한 의료시설 디자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감성적 효과로 환자들에게 치유 능력을 향상 시키고 치열한 경쟁 속에 놓인 의료시설에 색채를 통한 마케팅 전략적 가치를 배가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As medical facilitie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commercialized in recent years, there is a great demand for differentiated space design for each medical facility and strategic marketing for customers. It is important for the medical facility to provide a treatment-oriented space that is comfortable and sanitary, and to reduce the anxieties of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visiting or staying in the hospital mainly by providing designed space which delivers comfortable feelings to them. However, until now, the medical technologies, instruments, skillful doctors were the main factors in running a medical business but now the importance of medical space designing is highlighted in this indus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lor therapy technique which is one of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ing methods that have recently been actively researched for differentiated medical facility design, And aesthetic space design that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The design of a medical facility with color therapy not only provides a pleasant and safe medical facility design but also improves the healing ability of patients throug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mplications. Such double-sided effect of colour therapy is anticipated to double its strategic value.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medical facilities in literature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each color based on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color therapy. We also analyze the mental and physical effects of each therapeutic colors in used in space. Hence, we propose a effective therapeutic colour design for each space of medical facility. (Result)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medical facilities and strategic medical facilities, each room is designed with the customized therapeutic colours. The representative functional medical spaces of hospital such as lobby, hallway, children `s ward, dental ward, resting space, operating room and patient`s room were selected for the designs to be applied. Of these, the operating room is designed with green and blue colors to prevent bloody complementary afterimage, and a green color is used in designing dental space to alleviate fears of the patients. The corridors where many people come and go, is designed in yellow, which secretes the pleasure hormone, blue, and green which makes the viewers calm and ease. These colours help to prevent depression and the energy recovery and also the colourful design makes the long boring hallway interesting to walk. (Conclusion) The therapeutical colour designs of medical facility space do not only provide pleasant and safe medical facility but also enhance healing ability of patients wit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ffects and be used as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 경험디자인 만족도 연구

        종유지아 ( Yujia Zhong ),남경숙 ( Kyoungsook Na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전시는 단순히 전시품만 진열하는 것이 아니고, 관람객, 공간과 전시품의 상호작용 관계를 중시해야 한다. 인터랙션 디자인은 전시 형식을 정적인 형태에서 동적인 형태로 발전시키고, 실제 장면에서 가상 장면으로 전환시켜, 전시공간에서의 감각적 체험을 높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을 대상으로 전시 공간에서의 경험의 만족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 사례조사 및 설문조사의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8년 이후 서울에 있는 두 개 전시회를 선정하여 이곳을 방문한 적이 있는 관람객을 아동그룹과 성인그룹으로 구분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배경 및 요소를 정리하였다. 둘째, 경험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 항목을 제안하였다. 셋째, 사례를 선정하고 평가 항목을 이용하여 관람객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경험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만족도를 파악하며,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만족도는 성인그룹이 아동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인그룹은 다양한 형태의 전시, 정보의 공유, 의미 있는 감성형성에 만족하였고, 음악이 없고, 작품을 만질 수 없음에 불만족하였다. 아동그룹은 새로운 경험, 다양한 작품형태에 만족하였고, 작품을 만질 수 없고, 전시주제가 어렵다는 불만족 원인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 적용된 경험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통해 나타나는 참여성, 역동성과 연상성 3가지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관람객 경험디자인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첫째, 참여성의 표현특성 중에 시각적>청각적>촉각적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다. 작품을 통해 관람객의 청각과 촉각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공간에서도 매체를 활용하여 관람객의 오감을 자극하고 직접적인 참여를 유발하면 작품이나 공간에 더욱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둘째, 역동성의 표현 특성 중에 관람객은 체험을 통해 쉽게 조작하여 전시 공간에 잘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움직임을 통해 공간의 흐름을 보여주기를 원한다. 셋째, 연상성의 표현 특성에서 연상적 표현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장면 표현은 관람객의 감성을 유도할 수 있고, 새로운 인식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시주제와 이해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매체를 사용하는 방안이 준비되고, 관람객 중심의 다양한 인터랙션 디자인을 활용한 체험형 전시 공간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Research Backgrounds and purposes) Modern exhibitions should not merely display exhibits, but should value the interaction between visitors, space and exhibits. The interaction design develops the display format from static to dynamic, transforms the actual scene from virtual scene to enhance the sensory experience in exhibition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the experience in the exhibition space for visitors in an interactive design-based exhibition space. Through this, we will present the direction in which interactive design-based, hands-on exhibition space should move forwar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This research method carried out the study in parallel with the methods of literature survey, case study and surve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select two exhibitions in Seoul since 2018 and divide visitors who have visited them into children's and adult groups and conduct them in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lements were sorted ou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we studied the experience design and proposed assessment items based on it. Third, we selected cases and surveyed visitors using assessment ite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design, identify the satisfaction level, and analyze the causes. (Resul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dul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hild group. The adult group was satisfied with various forms of display, information sharing and meaningful sensibility formation, and was dissatisfied with the lack of music and the inability to touch the work. The children's group was satisfied with the new experience, various types of work, and showed the cause of dissatisfaction with the inability to touch the work and the difficulty of the exhibition subject.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dynamism and associativity through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empirical design applied in interactive design-based exhibition space and looked at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experience design. First, amo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y, satisfaction was shown in the order of visual, auditory, and perceptual.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dynamism, visitors want to easily manipulate it through experience to make good use of the exhibition space and actively utilize various contents to show the flow of space through movement. Third, in the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associativity, the satisfaction of associative expression was high, and scene expression would have to be able to elicit emotion from visitors and give new recognition. Future research should prepare a plan to use a medium that maximizes the effects of exhibition themes and interests, and provide hands-on exhibition space using various interaction designs centered on visitors.

      • KCI등재후보

        공간의 진화에 따른 주거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하진,김주연,백승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4 No.3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변화의 영향으로 공간의 개념과 기능이 진화되면서 복합공간이 생겨나고 있다. 다양한 기술로 인해 디자인 소재와 재료들도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진화는 계속되고 있으며 인간의 의식도 확장되어 과거의 개념을 벗어나 공간자체가 다양한 시각과 감성의 변화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주거공간도 새롭게 진화되어야 하며 새로운 소재 및 재료의 변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진화가 이루어져 있는 공간의 사례분석을 통해 요소를 분석하고 추출하여 주거공간 디자인에 대입할 수 있는 진화요소를 도출한다. 이는 주거공간의 진화를 이끌게 되어 현대인의 심리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거공간은 머무르는 공간이 아닌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진화하게 될 것이다. The lifestyle is quickly changing. The concept and function of space evolve with change of space and the complex space. Also the design subject matters and the materials are developmental with the technique which is various. The evolution of space is continued and also the ceremony of the human being comes to be expanded. Transcends the concept of past and the space is variety termination. Also the house space must evolve newly, the effort for the change of the subject matter and the material is necessary. Analyzes the instance of the space where the evolution becomes accomplished and the element will be able to substitute in house spatial design extracts. This to be made to lead the evolution of house space and will be able to be sufficient the psychological sensitivity of the moderns and will be able to provide a new space. The house space will not be the space where stays and to change with the space where breathes together.

      • KCI등재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고령 친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하이 도심 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라결여,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화시대로 인해 야기되는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에서는 사회경제적 현황 및 전통적 가족 개념이 반영된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가 현재 중국의 주류 양로(養老)방식으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커뮤니티 공용 공간은 에이징 인 플레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현재 중국에서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며, 고령층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 또한 매우 부적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대처하고 기존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고령자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론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 모델을 수립하여 변수 간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 도시 및 지역의 고령 인구수와 비율에 따라 상하이 도심 지역의 낙후된 커뮤니티에 거주하는 60세 노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진행한 설문조사는 SPSS 및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커뮤니티 공용 공간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 순위를 도출하여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결과)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인 '접근성', '편의성', '안전성', '식별성', '쾌적성', '다양성'은 노인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이용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방성'은 이용 만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가 노인의 커뮤니티 공공 공간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일부 채택하였다. 또한 노인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이용 만족은 노인의 에이징 인 플레이스 생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관련 가설을 채택하였다. 동시에 표준화된 경로계수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안전성>편의성>접근성>다양성>쾌적성>식별성의 결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의 특성과 니즈를 파악하여 커뮤니티 공용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개선 시. 해당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 및 원칙을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노화로 인한 각종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직면한 고령층에게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안전하고 편리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을 제공하는 시도는 향후 에이징 인 플레이스를 보다 잘 지원하기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 고령 친화 디자인에 대하여 시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전시디자인에서 전시참여 속 휴식공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체험형 인터렉티브 시스템 적용을 중심으로-

        이재률 ( Lee Jaelyul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전시디자인은 전시공간에서 체험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접목시킨 전시회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는 전시 방법으로 쌍방향 소통을 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접목시킨 전시회 중심으로 계획되며, 관람객의 참여는 전시 커뮤니케이션 형식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체험형 전시회 참여로 관람객은 더 많은 정보습득과 이해를 위한 상호적 관계가 이루어지는 전시에 대한 참여로 피로가 축적된다. 그래서 관람객의 피로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전시디자인 공간 속에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은 매우 중요한 환경요소가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시공간디자인 속 휴식공간디자인에서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특성과 요소를 분석하여 전시공간 내부에 휴식공간디자인 계획이 결합할 수 있는 유형과 상호성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전시디자인의 휴식공간 특성과 피로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전시디자인에서 체험형 인터렉티브 유형과 구성요소 및 시스템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전시공간 속 휴식공간디자인의 요소를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표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제안한다. 넷째, 국내외에 있는 사례 5곳을 선정하여 분석표에 대입하며 휴식공간 디자인을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의미한 전시디자인의 휴식공간 디자인계획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도출된 특성과 요소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나온 결과를 도출하여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을 제안한다. (결과) 전시공간 속 휴식공간디자인을 할 때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 세 가지 요소 중 휴식선상개념에서 하위개념과 동급개념이 다양한 피로요소와 휴식형태를 포함하며 휴식공간의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휴식선상개념이 상위개념인 곳은 피로요소와 휴식형태에서 많은 요소를 포함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는 전시디자인속에 휴식공간디자인을 결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휴식공간디자인 요소를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으로 나누어 분석했고 도출한 결과를 비교했다. 전시공간 내부의 휴식공간디자인은 전시공간을 주된 목적으로 디자인을 하며 휴식공간이 전시공간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지도록 하위개념과 동급개념으로 접근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시디자인에서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은 하위 개념과 동급개념이 상위개념보다 많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가 향후 전시디자인에서 휴식공간디자인을 함께 계획할 때 기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exhibition design is increasingly incorporating interactive system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interaction that allows for two-wa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visitor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is setting, participation in hands-on exhibitions can create fatigue for individuals due to the desire fo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art forms.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fatigue that may be experienced by participants, the design plan of the rest space is an imperative environmental fact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that can provid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rvices in exhibition space design, and to study the types and reciprocity of the design plan for rest space. (Method)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rest space and fatigue elements of exhibition design will be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ly, there will be derivation of hands-on interactive types and structural components, and exhibition design system characteristics. Thirdly, the rest space elements in the exhibition space will be divided into three areas: fatigue, resting style, and relaxation concept, which will be proposed by making comparisons based on the analysis table. Finally, f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will be selected, where their rest design plan will be applied to the analysis table and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e possibility of a meaningful exhibition design plan will be proposed. This will be done by comprehensively comparing the derived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Results) When designing a rest space in an exhib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concept and equivalent concepts of the three elements fatigue, rest type, and relaxation concept included various fatigue elements and rest types. Conversely, where the concept of relaxation is the top concept, it was able to produce results that did not include many factors within the fatigue elements and relaxation forms.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design of the rest space can be combined with the exhibition’s. The elements of rest space desig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atigue elements, resting styles, and relaxation concepts where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analysis table. The design of the rest space was created mainly for the purpose of combining it with the exhibition space. From these observations, it is ideal for it to be designed with a sub-concept and equivalent concept, and thus, the rest space can blend naturally in the exhibition space. In the exhibition design, it was found that the sub- and equivalent concept contained more elements than the uppermost concep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hopes that it will provide basic guidance in planning a rest space design together in future exhibition designs.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도시공간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소고

        양정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도시·건축 부분에서 인공지능은 관리, 설계, 제작 부분에서 주목할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조명디자인 분야는 스피커와 연계된 테이블램프나 스마트 가로등 위주로 상용화되고 있어 공간으로 확장성은 극히 제한적이다. 특히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 연구와 지침 등은 거의 없어 엔지니어들이 인공지능이 적용된 조명환경을 어떤 방향으로기술개발 하여야 할지 그 방향성이 모호하다. 인공지능 기술개발은 급진적이나 활용 방향성이 제시되지 않아 공간경험과 공간환경 보다는 요소 위주로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도시 건축공간에 대한 인공지능 관련 선행연구와 개발내용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에서 인공지능 기술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현황에 대해 개별 조명기구 중심의 개발, 운용시스템 그리고 문화콘텐츠로 구분하여 최근 5년간의 신문과 뉴스, 잡지, 조명기술전문사이트 검색을 통해 개발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건축공간에 있어 인공지능 개발의현황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성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로 4 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사람, 사물, 공간을 초연결, 초지능화 산업구조와 사회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그에 대응하는 조명환경에 대한 연구개발이 미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명디자인은 지리환경 분석, 법규 적용, 주변 이용자 현황, 동선, 소비 등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으로 빛환경 연출이 확장 가능하다. 더 나아가 공간조명은 정보인지, 생물학적 리듬조절 및 건강, 심미성 강화하는 빛환경의 조건을 찾아 인공지능 적용 가능하다. 이에 인공지능기반 조명디자인은 안전성 강화, 건강증진, 정보전달 및 지역공동체 의식 강화, 유희적 경험과 문화예술적 체험, 자가 학습과정으로서 인공지능 조명을 중심으로 개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여그 방향성에 대해 함께 모색하고자 하였다. 비록 본 연구가 실험 바탕의 정량적 연구가 아니어서 연구결과에 대해 구체적 수치나데이터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AI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사회적 담론 없이 단편적 기술 위주로 개발되는 현재 조명산업 개발 방향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그 방향성 수립의 필요성과 발전상을 제안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shown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management, design, and production of urban and architectural fields. However, in the lighting design field, AI table lamps linked to speakers or smart street lighting fixtures with multiple functions have been commercialized, which is limited for spati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there are only few studies and guidelines on the development of AI-based lighting design, making it ambiguous for engineers to choose a direction in developing the lighting environment appli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radical, but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it is focused on elements rather than spatial experience and the spatial environment because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is not presented. Therefore,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AI-based lighting design development. (Method)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architectural spac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Second, a status survey for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as conducted. This study concerned with lighting fixtures and operation systems, contents based on data newspapers, news, magazines, and lighting technology-specialized websites in the last five year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present opinions on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Results) People, things, and space, which are at the co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hanging into hyper-connected and super-intelligent industrial structures and social systems,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lighting environments corresponding to them are insufficient. Lighting design can expand illuminated environmen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n analysis of the geographic environment, application of laws, and big data analysis of surrounding user status, movement, and consumption patterns. Furthermore, space lighting can be appli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by determining the conditions of a light environment that enhances information recognition, biological rhythm control, health, and aesthetics. Accordingly, I propose development direction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ighting as safety enhancement, health promotion, information delivery and awareness enhancement of region, playful experience,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and self-learning processes. (Conclusions) We sought direction by forming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aising doubts about the current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lighting industry, which is developed mainly on fragmentary technologies without social discourse on the direction of AI lighting design development, and it suggests its necessity and development.

      • KCI등재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시기 전시 디자인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이민희 ( Lee Minhee ),김주연 ( Kim Jooyun ),김원길 ( Kim Wong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전시의 경향은 콘텐츠와 전시 환경의 통합적 계획을 필요로 하는 공간 경험의 전시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중의 문화·예술 향유 욕구는 경험을 통하여 충족되어지며, 경험적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양질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전시디자인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시 디자인의 공간 경험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던 20세기 초아방가르드 시기의 전시 디자인에 주목하고자 한다. 아방가르드 시기 대표 미술 전시들을 통해 전시디자인 특징을 시대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동시대 현대미술 전시디자인의 공간 체험적 연출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유효한 디자인 특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아방가르드 전시의 특징을 분석하고 아방가르드 전시의 계획 방법, 계획 요인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행한다. 아방가르드 시기 전시 디자인의 특성을 추출하여 공간적, 상호 관계적, 형태적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연출에 대한 세부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세부 요인을 분석의 틀로 계획하여 아방가르드 시기의 대표성을 띠는 현대 미술 전시에 적용하여 새로운 공간 경험에 대한 디자인 특성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20세기 초아방가르드 시기를 대표하는 전시의 전시디자인 연출 요소는 관람자와의 상호 관계적 연출 요인에 따라 영향의 차이가 있지만 구축성, 역동성, 비선형성 연출 요소에 따른 공간의 확장적 특성과 동적 시각성, 공간 인식성에 따른 형태적 연출의 응시적 특성이 가장 많은 부분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본 연구는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시기에 기존의 것을 타파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실험적 욕구들이 분출되면서 전시 환경에 있어서 공간적 경험이 중요시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시 디자인의 연출 특성이 관람 환경과 관람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공간 경험을 위한 전시 디자인 연출 특성은 구축성과 역동성, 비선형성 요인을 통해 공간의 확장적 특성이 나타나야 하며, 시각 영역 계획을 통한 형태적 연출의 특성이 나타나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현대 미술 전시 디자인의 전시 환경과 몰입도 높은 공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cent trend of exhibitions is characterized by the exhibition focusing mainly on spatial experiences that require the integrated plan of contents and exhibition environment.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focus on exhibition design of the avant-garde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which studies on the spatial experience of exhibition design were conducted vigorously. We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design through the perspective of fine art exhibitions representative of the avant-garde period and to analyze the valid design characteristics so as to use them as the directing elements of modern art exhibition design in contemporary times. (Method) As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vant-garde exhibition was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long with that,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planning methods and planning factors of avant-garde exhib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esign in the avant-garde period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rom spatial, interrelational, and morphological aspects, and the detailed factors for directing were derived. The derived detailed factors were plann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were applied to modern art exhibitions representative of the avant-garde period so as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for novel spatial experiences. (Result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directing elements of design for exhibitions representing the avant-garde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had differences in terms of influence according to the directing factors of interrelation with the audience, but there was a preponderance of the extended characteristics of space according to constructability and dynamicity of the directing elements and nonlinear directing elements, along with the stare-like characteristics of the morphological directing according to the dynamic visuality and spatial recogni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patial experiences wa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exhibition environment as the existing ones were overthrown and experimental desire surged for new things in the avant-garde perio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e directing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esign could lead to formation of the viewing environment and viewing attitude. The exhibition design directing characteristics for spatial experience requires the expandabl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o be manifested through the constructability and dynamism of factors and non-linearity factors, an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phological directing should manifest itself through visual domain planning. Aforesaid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lan necessary for providing the exhibition environment of modern art exhibition design and highly immersive space experience in the period ah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