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4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검토 - 시민적·정치적 권리 분야의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

        홍관표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경희법학 Vol.59 No.1

        It has been more than a year since the end of the 3rd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NAP), which had its five-year implementation period from 2018 to 2022, but the 4th NAP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Originally, the 4th NAP should have been established as a five-year plan from 2023 to 2027, but since it is already 2024, it should be established as a five-year plan from 2024 to 2028. The NAP, which was initially established in 2007, had a one-year gap in 2016 when the 2nd NAP was ended, but at that time, there were speci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presidential election was held due to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of Park Geun Hye. And it is very unusual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s basic policy plan has been delayed for more than a year without such special circumstances. In July 2022,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NHRCK) has already adopted the recommended draft for the 4th NAP and recommended the President to establish the 4th NAP. Of course, the Ministry of Justice, which is in charge of establishing the NAP within the government, was not just sitting idle. The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the 3rd NAP had been conducted through external research services from April to August 2022, and a public hearing was held in August 2023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experts in related human rights fields while presenting the draft of the 4th NAP. However, since this public hear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4th NAP has been continuously delayed for nearly seven months. I hope that the 4th NAP, which is a government’s blueprint for human rights policy of the Republic of Korea over the next five years, will be established without further delay, and I will examine the composition and individual tasks of the 4th NAP, focusing on the tasks for the civil and political rights.

      • KCI등재

        인권정책기본법의 제정과 인권

        홍관표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東亞法學 Vol.- No.102

        The Attempt to enact the fundamental law on human rights dates back to 1998, when discussions were being mad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NHRCK). The Kim Dae-jung government included the enactment of the Human Rights Act in the contents of the 100 national tasks and pushed for it, but as a result, it was failed to enact the Ac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ct, which corresponds to an organizational law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NHRCK, was only enacted. Since then, there has been no direct leg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s human rights policies. This differs from other policies within the government, such as gender equality policy, child policy, policy for the disabled, and policy for foreigner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nd promoted based on each fundamental law. Even in the absence of a legal basis for the human rights policy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system,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NAP), a five-year plan, three times since 2007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Human Rights Policy Council Regulations. However, the need to prepare the legal basis for national human rights policy is increasing.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NAP, to establish a system for the government to take the lead in discussing human rights issues, and to prepare a system to deal with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it is more necessary to enact the fundamental law on human rights policy. On December 30, 2021, the government submitted a bill named Fundamental Act on Human Rights Policy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on January 28 of the following year, 12 lawmakers including Kim Young-bae proposed a bill of the same name. These two bills are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contain generally similar contents.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look at the main contents, problems, and contents to be added, focusing on the government’s proposed legislation, and propose a plan to enact the Fundamental Act on Human Rights Policy that faithfully guarantees its legislativ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 KCI등재

        인권정책기본법 제정 방안에 관한 연구

        홍관표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4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stitution”) stipulates in Article 10 Section 2 that “the State shall have the obligation to confirm and guarantee the inviolable and fundamental human rights of individuals” and specifies the state's obligation to institutionalize and guarantee human rights. There are a wide variety of domestic laws aimed at guaranteeing and realizing the basic human rights and freedoms necessary to realize human dignity and values throughout the civi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fe spheres. However, at the stage of embodying the constitution, which is the highest source of law, into law, there is currently no law that governs the basic domestic institutions and systems overall, necessary to reaffirm the meaning and content of human rights as well as to protect and respect them.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ct, which has the most general character of domestic law on human rights, is not a substantive law but rather has the nature of a procedural law for the complaint procedur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s such, there is a definition of “human rights” and “discrimination of equal rights infringement”, but there are legislative blanks that do not include any matters generally stipulated at Fundamental Acts, such as the responsibilitie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eople,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action plan, and the policy system within the government.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Korea and the human rights education system. 「대한민국헌법」(이하 “헌법”이라 한다)은 제10조 제2문에서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고 규정하여, 인권의 제도화와 보장에 관한 국가의 의무를 헌법에 명시하고 있다. 시민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생활영역의 전반에 걸쳐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인권과 자유의 보장 및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국내법은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그렇지만 최고 법원(法源)인 헌법을 법률로 구체화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인권의 의미와 내용을 재확인하면서 인권을 보호하고 존중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국내 제도와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규율하는 법률은 현재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인권에 관한 국내법 중 가장 일반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국가인권위원회법」은 실체법이 아닌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직법이자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한 진정 처리에 관한 절차법의 성격을 띠고 있어서, “인권”과 “평등권 침해의 차별행위”에 관한 정의 규정이 있으나, 대개의 경우에 기본법 단위에서 규정하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국민의 권리와 의무, 기본계획의 수립 및 이행, 정부 내 정책추진체계 등에 관한 사항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입법적 공백이 존재한다. 여기에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이행을 위한 시스템 마련과 인권교육 체계에 관한 사항도 관련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인권정책과 관련된 국내의 주요 법령을 확인하여 인권정책에 관한 국내 제도와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규율하는 기본법의 필요성을 재확인하면서, ‘인권정책기본법’을 제정하는 경우에 그 내용에 포함시켜야 할 구체적인 사항들을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이행, 인권교육 등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인권정책기본법의 제정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피해사건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문제 검토

        홍관표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2 인권법평론 Vol.- No.29

        일제강점기 강제동원피해사건은 지금으로부터 약 77년 이상 지난 1938년부터 1945년 사이에 발생한 사건들이다. 일제강점기 강제동원피해사건의 피해자나 그 유족들은 해방 이후 1965년 6월 22일까지는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에 국교가 단절되어 있어서 일본기업들을 상대로 피해를 배상받기 어려웠다. 1965년 6월 22일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에 국교가 정상화된 이후에는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사이에 체결된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이른바 ‘청구권협정’)의 내용이 모두 공개되지 않는 상황에서 대한민국 국민의 일본국이나 일본 국민에 대한 개인청구권이 청구권협정에 따라 포괄적으로 해결된 것이라는 견해가 대한민국 내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바람에 피해자나 그 유족들은 또 일본기업들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 어려웠다. 그러다가 2005년 1월에 한국에서 청구권협정 관련 문서가 공개되었고, 2005년 8월 26일에는 민관공동위원회가 일본의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나 식민지배와 직결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청구권협정에 의하여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공식적인 견해를 표명하였다. 그리고 2018년 10월 30일 대법원이 2013다61381 전원합의체 판결로 피해자와 그 유족들의 일본 기업에 대한 손해배상청구를 인용하는 법리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법원에서 일본 기업을 상대로 강제동원에 따른 피해를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으로 인정받기까지 재판과정에서 문제된 법률적 쟁점들과 그에 대한 국내 법원의 판단을 판결문에 나타난 판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일본 기업들의 소멸시효 완성 항변이 신의칙에 반하는지 여부와 관련된 채권자의 권리 행사의 상당한 기간 문제를 확인한 후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국가의 조직적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과 소멸시효

        홍관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9 민주법학 Vol.0 No.69

        The so-called “manipulation case on ghostwriting the will”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ases of public security prosecution in the 1990s. It is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abuse of the prosecution’s power and the misjudgment during the authoritarian regime. And it is referred to as Korean version of “the Dreyfus Affair” in that it continued to be investigated, prosecuted and convicted on grounds of handwriting and circumstantial evidence without any direct evidence. To the case, the Seoul District Court sentenced the accused to three years in prison and suspension of qualification for a year and six months for aiding and abetting a friend’s suicide on July 12, 1991. It took almost 24 years until the Supreme Court had finally upheld the judgment of acquittal on May 14, 2015, following the truth-clarification decision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However, a lawsuit that demands for damages to the State and individuals that are responsible for having deprived the victim and his family members of their life and time is still going on. On November 3, 2015, they filed a lawsuit against the Republic of Korea, two prosecutors who had investigated and indicted the victim and a appraiser who had handled the handwriting analysis. On July 6, 2917,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sentenc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appraiser were responsible for only a portion of the damages arising from the illegal appraisals. The plaintiffs appealed but the Seoul High Court ruled on May 31, 2018, that the Republic of Korea except the appraiser was singly responsible for a portion of damages due to the illegal appraisals. In response, the plaintiffs brought a final appeal and are now waiting for the Supreme Court’s ruling. In this article, I will review the course and main contents of the Seoul High Court's Ruling 2017Na2046920 on May 31, 2018, and in light of the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o the past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examine the liability for damages of the State and individual public officials. 이른바 ‘유서대필 조작사건’은 1990년대의 대표적 공안사건 중 하나로 권위주의 정권 시절 검찰권 남용 및 오심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며, 직접적인 증거 없이 필적과 정황을 이유로 수사와 기소, 유죄확정판결까지 이어졌다는 점에서 ‘한국판 드레퓌스 사건’으로 불린다. 1991년 7월 12일 서울지방법원에서 유서대필 조작사건에 대하여 자살방조죄를 인정하여 징역 3년 및 자격정지 1년 6월을 선고한 이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 결정에 이어, 마침내 2015년 5월 14일 대법원에서 최종적으로 재심무죄판결이 확정되기까지는 거의 24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한 인간과 그 가족들로부터 인생을 앗아간 사건에 책임이 있는 국가와 개인들을 상대로 그 책임을 묻는 소송은 아직 진행 중에 있다. ‘유서대필 조작사건’의 피해자와 그 가족들은 2015년 11월 3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대한민국과 수사를 담당했던 검사들 그리고 필적감정을 담당했던 감정인을 상대로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2017년 7월 6일 위법한 감정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 부분에 한하여 대한민국과 감정인에 대한 청구를 일부 인용한 판결을 선고했다. 피해자와 그 가족들은 항소했고, 서울고등법원은 2018년 5월 31일 위법한 감정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 부분에 한하여 대한민국에 대한 청구만을 일부 인용한 판결을 선고했다. 이에 대하여 피해자와 그 가족들은 다시 상고하여 현재 대법원의 판결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이 글에서는 서울고등법원 2018. 5. 31. 선고 2017나2046920 판결의 경과 및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과거사 사건의 소멸시효와 관련된 대법원의 판결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비추어 해당 사건에서 국가의 배상책임과 공무원 개인의 배상책임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