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내-교외 통합형 영어교사 연수 사례 연구: 한국 캠브리지 ICELT를 중심으로

        이효신,Lee, Hyo-Sin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0 영어어문교육 Vol.16 No.1

        The ICELT(In-Service Certificat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is a highly practical course-based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integrates classroom teaching and off-site teacher training. This case study analyzes the three-year implementation of the ICELT program in Korea and discusses its effects and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in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system.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urs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its execution, thinking that it contributed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areas of teaching practice, methodology and language competence. The study has identified several success factors as shared program goals among the course participants, including systematic selection of course participants, well-qualified tutors and the proper provision of resources including syllabus, teaching materials and course assessment system. Nonetheless, it has been suggested that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generalized application of the ICELT for English teacher education due to the limitations such as the heavy workload caused by the program, lack of course participants' collaboration with other teachers at their schools and tutors' poo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education context. Bearing this in mind,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in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have been discussed. Finally, further studies have been suggested, which are concerned with in-depth investigation in exploring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native English speaking tutors and Korean ones and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the sustainability of course participan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impact on schools.

      • KCI등재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폐유아의 시각, 청각, 촉각에 대한 반응연구

        이효신 ( Hyo Sin Lee ),강원석 ( Won Seok Kang ),배민정 ( Min Jung Bae ),장수정 ( Su Jung Jang ),김건희 ( Keon Hee Kim ),강정배 ( Jung Bae Kang ),구현진 ( Hyun Jin Ku ),안진웅 ( Jin Ung A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이 시각, 청각, 촉각 자극에 대하여 어떠한 반응형태와 빈도로 반응을 보이는지를 각 자극이 장치된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자폐 범주성 장애 남자 유아 3명이며, 이 연구를 위하여 두 종류의 로봇이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이 함께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이 선호하여 반응을 많이 보이는 것은 청각, 시각, 촉각의 순서였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은 선호하는 자극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반응을 하며, 교사가 지시를 하지 않아도 자발어를 발생하였다. 이러한 발견이 시사하는 것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과 상호작용을 잘 할 수 있는 중재매체는 유아들이 선호하는 자극들로 구성될 때 유아들은 그 중재매체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responses for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in order to see how to respon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robot and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Robots hav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three male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he method of this study three people observe and record for 14 sessions of responses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o stimuli. The observation notes are analyzed by responses and frequ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responses to auditory stimuli. The order of response frequency is auditory, visual, tactile stimuli.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show tendency that they response better the stimuli that they prefer such as stimuli that they are familiar with. This indicates that robots that have stimuli that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prefer thus can be utilized for improving the outcome of interventions for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학생 지원을 위한 Wee project 실태 및 인식조사

        서경신 ( Gyoung Sin Seo ),이효신 ( Hyo Shin Lee ),곽윤정 ( Yun Jung Goak ),권영활 ( Young Hwal Kwon ),오명섭 ( Myong Seop Oh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Wee Project 근무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전국의 Wee Project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상담교사, 전문상담사 290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Wee Project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지원 실태, 지원에 대한 인식, 지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첫째, 정서·행동장애학생 지원 운영실태의 집단 간 비교 결과, 클래스는 체계적 운영과 지원 실태에서, 스쿨은 정보교류 실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정서·행동장애학생 지원에 대한 인식에서 개별지원요인은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없으나 가족지원요인과 교사지원요인에서는 클래스가 가장 낮은 인식을 보였다. 셋째, 정서·행동장애학생 지원에 관한 만족도에서 효능감과 지위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프로그램 운영만족도에 대해서는 센터가 가장 높고 스쿨이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Wee project의 활성화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Wee Project workers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90 social workers, clinical psychologists, counselors and specialized counselors working at Wee Projects across the nation. The current situati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upport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ere examined and analyzed with the questionnaire about the Wee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managing support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by groups, Class demonstrated difficulties in systematic management and support while School struggled in information exchange. Second, regarding the perception of support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groups did not show difference in perception for individual support but Class demonstrated the lowest perception for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Third, regarding satisfaction of support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groups did not show difference in efficacy and status satisfaction, but for satisfaction of program management, Class showed the highest and the School had the lowest. The revitalization plans for the Wee project were propo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동을 통한 발달장애학생의 자발적 의사소통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배정혜 ( Bae Jeong Hye ),이효신 ( Lee Hyo Sin ),김건희 ( Kim Keon Hee ),황미화 ( Hwang Mi Hwa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대표적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중 하나인 ‘페이스북’을 활용한 활동을 통하여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D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중 적절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고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중등부 2학년 발달장애 학생 2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활동은 총 16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자신에 대한 정보 게시와 선호하는 사진에 대해 타인과 공유, 타인과 대화 나누기와 같은 활동을 바탕으로 구성하여 연구 대상자들이 의사소통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기본으로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SNS 활동이 발달장애학생의 자발적 의사소통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A-B설계를 사용하였고, 의사소통행동에 대한 질적 분석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SNS 활동은 발달장애학생의 적절한 대답하기 행동 증가와 관련이 있다. 두 번째, SNS 활동은 발달장애학생의 자발적 관심보이기 행동 증가와 관련이 있다. 세 번째, SNS 활동은 발달장애학생의 자발적 공유하기 행동 증가와 관련이 있다. 네 번째, SNS 활동을 통해 나타난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은 즐거운 기억 공유하기, 관심보이기, 다가가기, 애정표현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tudy how the communicat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affected by the activities such as posting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sharing photos they like, and having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using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ocial network service (SNS), Facebook.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of the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D’ special education school in ‘D’ city who have difficulties in proper communication and have ability to use computers. The activities performed in this study was done in 16 steps. The activities included posting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sharing photos they like, and having conversation with others, and they were done in order to encourage the target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others. AB design was used to determine how the SNS activities affect the spontaneity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obt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SNS activi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appropriate answer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SNS activi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spontaneity of showing interes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SNS activi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spontaneity of sharing memory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Gibberellin3 처리에 따른 현사시 나무 도장 효과의 형태적 분석

        최령임 ( Choe Lyeong Im ),허은운 ( Heo Eun Un ),박소영 ( Park So Yeong ),이재순 ( Lee Jae Sun ),이효신 ( Lee Hyo Sin ) 한국산림과학회 200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2 No.6

        GA has been known to have many functions o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These include dormancy break, flower induction, and shoot elong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GA3 on stem growth of poplar (xPopulus alba glandulosa) in a nursey. GA3 at the concentration of 0.2 to 20mg/ml stimulated shoot elongation on the tissue culture derived seedlings as well as the plants originated from root suckers. Although GA₃ stimulated the elongation of shoots, it did not increase the number of nodes on the shoots suggesting that the majority of the shoot growth was due to the elongation, not to new cell division. While GA₃ doubled the growth of both cells in the internode and thereby the internode itself. In some cases, it also caused the reduction in chlorophyll contents and both fresh and dry weight of the stems. Abnormal leaf shape was another notable characteristic of GA₃ treated plants. It even appeared in the plants treated with the lowest concentration (0.2mg) of GA3. If we use leaf abnormalty as the indicator of exogenous GA₃, activity on plants, we might be abl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the GA3 effects last at least till the 8 or 9th new leaf develops on the plants, and 2) GA₃ did not seem to move downward from the apical bud where exogenous GA₃ was treated.

      • KCI등재

        지적장애아동과 품행장애아동의 가족지원 사례관리 연구

        강미라,이효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장애아동의 변화과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저소득층 장애아동을 위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는,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회기 중에 일어나는 아동과 가족의 변화 과정을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아동의 개인적 요인(지적장애, 행동문제)과 특정 환경적 요인(편모가정, 저소득층 가정)을 모두 고려하여 사례관리라는 포괄적이고 복합적인 중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에서 사례관리 대상자로 의뢰된 저소득층의 지적장애아동 1명과 품행장애가 의심되는 아동 1명 그리고 그 아동의 가족이다. 사례관리 절차는 아동과 가족의 기본 정보 수집, 요구 사정, 중재목표 설정, 지원서비스 제공, 그리고 종결평가와 사후관리이다. 중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아동의 개별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가족지원 서비스를 가족에게 제공하였다.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 가족요구를 조사하였고, 아동의 변화를 측정하였다(A아동은 포테이지 발달 검사를, B아동은 K-CBCL과 K-ABC를 실시하였다). 사례관리 대상아동과 가족의 변화를 제시하기 위해 변화과정 연구(Change Process Research; CPR) 방법의 3가지 성과, 즉각적 성과, 중간적 성과, 최종적 성과를 중심으로 내용을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중재 목표는 달성되었지만, 가족의 역량강화는 성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 지적장애아동의 가족은 29개월 간의 사례관리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수동적인 수급자로 남아 있다. 마지막으로 저소득층 장애아동의 사례관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at changes process in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fic goal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develope case management program for low-income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it is to analysis that change process of child and family in sessions. Subjects were 2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D city, referred to the case management for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that with diagnose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at who is judged to be at risk of conduct disorder. The procedures of case management were as follows: collection of basic information, needs assessment, goal setting, providing support services, evaluation of program and follow-up activities. Thus, individualized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developed. Also, family support services were provided. Results indicated that final outcomes for children A and B were accomplished, but family empowerment was not attained.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 유아의 반응 유형 탐색 : 로봇 장난감과의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는 자극을 중심으로

        김건희,이효신,장수정,배민정,구현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1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유아들이 시각, 청각, 촉각에서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는 로봇 장난감과의 상호작용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A장애전담 어린이집에 있는 남자 자폐범주성장애 유아 3명이며,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로봇 장난감에서 주어지는 자극에 상당히 적극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이들이 보인 행동 유형들을 탐색형과 표현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주어지는 자극의 특성이나 교육 자료의 특성에 따라 자폐범주성장애 유아들도 적극적인 다양한 형태의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sponses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o five kinds of stimuli--includ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involved in their playing with electronic toy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male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in a preschoo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ethod was qualitative; over 16 sessions, three people recorded their observations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responding to the stimuli. The observation note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into t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behave as positive participants, explorers, requesters and expressers (that is, they expressed themselves very well on which stimuli they liked and wanted) This indicates that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can be active learners in activities when given appropriate stimuli or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