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봇 자극에 대한 자폐유아의 상호작용 연구

        구현진 ( Hyun Jin Ku ),이효신 ( Hyo Shin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서로 다른 5대의 로봇을 사용하여 로봇자극이 자폐유아의 상호작용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 로봇자극 유형별로 자폐유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자폐유아 1명을 선정하고, 물개, 사자, 앵무새, 공룡, 강아지 총 5대의 로봇을 가지고 실험하였다. 실험 설계는 AB설계이며, 로봇자극이 상호작용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초선 단계(A)는 로봇을 끈 상태로 실험하고, 중재 단계(B)는 로봇을 켠 상태로 실험하였다. 자료 분석은 로봇과 자폐유아의 상호작용 발생 빈도를 기록하기 위해 사건기록법(event recording)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유아는 로봇자극이 제시될 때 로봇자극이 제시되지 않을 때 보다 긍정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고 부정적 상호작용은 덜 한다. 둘째, 자폐유아의 로봇자극 유형별 상호작용은 사자, 앵무새, 물개, 공룡에서 긍정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강아지는 부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robotic stimuli on autistic young child by observing interactions between robots and autistic young child. Young Child with Autism was observed while he played with five different robots with the power off and then with power on. The study material was gathered by using direct observational recording method, and those were again reviewed with video-analysis method. Also in order to record the pattern of interaction between autistic young child and robots, researcher adapted event recording metho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robot stimuli presented, child with autism is much more positive interactions than negative interactions. Second,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child with autism and Paro, Lion Club, Squawker, Pleo were increased and negative interactions were decreased. However, Genibo`s positive interactions did not have any effect after the intervention.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과 관심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재 및 지원 실태

        구현진 ( Ku Hyun-jin ),최진혁 ( Choi Jinhyeo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 학생의 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가 제한적 반복행동과 관심에 대해 어떻게 중재를 하고 지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제한적 반복행동과 관심의 중재 13문항, 제한된 관심을 활용한 지원 11문항으로 총 24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경남, 부산, 울산지역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Window용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M, SD), 일원산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제한적 반복행동과 관심에 대한 중재의 전체 빈도 수준은 제한된 관심 중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문항별 중재 빈도 수준은 상동적·반복적 행동 중재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제한적 반복행동과 관심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재 차이는 교사 연령, 교사 경력, 학교급별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제한된 관심에 대한 특수교사의 지원 실태 차이는 하위영역 중 교육방법에서만 차이가 있고, 교사 연령, 교사 경력, 학교급별에서 지원 차이가 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자폐성장애 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과 관심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재 및 지원 방안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tervene and support ASD students’ restricted repetitive behavior and circumscribed interests. Method: The 24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RBs(13 items) and supports/interventions(11 items), 1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Gyeongnam, Busan, and Ulsan answered to this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M, SD) and a one-way 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SPSS 22.0 program for Windows. Results: First, the overall frequency level of intervention implemented for students’ circumscribed interests was highest, and the frequency level of intervention implemented for the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rs(RRBs) was the highest. Second, the data on RRBs demonstrated differences in terms of teacher’ age, experiences, and school grade levels. Third, the data on sub-types of supports for ASD students’ circumscribed intere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eacher’ age, experiences, and school grade level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ed the future studies regarding the interventions and supports for ASD students’ RRBs and circumscribed interests.

      • 뇌성마비아의 단어재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구현진 ( Hyun Jin K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뇌성마비아는 읽기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정상 범위의 지능을 가지고 있는 뇌성마비아일지라도 읽기 기술에서는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뇌성마비아의 읽기 능력에 관한 연구는 읽기 능력 결핍을 유발하는 요인에 초점을 둔 연구와 음운인식 과정과 관련하여 글자, 읽기 기술, 단어재인 등을 종속변인으로한 연구로 진행되어왔다. 읽기 과정은 단어재인과 읽기이해로 나눌 수 있는데, 단어재인 기술은 초기 읽기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뇌성마비아의 읽기 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단어재인에 관한 연구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뇌성마비아를 대상으로 진행된 단어재인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뇌성마비아의 단어재인 습득에 효과적인 읽기 과제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뇌성마비아의 단어재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뇌성마비아의 단어재인은 음운인식 과제보다는 음운 작업기억 과제가 더유의하게 예측한다. 둘째, 뇌성마비아의 단어재인은 단어 읽기 과제보다는 비단어 읽기 과제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뇌성마비아의 단어재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음운인식 과제를 포함하는 것보다는 음운 작업기억 과제를 포함하는 것이 더 필요하며 음운 작업기억과제 중에서도 비단어 읽기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Cerebral palsy children have difficulty doing reading. Although they have normal intelligence, their reading skills are much lower than it of normal children. The goal of this study of reading ability of cerebral palsy children is two-fold. First, what is a contributory factor of the limited reading ability? Second, what kind of dependent variables is with reference to phonological awareness processing?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 letter, reading skills, word recognition. A reading processing is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Word recognition skills have a crucial role in early reading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an investigation about word recognition is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for cerebral palsy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finding out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studies in reference to word recognition for cerebral palsy childre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also focuses on a very effective reading task for word recognition of cerebral palsy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d recognition of cerebral palsy could be better predicted by phonological working memory task than phonological awareness task. Second, word recognition of cerebral palsy was affected by pseudo-word reading task than word reading task. In conclusion,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pseudo-word reading are the primary factor in word recognition of cerebral palsy.

      • KCI등재

        지체장애의 쓰기중재에 대한 국외연구 동향분석

        구현진 ( Ku Hyun Ji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국외에서 이루어진 지체장애의 쓰기중재와 관련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체장애 학생의 쓰기 중재에 대한 연구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외 학술지 논문 총 11편이었으며, 연구대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연구 결과, 중재영역, 중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은 뇌성마비 초등학교 남학생이 가장 많았고 연구 방법은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연구 내용은 철자 중심의 연구가 많았고 연구 결과는 지체장애의 쓰기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재영역은 읽기 + 철자, 철자중심의 논문이 각각 3편씩, 글씨쓰기, 작문의 논문이 각각 2편씩, 읽기+ 작문의 논문이 1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방법은 컴퓨터보조교수(CAI) 3편, 음운인식,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기타, 기타 중재방법이 각각 2편씩, 이야기책읽기+ 기타, CAI+ AAC가 각각 1편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동향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irection and implication for studies on writing intervention for physical disabilities by analyzing trial studies on writing intervention for those students conducted abroad from 2000 to 2013.The selected articles for analysis were 11 abroad,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design, content, intervention method and domain of intervention for writing inter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the most men of elementary students, and designs were the most experimental research. The contents were the most research of spelling, and results have a positive effect on writing for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the domain of intervention were describes intervention method and results divided on handwriting, spelling, sentence construction, reading and spelling, composition and reading and composition. The study of reading and spelling is 3. Spelling study is 3. Handwriting and composition study is each of 2 and so on. Intervention methods were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I), phonological awarenes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and so on. CAI, phonological awareness, AAC and other, other intervention study is each of 2. The study tren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폐유아의 시각, 청각, 촉각에 대한 반응연구

        이효신 ( Hyo Sin Lee ),강원석 ( Won Seok Kang ),배민정 ( Min Jung Bae ),장수정 ( Su Jung Jang ),김건희 ( Keon Hee Kim ),강정배 ( Jung Bae Kang ),구현진 ( Hyun Jin Ku ),안진웅 ( Jin Ung A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이 시각, 청각, 촉각 자극에 대하여 어떠한 반응형태와 빈도로 반응을 보이는지를 각 자극이 장치된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자폐 범주성 장애 남자 유아 3명이며, 이 연구를 위하여 두 종류의 로봇이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이 함께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이 선호하여 반응을 많이 보이는 것은 청각, 시각, 촉각의 순서였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은 선호하는 자극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반응을 하며, 교사가 지시를 하지 않아도 자발어를 발생하였다. 이러한 발견이 시사하는 것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과 상호작용을 잘 할 수 있는 중재매체는 유아들이 선호하는 자극들로 구성될 때 유아들은 그 중재매체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responses for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in order to see how to respon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robot and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Robots hav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three male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he method of this study three people observe and record for 14 sessions of responses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o stimuli. The observation notes are analyzed by responses and frequ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responses to auditory stimuli. The order of response frequency is auditory, visual, tactile stimuli.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show tendency that they response better the stimuli that they prefer such as stimuli that they are familiar with. This indicates that robots that have stimuli that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prefer thus can be utilized for improving the outcome of interventions for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 KCI등재

        로봇과 자폐 아동의 상호작용에 관한 실험 연구

        홍종욱 ( Jong Wook Hong ),김영덕 ( Young Duk Kim ),강원석 ( Won Seok Kang ),이효신 ( Hyo Shin Lee ),백상수 ( Sang Su Baek ),구현진 ( Hyun Jin Ku ),안진웅 ( Jin Ung A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자폐를 가진 아동의 장난감 놀이상황에서, 전자 장난감 로봇과 대상 아동간의 상호작용과 일반 장난감 로봇과의 상호작용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비교실험을 통해 조사해보았다. 3명의 자폐를 가진 아동에게 14회기에 걸쳐서 전원을 끈 상태의 장난감 로봇과 전원을 켠 장난감 로봇을 가지고 놀게 한 놀이 실험 상황에서 장난감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놀이조작 빈도수와 놀이조작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연구는 교사면담, 아동관찰, 비교실험연구, 그리고 교사면담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도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제공한 6대의 전자 장난감 로봇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참여 아동 모두가 전원을 끈 장난감 로봇에 비해 대체로 전원을 켠 장난감 로봇을 가지고 노는 상호작용 빈도수와 상호작용 지속시간이 증가하였다. 몇몇 종류의 장난감 로봇에서는 전원을 켠 상태에서 이러한 상호작용의 지속성과 빈도의 순위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했으나, 6대의 장난감 로봇의 선호도는 아동마다 차이가 있었다. 이 실험과 관련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과 이 실험의 제한점에 관해 토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interactions of autistic children between electronic robotic toys and non-electronic robotic toys. Three young children with autism were observed while they played with six different electronic robotic toys with the power off and then with the power on.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their interactions with each toys were collected using event sampling and partial interval methods to cal mee the mean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interac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overall frequency and duration of interactions increased when participants played with electronic robotic toys. However, there was much variations in the order of toys each participant played with, in terms of duration and frequency. Research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 유아의 반응 유형 탐색 : 로봇 장난감과의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는 자극을 중심으로

        김건희,이효신,장수정,배민정,구현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1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유아들이 시각, 청각, 촉각에서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는 로봇 장난감과의 상호작용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A장애전담 어린이집에 있는 남자 자폐범주성장애 유아 3명이며,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로봇 장난감에서 주어지는 자극에 상당히 적극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이들이 보인 행동 유형들을 탐색형과 표현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주어지는 자극의 특성이나 교육 자료의 특성에 따라 자폐범주성장애 유아들도 적극적인 다양한 형태의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sponses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o five kinds of stimuli--includ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involved in their playing with electronic toy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male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in a preschoo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ethod was qualitative; over 16 sessions, three people recorded their observations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responding to the stimuli. The observation note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into t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behave as positive participants, explorers, requesters and expressers (that is, they expressed themselves very well on which stimuli they liked and wanted) This indicates that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can be active learners in activities when given appropriate stimuli or materials.

      • KCI등재

        기능적 언어재활 및 문제행동 중재 콘텐츠개발 및 적용실태 연구

        이상복,나운환,신윤희,배민정,구현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기능적 언어재활 중재콘텐츠 및 문제행동 중재콘텐츠의 개발과정을 알아보고 이를 적용한 기관들을 대상으로 적용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시스템 개발은 웹개발로 이루어져있으며 교사 및 양육자가 입력한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가능한 시스템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전국 어린이집 및 생활시설 약 30개 기관에서 2005년에 개발되어진 시스템을 통해 약 10년동안 적용되어진 언어중재 및 행동중재 콘텐츠 기록을 각 영역별에 따라 연령별로 엑셀로 분류하여 빈도 및 백분율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언어중재콘텐츠에서는 전반적으로 수용, 표현, 화용적 측면에서 수용이나 화용보다 표현하기의 중재가 많았으며 화용론적 측면에서는 요구하기가 많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문제행동 중재에 있어서는 반사회적행동과 우울불안행동이 가장 많이 중재되었으며 섭식과 자해, 공격, 상동행동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gure out process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rvention for challenging behavior and linguistic skills for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investigation’s data. The preschooler’s teachers and parents input the program including sample IEP, using Homi.info System. The program was based on web and database. We also analyzed the program used for 5 years and categorized types of linguistic and behavior intervention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ies and percentage.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the preschool teachers focused more on teaching the expressive fuction of language over receptive and pragmatic function of language. Also preschooler’s anti-social and depressive-anxiety behavior topped the intervention list of behavior, followed by eating, self injury behavior(SIB), aggressive and stereo-typed behavior. Therefore, we discussed making effective strategies for expressive function of linguistic skills and anti-social and depressive-anxious challenging behavior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