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선도산업의 기술혁신경로 창출능력

        이공래,배용호,김왕동,이광호,최지선,송성수,양희동,박철우,황정태,김형진,이원경,임해용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세계시장에서 후발주자가 취할 수 있는 모방에 의한 추격이 점점 어려워지기 시작함에 따라 우리 산업도 새로운 기술발전 전략이 요구된다. 신제품 창출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가 핵심적인 기술 활동으로 등장함에 따라 보다 많은 기초기술이 필요하고, 기초연구에 적합한 연구문화가 필요하며, 보완관계를 갖는 혁신주체들과의 협력이 더욱 더 중요해졌다. 달리 말하면 우리나라는“모방형 기술혁신에서 창조형 기술혁신”으로 변했으며, 또는 “추격 패러다임에서 탈추격 패러다임”으로 이행하고 있다. 이 같은 전환기적 상황에서 한국 산업은 더 높은 불확실성 하에서 미래의 혁신경로를 찾고, 이의 실현을 위하여 새로운 기술혁신전략을 선택해야 할 때이다. 따라서 한국의 선도기업들이 얼마나 새로운 혁신경로 창출능력에 필요한 조건들을 갖추고 있으며, 취약점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기업은 전환기적 상황에서 각자의 혁신경로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질문들을 갖고, 한국 선도산업의 기술혁신경로 창출능력을 평가하여 기업과 정부의 대응 방안들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참여도, 기술혁신 역량 축적 정도, 신기술 개발, 기술혁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 등을 포함하는 민간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 우리나라 주요 산업별 기술별 기술혁신 성과를 기업 규모, 기술이전 및 상업화, 국제기술무역 관점에서 개략적으로 살펴봤다. 전 산업을 포괄하여 수출통계와 미국 특허등록 통계를 분석하여 선도산업지수를 계산한 후 어느 산업이 어느 정도 선도하고 있는가를 계량적으로 나타냈다. 아울러 산업 유형별로 어느 기업이 선도하는가를 찾아내기 위하여 세계시장 1위 점유율 품목과 기업리스트를 입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론적으로는 혁신경로 창출능력을 왜 분석하는지, 이 연구가 왜 중요한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산업과 기업 수준의 경쟁우위 및 혁신경로 창출능력을 이론적으로 논의하였다. 여기서 논의된 이론적 설명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수행하고자 하는 선도산업별, 선도기업별 혁신경로 창출능력 분석 모형을 구성함과 동시에 그 요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보고서는 선도산업별 선도기업의 혁신경로 창출능력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자동차산업, 조선산업, 디스플레이산업, 반도체산업, 철강산업, 온라인게임산업, 이동통신기기산업 등 7개의 산업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선도산업으로 보고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각 산업별 사례분석에서는 선도기업의 기술혁신전략을 핵심기술 역량, 경쟁우위 요소, 혁신경로 창출능력 등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선도기업의 혁신경로 창출능력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였으며, 선도기업의 기술혁신경로가 신기술 창조 방향으로 변모함에 따라 어떤 어려움이 있고, 어떤 강점이 존재하고 있는가를 규명하였다. 종합 비교에서는 핵심기술 역량 관리능력, 연계 및 통합능력, 기술혁신전략 및 정책을 구분하고 7개 선도산업별로 비교한 결과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이들 분석 항목을 종합적으로 비교하고 클러스터 분석을 통하여 얻은 4개의 유형화된 그룹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선도기업 차원에서 어떻게 하여 혁신경로 창출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지와 정부 차원에서의 정책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 우리나라 선도산업이나 선도기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아직 새로운 혁신경로를 창출할 만한 충분한 능력을 쌓아놓지 못했다. 선도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매출액 순위가 1∼2위를 차지하고 있어도 미래의 혁신경로 창출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위치가 불안한 상태에 있다. 혁신경로 창출능력의 요인 중에서도 기초연구와 창의성 함양이 특히 취약하다. 7개 선도산업별로 혁신경로 창출능력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반도체산업이 상대적으로 가장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도체산업은 연간 300억 달러 이상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여 우리나라 최대 수출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반도체산업의 뒤를 이어 2위를 차지한 조선산업은 우수한 연구개발인력과 기술인력의 참신한 아이디어에 힘입어 창조적인 선박 건조공법을 다양하게 개발하였고, 새로운 혁신경로를 창출하고 사업화에 성공하였다. 8개 선도기업에 대한 인터뷰 자료를 갖고 클러스터 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4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는 연관기업과 협력이 우수한 그룹 (연관기업 협력형)으로서 조선 (대우조선해양), 철강, 자동차산업이 포함되었다. 두 번째는 신기술 학습과 R&D 리더쉽이 탁월한 그룹 (신기술학습형)으로서 조선산업 (삼성중공업)과 이동통신단말기산업이 포함되었다. 세 번째는 지적재산권 관리와 R&D-생산 연계가 우수한 그룹(R&D-생산연계형)으로서 반도체산업과 디스플레이산업이 포함됐다. 마지막은 사용자관련 혁신경로 창출능력 요인이 강한 “사용자 대응형”그룹으로 온라인게임산업이 이에 속했다. 정책제언 선도기업들이 공공부문으로부터 기대하는 연구결과는 대부분 기초원천기술이다. 선도기업이 기초연구를 어느 정도는 수행해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기초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문화, 자원 및 인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정부나 공공부문으로부터 기초연구 결과를 기대한다. 공공부문 기초연구가 확대될 때 선도산업의 기초연구 니드와 밀접하게 연계될 필요가 있다. 선도기업들과 공공연구기관 및 대학들 간 다양한 연계 메커니즘 또는 수단을 구축하여 추진해야 한다. 공공부문 연구결과를 산업계로 확산시키기 위한 정책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추진함과 동시에 아래에서 제시하는 여러 가지 조치들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 환경·경제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

        안소은,김현노,김충기,서양원,배현주,곽소윤,윤태경,김진옥,이홍림,조윤랑,박윤선,지선우,박주영,신정우,강완모,신영철,이창훈,문난경,전호철,정다운,하종식,강형식,이승준 한국환경연구원 2017 사업보고서 Vol.2017 No.-

        인간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환경정책·개발사업으로 인한 영향과 그 범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작업과, 확인된 영향의 정량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서 정량화는 환경영향의 물리적 크기 또는 정도의 측정을 의미하며, 관련 서비스·편익의 화폐화는 합리적 수준에서 가치추정이 가능한 범위에 한정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정책·개발사업-물리적 환경영향-환경서비스·편익-환경가치 변화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고려할 때, 물리적 환경영향의 분석과 환경편익·비용을 고려한 경제성분석은 큰 틀에서 동시에 맞물려 수행되어야 정책·사업 평가의 완성도를 높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환경서비스·편익의 ‘화폐화 가치’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국내 환경가치 선행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환경서비스 항목의 단위가치(원단위) 정보를 온라인 DB화하는 사업을 수행한 바 있다(안소은 외, 2011). 본 연구는 KEI 환경가치 DB(EVIS: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1) 사업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되었다. 현재 운영 중인 환경가치 DB(EVIS)가 위에서 언급한 경로분석(정책·사업-물리적 환경영향-환경서비스·편익-환경가치)의 마지막 단계인 환경가치 정보의 체계화에 국한되어 있었다면, 본 연구는 환경가치 DB(EVIS)의 단위가치로부터 출발하여 항목별 단위가치를 보완 및 직접 추정하고, 단위가치를 물리적 환경영향에 대한 정보와 연계하여 경로분석에 근거한 환경·경제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 및 의사결정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세부목표로는 1) 웹기반 환경가치 DB(EVIS) 개선 및 단위가치 분석, 2) 오염원별 단위피해비용, 생태계서비스 단위가치 생성을 위한 직접연구, 3)부문별 물리적 환경영향 정량화 및 관련정보 체계화, 4) 경로분석 사례연구에 근거한 부문별 분석 템플릿 설계, 5) 환경가치 DB(EVIS)와 경로분석 템플릿을 연계한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방대한 연구범위로 인하여 계속사업으로 기획되었으며, 3년 단위로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부문별 연차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한다. 1단계(2016~2018) 사업의 주요 목표는 환경영향 정량화와 단위가치 연계를 위한 시스템 기반 구축이다. 이를 위해 부문별 통합분석 사례연구를 진행하며, 경로분석과 가치추정의 연계 가능성을 타진한다. 2단계(2019~2021)는 환경·경제 통합분석 사례연구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스템 개선과 관련 정보의 축적을 도모한다. 3단계(2022~2024)는 통합분석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정책평가의 활용도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2017년도는 1단계 사업(2016~2018)의 2차 연도에 해당하며, 연구내용은 크게 총괄, 생태계 평가 및 가치추정, 건강영향 평가 및 가치추정, 국민환경의식조사 4부문으로 구분된다. 먼저 총괄부문의 주요 목표는 환경가치 DB(EVIS) 개선 작업이다. 이는 기존의 환경자산/서비스 분류체계로부터 수용체(건강, 생태계, 유·무형자산) 중심의 분류체계로의 수정, 수정된 분류체계를 적용한 단위가치 요약 및 비교분석, 메타회귀분석을 통한 수질부문의 단위가치 추정을 포함한다. 생태계부문은 수량(water yield) 공급 서비스를 대상으로 통합분석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수량은 생태계 유형별로, 단위가치는 용도별(농업, 공업, 생활용수)로 추정하고,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권역별, 용도별 수랑공급 서비스의 가치변화를 도출한다. 건강부문은 3부문으로 구분하는데, 즉 대기오염(PM2.5)-건강영향(천식)-단위가치(COI), 화학물질(수은·납)-건강영향(IQ점수, DALY)-단위가치, 소음-건강영향(심혈관계 질환)으로 세분화하여 진행한다. 건강부문의 가치변화는 특정 정책의 유무 또는 규제의 달성 여부 등을 중심으로 도출한다. 본 연구는 2권의 보고서로 구성된다. 1권은 총괄부문의 주요 결과, 즉 환경가치 DB(EVIS) 및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2권은 생태계부문과 건강부문의 경로분석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그림 참조). 보고서 1권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은 ‘영향경로분석법’과 ‘효용기반 환경가치추정’을 중심으로 설계한 경로분석 템플릿이 환경·경제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의 출발점임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부문별 사례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능한 부문의 개념적·방법론적 템플릿을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생태계부문의 기후조절(탄소흡수·저장기능), 물(담수) 공급, 수질정화를 대상으로 템플릿을 제시하였고, 건강부문의 경우 미세먼지(PM2.5, PM10)와 수은에 대한 건강영향 경로분석 템플릿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3장은 환경가치 DB(EVIS)의 주요 개선 내용을 정리한다. 2011년도에 오픈한 환경가치 DB(EVIS)는 국내 환경가치 선행연구의 주요 내용을 정리한 메타정보 DB이며, 비용편익분석, 규제영향분석, 환경영향평가 등의 정책분석 지원을 목표로 구축되었다. 기존의 환경가치 DB(EVIS) 분류체계는 크게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으로 구분된다. 생활환경분야는 환경영향평가와의 연계를 고려하여 매체(대기, 물, 토양 등)별로, 자연환경은 개별 생태계와 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를 병행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매체 중심의 분류체계를 수용체 중심으로 개편함으로써 최근 환경정책 기조 변화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편안은 경로분석 및 효용기반 통합분석 틀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세부항목을 구성하였다. 수용체 중심의 분류체계(안)는 크게 생태계, 건강, 유·무형자산으로 구분된다. 생태계부문의 분류체계(안)는 생태계 유형과 생태계서비스·편익의 2가지 분류기준을 병행하도록 구성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존 분류체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세부항목은 MA(2005), TEEB(2013), IPBES(2017)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국내 선행연구에서 다룬 가치추정 대상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재정의, 재배치하였다. 건강부문의 경우 환경보건지표 항목을 참고하여 분류하였고, 유·무형자산의 경우 원료·물질, 시설·인프라 등의 유형자산과 문화유산과 같은 무형자산을 포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수용체별 분류와 별도로 정책 및 규제평가 관련 연구를 독립적인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DB 내 선행연구 정보를 재정리하였으며, 유형별 보유 선행연구 수와 가치추정치 수를 제시하여 어떤 부문의 연구가 활발하고, 어떤 부문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부문별, 세부항목별로 동일한 측정단위를 묶고 유사한 측정단위를 합리적인 수준에서 전환함으로써 다수의 이질적인 가치추정치를 표준화하여 유형별 단위가치 요약통계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환경가치 DB(EVIS) 정보를 활용한 메타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환경가치 DB(EVIS)에 수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2010년 이후 진행된 선행연구를 추가하고 수질부문 메타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수질개선 수준에 따른 유역별 지불의사액(WTP)을 추정하였다. 2018년도는 지난 2년간의 연구내용을 종합·평가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2단계 사업계획을 정비한다는 차원에서 중요하며, 환경가치 DB(EVIS)를 재오픈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018년 연구도 총 4부문, 즉 총괄, 생태계 평가 및 가치추정, 건강영향 평가 및 가치추정, 국민환경의식조사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총괄은 환경가치 DB(EVIS)의 부문별 단위가치 요약과 메타회귀분석 확대·적용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동시에 환경가치 정보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기능적 측면을 개선한다. 또한 부문별 개념적·방법론적 템플릿을 중심으로 진행한 통합분석 틀을 실질적인 정책평가에 활용 가능한 계산식 템플릿으로 전환하고 시범적용할 계획이다. Comprehensive evaluation of human impacts on the environment asks for identifying impacts of an environmental policy or development project and quantifying an extent and magnitude of the impacts identified. Considering a complex pathway of impacts from environmental policy/development project through physical impacts and environmental goods/services to economic costs/benefits, these linkages should be integrated and analyzed in an inclusive framework. The integrated approach could enhanc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policy or development project and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rational decision-making.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has conducted the research on economic valuation of environmental services/benefits; for example, meta-information, mainly the unit values of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from the environmental valuation studies in Korea were compiled into on-line DB, which called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in 2011. This project is launched to extend EVIS and aims to construct an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by linking the unit values of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in EVIS to the extent and magnitude of physical impacts associated with based on the impact pathway analysi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project are 1) to improve the EVIS and analyze environmental unit values contained in DB; 2) to estimate unit damage costs by pollutant sources and the values of ecosystem services through primary research; 3) to quantify and examine physical impacts on ecosystem services and human health caused from the various environmental disturbances; 4) to design templates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impact pathway analysis for ecosystem services and human health; and 5) to construct an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coupling the EVIS and the impact pathway analysis templates. This research project is planned for three phases covering ten years. Phase I (2016-2018) is supposed to design an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for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and valuation of environmental services/values, accompanied with the case studies linking impact pathway analyses and value estimation. Phase II (2019-2021) is planned to improve the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and accumulate relevant information based on the outcomes of case studies using the experiences from integrated analyses. Finally, Phase III (2022-2024) aims to make the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operational for policy assessment. The 2017 study, at the second year of the first phase (2016-2018), has four research topics as follows: improvement of EVIS and estimation of unit values, ecosystem assessment and valuation,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valuation, and public survey on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The DB part improved and updated the EVI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al values was revised to adopt receptor-oriented calssification (e.g., health, ecosystems, and in/tangible assets), and unit values of reclassified environmental values were summarized, and analyzed using meta-regression. The ecosystem part investigated water provision service for each ecosystem type and water use (agricultural, industrial, and domestic) and estimated a change of water provision services by land use change. A health part assessed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chemical exposure and noise, accompanied with a change of value by presence/absence of specific policy or regulatory compliance. This project consists of two reports and one separate volume of appendix; volume I contains main outcomes from EVIS and summarize unit values of environmental services/benefits, and volume II presents the case studies based on the impact pathway analysis of ecosystem and human health. The separate volume of appendix reports the results from the 2017 public survey on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 KCI등재

        혼산에 의한 폭발사고의 화학반응 경로 분석 - 화학물질 운반 선박을 중심으로 -

        강유미,임정빈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혼산 화물의 폭발사고에 대한 화학반응 경로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에는 사건-가지분석기법을 적용한 구조 적인 시나리오를 이용하였다. 구조적인 시나리오는 재결서에 기록된 혼산 화물 사고의 내용에서 다양한 화학반응 경로를 추정하여 구축하 였다. 분석에는 화학 이론에 의거한 정성적 분석과 화학 반응식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 및 설문조사를 통한 확률적 분석 등 세 가지 방법을 혼합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사고 발생의 주요 경로는 진한 황산과 물이 반응하여 폭발하는 경로, 혼산과 금속이 반응하여 폭발하는 경로, 특수한 물질과 합성하여 폭발하는 경로 등 세 가지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재결서에 기록된 경로와 유사함을 알았고, 이를 통해서 본 연구 에서 제안한 화학물질의 경로분석 기법이 타당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화학물질 사고의 화학반응 경로 추정에 적 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emical reaction pathway for explosion accident of mixed cargo. The analysis used a structural scenario using event-tree analysis. Structural scenarios were constructed by estimating various chemical reaction paths in the content of the mixed cargo accident recorded in the written verdict. The analytical method was applied to three kinds of analysis: chemical analysis based on chemical theory, quantitative analysis using chemical reaction formula, and probabilistic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ain pathway of the accident occurred in three ways: the path of explosion due to the reaction of concentrated sulfuric acid with water, the path of explosion due to the reaction of metal and mixed acid, and the path of explosion by synthesizing with special substances.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path recorded in the validation, and it leads to thar the proposed path analysis method is valid. The proposed method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chemical reaction path estimation of various chemical accidents.

      • KCI등재후보

        여자대학운동선수들의 섭식장애/이상섭식 유형분석 및 대상화 이론에 근거한 섭식행동 경로모형 분석

        정찬교,김규호,강형숙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여자대학운동선수들의 섭식장애 및 이상섭식행동 유병율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스포츠 종목별 그룹과 일반여자대학생들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섭식장애/이상섭식 관련 변 인들로 섭색행동 경로모형을 개발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총 965명 중 운동선수는 378명이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 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적용된 임상적 섭식장애 진단기준과 이상섭식 점수를 사용하여 섭식장애 및 이상섭식 유병률을 측정하였다. 경로모형 검증을 위하여 모든 연구자는 자기기입형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EDEQ에 의하여 측정된 섭식장애는 운동선수(5.8%)와 비 운동선수(6.5%)로 나타나 집단 간 통계적 유의차는 보고되지 않았 다. 하지만 이상섭식은 운동선수(58.5%)와 비 운동선수(36.2%)로 운동선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간 경로 모형의 독립변수(OBC, BD, DT, SATAQ, RSES)와 종속변인(EDEQ)의 평균분석에서는 OBC, SATAQ, P, RSES변 인에서 집단간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변인들 간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으나, 집단 간 경로계수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섭식에 장기간 노출은 섭식장애로 발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섭식행동 경로는 일반여자대학생들과 다르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prevalence rate of eating disorders and disordered in female collegiate athletes compared with non-athletes, and also to develop and analyze path model explaining eating disorders behaviors with six variables. A total of 965 college women participated volunteerly including 378 athletes. To find out eating disorders and disordered eating, clinically proven criteria and cut-off score were applied. Each participants complete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on seven variables including EDEQ, dependent variable, and those variable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eating behavior path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eating behaviors in two groups. However, the prevalence rate of disordered eating was higher in athletes group. The means of the variables used in the path model were different in four variables(OBC, SATAQ, P, RSES). In addition, all the path coefficients except perfectionism to self esteem in non-athletes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path model could be explained differently for each group. Exposing in unsafe condition such as disordered eating for a long could develop to eating disorders which is fatal to athletes’ health.

      • KCI우수등재

        데이터 기반 경로 선별을 통한 상용 정적분석기의 성능 향상 방법

        김진영,이광근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4

        We propose a data-driven method to improve path-sensitive industrial-strength static analyzers. Most industrial static analyzers adopt path-sensitive techniques and path selection holds the key to their performance. We propose a method to automatically learn new cost-effective path-selection heuristics from an existing analyzer with a manually tuned path-selection heuristic. We evaluated our method on an industrial static C code bug-finder from Sparrow as a baseline analyzer with 17 C open-source benchmark program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with the newly-learned path-selection heuristic, the analyzer reported 90.8% of the defects in only 38% of the analysis time, compared to the baseline analysis. This method reported more defects in less time than the baseline path-selection heuristic under similar path search space constraints. 데이터에 기반한 경로 선별을 통해 상용 정적분석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경로에 민감한(path-sensitive) 분석은 상용 정적분석기가 일반적으로 채택하는 기법이며, 어떤 경로를 골라 분석하느냐에 따라 분석비용과 검출하는 오류 수가 달라진다. 이 논문은 손수 튜닝된 경로 선별 휴리스틱을 장착한 기존 상용 정적분석기로부터 비용 대비 효과가 좋은 새로운 경로 선별 휴리스틱을 자동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분석기 코드에서 추출한 특징(feature)과 벤치마크 프로그램의 분석결과에 기대어 학습한다. 이 방법을 스패로우(Sparrow)의 상용 C 소스코드 정적분석기와 17개의 C 오픈소스 벤치마크에 적용한 결과, 대표적인 17종 대상오류에 대해 기존 분석 대비 90.8%의 오류를 38%의 분석시간에 검출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분석기의 경로 선별 휴리스틱을 따르되 탐색하는 경로의 개수만 유사한 조건으로 제한했을 때보다 더 많은 오류를 더 짧은 시간에 검출한 것이다.

      • KCI등재

        퇴적물 이동경로 식별을 위한 입도경향 분석법의 가능성과 한계

        김성환(Sung Hwan Kim),류호상(Ho Sahng Rhew),유근배(Keun Bae Yu)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4

        입도경향 분석법은 파이척도로 표현된 평균입도, 분급, 왜도 등 퇴적물 입도조직변수가 퇴적물의 이동경로를 따라 특정한 경향을 보이는 성질을 이용한 퇴적물 이동경로 식별 방법론이다. 적용이 간편하고 저렴하여 지형학 연구에 널리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나 방법론상의 한계도 몇 가지 측면에서 지적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McLaren과 Bowles의 1차원 경로분석법, Gao와 Collins, Le Roux의 2차원 이동벡터법 등 현재까지 정립된 입도경향 분석의 대표적인 세 가지 기법을 비교 평가하여 적절한 활용법을 도출하고, 입도경향 분석의 추후 연구과제를 제안한 것이다. McLaren-Bowles의 1차원 경로분석법은 연구자의 현장경험을 분석에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X-분포를 통해 퇴적환경에 대한 해석을 제공해주며 장기적인 퇴적물 순이동 패턴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나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에 의존해야 한다는 점, 식별할 수 있는 시간 해상도가 낮다는 점 등이 단점이다. Gao-Collins의 2차원 이동벡터법은 명확한 절차, 2차원적인 시각화, 세밀한 시간 해상도 등이 장점이지만, 임계거리 선정, 잡벡터 제거과정 등이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분석 시 주의를 요한다. 셋째, Le Roux의 2차원 이동벡터법은 확장된 경험규칙과 조직변수 간의 구배를 고려하고 시간해상도도 세밀하지만, 분석개념이 모호하고 복잡하다. 입도경향 분석은 현장에 대한 연구자의 이해도, 조사하고자 하는 퇴적물 순이동 패턴의 시간적 스케일,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정보 등에 따라 적절한 기법을 선택하고, 거기에 부합되는 시료채취방안을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입도경향 분석이 지형학 연구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시료채취 깊이, 교란층의 두께 등 시료채취 과정의 요소들과 퇴적물 순이동 패턴이 지시하는 시간스케일 간의 관계가 체계적으로 규명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Grain-Size Trend Analysis is the methodology to identify net sediment transport pathway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ovement of sediment from the source to deposit leaves the identifiable spatial pattern of mean, sorting, and skewness of grain size. It can easily be implemented with low cost, so it has great potentials to contribute to geomorphological research, whereas it can also be used inadequately without recognition of its limitations.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three established methods of grain-size trend analysis to search for the adequate way of application, and also suggest the research tasks needed in improving this methodology. 1D pathway method can corporate the field experience into analyzing the pathway,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through X-distribution, and identify the long-term trend effectively. However, it has disadvantage of the dependence on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a relatively coarse temporal scale. Gao-Collins’s 2D transport vector method has the objective procedure, has the capability to visualize the transport pattern in 2D format, and to identify the pattern at a finer temporal scale, whereas characteristic distance and semiquantitative filtering are controversial. Le Roux’s alternative 2D transport vector method has two improvement of Gao-Collins’s in that it expands the empirical rules, considers the gradient of each parameters as well as the order, and has the ability to identify the pattern at a finer temporal scale, while the basic concepts are arbitrary and complicated. The application of grain size trend analysis requires the selection of adequate method and the design of proper sampling scheme, based on the field knowledge of researcher, the temporal scale of sediment transport pattern targeted, and information needed. Besi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sample and representative temporal scale should b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improving this methodology.

      • KCI등재

        직무만족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고용정보원 고용패널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김호원,오성욱,이재춘 한국취업진로학회 2015 취업진로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직무만족도 변수들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 2005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 1차년도 부터 3차년도 자료, 2009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1차년도 그리고 고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와 청년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직무만족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GOMS(대졸자이 동경로조사), HSGOMS(고졸자이동경로조사) 그리고 YP(청년패널) 자료를 기초로 한 다수의 보고서에 서 직무만족도 요인분석 과정에서 합리적이지 못한 부분이 적용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들에서 직무만족도는 최소한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으로 구분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 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 패널 데이터 분석 결과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는 직무 만족도 변수를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없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두 개의 요인을 구분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용패널 선행연구들에서 많이 사용한 전체 변수들을 분석에 이용한 경우를 또 다른 측정 모델로 구성하여 모두 5개의 측정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2005 GOMS I, II, III과 2009 GOMS I 모두 일관되게 “인간관계”항목을 내 재적 요인에 포함하여 “직무내용”, “하고 있는 일의 자율성과 권한”, “개인의 발전가능성”항목으로 내재 적 요인을 구성한 모델(2009 GOMS I_3, 2005 GOMS III_3, 2005 GOMS II_3, 2005 GOMS I_3)이 가 장 우수한 적합도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국고용정보원 패널 데이터로 직무만족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직무만족도 요인을 분류하기 보다는 그동안 선행연구를 기초로 내재적 요인 과 외재적 요인으로 구분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내재적 만족도와 외재적 만족도를 구분하 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연구주제가 직무만족도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경우 본 연구에서 제안 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필요성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analyzes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variables, This study were analyzed by 2005 GOMS I∼III, 2009 GOMS I, HSGOMS and YP employment panel data. Because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make up the job satisfaction, not rational part was being applied in job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from a number of reports on the basis of the GOMS(graduates flyway research), HSGOMS(high school graduates flyway research) and YP (Youth Panel) data . At least, In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job satisfaction factors and the extrinsic job satisfaction factors were separated. In this study, however, In that case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anel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uld not be separated by the intrinsic job satisfaction factors and the extrinsic job satisfaction factors. Just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factors. For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variables prior research has included extrinsic factors, if the configuration of relationships,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superiors supervision.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Institute panel data the relationships is ambiguity whether the relationship is job duties intrinsic relationships or job duties external relationships Therefore,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 model was constructed. The first model included variables intrinsicl relationships. The second model is included a human relations for extrinsicl variables. The third model did not include any elements in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individual variables was composed of more than a model in the intrinsic factor. Because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potential variables could not be sure that the intrinsic or extrinsic factors. And finally, the fif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is measured using the whole lot of variables used in previous studies to analyze employment panel. An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model fitness. The result 2005 GOMS I, II, III and 2009 GOMS I consistently “human relationships”, “job description”, “autonomy and authority of the work, “individuals development potential factors” the configured model intrinsic to the items (2009 GOMS I_3, 2005 GOMS III_3, 2005 GOMS II_3, 2005 GOMS I_3) showed the best fit value.Thus, when you want to proceed to a detailed study on job satisfaction by the KEIS panel data,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to distinguish between the intrinsic job satisfaction factors and the extrinsic job satisfaction facto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earch topic, especially when focused on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to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how you can.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that proposed a way for a more systematic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variables in that has been used indiscriminately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data from existing panel data.

      • KCI등재

        지형공간정보 및 최적탐색기법을 이용한 최적침투경로 분석

        방수남(Bang Soo Nam),허준(Heo Joon),손홍규(Sohn Hong Gyoo),이용웅(Lee Yong Woong)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1D

        침투경로분석은 지형공간정보 기술을 활용한 군사응용분야 중 하나이다. 분석결과는 잠재적인 적의 침투에 대해 취약한 경로를 보여줄 것이다. 가능한 침투경로를 찾기 위하여 탐지확률의 합으로 표현되는 비용함수를 최소화하는 최적경로알고리듬(다익스트라 및 A<SUP>*</SUP>)을 사용하였다. 열상장비의 성능, 수치고도모형을 이용한 가시선분석 결과와 지형분석도(VITD)에 포함된 지형공간정보 커버리지(coverage) 중 2개의 관련된 커버리지를 사용하여 비용함수를 계산하였다. 50m×50m 셀(cell) 크기 단위로 각각의 비용이 계산되고 저장되었으며, 최적경로로서 경로상의 모든 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경로를 찾아내었다. 제안된 방법은 대한민국의 대전지역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다익스트라와 A<SUP>*</SUP> 알고리듬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다만 A<SUP>*</SUP> 알고리듬의 수행시간 측면에서 유리하였다. 이러한 응용분야는 침투와 감시의 두 가지 측면에서 모두 활용될 수 있다. 열상장비의 위치를 바꿔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 가장 취약한 경로를 침투목적으로 찾아낼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보면 열상장비의 최상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군사응용분야에 대한 강력한 지형공간정보 활용 해법의 한 가지 예제가 될 것이다. The infiltration route analysis is a military application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he result of the analysis would present vulnerable routes for potential enemy infiltration. In order to find the susceptible routes, optimal path search algorithms (Dijkstra's and A<SUP>*</SUP>) were used to minimize the cost function, summation of detection probability. The cost function was produced by capability of TOD (Thermal Observation Device), results of viewshed analysis using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two related geospatial information coverages (obstacle and vegetation) extracted from VITD (Vector product Interim Terrain Data). With respect to 50m by 50m cells, the individual cost was computed and recorded, and then the optimal infiltration routes was found while minimizing summation of the costs on the routes. The proposed algorithm was experimented in Daejeon region in South Korea. The test results show that Dijkstra's and A<SUP>*</SUP> algorithms do not 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but A<SUP>*</SUP> algorithm shows a better efficiency. This application can be used for both infiltration and surveillance. Using simulation of moving TOD, the most vulnerable routes can be detected for infiltration purpose. On the other hands, it can be inversely used for selection of the best locations of TOD. This is an example of powerful geospatial solution for military application.

      • KCI등재

        국내 수출입 교역 경로 집중도에 대한 연구

        김두리(Du-ri Kim),우수한(Su-han Woo) 한국국제상학회 2021 國際商學 Vol.36 No.2

        국가 간 교역에서 해상운송과 육상운송을 연결하는 결절점으로서 항만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운송경로를 결정하는 주요한 위치에 있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 컨테이너 수출입 화물 교역에서 나타나는 운송경로의 집중도와 의존성을 항만시스템과 연계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종점별 운송경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특정경로에 얼마나 집중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집중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허핀달-허쉬만 지수분석으로 경로의 집중화 수준을 파악하고, 상호보완적인 측면에서 변이할당효과분석을 통해 전체 시스템 내에서 분석기간 동안 경로의 변화양상과 추정해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통해 국내 컨테이너 수출입 교역 네트워크의 불평등한 구조를 파악하였다. 국내 컨테이너 수출입화물의 경로는 특정항만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점차적으로 경로의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route concentration analysis to examine how transportation routes are organized by the origin of trade and how concentrated they are on a specific rout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analysis identified the level of centralization, in complementary terms, analyzed the Shift-Share effect throughout the analysis period. Finally, the Gini coefficients and Lorentz curv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unequal structure of the transportation routes network. Results : Transportation routes are formed around specific ports, but it is estimated that routes are gradually diversifying. Conclusions : The transportation route of domestic container exports and imports is presumed to have an unequal structure assumed to be concentrated in a few specific ports. And then, the phenomenon of concentration and dependence of transportation routes will be approached by path dependence theory.

      • KCI등재후보

        과제수행에 대한 사전지식 및 인지부하요인의 경로분석

        류지헌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4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과 같은 학습자의 전문성 수준을 고려하여 인지부하요인과 학습수행에 대한 경로모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217명(남학생: 52명, 여학생: 165명)이었으며,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섯 요인(신체적 노력, 정신적 노력, 과제 난이도, 자기평가, 자료설계)으로 구성된 인지부하모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에 대한 경로모형을 설정하였다. 자기평가와 과제 난이도는 사전검사(학습자의 전문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경로를 구성했으며, 정신적 노력, 자료의 설계, 신체적 노력은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과 상관없는 요인으로 경로를 구성했다. 초기의 모형적합도 지수는 CMIN=27.94, df=10, p<.05, GFI=.97, IFI=.96, CFI=.96, TLI=.91, RMSEA=.09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제곱 및 RMSEA의 지수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초기경로모형에 대한 수정을 실시하였다. 신체적 노력과 과제 난이도 사이에 오차 공변량을 설정함으로써 모형을 수정했으며, 모든 적합도 지수가 수용수준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CMIN=11.28, df=9, p=.26, GFI=.99, IFI=.99, CFI=.99, TLI=.99, RMSEA=.03). 또한 경로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경로의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의 경로모형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로는 사전검사 → 사후검사(전체효과=.61)였으며, 자기평가가 과제난이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전체효과=-.54). 이 연구를 통하여 1) 다차원적 관점에서의 인지부하요인을 설정할 수 있었으며, 2) 구조주의적 관점에 따라서 종합적인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3) 학습자 중심의 적응적 인지부하이론이 개발될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전문성 역전효과와 같이 학습자의 전문성 정도에 따라서 인지부하이론의 적용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한 교수설계전략이 필요하다. 인지부하이론을 위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계량화된 형태의 타당화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인지부하의 결과를 객관화함으로써 교수과정에서의 효율성을 측정하거나 비교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학습자의 사전지식이나 전문성을 반영한 인지부하이론을 구성함으로써 인지과정을 역동성과 학습맥락을 고려한 설계이론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동기요인과 같은 정의적인 측면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re have been critical debates around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nd the framework for the cognitive load theory. First, the discussions have brought some key them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formance and cognitive load constructs. Second, there are some ways to reflect on the purpose of using a cognitive structure course for the cognitive load theory. Third, there are multidimensional aspects to measure cognitive loads. Along with the tenets of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load theory, a path model was tested. The total number of the participants in this project was 217 (male: 52 - 24.0%. female: 165 - 76%). Five multidimensional constructs (mental efforts, physical effort, material design, self-evaluation, and task difficulty) and pre- and post-tests were analyzed. In order to build a path model, the pre-test scores were linked to self-evaluation and task-difficulty; however, other constructs were not linked according to the pre-test scores. The initial analysis suggested that a modification in the model. Then a covariance link was added. The overall goodness of fit for indices indicted satisfying the path analysis. All indices of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to meet the acceptable criterion. The indices were revealed as CMIN=11.28, df=9, p=.26, GFI=.99, IFI=.99, CFI=.99, TLI=.99, RMSEA=.03.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a multidimensional aspect of cognitive load is acceptable and applicable to building a path model. Consideration of learners activities was required to build an adaptive cognitive load theory for various instructional settings. Specifically,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hould be more reflected to explain certain concepts such as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