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의 변혁적 연구 동향과 관리체계

        김왕동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범위급변하는 글로벌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주요 선진국들은 변혁적 연구(미국), 프론티어 연구(EU), 고위험-고영향 연구(영국), 돌파적 연구(핀란드) 등 다양한 연구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김왕동, 2009a). 우리나라도 이명박 정부 들어 고위험-고수익 연구(모험연구), 기초·원천 연구사업 등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기획재정부 외, 2009)하지만 변혁적 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기반연구는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비록 미래유망 융합기술 파이오니어사업과 모험연구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기획연구를 수행하였지만(예, 교육과학기술부, 2009.7) 대부분 해외 여러 나라 사업을 개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벤치마킹 국가의 연구관리 체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고위험-고수익 연구(모험연구) 사업을 체계적으로 기획·운영함에 있어 많은 한계를 지닌다. 즉, 본 연구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어떤 어려움이 예상되고, 이를 어떻게 극복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고수익 연구의 대표적 사례로 볼 수 있는 미국의 변혁적 연구지원 사업을 선정하여 심층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즉, 변혁적 연구지원 사업은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떤 특징을 지니며, 현재는 어떤 상황에 있는지, 그리고 본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어떤 애로사항을 겪고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에 대해 총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NSF와 NIH, HHMI, DARFA의 변혁적 연구관리 체계를 비교. 분석한 후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우리나라의 고위험-고수익 연구(모험연구) 관리체계를 기획·운영함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주요 연구내용제2장 미국의 변혁적 연구 정책 동향제1절 국가 및 과학기술 경쟁력에 대한 위기감 인식1. 국가 경쟁력의 위기감 고조2. 과학기술 경쟁력의 감소 인식3. 과학기술 펀딩에 대한 부정적 인식제2절 변혁적 연구의 강조1. 변혁적 연구의 발전과정2. 변혁적 연구 촉진을 위한 과제제3절 신진과학자 지원 강조1. 신진과학자 지원 현황2. 신진과학자 지원 프로그램3. 신진과학자 지원 촉진을 위한 과제제3장 미국의 변혁적 연구 관리체계 사례제1절 NSF의 SGER, EAGER, RAPID제2절 NSF의 CCI제3절 NIH의 Director`s Pioneer Award제4절 HHMI의 Investigator Program제5절 DARPA의 Funding Program제4장 종합 및 시사점제1절 종합 비교 분석제2절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대안 프로그램제3절 정책 시사점 결론 및 정책제언본 보고서에서는 고위험-고수익 연구(모험연구)의 대표적 사례로 미국의 변혁적 연구를 살펴보았다. 미국의 사례는 향후 우리나라의 모험연구 관리체계를 구축·운영함에 있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구관리 프로세스별로 우리 정부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모집 방법으로 공모뿐만 아니라 추천방식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둘째, 선정방식으로 과제제안서만의 동료평가 방식만이 아니라 심층인터뷰 방식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셋째, 선정평가 패널을 구성함에 있어 일반 과학자 동료패널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중요도에 따라 세계적 과학자 패널로 구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넷째, 선정 평가 패널들이 사용하는 평가지의 항목구성 방식과 평가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다섯째, 중간/기말 평가 시 단순 보고서 제출이나 일부 평가자를 중심으로 한 발표 방식이 아닌 일반 연구자나 학생들까지 포함하는 대규모 포럼이나 세미나 방식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마지막으로 평가자의 평가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영국 공학자연과학연구회(EPSRC)의 ‘블랙리스팅 룰(blacklisting rule)’도입을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세계적 과학자의 경력과정 분석과 시사점

        김왕동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국내 과학계의 현실은 과학계의 성과·교육·연구 환경면에서 볼 때 지속 적인 성장이 이루어져 왔으나 세계적 수준에는 여전히 못 미치는 실정임. 그러므로 향후 세계적 과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정책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하겠음.다행히도 일본인 과학자 3인이 노벨상을 수상했던 지난 해 10월 이후 정부에서는 세계적 과학자 배출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제들을 제시하고 있음. 하지만 제시되는 대부분의 과제들이 선언적이며, 이론적 근거와 현장의 사실반영이 미흡함.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 과학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장 인터뷰를 통해 향후 관련 정책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를 구축하고자 함. 특히, 세계적 과학자의 경력과정(연구단계)을 분석해 봄으로써 창의적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2장에서는 세계적 과학자에 대한 문헌고찰을 시도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을 도출함 3장에서는 창의적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 최고 과학자 9인의 경력과정과 특징을 분석함 4장에서는 위 경력과정 분석결과를 토대로 세계적 과학자 배출을 위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함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결론최근 정부에서는 세계적 과학자 배출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제들을 제시하고 있음. 하지만 제시되는 대부분의 과제들이 선언적이며, 왜 그래야만 하고, 일반 과학자를 위한 정책들과 어떤 차별성을 지니는지 그 근거가 불명확함.이는 정책과제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현장지식의 반영이 미흡하기 때문임. 따라서 세계적 과학자에 대한 적합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현장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함.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현장 인터뷰를 통해 근거자료를 구축하고자 노력하였음. 세계적 과학자에 대한 관련문헌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튼튼히 하고자 하였고, 국내 세계적 과학자 9인에 대한 현장 인터뷰를 통해 향후 정책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노력하였음. 정책제언첫째, 국내 세계적 과학자들의 핵심성과 출현간격은 평균 7~10년인 것으로 나타났음. 그동안 세계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중장기 안정적 지원이 필수라고 강조하면서도 이를 뒷받침할 만한 근거자료가 미흡했음. 이에 대한 주장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 할 수 있음.둘째, 국내 세계적 과학자들의 연구영역 변경 회수는 제로(0)이거나 1회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정부가 연구비를 지원할 때 특정 주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음을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음.셋째, 세계적 과학자들의 초기 연구비 투자규모는 물리학 분야의 경우 1억~10억 내외, 화학분야는 1억~2억 내외이며, 생리의학 분야는 1천 만원~5억 내외(핵물리, 전자물리 분야 제외)인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학문분야 간 초기 연구비 소요액이 각기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정부의 씨앗연구비 규모 산정 시 학문의 특성에 따라 그 액수가 차별화될 필요가 있음을 증거하는 자료라 할 수 있음.넷째, 연구비 지급과 관련해서는 대부분 신진교수일 때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연구비 펀딩 프로그램과의 연계성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음.다섯째, 학문분야별로 공동연구팀의 규모가 다르고, 저널의 공동저자 기입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예를 들어, 물리학 분야의 상당수 저널들(예, Physical Review Letters)은 공동저자 게재순서가 기여정도가 아닌 알파벳순에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정부가 저널에 의한 성과평가 시 저널들의 특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음.여섯째, 학문분야에 따라 노벨상을 수상할 가능성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음. 입자물리실험과 같이 거대과학분야에서는 글로벌 연구팀과 연구책임자가 수상하는 경향이 있어 우리나라의 수상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최근 신생분야로 떠오르고 있는 생리의학 분야가 유사한 출발선상에서 시작함으로써 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음.일곱째, 세계적 과학자 배출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지원의 필요성도 학문분야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음. 거대과학분야의 경우는 절대적으로 필요하였으며, 화학과 생리의학 부분 중 실험실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분야의 경우 상대적으로 덜 필요했음. 이는 정부가 글로벌 네트워크 지원사업 추진 시 이와 같은 학문분야의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음.

      • 선진 혁신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가상 클러스터 활용방안

        김왕동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90년대 이후 전 세계는 클러스터 전쟁 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록 클러스터에 대한 관심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해 옴. · 그러나 최근 일부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클러스터가 갖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한 본질적 한계가 언급되기 시작함 · 특히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이와 같은 지리적 클러스터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가상 클러스터의 개념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음 ·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지리적 혁신클러스터의 구축 및 운영에 중점을 둔 결과 지리적 클러스터 정책의 한계 및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얼마나 문제가 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더욱이 최근 지리적 클러스터의 보완책으로 등장하고 있는 가상 클러스터에 대한 연구는 더더욱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선구자적으로 국내 지리적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한계 및 문제점을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해 보고, 이에 대한 보완방안으로 가상 클러스터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지리적 클러스터와 가상클러스터의 공통점과 차이점 분석 · 참여정부의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한계와 문제점 분석 · 가상 클러스터를 통한 참여정부의 혁신클러스터 정책 보완 가능성 분석 · 가상 클러스터를 통한 지리적 클러스터의 국내외 보완 사례 분석 · 가상 클러스터의 구성 및 운영전략 분석 · 가상 클러스터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부의 정책방안 분석 기대효과 · 지역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문제점 진단과 해결방안 제시로 향후 지역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기획 및 조정방향 제시 · 지역 클러스터의 보완책으로서의 가상 클러스터 활용 가능성 제시 · 향후 정책적 함의가 높으나 아직 활발하게 연구가 되지 않고 있는 가 상 클러스터의 개념을 타 기관에 비해 먼저 연구함으로써 의제 선점

      • 기술혁신상의 사용자와 제조업자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반도체 검사장비 산업을 중심으로 : 기술혁신상의 사용자와 제조업자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김왕동,조남신,이호선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3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은 지난 10여 년 간 놀랄만한 성장을 보여왔다. 이토록 경이적인 성장을 보인 동인은 무엇일까? 본 연구자는 국내 반도체 소자업체의 적극적인 공정혁신 노력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반도체 장비업체의 부단한 제품혁신 노력, 그리고 양자의 기술혁신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비 사용자와 제조업자의 상호 호혜적인 상호작용노력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와 제조업자의 상호작용이 양자의 기술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2차자료와 인터뷰를 활용하는 정성적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는 국내의 반도체 검사장비(핸들러) 산업을 선정하였다. 먼저 사용자 주도관점에 대한 이론을 고찰해 보고, 국내 반도체 검사장비(핸들러) 혁신상의 사용자와 제조업자의 상호작용 사례를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를 논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