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진로연구(2016-2018)』의 학술적 가치 및 특성에 관한 메타(META) 분석

        이종구,탁인철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4

        It has been 10 years since Korean Employment & Career Association held its foundation conference in 2010.10.22. Also 9 years have passed since its first publishing of academic journal, named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volume 1 was first published in June 30th, 2011. Ever since then, volume 27 was published in September 30th, 2019. This study is a meta analysis result of data and characteristics of theses published in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for 3 years(2016-2018) which is an academic journal of Korean Employment & Career Association to submit in '2019 new and continuing evaluation of academic jounals'. From its 7th publication in December 5th 2014,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was designated as achievement management in academy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It was August 3rd 2016 in '2016 new and continuing academic journal evaluation', which was 2 years after designation of its candidate journal in 2014's academic journal evaluation by NRF. As we can see,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achieved skyrocketing performance and advance within short amount of tim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s contribution to Korean employment culture development. It developed from employment information which used to be dealt as a part of simple side branch, to employment culture, an academic field. Through this, it made momentum that helped corporate, university students, government, public organization to treat employment information more significantly. Thanks to its result, sub culture which consists employment culture was developed rapid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can be said that issues and contents generated from employment factors in our society were introduced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or theses, which accelerated academic study. 'Competency Interview', 'Campus Recruiting', 'Self Introduction', 'Using AI method in recruiting' etc. can be examples of them. It is suggested that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should deal with developed countries' reruiting method and university graduat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udy should be more treated. Currently, since thesis submission is mainly done by domestic researchers, developed countries' university students' development method and career management, and graduate students' business establishment research which is supposed to be in line with employment, needs to go further. If those needs are fulfilled, more globalised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will pave the way for its position. 한국취업진로학회가 창립총회(2010.10.22)를 개최한 지는 올해로 10년째이며 학술지인 [취업진로연구]를 발간한 지는 9년째를 맞고 있다. [취업진로연구] 통권1호(2011년6월30일)가 발간된 이래 현재 통권 27호(2019년9월30일)가 나왔다. 본 연구는 한국취업진로학회 학술지인 [취업진로연구]의 한국연구재단 ‘2019년도 학술지평가 신규 및 계속평가’를 위해 제출한 [취업진로연구(2016-2018)]에 게재된 3년치 논문의 데이터와 성격을 메타 분석한 연구이다. [취업진로연구]는 학술지를 발간한 지 통권 7호째인 2014년12월5일, 한국연구재단 ‘2014년도 학술지평가 신규 및 계속평가’에서 등재후보지로 선정된 이래 약 2년 뒤인 2016년8월3일, ‘2016년도 학술지평가 신규 및 계속평가’에서 등재지로 선정되었다. 현황에서 알 수 있듯이 [취업진로연구]는 단시간에 걸쳐 비약적인 발전과 성과를 도출했다. [취업진로연구]가 한국 취업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헌과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사회에서 학문적 영역이 아닌 곁가지로 다루어오던 단순한 취업정보를 취업문화라는 학문적 영역으로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기업과 대학과 대학생 그리고 정부 및 공공 기관들이 취업정보를 보다 비중 있게 다루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 결과로 인해 취업문화를 구성하는 하위문화들의 학문적인 발전을 더욱 가속화 시킬 수 있었다. 시사점과 제언은 우리 사회 취업문화 구성요소 가운데 이슈화 되는 내용들을 학술발표를 통해 선보이거나 혹은 투고논문을 통해 시현시켜주어 학문적 연구를 가능하게 만든 촉매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역량면접”, 캠퍼스리크루팅“, “자기소개서 없는 지원전형”, “공채전형에 AI 기법 도입” 등이 이에 해당되는 사항일 것이다. [취업진로연구]에 대한 제언은 향후 선진국의 채용기법과 대졸 인재육성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 연구자 중심으로 논문투고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선진국들의 대학생 인재육성 방법이나 경력관리 그리고 최근 취업의 연장선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학생 창업과 같은 분야의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이 점을 보완해나간다면 보다 글로벌화 된 [취업진로연구]의 입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취업진로연구(2013-2015)』의 학술적 가치 및 특성에 관한 메타(META) 분석

        이종구,안성식 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취업진로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2013년6월부터 2015년12월까지 발행한 한국취업진로학회의 학술지인 『취업진로연구』 의 학술적 특성분석에 관한 내용을 다각적이고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취지를 두고 있다. 본 학회 는 2011년5월2일, 고용노동부 소관(고용서비스정책과) 비영리법인 설립허가를 받은 사단법인이며 한국 연구재단 ‘2014년도 학술지 신규평가’에서 등재후보지로 선정(12월), 기존 연 2회(6월, 12월) 발행하던 것을 2015년부터 연 4회(3월, 6월, 9월, 12월)로 증편해오고 있다. 2011-2013년은『취업진로연구』의 생성기로 볼 수 있다. 발행과 더불어 학회 및 학술지의 기반 형 성을 위한 다양한 인프라 구축에 전력한 시기였다면 2013-2016년은 출범 2기에 해당하는 성장기이다. 등재후보지 및 등재지 선정(2016.8.3.)과 더불어 연간 학술지 발행 횟수를 기존의 2배로 증간한 데 이 어 국내외적으로 관련기관과 폭넓은 공조로 통해 본 학회와 학술지가 양적⦁질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였다. 본 학술지의 특성은 취업문화의 구성요소인 공채문화와 진로문화, 직업문화를 학문영역으로 유입시 켜 본격적인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특히 진로 및 직업영역은 기존의 교육학에서 연구해온 평생학 습차원의 학문적인 접근보다는 고학력 대졸 취업시장과 관계되는 HR영역의 대졸 진로, 직업(직무) 분 야를 현실적인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즉, 공채문화의 하위 구성요소인 채용제도, 필기시험, 면접방식, 인재상 분야를 핵심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또한 진로문화는 대학생들이 재학기간에 고 민하는 HR영역의 취업진로탐색에 초점을 두고 있다. 직업문화 또한 대졸 구직자들의 기업선택 및 직무 선택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학술지는 고학력 노동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HR영역의 공채문화와 진로문화, 직업문화를 실제 적이고도 현실적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산학정이 함께 모색할 수 있다는 장점과 나아가 결과물인 대안들을 각 산업 현장에서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는 점에서 본 학술지의 가치와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 of trait analysis systematically in various aspects covered in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which is published as academic journal of ‘Korean Employment & Career Association’ from June 2013 to February 2015. This association is an incorporated association which acquired permission of non profit incorporated association from Employment Service Policy Department(ESPD) i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EL) in May 2nd, 2011. It publishes scholarly journals which was selected as one of the registration academic candidate journal from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in ‘2014 Evaluation of New Academic Journal’. The journal, which has been printed 2 times a year (June, December), is now printing quarterly from 2015 (March, June, September, December). Period from 2011-2013 can be said as a beginning period of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From the first publication, it focused on building various infrastructure to form a firm basis not only for academic journal but also for academic association itself. Second launching period, 2013-2016, can be said as growth period. During this time, this academic association and its journal grew up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coordinating with related agenci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ts journal was selected as a registration academic candidate journal and finally selected as registration academic journal. In the beginning, it was published twice a year. However, it is currently published 4 times a year. The characteristic of this academic journal is introducing employment culture, which consists of recruiting culture, career culture, occupation culture, to academic area and starting research about them intensively. Especially, career and occupation area deals with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market realistically relating with Human Resource (HR) field rather than academic approach treated in life long learning as one of education field. In other words, main subject of studies consists of hiring systems, written tests, interview methods and image of right people, which are sub factors of recruiting culture. Also, career culture focuses on employment and career exploration in HR field, which university students are concerned during their attendance period at school. This academic journal deals with recruiting culture, career culture, occupation culture practically and realistically which receives attention in high level education. Therefore, the value of this academic journal can be found in strength that promotes industrial, academical, governmental ways of problem solving together. Also, the fact that its outcomes are very efficiently utilized in industrial field is another value of this academic journal.

      • KCI등재

        『취업진로연구(2011-2013)』의 학술적 가치와 연구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이종구,김호원,박지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14 취업진로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2011년 창간 이래 최근 3년간 발간된 『취업진로연구』의 동향과 특성, 학술적 가치, 성과 및 기여도를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취업진로연구』가 추구하는 핵심적인 학술적 가치는 다음과 같이 집약할 수 있다. 본 학술지는 IMF 이후 심화되어가는 고학력 취 업난을 타개하기 위하여 대졸 노동시장에서 일어나는 복잡다기한 취업문화를 주력적으로 연구하고 이 에 대한 해결책을 산학정이 공조하여 그 대안책을 실제적으로 모색하는 데 그 취지를 두고 있다. 본 학술지가 연구하는 취업문화의 구성요소는 크게 공채문화, 진로문화, 직업문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학술지는 취업문화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통해 고학력 취업시장을 원활 히 순환시키기 위한 학술적인 연구와 이를 통해 당사자(정부, 기업, 대학, 구직자)들에게 실제적인 대 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가 선진국인 복지사회로 도약하기 위해 중점적 으로 해결해야 할 난제 가운데 하나인 고학력(대졸) 구직자들의 취업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실제적인 대안책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술지로 보면 될 것이다. 취업진로연구의 영역은 공채문화, 진로문화, 직업문화 등으로 구성돼 있다. 고학력 취업난이 우리사회 핵심이슈로 떠오른 시대에 이 문제를 본격적 으로 학문영역에서 다룬 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우면서도 진지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산학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 취업진로문제는 그 무게와 파장에 있어 서나 학문 영역에 있어서나 현실적인 측면에 있어서나 매우 차별적이고도 독창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취업진로연구가 보완할 점은 산학관계를 한층 더 보완해야 한다는 점이다. 취업진로는 결국 산업 체와 연계하여 해결해야할 문제이며 그 해법 또한 산업체가 내놓아야 할 부분이 적지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산업체와 긴밀히 공조하고 있는 HRPA와의 협력관계를 더욱 긴밀히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선진국 대학들의 좋은 취업진로 프로그램과 인프라를 연구 하는 영역을 논문의 일정 쿼터(quota)제로 배정해놓고 이를 충실히 따르는 방법도 향후 취업진로연구 의 입지와 수준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ynthetic, and systematic analysis on trend, characteristic, academic value, performance and the extent of contribution of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which has been published recent 3 years from its first publication in 2011. Core academic value that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is pursu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academic journal is searching practical alternatives through collaboration of corporation, academy, government to address complicated employment culture which occur in labor market to solve unemployment problem that became more serious after IMF. Structural elements that this academic journal studies can be classified largely as Recruiting Culture, Career Culture, Occupation Culture. Therefore, this journal aims at suggesting practical alternatives to those concerned (government, corporation, universities, job seekers) through various approach on those structural elements pursuing smooth circulation of labor market for those highly educated. It can be seen as a journal that studies practical alternatives academically to promote employment activation for the highly educated, tha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 for Korean society which aims to jump into advanced welfare country. The area of study consists of Recruitment Culture, Career Culture, Occupation Culture. Dealing with these problems earnestly in academic area that are already emerged in Korean society is a very interesting and desperate problem. Especially, employment and career problems, which all three (corporation, universities, government) has to address together and suggest alternatives together, is a differentiative, hackish area that are important and influential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4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put a great deal of emphasis on finding advanced way to address the highly educated group’s employment and career problem which has been core issue of domestic labor problem. Among 27 thesis published through the journal, only 1 has different theme and the others are all related with themes such as employment, recruit, job interview, job, and unemployment. It means that this academic journal is strictly following goals which were set in academy’s foundation. The biggest differentiation and originality that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is aiming at is studying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problem directly and profoundly. It is revealed in members of academy’s organization who is works for corporation, academy, and government. Since it is the field that deals with the highly educated students’ employment, many obstacles can occur if single area among corporation, academy, government doesn’t participate. It can be said that the academy is striving under clear research direction. In the future, the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should make effort to impro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ion and academy. Because employment and career problems should be solved through aligning with corporation, and solution should be suggested by corpo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llaboration with HRPA, which collaborates with corporation closely. Furthermore, following good programs earnestly from universities of advanced country through assigning quota for their studies of employment and career programs and infra, will contribute to improve levels and conditions of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in the future.

      • KCI등재

        내부마케팅 관점에서의 재취업 및 진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L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진,이현수,오원정 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취업진로연구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VandenBan & Hawkins(1996), 김진모 등(2005)의 연구를 토대로 김석란ㆍ이영민 (2013)이 제시한 분석준거를 이용하여 L사의 재취업 및 진로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다. L사의 경우 정년 퇴직자를 대상으로 재취업 및 진로 교육프로그램을 2월과 8월 일 년에 두 번 운영하고 있으 며, 3단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고 있다. 우선 1단계 교육과정에서는 퇴직에 대한 심리적 안정을 위해 감성적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안정 도모, 생애설계, 관계 및 생활설계, 시니어재취 업으로 나누어 강의를 실시하고 있다. 다음 2단계 교육과정에서는 퇴직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재취업과 창업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퇴직자들이 퇴직 후 재취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으며, 3단계에서는 퇴직자들에게 필요한 행정적 지 원 및 유관기관과의 연결을 지원함으로써 대상자들의 퇴직 후 재취업 및 창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사례연구는 재취업 및 진로 교육프로그램 실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재취업 및 진로 교육프로그램은 내부마케팅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단계적이고 체계적 인 교육 방법론을 따라야 한다. 셋째, 심리적 안정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기업은 재취업 및 진 로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다섯째, 기업은 퇴직자와 외부기관과의 연결역할을 수행해야한다. 여섯째, 성공적인 재취업 및 진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노사 간의 합의와 협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L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토대로 재취업 및 진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지시키고 더 나아가 국내외 경제 환경은 물론 개개인의 경력 및 능력을 고려한 재취업 및 진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및 정착될 수 있는 지침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L company's re-employment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nalysis criteria suggested by Kim Seok-lan, Lee Young-min(2013) based on the research of VandenBan & Hawkins(1996), Kim jin-mo, Lee Jin-Hwa, and Lee Wan-Woo(2005). In case of L company, the re-employment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retirees is conducted twice a year in February and August, and consists of three levels. In the first level of the education program, emotional education is provided for psychological stabilization of retirement. Specifically, lectures consist of psychological stabilization, lifelong design, relationship and life design, and senior reemployment. In the second level of the education program, re-employment and start-up educations are practiced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retirees.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retirees to shift their competencies and perceptions as retirees after retirement. In the third level of education program, administrative support for retirees and the connec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are provided to give practical assistance to reemployment and start-up after retirement. This paper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re-employment and career education programs. First, re-employment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ursu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marketing. Second, the program should follow a step-by-step and systematic methodology. Third, psychological stability educ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Fourth, company should have expertise in retirement education. Fifth, company should act as a link between retirees and external organizations. Sixth, in order for successful reemployment and career education to take agreements and cooperation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should be premi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re-employment and career education programs and to propose the guidelines for re-employment and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omestic and overseas economic environment as well as individual career and ability.

      • KCI등재

        초급 부사관과 일반대학생 간 취업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진로성숙도의 인식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

        전윤미,채영일,허정석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초급 부사관들과 취업준비를 하고 있는 일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취업준비를 위한 취업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그리고 진로성숙도에 대해 인식과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취업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진로성숙도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초급부사관 92명과 일반대학의 취업준비생 120명(총 21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취업준비행동 16문항, 취업스트레스 14문항, 진로성숙도 12문항으로 총 42문항이었다. 분석을 위한 도구로는 SPSS 20.2 통계팩키지가 사용되었으며 가설검정을 위한 방법으로 취업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진로성숙도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T-test와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취업준비행동 영역에서는 4개 항목, 취업스트레스 영역에서는 모든 항목, 진로성숙도 영역에서는 9개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취업준비행동 영역은 16개 항목 중 3개의 항목(P1, P8, P12)과 1개 항목(P15; P<0.05)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 영역은 14개 항목 모두(14개)에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진로성숙도 영역은 12개 항목 중 3개의 항목(C9, C11, C12)을 제외한 모든 항목(9개)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이를 통해 초급 부사관과 대학생들에게 취업준비를 위한 진로성숙도의 인식에 다수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회귀분석의 결과, 취업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가 집단간 차이를 갖고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성숙도 하위요소 중 직업의식 형성(C9, C10, C11, C12) 항목은 회귀식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준비행동 및 취업스트레스,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요인을 초급 부사관과 일반대학생으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청년구직을 준비하는 초급 부사관들의 진로지도 및 취업지원 제도 마련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arch for differences between beginner level non-commissioned officer(after described non-commissioned officer) and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maturity. To that end, 92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120 job seekers of university students(a total of 212 samples) were survey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factors: job preparation behavior,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maturity. The survey questions included 16 questions for job preparation behavior factor, 14 questions for employment stress factor and 12 questions for career maturity factor. As a tool for analysis, the SPSS 20.2 Statistical Packages were used, and T-test and multivariate regression were conducted, respectively, divided into three factors: job preparation behavior,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maturity as a method for hypothesis testing.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fou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ll in the factors of employment stress, and nine in the factors of career matur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of the 16 items(P1, P8, P12) and one(P15; P<0.05). The factors of employment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14 items(P<0.01).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1) in all but three of the 12 items(C9, C11, C12). non-commissioned officer and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perceptions of career maturity for job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employment stress affect career maturity with differences among groups, but the items of career consciousness formation(C9, C10, C11 and C12) among the sub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factor proved to be inappropriate for regression analysi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basic data to prepare the career guidance and job support system for non-commissioned officers preparing for youth employment by dividing the factors of job preparation behavior,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to non-commissioned officer and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의 진로장벽이 취업이행 및 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재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의 진로장벽, 취업이행 및 취업의사 수준을 살펴보고, 진 로장벽이 취업이행과 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 브 1차(2016년)~2차(2017년) 데이터의 24~39세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 511명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 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년 장애인의 진로장벽은 ‘장애 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 ‘진로 인식 요인’, ‘사 회관계 요인’, ‘정보접근 요인’, ‘경제적 요인’의 여섯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 중 취업이행을 한 장애인은 511명 중 72명 (14.1%)으로 나타났다. 취업의사를 가진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은 511명 중 147명(28.8%)으로 나타났 는데, 이는 1차 연도 254명(49.7%)에 비해 감소한 수치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이 인식하는 진로장벽은 ‘심리적 요인’ 79.1%, ‘장애 관련 요인’ 65.0%, ‘정보접근 요인’ 40.5%, ‘경제적 요 인’ 37.6%, ‘사회관계 요인’ 28.0%, ‘진로인식 요인’ 18.0%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의 취업이행에 영향을 미친 진로장벽 요인은 ‘장애 관련 요인’과 ‘사회 관계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친 진로장벽 요인은 ‘장애 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관계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의 진로장벽이 취업이행 및 취업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이들의 진로장벽 완화에 초점을 둔 취업 지원과 개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주요 결과를 토대로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의 취업과 취업의사를 높이 기 위한 제언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reer barriers, employment transition, and employment intention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Also,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employment transition and employment intention. For this study, the cases of 511 economically inactive disabilities aged 24 to 39 from the data 2016~2017 of the 2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were used. The career barriers divided into six categories: disability, psychological, career perception, social support, information access, and economic factor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conomically inactive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72 (14.1%) made employment transition in the second year. Among the 511 economically inactive disabilities, 147 (28.8%) ha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work. Also, the career barriers recognized by the economically inactive disabled young adults were as follows: psychological factor 79.1%, disability factor 65.0%, information access factor 40.5%, economic factor 37.6%, social support factor 28.0%, and career perception factor 18.0%. Second, the career barriers’ factors of disability and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employment transition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Third, the career barriers’ factors of disabilit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factors negatively affected employment intention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career barrier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transition and intention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It suggests that employment supports for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need to focus on easing career barri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employment transition and employment intention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were provided.

      • KCI등재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인식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백사인,김경미 한국취업진로학회 2011 취업진로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지각에 따른 진로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취업장애 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 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즉 취업장애 지각이 높으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이 낮으며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낮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5개의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 요인만 유의미하게 정적영향을 미쳤다. 특히 본 연구에서 대학 졸업반 학생의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서 목표설정(β=.322)만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음으 로, 취업장애 지각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 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 변인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두 번째 회귀식에서 취업장애의 영향력(β=-.24)보다 세 번째 회귀식에서 취업장애의 영향력(β=.01)이 줄어들고 유의미하지 않는다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 다. 따라서 취업장애의 영향력이 β=-.24에서 β=.01로 줄어들었고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취업장애와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목표설정이라는 차원은 자신의 장기적인 미래설계와 관련되는데, 특히 취업준 비생들의 진로발달을 위해서는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 성공적인 역할모델, 장기적인 자신의 미래 계획과 관련하여 도움을 줄 수 있다면 노동시장의 불안에도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일 수 있 을 것이다. 또한, 취업준비생이 인식하는 취업장애가 높을지라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진로준 비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취업준비생의 취업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능동적이며 유연한 취업행 동을 돕기 위한 취업상담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배경 속에서 대학생들에 대한 검증작업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대학 졸업반 학생 및 취업준비 생에 적합하게 개발할 필요와 취업과 진로의 차이점을 고려한 현실적인 척도개발이 요구된다.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의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에 의해 보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effective 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eniors and provide 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ling and career counselling programs to career search and career decision. So among influencing variables of role performance and tasks that only University seniors hav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 chose employment barrie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variables and confirmed tasks of this study as following sentences. Here are the results of study: First, the perceived employment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eniors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r perceived employment barrier is, the lower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Second,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eniors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only creating goals among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meaningful influences. Th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the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Third, we confirmed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employment barrier percep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ployment barrier perception has meaningful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mediat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Unless they perceive employment barrier higher, if they hav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turned out to be hi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한국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이대용,류동희,김인환,고태용 한국취업진로학회 2011 취업진로연구 Vol.1 No.2

        대학 졸업생의 극심한 취업난과 진로지도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대학 재학생들의 진로의식을 알아보기 위한 이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진로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 식정도를 분석하고자, 지방에 소재한 4년제 국립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 한 4개 지방 국립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 답을 제외한 74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의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에 대한 결정 수준은 69.6%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은 남학생들에게서 진로를 결정한 비율이 높았고, 진로결 정 여부와 상관없이 ‘전공 분야의 기업’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 시기를 묻는 질문에 3학년 때 진로를 결정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직업 선택 시 적성과 흥미(46.1%)가 가장 중요한 결정 기준으로 나타났고, 본격적으로 취업 준비를 시작한 시기는 3학년 때(33.9%), 4학년 때(33.6%)였으며, 전공 이외에 취업을 위해 주력하고 있는 분야에 대한 질문에 어학능력이 38.1%, 자격증 취득이 26.2%, 다양한 경력 획득이 20.8%로 나타나 주로 스펙 위주 의 취업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문제에 대한 상담 경험을 묻는 질문에 59.9%가 ‘없다’고 응답하여 진로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진로(취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 67.2%가 참여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 (취업) 프로그램의 참여 효과와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며, 향후 참가를 희망하는 진로(취업)관련 프로그램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면접 등 취업스킬교육(22.4%), 경 력개발관련 교육(20.4%), 동기부여 및 자신감 향상 과정(19.6%), 어학교육(17.2%), 업종 및 직무관련 교육(16.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3~4학년이 되어서 진로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성과 흥미를 고 려하여 진로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 결정 시기가 늦어지게 되면서 소위 스펙 중심의 취업준비 활동에 많은 제한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기에 자신의 진로에 관심을 가지고 정보 를 수집하여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1~2학년 시기의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무엇보다 절실한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업과 직무를 설정하고 이를 체험해 보도록 함으로써 보다 만족 스러운 진로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활용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학생들은 직업관련 심리결과를 진로상담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이를 기초로 개개인의 진로방향과 수준에 맞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현재 취업관련 업체들을 중심으로 제시되는 획일적이고 일회성 중심의 진로교육의 단점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 내 취 업관련 부서의 교육 및 상담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전문 인력을 의무적으로 확보하도록 강제화 해야 한 다. 취업을 포함한 진로문제는 대학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잣대가 결코 아니다. 취업을 성공과 실패의 관 점이 아닌 개인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근원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신의 이상과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직업을 찾도록 보다 많은 경험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을 개발하고 제공하 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reer consciousness and the recogni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s in local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career decisions, the grade of career decision, career consulting experiences, experiences about career aptitude tests, number of participants in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major, student grades, and gender. The sample consist of 740 survey data drawn from local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in located in Young-nam and Ho-nam area. The data are analyzed by statical package, SPSS 19.0 for windows. To test Frequence analysis,  analysis a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 quality of career decisions made by students is high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aptitude and interest when they make career decisions. And the grade of career decisions is junior and senior mostly. So they need to make career decision and have various career development program early stage of collage. Therefore, it must be placed on the motivation and encouragement of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Many students have experience of career aptitude tests. But it seems to be lack of efforts to explore career information and have consulting with career professionals consistently. Career education should work in balance with major courses studied by students to enable the optimum career path choice and perhaps, more importantly, career security for students after graduation. Career indecision(female 34.4%, male 26.5%), lack of career information(female 25.9%, male 19.9%), lack of career preparation(female 28.5%, male 16.3%) appear to have more difficulties for female than male.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career program and training for girls. Finally, lack of preparation for employment is 34.1% and no preparation for employment is 9.3%.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al counseling and various program of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 KCI등재

        대학 중퇴 이상자의 재입학 실태와 취업률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제언 - 한국폴리텍대학 재 입학자를 중심으로 -

        고진수,이강성 한국취업진로학회 2014 취업진로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졸 또는 대졸 중퇴 후 재 입학자의 취업실태를 살펴보고, 그들의 취업률을 제고시 키는 방안을 찾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자료 분석을 하였으며, 한국폴리 텍대학 아산캠퍼스에서 신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한국폴리텍대학의 재 입학자 를 대상으로 한 관리상의 문제점을 찾아내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태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대학 중퇴 이상 한국폴리텍대학 재 입학자의 졸업 후 취업률은 2013년에 다기능 과정은 88.3%, 기능사 과정은 81.0%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 전문대 평균 취업률 61.2%, 4년제 대졸 평균 취업률 55.6% 보다 매우 높은 수치다. 둘째, 한국폴리텍대학은 현재 대학중퇴 이상 재 입학자에 대한 융합형 인력양성 시스템을 운영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폴리텍대학은 대졸 중퇴 이상 재 입학자를 위한 공식적인 진학 및 진로상담 시스템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폴리텍대학과 다른 대학 간의 교류학점 인정제나 교환학기제 등 학업교류는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 중퇴 이상 한국폴리텍대학 재 입학자의 전담기업 취업률은 매우 높은 비율 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폴리텍대학의 높은 취업률을 놓고 볼 때, 취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대졸 중퇴 이상 재 입학자들의 목적은 대체로 달성되고 있는 것으로 평 가할 수 있다. 둘째, 재 입학자 융합형 인력양성 시스템을 구축해 유형별로 교양 및 전공 취득학점, 실 습비율 등 커리큘럼을 재편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재 입학자에 대한 적성검사, 진로상담 등 체계적인 전공전환 컨설팅을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재입학 대학과 입학 전 대학 간 교류학점, 교환학기 등 학업교류를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재 입학자 취업률 제고를 위해 전담기업제 등 산학협 력 시스템을 더욱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mployment situation of students who have been re -admitted to Korea Polytec College after graduating from or dropping out of college. Through this study, we strived to draw some policy implication for increasing their employment rates. We examined the literature and conducted a survey of Asan Polytec College freshme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urvey. First, the employment rates of 2013 for the students who have been re-admitted to Korea Polytec College after graduating from or dropping out of college were 88.3% for students in the multi- function program and 81.0% for those in the certified technician program. These employment rates are high in comparison to the average employment rates for junior colleges and universities, which are 61.2% and 55.6% respectively.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Korea Polytec College has not been operating the convergence manpower training system after test-operating the Crossover Learning System in nine departments in 2010 and stopping them from 2011. Third, it was revealed that Korea Polytec College does not have an official career counseling system for the students who have been re-admitted to Korea Polytec College after graduating from or dropping out of college. Thus, there is no support system for the students who feel their major is not a good fit for them or those who wish to transfer to another college because their chances of employment is low. Fourth, Korea Polytec College does not have a academic exchange such as giving credit to students who take courses in other colleges. Henc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allows students to choose multiple majors and receiving credit from courses in other majors while they are attending Korea Polytec College. Fifth, it has been found that a large percentage of students who have been re-admitted to Korea Polytec College after graduating from or dropping out of college become employed through the connection system among various industries and the professors of Korea Polytec College. In 2013, 75.3% of the students in the multi-function program and 81.1% of those in the certified technician program were employed through such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we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proposals which enabled the colleges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s of students who are re-admitted after graduating from or dropping out of college. First, when looking at the high employment rate of the students who have been re-admitted to Korea Polytec College after graduating from or dropping out of college, it seems that their goals of employment have been successful. Second, the colleges must expand the number of Polytec Colleges where students can take courses and receive credit so that students can take a greater advantage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system while they are attending Korea Polytec College. Third, Korea Polytec College must establish an official career counseling system for the students who have been re-admitted to Korea Polytec College after graduating from or dropping out of college. Fourth, Korea Polytec College must make it easier for students to choose multiple majors and receive credit for taking courses in other majors. To achieve this, colleges with a low employment rate such as those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 should create an academic exchange with the engineering deparment of Korea Polytech College, which has a high employment rate. Fifth, the colleges must enhance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hrough programs like the Factory-oriented Learning (FL) system which reflects the needs of the industrial setting.

      • KCI등재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소용준,박준성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선택에서 대학생활의 적응 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대학생활 적응 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로 구분하였다. 둘째, 대학생들이 겪는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 적응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전공만족도에 따라서 상(上), 중(中), 하(下)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완전 매개하였다. 학교만족도에 따라서 분류했을 때도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전공만족도 상(上) 집단과 학교만족도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즉,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 한 학생들에게서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서 취업 및 진로 지도를 해야 하며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사회적 편견, 특정 전공계열로의 편중 등의 사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adjustment for th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on the career maturity. To this end, this study revealed (1)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2)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And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o attain 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d self-report survey about study variables. Total 180 student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95 male and 85 femal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PSS ver. 23.0.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Mediation effect qualification procedure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s applied to validate mediation effect. Sobel valid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the career maturity based on gend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ccording to the study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job- 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of the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hird, the impact of job-seeking stress result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insecurity in career maturity was part parameters.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Fourth, in high major satisfaction group, we foun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It did not verify the effects mediated in the mid satisfaction group and the lower satisfaction group. Finally, the result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seeking anxiety due to school satisfaction was partial mediated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atisfaction group. But It did not verify the effects mediated in the mid satisfaction group and the lower satisfaction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discussed important of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the needs of expanding the relations of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