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반경으로 성선제거술을 한 고환성 여성화증후군 1 례

        안정자,김영주,정혜원,김승철,이경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저자들은 최근 고환성 여성화 증후군으로 진단된 1례에서 골반경으로 성선제거술을 시행하 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esticular feminization syndrome is a complete androgen insensitivity. The phenotype of this condition is female, despited the normal male karyotype of this condition in female, despite removed the gonad by pelviscopic surgery, so we present i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조기 양수천자술과 중기 양수천자술의 안정성에 관한 비교연구

        안현경,이환견,최수경,김은성,한호원,김문영,류현미,한정렬,송하균,김진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

        We sought to determine whether early amniocentesis is a safe and acceptable method of genetic evaluation in early pregnancy. During the 20-month period from February 1994 to September 1995, 80 consecutive early amniocentesis were performed transabdominally at 12+3-14+6 weeks of gestation and 305 consecutive mid- second-trimester transabdominal amniocenteses were performed at 16+0- 18+0 weeks of gestation. All amniotic fluid samples were cultured using flask meth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arly and mid-second- trimester amniocenteses in failed sampling, ambiguous results, pregnancy loss within 4 weeks after the procedure, pregnancy loss from 4 weeks after procedure to 28 weeks of gestation, preterm birth, and perinatal death. We may conclude that early amniocentesis is a safe and acceptable method for prenatal diagnosis.

      • KCI등재

        자간증 환자에서 합병된 뇌교출혈 1 예 보고

        안정자,김영주,정혜원,김승철,박미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본 교실에서는 자간증 환자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확진된 뇌교출혈 1예를 경험하였기에 자간증에 동반되는 뇌합병증을 중심으로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산전진단된 무두무심 태아 1 예보고

        안정자,김영주,정혜원,김승철,박미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5

        단일 융모막성 단일양막성 태반인 일란성 쌍아중 22주된 제 2여아로 두부 및 상지흉강의 무형성과 선천성 기형을 동반한 무두무심 태아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ardius is specific anomaly of multiple gestations and circulation of blood is only by virtu of communication with the vessels supplying the normal fetus. Acardia shows various other defects in addiction to the absence of heart. The most common form is the acardius acephalus, in which there is an absence of the fetal head and thoracic organs. Recently authors diagnosed this congenital anomaly using ultrasonography during antenatal period, so we presen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산전 초음파진단으로 발견된 천미골기형종 1 례

        안정자,김영주,정혜원,김승철,박미혜,김수연,김미정,성순희,맹신숙,조지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6

        저자들은 1995년 6월에 천미골기형종이 동반된 임신중독증 산모 1례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acrococcygeal teratoma(SCT) is rare malformation which may reach a large size and cause considerable difficulty during delivery. Recently authors diagnosed this fetal tumor using ultrasonography during antenatal period, so we presen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제왕절개 수술후 발생한 난소농양 1 례

        안정자,김영주,정혜원,김승철,이경순,박미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본 교실에서는 반복제왕절개술 9일후 우측난소농양이 파열되어 광범위 항생제 치료와 응급 개복수술로 농양제거후 증세가 호전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Ovarian absecess is a primary infection of the substance of the ovary. Tuboovarian abscess by contrast, involves the ovary by secondary spread from an infected fallopain tube. We reported a case of ovarian abscess after cesarean section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임신부에 있어서 100g GTT에서 GTT Periodicity의 의의

        우복희,안정자,김영주,정혜원,김승철,이경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

        1993년 9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이화대학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진찰을 받은 임산부 560명에게 임신 24주-28주사이에 50g 당유발 검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가 130mg/dl이상인 124명에게 100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였다. 1. 100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한 124명중 0-abnormal 군은 84명 1-abnormal 군은 19명, 2-abnormal 군은 21명으로 임신성 당뇨는 3.8%에서 진단되었다. 2. 세 개의 군 사이에는 평균연령, 초산부 빈도, 임신전 체중, 임신주수간에 통계학적 유의성 이 없었고 50g GCT 수치에는 약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p=0.03). 3. 세 개의 군 사이에서 FPG, 1hr, 2hr, 3hr value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4. GTT periodicity를 구한 결과 세 개의 군에서 각각 3.81(hr), 5.26(hr), 6.38(hr) 로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p=0.05). 5. Abnormal GTT value의 수에 따른 거대아의 빈도는 각각 3.6%, 26.8%, 38.1%, 28.5%로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6. GTT periodicity를 3.5시간으로 하였을 때 임신성 당뇨의 예측에 있어서 민감도는 90.4%, 특이도는 32.0%, 양성예측률은 21.3%, 음성예측율은 94.3% 정확도는 41.9%였다. 따라서, GTT periodicity 는 임신성 당뇨를 예측하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GTT 결과 1-abnormal 군도 2-abnormal 군도 함께 불량한 주산기 예후를 가지므로 임신성 당뇨군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eriodicity of the standard 100g glucose tolerance test (GTT) was examined in a prospective study of 124 pregnant women to determine how well gestational diabeted could be identified. A formula, the GTT periodicity was used to estimate the time for the GTT curve to return to the fasting level. 84 women had all normal glucose values by the National Diabets Data Group Criteria(0-abnormal group), 19 had 1-abnormal group, and 21 had 2-abnormal group. The 0-abnormal group had a significantly shorter GTT periodicity than 1-abnormal and 2-abnormal group (p$lt;0.05). Examination of the oscillation of the GTT curve about fasting level allows a physiologic description of normal and abnormal glucose responses in pregnancy. Furthermore, out findings suggest that glucose periodicity is useful periodicity gestational diabetic women.

      • KCI등재

        정상아와 발육지연 태아에 있어서의 태아 중뇌동맥의 혈류속도파형의 비교

        우복희,안정자,김영주,정혜원,김승철,이경순,문혜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8

        이화대학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한 임신 24주에서 40주까지의 정상 임신부의 태아 중뇌동맥에서 도플러 초음파를 시행하고 임신결과가 정상으로 확인된 70명의 분석결과 중뇌동맥의 혈류속도 파형은 이완기에도 지속적인 혈류를 나타내었고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뇌혈관망 저항의 감소로 PI의 감소가 오게되며 따라서 혈류속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 임신결과가 10 percentile이하의 저체중아로 나타난 경우에는 정상 임신에 비하여 brain sparing effect의 개념에 입각하여 더욱 낮은 PI 즉 뇌혈관 망 저항의 심한 감소 및 혈류속도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 정상 임신과 저체중아의 태아 중뇌동맥의 PI가 저체중아의 예후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려되며 앞으로 중뇌동맥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oppler flow velocity waveforms of the middle cerebral arteries wer obtained in 70 normal pregnancies and 40 cases of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birth weight below the tenth percentile) between 24 and 40 weeks gestation. In normal pregnancies, there was a gestational age-related fall in pulsatility index for middle cerebral artevy. In growth retarded pregnancies, more reduced pulsatility index values in the middle artery were associated than normal prenancies, suggesting the presence of a $quot;brain-sparing$quot; effect. Because the fetus compensates for hypoxia by increasing blood flow to the brain, doppler middle cerebral artery waveforms may permit the evaluation of fetal compromise and hypoxia.

      • KCI등재

        한국 폐경 여성의 비타민 D 수용체의 유전자 아형과 골밀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유한기,안정자,정혜원,이지영,김형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4

        목적: 한국인에 있어 골밀도와 비타민 D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산부인과 폐경클리닉을 방문한 여성에서 비타민 D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을 구하고, 골밀도를 측정하여 각 유전자형과 어떤 연관이 있나를 규명하고,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 후 골밀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수용체 유전자형에 따른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대상 여성은 총 89명으로 FF 유전자형 35명[39%], Ff 유전자형 37명[41%], ff유전자형 17명[19%]였으며 일본에서의 연구결과 [FF : 31%, Ff : 55%, ff : 15%]와 비슷하였다. 각 유전자 아형 FF, Ff, ff군에 있어서 골밀도는 요추의 경우 1.099±0.249 g/cm2, 1.001±0.163g/cm2, 0.998±0.157g/cm2였으며 대퇴경의 경우는 0.897±0.177 g/cm2, 0.837±0.142 g/cm2, 0.836±0.174g/cm2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있는 차이는 없었으나[P $gt; 0.05] ff 군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총 연구대상중 48명에서 6개월간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한 후 골밀도의 차이를 측정해 본 결과 요추의 경우 유전자 아형 FF, Ff, ff에 따라 0.24 SD, 0.17 SD, 0.01 SD의 증가율을 보여 FF군에서의 치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있는 차이는 없었다[P $gt; 0.05]. 결론: 한국 여성의 중합효소 연쇄 반응과 제한효소 Fok I에 의한 비타민 D 수용체 유전자 아형은 미국, 일본의 결과와 유사한 유전자형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각 유전자아형과 골밀도간의 상관관계를 통계학적으로 증명할 수는 없었지만 ff군에 비해 Ff, FF군으로 갈수록 요추와 대퇴경 모두에서 골질량의 증가 경향을 보였으며 요추의 경우 FF군에서 HRT의 치료효과가 더 우세한 것으로 보여 골다공증의 예견지표로써 VDR 유전자 아형을 조사할 의의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MD and polymorphism of vitamine D receptor gene. Method: We amplified exon 2 of VDR and its digestion pattern of Fok I was examined from the 89 women who visited menopause clinic of Ewha Woman`s university. The genetic subtype was classified by its digestion patterns, e.g., FF, Ff, and ff. Bone mineral density of each genetic subtype before and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were compared. Results: The genotyp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FF genotype, 35[39%] women; :Ff genotype, 37[41%] women; ff genotype, 17[19%] women. Bone mineral density[BMD] of lumbar spine in subtype FF, Ff, ff was 1.099±0.249g/㎠, 1.001±0.163g/㎠, 0.998±0.157g/㎠, respectively. BMD of femoral neck was 0.897±0.177g/㎠, 0.837±0.142g/㎠, 0.836±0.174g/㎠.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BMD in these groups. However, we could show that BMD in ff group was lower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In 48 patients out of 89, BMD of lumbar spine after 6 months HRT were elevated by 0.24 SD, 0.17 SD, 0.01 SD in subtype FF, Ff, and ff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gt; 0.05]. Conclusion: Vitamin D receptor[VDR] genotype of menopausal women will be used as a predictor of osteoporosis and a good treatment result will be respected by the hormonal treatment for the osteoporosis of FF geno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