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안구적출에 따른 위둔덕의 Calbindin D-28k과 c-fos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명,김기훈,김주영,하현철,안명수,김장민,조향훈,정명섭,장인엽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0 No.2

        Changes of Calbindin D-28k- and c-fos-immunoreactivities in the superior collicuclus after Eye Enucleation. Objective and methods: Calcium-binding proteins (CBP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differentiat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effects of neonatal retinal deafferentation on a CBPs, calbindin D-28k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in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rat superior colliculus. Also early gene familly c-fos was examined to evaluate the neuronal characteristics in the superior colliculus after monocular enucleation. Results: On the experimental side of superior colliculus, the number of calbindin D-28k-immunoreactive (IR) cells was reduced (77.4% compared to control), but not fibers. Appearance of c-fos-like immunoreactivity was represented much more in the ipsilateral superior colliculus than contralateral side within 24h after eye enucle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s of retinotectal projection may alter the expressional pattern of calbindin D-28k and c-fos expression.

      • SCIESCOPUSKCI등재
      • 배 유과 가공제품의 품질 특성 및 저장 중 생균수 변화

        민진홍, 현세희1, 나광출, 이종수, 김하근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2 自然科學論文集 Vol.23 No.1

        To develop the functional pear fruitlet product, we prepared dried pear fruitlet and fermented pear fruitlet, respectively. Then we investigat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iable cell number changes during the storage at room temperature. We also determined preference for their tastes. Dried pear fruitlet contained more ash and crude proteins as well as minerals than fermented pear fruitlet. However fermented pear fruitlet contained higher amount of edible fiber than dried pear fruitlet. Fungi were not detected from dried pear fruitlet during the storage experiment at room temperature. Numbers of bacteria from dried pear fruitlet were increased from 1.1☓105/g at the beginning to2.6☓106/g at the last day of experiment. When we determined change of fungi number during the storage of fermented pear fruitlet, we cannot detect fungi at the beginning but we detected 4.4☓102/g of fungi at the last day of storage experiment. Bacteria from fermented pear fruitlet were detected at around 1.0☓109/g during the storage periods. Preference for fermented pear fruitlet was superior to dried one.

      • [논문]연약지반 성토시의 면적비를 활용한 안정관리기법

        임종철,엄진현,박이근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3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2 No.-

        국제 무역시대의 도래로 항만 물동량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항만시설의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비교적 양호한 지반에서의 항만공사는 종래에 대부분 행해졌으며, 현재는 아주 연약한 지반에서의 해안매립을 통한 부지조성 등의 대규모 공사가 진행중이다. 연약지반 성토시 하부지반은 압밀침하와 전단변형이 동시에 발생하므로, 양자를 고려한 안정성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파괴가 발생한 부산 신항만공사의 서방파제 계측결과를 분석하고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면적비 안정관리기법을 제안하였다.

      • 골반염증성 질환과 질염을 가진 환자의 진단과 추적관찰에서 Chlamydia trachomatis의 검출을 위한 이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적용

        이진우,조현철,최규연,배동한,김휘준 순천향의학연구소 2001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7 No.2

        Objectives : PCR has generally been more sensitive than the conventional microbiological test for the detection of C.trachomatis which has been a leading cause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C.trachomatis infection in the patients with pelvic imflammatory disease(PID) and the usefulness of nested PCR as a follow-up test in patiens with C. trachomatis infection after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Methods: Cervical swab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187 patients with PID and vaginitis attending the Soonchunhyang Chunan Hospital. From the C. trachomatis positive patients, cervical swab specimens were obtained once a week after treatment until PCR tested negative. We performed the nested PCR with Chlamydia-CR kit(Bioneer, Korea.) Results: From 6(5.8%) of 187 cervical swab specimen, C. Trachomatis was detected by nested PCR. These patients were treated with doxycycline and metronidazole for 7 to 14 days. All of 6 C. trachomatis positive patients revealed PCR-negative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antibiotics treatment. Conclusions: With the above results, the nested PCR is a relatively simple, fast, and practical tool for the detection of C. trachmatis and may be a useful follow-up test for monitoring the treatment effect.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에서의 주의력 장애

        김철권,조현기,장정희,강동호,조진석,김명정,변원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들과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자녀, 그리고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를 이용한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지속적 주의력에 관한 사항과 정보 감지능력 검사를 이용한 정보 처리과정에서의 감각등록에 관한 사항을 측정하고 세 군간에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 유무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 28명을 대상군으로 그리고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자녀 18명과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를 둔 중고등학생 41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대상군 및 두 대조군 모두에게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와 정보 감지능력 검사를 순차적으로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에서는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맞춘 횟수와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고 놓친 횟수는 반대로 유의하게 높았다. 가장 중요한 변인인 민감도는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2)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각 변인의 변화를 보면 맞춘 횟수와 비율에서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민감도 역시 시간이 경과할수록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의 민감도, 정보 감지능력 검사에서의 정답반응 횟수에서 정상 대조군의 분포 곡선중 하위 10% 수치를 절단점으로 잡아 그 수치 이하를 보이는 대상 숫자를 비교해 보면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에서만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군과 정상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군, 정상 대조군, 대상군중 연속 작업수행력 검사의 민감도가 하위 10% 이하에 속하는 군의 MMPI를 서로 비교한 결과 세 군간에 MMPI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정보 감지능력 검사에서는 대상군이 두 대조군에 비해 정답반응과 오답반응을 보이기까지 걸린 평균 시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저자들은 정신분열병의 발병 위험성이 높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군이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자녀군이나 정신과학적으로 건강한 부모를 둔 대조군보다 지속적 주의력에서 결손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나아가 이와 같은 지속적 주의력에서의 결손이 정신분열병의 한 가능한 취약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study the possible vulnerability in the markers of schizophrenia,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n=28),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n=18), and offsprings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n=41) were examined for their sustained attention and sensory register by means of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and Span apprehension task(SPAN)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 showed a significant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as manifested in the data of CPT by significantly lower hit rate and sensitivity, compared with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No difference was evident in the false alarm rate and response bias among thre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 variables of the CPT between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2) The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as revealed by lower hit rate and sensitivity was not apparent in the first part of the CPT. However it emerged and aggravated itself as the test continued in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 only. 3) Proportion of subjects falling in the extreme low sensitivity of lower 10% of the normal contro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 group as compared with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with a rate of 29%, 17%, and 10% respectively. 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all variables of MMPI among normal controls, index group, and the extreme low CPT sensitivity subgroup of index group. 5) The offsprings of the schizophrenic parents showed a significantly delayed response in the time to correct and incorrect response in SPAN compared to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No difference was evident i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 number of incorrect response, and number of no response among thre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 variables of the SPAN between the offsprings of the alcohol dependent parents and those of the psychiatrically normal pers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ubgroup of the offsprings of schizophrenic parents may suffer from the deficit in the sustained attention which may be a vulnerability marker of schizophrenia.

      • KCI등재

        석면관련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흉부고해상도전산화단층촬영검사(HRCT)의 유용성

        이현재,손지언,,홍영습,,이영일,예병진,유창훈,정갑열,김상훈,임형준,장은철,김정만,김준연 大韓産業醫學會 200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8 No.2

        목적: 석면에 노출된 근로자에서 석면관련 폐질환의 양상을 분석하고 진단에 있어 HRCT의 유용성을 연구하여 석면에 대한 의학적 감시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석면에 직접 노출되는 작업자 68명과 간접 노출되는 작업자 94명 등 총 162명에 대해 OSHA 석면 표준, 의학적 감시 프로그램에 따라 단순 흉부방사선검사, 폐활량검사 및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일부 수정한 의학적 설문지를 통해 면접조사의 방식으로 환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면접조사는 1달 이상의 기간을 두고 2차례에 걸쳐 실시된 후 확인, 수정하였다. 또한, 석면관련 폐질환을 확진하기 위하여 HRCT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HRCT결과 석면관련 폐질환의 유병율은 162명의 근로자중 17명으로 10.5%였는데, 직접 노출군에서 10명 (14.7%), 간접 노출군에서 7명 (7.4%)이었다. HRCT와 비교할 때 단순 흉부방사선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0.6%와 98.6%이었고, 양성 예측도와 음성 예측도는 각각 85.7%와 96.6%으로, HRCT는 단순흉부방사선검사에 비해 민감도가 높아 초기 석면관련 폐질환을 진단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석면관련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 HRCT와 폐활량검사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HRCT 결과 석면관련 폐질환의 유무와 의학적 설문조사 결과의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변수는 작업기간, 흡연량, 호흡기질환의 과거력, 기침, 호흡곤란이었다. 결론: HRCT는 석면관련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 단순 흉부방사선검사와 비교하여 민감도가 높아 초기 진단에 유용하므로 단순 흉부방사선선검사 결과 석면관련 폐질환소견을 보일 때뿐만 아니라, 정상소견을 보이더라도 폐활량 검사결과와 근무력, 흡연력, 호흡기질환의 과거력, 기침,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을 참고하여 HRCT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관련성이 없었던 요인들에 대해서도 향후 연관성을 규명하는 광범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medical surveillance program of workers exposed to asbestos by examining the usefulness of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in the diagnosis of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Methods: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162 workers in a ship-repairing yard, 68 of whom had been directly exposed to asbestos and 94 indirectly exposed. The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OSHA) asbestos standard, medical surveilance program' and HRC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The OSHA asbestos standard, medical surveilance program consists of simple chest x-ray, spirometry and medical questionnarie. Results: Seventeen (10.5%) of the 162 subjects, 10 (14.7%) directly exposed and 7 (7.4%) indirectly exposed, revealed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on HRC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imple chest x-ray for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were 70.6% and 98.6%,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85.7% and 96.6%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HRCT, HRCT was an effective diagnostic tool especially to detect early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The study results indicated a relative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results of spirometry and HRCT. The variabl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on HRCT were work duration, smoking history (pack-years), past history of respiratory disease, cough and dyspnea. Conclusions: In the diagnosis of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HRCT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for workers with positive findings on simple chest x-ray, but also workers with specific findings on spirometry, occupational history, smoking history, and past history of respiratory disease, or with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cough and dyspnea.

      • KCI등재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과 식품첨가물에 관한 연구

        송재철,정혜진,박현정,조은경,신완철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품재료나 음식 중에 공통적으로 함유한 성분 또는 가공중에 많이 첨가되는 성분을 선정하여 이들이 Helicobacter pylori 생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첫째, 일반식품의 주요 성분인 탄소원, 질소원, 무기질을 대상으로 Helicobacter pylori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식품성분 중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균일 생육활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우선 단당류가 이당류나 다당류에 비교하여 생육을 촉진하였고 특히 단당류 중 포도당은 가장 균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만노오스는 균의 생육을 오히려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알코올류인 솔비톨, 만니톨, 말티톨, 크리시톨 등은 균의 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원과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과의 관계는 평소 식생활에서 많이 섭취된다고 생각되는 일반 음식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기형 아미노산 성분고 무기형 질소화합물을 대상으로 균의 생육 정도를 비교하였다. 리신, 메티오닌, 시스테인, 트립토판 등은 균의 생육을 촉진하고 아르기닌,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등은 균의 생육에 도움이 되지 않고 암노니아, 요소등은 균의 생육에 도움이 되지 않고 암모니아, 요소 등은 균의 생육에 조금 영향을 미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리신과 메티오닌은 가장 균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염류의 영향에서는 황산마그네슘, KH-2PO_4, 염화마그네슘 등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황산철,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은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첨가물의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 정도를 검토한 것으로, 그 다음이 질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순이었으며 토코페롤은 전혀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oose principal food components contained in diet foods and food additives used for manufacturing processed foods, and elucidate their in vivo effects on the growth pattern of Helicobacter pylori. To do this,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various sources of carbon, nitrogen and mineral as an effect agent on Helicobacter pylori were first assessed based upon bacterial growth degree. Results show that the source of carbon tested had different effects on bacterial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It was revealed that a promotional effect of monosaccharides resulted in enhanced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compared with di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s. In particular, glucose was observed to be most effective in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among monosaccharides tested, whereas mannose to hinder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Polyols such as sorbitol, mannitol, maltitol and xylitol was, however, observed to show no promotion or suppression effect on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Apart from these, the sources of amino acid and inorganic nitrogen were chosen and tested to assess the promotion or suppression effect of nitrogen sources on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It was found that amino acid such as lysine showed its promotion effect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while arginine, (NH_1)_2SO_4 and NH_4Cl showed no effect on its growth. Ammonia and urea were, however, obser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Among these effect agents, lysine and methionine were revealed to show the most positive effect on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Minerals such as MgSO_4, KH_2PO_4, and MgCl_2 appeared to exert their positive growth effects, whereas CaCl_2, and CaSO_4 had a little effect. In addition FeSO_4, FeCl_2, and FeCl_3 brought suppression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In studies of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by food additives, ascorbic acid showed extreme suppression on its growth. Sodium nitrate and sodium chloride were also found to be of negative effect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in order of degree, whereas tocopherol had nothing to do with microbial growth.

      • KCI등재

        출생후 성장발육에 따른 흰쥐 유곽유두의 CGRP 면역양성 신경분포변화

        김현정,이재문,배용철,김영진 大韓小兒齒科學會 199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4 No.2

        출생 후 성장 발육에 따른 흰쥐 유곽유두의 신경분포 및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생후 1,5,10,15,20,25,35일 및 완전히 성장한 흰쥐를 개상으로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CGRP)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들이 혀의 양측에서부터 유두 내로 진입하여 성장발육에 따라 그 분포밀도가 중가하다가 10일군부터는 상피의 직하방에 특히 풍부하게 분포하여 subepithelial plexus를 형성하고 있었다. 1일군에서는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의 특징적인 양상인 염주알 모양이 명확히 관찰되었으나 그 이후로는 염주알 모양은 다소 감소하였고 하나의 선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상피 내로 진입하는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들은 5일군에서 드물게 관찰되었으며 taste pore를 가진 성숙한 미뢰가 처음으로 관찰되는 10일군에서 그 수가 증가하여 출생 후 15일군에서는 상피 전반에 걸쳐 풍부하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 20일군부터는 미뢰가 존재하는 trench wall의 하방 2/3부위의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는 감소하고 유두의 top surface와 trench wall의 상방 1/3에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가 제한적으로 관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rat circumvallate papilla by each developing stage.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rat circumvallate papilla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immunohistochemistry for detection of calcitonin gene-realted peptide(CGR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GRP-immunoreactive(IR) nerve fibers entered the base of the papilla laterally to form a subepithelial plexus. On the 1st postnatal day, the bead-like appearance, typical appearance of CGRP-IR nerve fiber, was seen, but from the 5th postnatal day the bead-like appearance was seen less clearly and nerve fibers looking like a line were often observed. Mature taste buds having taste pores were first seen at the 10th postnatal day and then, increased markedly after this stage. CGRP-IR nerve fibers entering the epithelium were rarely seen on the 5th postnatal day but they increased in number on the 10th postnatal day when mature taste buds having taste pores were firstly observed and then on the 15th postnatal day, they were observed abundantly throughout entire epithelium. But from the 20th postnatal day, the nerve fibers in the lower two-third of the trench wall in which taste buds exist decreased but on the top surface and upper one-third of the trench wall the nerve fibers were obsered limited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