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결혼만족도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23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사회에서 남성은 가족을 부양하는 도구적 역할, 여성은 자녀의 양육을 담당하는 정서적 지원자의 역할로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회의 변화에 따른 가족 구조의 변화와 함께 가족구성원의 역할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양육에 있어 부부공동의 책임을 확산시켰고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요구와 관심을 증대시켰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의 질과 자녀의 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살펴보고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보다 심층적 분석과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이 결혼만족도와 우울을 매개로 하여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더불어 결혼만족도와 우울이라는 변수들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조사 5차년도(2012년) 데이터 중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1,68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초통계분석과 상관분석, 신뢰도 검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의 구조모형과 측정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AMOS 2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은 평균보다 조금 높은 수준 이였다. 또한, 결혼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 우울은 모두 직접적으로 양육스트레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결혼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 경우 이는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양육스트레스를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우울을 낮게 인지하여 양육스트레스 역시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이 결혼만족도와 우울을 이중매개 하여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은 부부관계나 가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인 결혼만족도가 높아져 우울감을 덜 느껴 위기나 스트레스를 잘 극복하여 양육스트레스를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개인체계의 심리적 변인인 자아존중감은 부부체계의 만족감인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개인체계의 심리 정서적 상태인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다시 부모-자녀체계의 특징인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개인적 체계의 긍정적 심리적 특성은 부부체계에 영향을 주어 개인체계의 부정적 심리 특성 뿐 아니라 부모-자녀체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양육스트레스는 자녀를 양육하는 데에서만 오는 단순한 부담감이기보다 개인의 심리적 변인들과 부부관계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가족의 경제적 책임과 더불어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도 함께 증가되고 있는 현실에서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양육지원을 살펴보는 데에는 개인과 가족관계의 다양한 원인들을 살펴보아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족복지차원에서 아버지에 대한 정서적 지원은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를 증진시켜 가족의 삶의 질까지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아버지를 위한 육아지원정책은 단순히 보조적이거나 물질적인 지원에서 더 나아가 정서적 지원까지 확대되어야 함을 이야기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전통사회에서 남성은 가족을 부양하는 도구적 역할, 여성은 자녀의 양육을 담당하는 정서적 지원자의 역할로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회의 변화에 따른 가족 구조의 변화와 함께 가족구...

      전통사회에서 남성은 가족을 부양하는 도구적 역할, 여성은 자녀의 양육을 담당하는 정서적 지원자의 역할로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회의 변화에 따른 가족 구조의 변화와 함께 가족구성원의 역할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양육에 있어 부부공동의 책임을 확산시켰고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요구와 관심을 증대시켰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의 질과 자녀의 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살펴보고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보다 심층적 분석과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이 결혼만족도와 우울을 매개로 하여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더불어 결혼만족도와 우울이라는 변수들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조사 5차년도(2012년) 데이터 중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1,68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초통계분석과 상관분석, 신뢰도 검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의 구조모형과 측정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AMOS 2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은 평균보다 조금 높은 수준 이였다. 또한, 결혼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 우울은 모두 직접적으로 양육스트레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결혼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 경우 이는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양육스트레스를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우울을 낮게 인지하여 양육스트레스 역시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이 결혼만족도와 우울을 이중매개 하여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은 부부관계나 가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인 결혼만족도가 높아져 우울감을 덜 느껴 위기나 스트레스를 잘 극복하여 양육스트레스를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개인체계의 심리적 변인인 자아존중감은 부부체계의 만족감인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개인체계의 심리 정서적 상태인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다시 부모-자녀체계의 특징인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개인적 체계의 긍정적 심리적 특성은 부부체계에 영향을 주어 개인체계의 부정적 심리 특성 뿐 아니라 부모-자녀체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양육스트레스는 자녀를 양육하는 데에서만 오는 단순한 부담감이기보다 개인의 심리적 변인들과 부부관계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가족의 경제적 책임과 더불어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도 함께 증가되고 있는 현실에서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양육지원을 살펴보는 데에는 개인과 가족관계의 다양한 원인들을 살펴보아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족복지차원에서 아버지에 대한 정서적 지원은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를 증진시켜 가족의 삶의 질까지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아버지를 위한 육아지원정책은 단순히 보조적이거나 물질적인 지원에서 더 나아가 정서적 지원까지 확대되어야 함을 이야기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traditional society, men took instrumental roles to support a family, while women taking expressive roles were responsible for child caring. However, as the society changed, the family roles of men and women also changed over time. These changes expanded increased needs and interests in the father's role as well as the couples’ joint responsibility in parenting.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ather's parenting stress from a new perspective, and to examine the father’s parenting stress that may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the father’s parenting and the children’s development. The variables affecting father’s parenting stress is also found to be important in order to establish family support policies at societ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oul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ather’s self-esteem on parenting stress and the process in which self-esteem affects father's parenting stress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s mediating variables.
      Data in the fifth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2012) were analyzed. Subject in our study were 1,685 fathers of young children.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In addition, for tests of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measuring model of the research model,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using AMOS 21.0, and for a test of the mediating effect, bootstrapping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esteem of the fathers of young children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In addition, marital satisfaction was very high, while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relatively low.
      Second, self-estee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and a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Third, self-esteem,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fathers had direct influences on father’s parenting stres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parenting stress. In other words, higher self-esteem of fat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which lowered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it turned 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It turned out that higher self-esteem makes fathers recognize lower depression and lower parenting stress, too.
      Fifth, self-esteem had an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double-mediating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a higher level of self-esteem increases marital satisfaction, a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marital relationship or family, allows them to have less depression, overcome crisis or stress well and recognize lower parenting stress.
      To sum up, in our study, self-esteem a psychological variable of the individual system) has an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satisfaction with the spouse of the couple system), which has an influence on depression(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dition). In other words,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individual system has an influence on the couple system, which has an influence on the nega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individual system and, finally, on the parent-child system. As a conclusion, parenting stress is affected by a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dynamic factor of marital relationship, rather than being a mere burden of parenting children itself.
      The significance of our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enting stress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variable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n the parenting stress as well as the direct effect of self-esteem on the parenting stress.
      As practical implications, it was found in our the study that emotional support for fathers was finally connected to the quality of the family’s life, as it improves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now, when importance is attached to joint responsibility for child-rearing and the role of the father. Thus, it is noted that the policy on support for parenting of fathers should expand to the dimension of emotional support for fathers.
      번역하기

      In a traditional society, men took instrumental roles to support a family, while women taking expressive roles were responsible for child caring. However, as the society changed, the family roles of men and women also changed over time. These changes ...

      In a traditional society, men took instrumental roles to support a family, while women taking expressive roles were responsible for child caring. However, as the society changed, the family roles of men and women also changed over time. These changes expanded increased needs and interests in the father's role as well as the couples’ joint responsibility in parenting.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ather's parenting stress from a new perspective, and to examine the father’s parenting stress that may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the father’s parenting and the children’s development. The variables affecting father’s parenting stress is also found to be important in order to establish family support policies at societ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oul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ather’s self-esteem on parenting stress and the process in which self-esteem affects father's parenting stress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s mediating variables.
      Data in the fifth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2012) were analyzed. Subject in our study were 1,685 fathers of young children.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In addition, for tests of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measuring model of the research model,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using AMOS 21.0, and for a test of the mediating effect, bootstrapping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esteem of the fathers of young children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In addition, marital satisfaction was very high, while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relatively low.
      Second, self-estee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and a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Third, self-esteem,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fathers had direct influences on father’s parenting stres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parenting stress. In other words, higher self-esteem of fat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which lowered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it turned 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It turned out that higher self-esteem makes fathers recognize lower depression and lower parenting stress, too.
      Fifth, self-esteem had an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double-mediating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a higher level of self-esteem increases marital satisfaction, a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marital relationship or family, allows them to have less depression, overcome crisis or stress well and recognize lower parenting stress.
      To sum up, in our study, self-esteem a psychological variable of the individual system) has an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satisfaction with the spouse of the couple system), which has an influence on depression(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dition). In other words,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individual system has an influence on the couple system, which has an influence on the nega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individual system and, finally, on the parent-child system. As a conclusion, parenting stress is affected by a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dynamic factor of marital relationship, rather than being a mere burden of parenting children itself.
      The significance of our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enting stress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variable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n the parenting stress as well as the direct effect of self-esteem on the parenting stress.
      As practical implications, it was found in our the study that emotional support for fathers was finally connected to the quality of the family’s life, as it improves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now, when importance is attached to joint responsibility for child-rearing and the role of the father. Thus, it is noted that the policy on support for parenting of fathers should expand to the dimension of emotional support for fat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 7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 7
      • 2.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12
      • 3. 아버지의 자아존중감 17
      • 4.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20
      • 5. 아버지의 우울 23
      • 6.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 우울,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26
      • Ⅲ. 연구방법 30
      • 1. 연구대상 30
      • 2. 연구모델 32
      • 3. 연구도구 32
      • 4. 분석방법 35
      • Ⅳ. 연구결과 및 분석 38
      • 1.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38
      • 2. 측정변인의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 40
      • 3.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42
      • 4. 매개효과의 분석 48
      • Ⅴ. 결론 및 제언 52
      • 1. 결론 52
      • 2. 제언 56
      • 참고문헌 58
      • 영문초록 8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가족복지학, 김혜련, 김인숙, 신은주, 조흥식, 김혜란, 서울:학지사, , 2006

      2. 정신건강론, 최덕경, 창지사, 서울:학지 사, , 2014

      3. 특수아상담, 최윤희, 송미경, 시그마프레스, 서울:시그마프레스, , 2007

      4. 『아동심리학』, 대장행부, 醫齒藥, 서울:박영사, , 1991

      5. 『가족과 젠더』, 이주연, 태영, 서울:창지사, , 2013

      6. 아동발달의 이해, 정옥분, 학지사, 서울:학지사, , 2013

      7. 현대 이상심리학, 권석만, 학지사, 서울:학지사, , 2003

      8.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송인섭, 학지사, 서울:학지사, , 1998

      9.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김기연, 강희경,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 1997

      10. 현대가족에서의 아버지 역할, 윤종희, 한국아동학회,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26-128, , 1987

      1. 가족복지학, 김혜련, 김인숙, 신은주, 조흥식, 김혜란, 서울:학지사, , 2006

      2. 정신건강론, 최덕경, 창지사, 서울:학지 사, , 2014

      3. 특수아상담, 최윤희, 송미경, 시그마프레스, 서울:시그마프레스, , 2007

      4. 『아동심리학』, 대장행부, 醫齒藥, 서울:박영사, , 1991

      5. 『가족과 젠더』, 이주연, 태영, 서울:창지사, , 2013

      6. 아동발달의 이해, 정옥분, 학지사, 서울:학지사, , 2013

      7. 현대 이상심리학, 권석만, 학지사, 서울:학지사, , 2003

      8.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송인섭, 학지사, 서울:학지사, , 1998

      9.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김기연, 강희경,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 1997

      10. 현대가족에서의 아버지 역할, 윤종희, 한국아동학회,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26-128, , 1987

      11. 아버지 역할수행의 결정요인 연구, 강란혜(Ran Hye Kang),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148,15-28, , 2000

      12.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문혁준,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42(11), 109-122, , 2004

      13.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기현 ( Ki Hyun Kim ),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36(9), 49-62, , 1998

      14. Amos 19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배병렬, 서울:청람, , 2013

      15. 아버지의 역할수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양장애, 아동학회지,20(1), 135-145, , 1999

      16. 어머니의 자녀 양육스트레스 요인 분석, 최승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17. 유아의 기질과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고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 1998

      18. 아버지 역할과 유아의 지각에 관한 연구,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1985

      19. 따돌림예방을 위한 자아존중감의 유용성, 남인숙, 한국사회이론학회, 사회이론,33,135-163, , 2008

      20. 장애아동 아버지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이종호, 호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1

      21.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부적응간의 관계, 문경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1994

      22.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박성옥(Sung Ok Park),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6(2),37-45, , 1997

      23. 현장실무자를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총론, 공창숙, 양서원, 서울:양서원, , 2006

      24.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기혼자의 결혼만족도, 채규만, 김민녀,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건 강,11(4),655-671, , 2006

      25. 우종필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우종필, 한나래아카데미, , 2012

      26. 경영학 연구에서의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김진호, 추병대, 홍세희, 한국경영학회, 경 영학회지,36(4),897-923, , 2007

      27. 교사의 귀인성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박노철, 한국교원대학교 교 육 석사학위논문, , 2002

      28.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고성혜,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연구, 18,21-37, , 1994

      29. 3세 이하의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숙경, 문혁준,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 정관리학회지,28(4),67-76, , 2010

      30. 아동기 아버지의 생활만족수준과 역할수행도, 정영숙, 민현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 아보육학,제10집,281-306, , 1997

      31. 기혼여성의 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이정윤,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9(2),339-352, , 2008

      32. 자녀양육행동과 관련된 부모의 스트레스 분석, 박해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4

      33.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이윤선, 박찬화, 한국생애학회, 생애학 회지,5(2),77-97, , 2015

      34.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인숙, 류현숙, 한국아동간호학회, 아동간 호학회,21(1),46-54, , 2015

      35.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권희경(Hee Kynng Kwon), 이홍숙(Hong Sook Lee), 이진숙(Jin Sook Lee), 조복희(Bok Hee Cho),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37(10),123-133, , 1999

      36. 맞벌이 부부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박삼수, 청주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2004

      37.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요인”, 이지원, 한국모자보건학회, 한국모자보건학 회지,7(2),207-216, , 2003

      38.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생활능력간의 관계, 노현미, 박인전, 한국아동학회, 아동 학회지,20(4),231-245, , 1999

      39. 어머니의 우울수준과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노인영, 아주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2012

      40.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성 연구, 이은영,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중앙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2009

      41. 취학전 자녀양육에 대한 아버지의 스트레스 연구, 선미정, 기전여자대학, 기전여자대학 학술저널,15,33-41, , 1995

      42.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적 능력, 김광웅, 이인수, 한국아동학회, 아동 학회지,19(2),65-75, , 1998

      43.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연구, 김영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이화여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0

      44. 아버지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김은지, 이화여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2

      45.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아동의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정옥분, 윤서영, 한국아동학회, 아 동학회지,20(2),101-123, , 1999

      46.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조성희 ( Sung Hui Cho ), 박소영 ( So Young Par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 복지학,29,149-174, , 2010

      47. 정보사회의 원리 규명과 가족제도 변화에 관심 쏠려, 조정문, 대한출판문화협회, 출판저널, 314,19, , 2001

      48.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언어적 학대, 김미예, 박동영, 아동간호학회, 아동간호학회지,15(4),375-382, , 2009

      49. 아동 우울에 관련된 요인 및 부모 우울과의 관계 연구, 서민정, 정철호, 장은진,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소아청소년정신의학,12(2),245-255, , 2001

      50.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이정순, 유아교육 연구,22(3),5-19, , 2003

      51.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최경순,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 지,14(2),115-135, , 1993

      52. 유아기 자녀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지 지, 최진아, 유우영, 이숙, 한국가정관리학회지,16(1),51-61, , 1998

      53.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최연화,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9

      54.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채진영,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 정관리학회지,29(5),75-83, , 2011

      55. 우울 및 비우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동문제, 백종화, 이화여 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2009

      5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 우울, 한경자, 허보윤, 부모자녀건강학회, 부모 자녀건강학회지,12(2),131-146, , 2009

      57. 한국 영아의 어휘 발달과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 임용순, 연세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2

      58. 성인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김정선, 신경림, 한국간호학회지,34(2),352-361, , 2004

      59. 아버지의 역할과 그에 대한 자녀들의 기대에 관한 연구, 권연희, 성신여 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86

      60. 취업모와 비취업모간의 양육죄책감과 양육행동의 차이, 노현정, 중앙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4

      61. 성장단계별 맞벌이 부부의 자녀양육 스트레스 비교연구, 김정애, 목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1

      62. 만 3세-5세 유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송진영, 송진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14(6),185-205, , 2009

      63. 한국 부부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희진, 상담 학연구,5(3),839-853, , 2004

      64. 아버지의 양육 참여행동과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판단능력, 최경순, 정현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13(1),38-51, , 1992

      65.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이정순,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 교육연구,23(3),5-19, , 2003

      6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우희정, 최정미,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13(3),361-369, , 2004

      67. 어머니의 우울,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이유진, 서울 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68.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부,모 애착, 부부갈등 지각 간의 관계, 박영림 ( Young Rim Park ), 최해림 ( Hae Rim Choi ),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14(3),741-755, , 2002

      69.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와 아동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 구, 유가효, 최윤희,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26,15-37, , 2000

      70.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의 관계, 이윤선, 경 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8

      7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영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의 관 계, 위영희, 이자현,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33(5),139-161, , 2012

      72. 정신지체아 아버지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김준희, 대 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5

      73.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희경, 한국보육학회, 한국 보육학회지,12(1),131-147, , 2012

      74.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 탐색, 정미라 ( Mi Ra Chung ), 권정윤 ( Jeong Yoon Kwon ), 박수경 ( Su Kyoung Park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16(3),143-160, , 2012

      75. 현대가족에서의 아버지 역할 :발달주기에 따른 아버지 역할, 정문자, 한 국아동학회 춘계학술심포지움, , 1987

      76.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 레스, 김혜영, 고효정,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계명간호과학,16(1),35-44, , 2012

      77. 3세 미만 유아를 둔 도시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 족 기능, 박영숙, 大韓身心스트레스學會, 스트레스연구,17(4),349-357, , 2009

      78.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 스 트레스, 이수미, 민하영,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16(2),219-225, , 2007

      79. 자녀성장단계별 맞벌이 부부의 자녀양육 스트레스 비교 연구, 김정애,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1

      80. 재혼가족에 대한 체계론적 분석:경계와 역할개념을 중심으로, 김연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44,31-55, , 2014

      81. 학령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향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원정숙 ( Jeong Sook Won ), 신성희 ( Sung Hee Shin ),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정신간호학회지,18(4),492-500, , 2009

      82. 아버지 자녀양육 참여도 및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김희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7

      83. 어머니가 지각하는 유아의 기질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의 차이, 남혜순, 한국아동교육학회,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84.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 그리고 양육태도와 자녀 성격과의 관계, 오현숙(Oh, Hyun-Sook), 김명숙(Kim, Myeong-Sook),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여성,20(4),513-530, , 2015

      85. 유아 자녀를 둔 일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요인 연구, 이영, 주은희,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15,89-106, , 2001

      86.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탐색, 김기현, 한국생활과학회, 한 국생활과학회지,9(1),71-84, , 2000

      87. “빈곤계층 아동 양육자의 우울,건강 상태와 양 육 스트레스”, 방경숙, 박성희, 채선미, 부모자녀건강학회, 부모자녀건강학회지,14(2),55-61, , 2011

      88. “어머니의 특성 및 자아인식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영향”, 김헤라, 김진경,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33(2),129-144, , 2012

      89. 아버지의 역할지각 및 양육참여 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허선자,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31(5),131-152, , 1993

      90. 아버지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노성향, 한국보육학회, 한국보육학회지,14(3),45-59, , 2014

      91. 자녀수에 따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 정은애,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8

      92. 기혼 남성의 아버지역할과 직업역할 몰입 유형화와 생활만족도, 옥선화, 김소영,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46,125-139, , 2000

      93.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인 지 및 동작 발달의 차이, 김민정, 이방실, 강수경, 정미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19(5),97-117, , 2014

      94. 아버지의 자기존중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존중감의 관계, 이미정,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9(1),47-61, , 1988

      9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관련 국 내 연구동향 분석, 라혜미, 이희영,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수상해양교육연구,24(2),246-262, , 2012

      96. “어머니의 내적 변인에 따른 영아와의 신체접촉 유형간 비교”, 곽금주, 김수정, 한국심리학회, 한 국발달심리학회지,17(1),1-18, , 2004

      97. 기혼남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관 한 연구, 박정윤, 김효민,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17(3),43-68, , 2012

      98.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진경, 서주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73,101-121, , 2012

      99.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 아버지노릇 : 척도 개발 연구, 이진숙(Jin Sook Lee), 이영환(Young Hwan Yee), 조복희(Bok Hee Cho),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142,79-89, , 1999

      100.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 는 영행, 박성연, 전춘애, 대한가정학회지.11(1),115-129, , 1996

      101. 기혼취업여성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박정윤, 장영은,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31(5),159-172, , 2013

      102. 실내 모래놀이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효과, 도영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8

      103. 아버지의 역할수행, 결혼만족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김용미(Kim Yong-Mi), 김정주(Kim Jung-Ju),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50,113-137, , 2007

      104.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영향 요인에 관한 연 구, 김경은,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16(7),4566-4575, , 2015

      105. 초등학교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변인별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 안, 정광덕,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10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박영아 ( Young Ah Park ), 영유아교육학회, 영유아교육연구,8,97-114, , 2005

      107. 사회적 지원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영경,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30(3),165-177, , 2012

      108.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 회적 능력간의 관계, 전춘애, 이미숙, 우정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41(12),91-101, , 2003

      109.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과의 관 계, 김숙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110.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 정서 발달간의 관계, 신민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111.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이미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어린이미디어연구,14(4),265-285, , 2015

      112. 시각장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 연구, 이희진, 이해균,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2

      113. 부의 양육참여와 모의 양육신념이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행, 박영준, 권정미,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18(4),115-143, , 2014

      114.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김세루, 홍지명, 홍혜경,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어린이미디어연구,9(2),113-132, , 2010

      115.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인 ( Hye In Kim ), 신나나 ( Nan A Shin ), 박보경(Bokyung Park), 도현심 ( Hyun Sim Doh ) , 김민정 ( Min Jung Kim ),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35(4),179-198, , 2014

      116.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정서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도선자, 백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1

      117.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 ( Min Jung Kim ), 도현심, 조수정(Soo Jung Cho), 김상원(Sang Won Kim), 최미경(Mi Kyung Choi),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33(2),145-164, , 2012

      118. 아동의 정서 및 행동문제와 어머니의 우울증,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이영준, 최의겸, 송원영, 신의진,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소아정소년정신의학,14(2),218-228, , 2003

      119.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을 중심 으로 -, 최경순,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9(1),223-239, , 1991

      120.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양육죄책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백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7

      121.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최정혜 ( Jeong Hye Choi ),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43(3),11-26, , 2005

      122. 가족소득,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부모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정이, 황혜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10(3),101-122, , 2008

      123. 결혼만족도 척도의 타당화 연구 -Roach,Frazier,Bowden의 MaritalSatisfactionScale-, 유영주, 한국가정관리학회지,4(1),1-13, , 1986

      124.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김신정,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125.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영아의 발달 간의 관계, 민현숙 ( Hyun Suk Min ), 문영경 ( Young Kyung Moon ), 한국생활과학회지,22(1),43-56, , 2013

      12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어머니 역할 인식과 자녀양육 스 트레스, 편은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2001

      127. 남성의 일-아버지 역할 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 및 부모로서의 유능감, 서혜영, 이숙현,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4(2),257-280, , 1999

      128. 아버지의 역할지각,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 손영빈, 윤기영,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18(3),105-126, , 2011

      129. 부모의 성역할 유형,부부간 권력유형과 아버지 유아기 자녀양육 참여도, 이인숙, 윤종희, 한국가정관리학회지,11(1),191-202, , 1999

      130.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 는 영향, 우정희,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2

      131. "영유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양육협조에 미치는 영향", 홍윤정(Hong, Yoon-Jeong), 최효식(Choi, Hyo-Sik), 연은모(Yeon, Eun-Mo), 김정아(Kim, Jeong-ah),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86,51-78, , 2014

      132. 맞벌이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조복희, 김기현, 한국아동학회,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0

      133.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 및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이지희(Lee, Jee-hee), 문혁준(Moon, Hyuk-jun),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가톨릭대학교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연구논집, 25(1),75-95, , 2005

      13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김혜진,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135. 농촌주부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연구 :생활개선 회원을 중심으로, 최정혜, 강수정,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15(2),71-85, , 2010

      136.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 만족도간의 관계, 고재홍, 박영화,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19(1),68-83, , 2005

      137. 영유아 정상아동의 언어발달과 사회 정서발달 및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고순옥, 아주대학교 대학원,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4

      138.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이 양육참여에 미치 는 영향, 김승연,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8

      139. “가족 및 직업 특성이 중 장년기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 는 영향”, 韓慶惠, 徐晶雅,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16(2),165-177, , 1998

      140. 『우울과 자기지향이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주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5

      141. 어머니 우울증상과 자녀 우울증상의 상관과 어머니 표 출감정의 매개효과, 하은혜, 고유빈, 한국놀이치료학회, 한국놀이치료학회지,13(2),63-80, , 2010

      142.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가족변인과 성별과의 관계, 고영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6

      143. "아버지의 기질에 따른 결혼만족도, 직업만족도, 양육참여 간 관계의 차이", 임애련(Ae Ryon Lim), 안선희 ( Sun Hee Ahn ), 김유정(Yoo Jung Kim),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33(5),71-85, , 2015

      144. “가족생활 주기에 따른 맞벌이 남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 만족도 연구”, 김은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10,99-119, , 2002

      145. “사춘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과 관련된 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자아존중감, 임경희, 김계필, 한국간호과학회,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90-290, , 2012

      146. 가족건강성,자아존중감,부부문제가 농촌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양순미,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8(3),31-49, , 2003

      147.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학습태도와 아동의 대인 관계 스트레스 관계, 김언주, 김정화,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16(3),85-92, , 2007

      148.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선미, 이경아, 미래유아교육학회, 중아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149. 부부간 친밀관계경험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신동주 ( Dong Ju Shin ), 최현미 ( Hyun Mi Choi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15(1),301-324, , 2011

      150.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자녀 양육태도간의 관계, 장재홍, 김태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청소년상담연구,10(2),123-139, , 2002

      151.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 트레스와의 관계, 김정, 이지현,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26(5),245-261, , 2005

      152.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모 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관 계 관련연구, 박진아, 놀이치료연구,15(1),43-56, , 2011

      15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이 유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영경, 민현숙,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2008(0): 165-166, , 2008

      154. 만 5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탄력성과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 트레스의 관계, 정영민,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155. 배우자 지지가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강의선, 채선미, 이한주, 신혁숙, 한국모자보건학회, 한국모자보건학회지,3(2),187-195, , 1999

      156. 부모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부모가 지각한 유아의 스트레스 및 부적응 행동, 조순이,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157.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 여도 영향분석, 장영애,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19(1),87-99, , 2008

      158. 어머니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어머니 자아존중감 및 유 아 자아존중감의 관계, 신동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16(1),305-324, , 2012

      159. “자기효능감,사회적 지지,피로,양육스트레스가 산후우울중에 미치는 영향”, 감신, 김경숙, 이원기, 한국모자보건학회, 한국모자보건학회지,16(2),195-211, , 2012

      160.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과 부부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최규련,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33(6),99-113, , 1995

      161. 초등학생의 자기보고 된 ADHD 성향과 우울과 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김홍석, 이동훈, 송연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331-350, , 2013

      162. 아동 기질과 양육스트레스,사회적 지지가 취업모의 양육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85,117-136, , 2014

      163.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 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문자, 신숙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19(1),27-42, , 1998

      16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문자, 신숙재,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1997

      165. 영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류기자,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166. 보살핌 지향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성별 및 성역할 정체감과의관계를 중심으로, 정옥분, 곽경화, Chung, Ock Boon, Kwag, Kyung Hwa,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21(2),213-223, , 2000

      167. 부모공동양육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 스와 유아의 불안 및 과잉행동 간의 관계, 최미경, 도현심, 신나나, 김민정,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31(2), 25-39, , 2013

      16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문혁준, 김미숙,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43(8),25-35, , 2005

      169. 부부의 권력유형 결혼만족도에 따른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 차이에 관한 연구, 강현덕,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5

      17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 적 능력 간의 관계, 박송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12

      171. 유아교육기관 만족도에 따른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성제, 전근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8(4), 299-309, , 2015

      172. EBS와 공동기획 엄마가 모르는 아빠효과:대한민국 엄마들을 위한 완전육아 지침서, 김영훈, 베가북스, 베가북스, , 2009

      17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김현미, 도현심 ( Hyun Sim Doh ) , 한국아동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17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송미혜,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6

      175.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부갈등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박성덕, 김은정, 김경철,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8(1),129-151, , 2014

      176. 어머니의 우울이 영아의 심리ㆍ정서적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요인의 조절효과, 김현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83(1),1-21, , 2013

      177. 기혼여성의 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부모역할 자긍심의 매개 및 중재효과, 장미경, 이정윤,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9(2),339-352, , 2008

      178.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변인 탐색: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유구종, 오재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12(5):73-94, , 2007

      179.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1

      18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 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지영, 박성연,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40(1),53-68, , 2002

      181. 경험연구 :정서 및 행동장애 유아의 정신병리 유형에 따른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 이경숙, 신의진, 박진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7(2): 523-545, , 2008

      18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0-3세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 노지영, 황혜신,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 21(1),27-40, , 2012

      183. 기혼여성의 애착안정성과 자아존중감에 따른 우울,불안 :초등학생 어머니를 중심으로, 곽소현, 김순옥,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45(7),35-48, , 2007

      184. 어머니 우울이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희정,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순천향 인문과학논총,31(2),230-258, , 2012

      185.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 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형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2

      18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 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이인학, 최성열, 송희원,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22(1),69-81, , 2013

      187. 영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인학 ( In Hak Lee ), 최성열 ( Sung Yeol Choi ), 박지은 ( Ji Eun Park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19(4),81-91, , 2010

      188.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의사소통,중학생의 자아관이 중학생의 삶 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채진영,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31(1),39-48, , 2013

      189.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경희, 신성일, 김영희,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17(1), 125-152, , 2012

      19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간의 관련성 탐색, 조영숙,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8

      191. 영아의 기질,영아의 발달특성,어머니의 자아존 중감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류칠선, 최선녀, 최유경,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177-196, , 2013

      192.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장영애, 박정희, 한국아동권리학회, 아동과 권리,8(2),327-353, , 2004

      193. 학령기 아동의 일상 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아버지의 양육효 능감, 양육스트레스의 영향, 장영애,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3(2), 163-175, , 2012

      194.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 치는영향: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대균, 서석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19(2),157-178, , 2014

      195.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김춘경 ( Kim Choon Kyung ), 조민규(Cho, Min Kyu),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94,121-142, , 2015

      196.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 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197. 기혼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부모기 전이 부부를 대상으로, 조지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198.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표현어휘 발달과의 관계, 임순화 ( Soon Hwa Lim ), 박선희 ( Sun Hee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5-278, , 2010

      199. 어머니의 직업유무 및 취업과년 특성과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배우자지지의 중재적 역할, 김기원, 이화여자대학 석사학위논문, , 2009

      200.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오정순, 한국생애학회, 생애학회지,2(2),51-66, , 2012

      201.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자녀 가치,양육지식,양육스트레스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연은모, 홍윤정, 최효식, 권수진,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 7(2),21-45, , 2013

      202.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모성이데올로기 인식과 양육 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의 관계 비교연구, 정혜정, 조숙, 이주연,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20(1), 25-49, , 2015

      203.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진경, 김헤라,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8(3),53-67, , 2012

      204. 아버지의 자기효능감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김숙령, 김미정, 조수경,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 대회논문집, , 2014

      20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아동기경험이 아버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정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0

      206.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어머니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강희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98

      207. 아버지-아동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아버지의 역할 및 아버 지 -아동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위영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2,23-35, , 1983

      208. 취업모의 취업관련 특성,남편의 양육참여,부모-교사 협력행동 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순응,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209. "학령 초기 자녀를 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엄은주 ( Ju Eom Eun ), 박보경 ( Bo Kyung Park ), 도현심 ( Hyun Sim Doh ),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35(3), 93-118, , 2014

      210.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교 연구, 김영주, 송연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13(3),181-203, , 2008

      211.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 어머니 결혼만족도가 아버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주(Kim Jung-Ju), 김용미(Kim Yong-M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54, 269-287, , 2008

      212. 저소득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혜숙 ( Hye Sook Jeon ), 전종설 ( Jongserl Chun ), 정하은 ( Ha Eun Chung ), 이주연 ( Ju Yeun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 구,46(2),293-312, , 2015

      213. 매개효과 분석 방법의 최근 트렌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단순, 다중, 이중매개효과 분석 방법, 허원무, 한국비지니스리뷰,6(3),43-59, , 2013

      214.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수준에 관한 종단연구:변화 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중심으로, 김표민,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5

      21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일-아버지 역할 갈등과 양육 스트레 스가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슬기,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5

      216. 양육 스트레스, 양육 효능 감 및 훈육 방식과 아동의 심리적 적응 문제간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김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 2005

      217.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과 비빈곤가족 영아의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비교, 김현옥,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24(1),119-139, , 2015

      218.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성격특성 및 부모의 양육일치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안영희(Young Hee Ahn) · 김연화(Youn Hwa Kim) · 한세영(Sae Young Han),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연구논총, 12(2),1-14, , 2008

      21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김현령 ( Hyun Ryoung Kim ), 류수민 ( Su Min Ryu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19(2),193-209, , 2015

      220.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 활동 및 사회적 지지에 따른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류정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0

      221. 어머니의 수용-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모형분석 :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주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29(2),57-71, , 2008

      222.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 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신희정, 채영문, 김영희,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12(2),67-87, , 2007

      223.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가 부모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디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경혜,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32,263-276, , 1996

      224. 아버지의 영아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수연,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64,119-153, , 2010

      225.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성격 특성,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김정규, 임은경,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4(1),49-67, , 2014

      226. 어머니 결혼만족도와 우울의 종단관계 연구 ;추속출산 의도 집 단과 추속출산 비의도 집단 간의 비교, 이영환, 제3회 한국아동패널 학술대회, 117-132, , 2012

      227. 빈곤층 여성의 우울에 대한 연구: 스트레스, 신체화,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엄태완,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24,61-88, , 2008

      228.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결혼만족도,삶의 만족도 및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박성연, 이유리,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4),177-188, , 2009

      229. 자녀양육 스트레스 및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 구도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황정해, 홍길회,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27(3), 301-317, , 2006

      230. “양육스트레스가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 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선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 위논문, , 2014

      231. 영아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사회,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경화, 김숙령, 최항준, 이윤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 육학논집,16(1),551-575, , 2012

      232.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와 자녀의 보육상황에 대한 보육인지도가 아버지의 보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현온강, 이완정, 최혜란, 대한가정학회 지,35(1),155-168, , 1997

      233.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부모애착과 영아에 대한 아버지애착의 관계: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김리진 ( Lee Jin Kim ), 황현주 ( Hyun Joo Hwang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8(4),55-73, , 2014

      23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긍정적 양 육행동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송하나, 김영미,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9(2), 71-88, , 2015

      235.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우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선희 ( Sung Hee Kim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연구, 18(5), 317-338, , 2014

      236.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와 자녀의 보육상황에 대한 보육인지도 가 아버지의 보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혜란, 대한가정학회지, 35(1), 155-168, , 1997

      237.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 관 련 변인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수옥, 이순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6(6),127-156, , 2012

      238.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연은모 ( Eun Mo Yeon ), 윤해옥 ( Hae Ok Yoon ), 최효식 ( Hyo Sik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5(3),171-195, , 2015

      239. 경제관련 변인 및 자녀의 기본생활습관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임현주,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3(4), 197-215, , 2013

      240.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 안정성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이윤주, 김진숙,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3(5),2229-2249, , 2012

      241. 저소득,일반 가정 영유아의 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관련 놀잇감 및 부모-자녀 관계 관련변인 연구, 이민주 ( Min Joo Lee ), 유정은 ( Jung Yeun Yoo ), 손승희 ( Seung Hee Son ), 한찬희 ( Chan Hee Han ), 이윤선 ( Yun Seon Lee ), 김길숙 ( Gil Sook Kim ), 조항린 ( Hang Rin Cho ), 김명순 ( Myoung Soon Kim ),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31(4),61-74, , 2010

      242. "다문화가정 한국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와 화병: 스트레스 대처양식, 분노 반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선희(Sunhee Kim), 김태훈 ( Tae Hoon Kim ), 김은하 ( Eunha Kim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40(3),99-121, , 2014

      243.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인과관계 모형 :아동의 기 질,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최형성, 정옥분,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 12(1),51-67, , 2005

      244. ‘행복한 어머니 되기’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차명정, 박성현, 함경애, 천성문, 재활 심리연구,19(3),487-506, , 2012

      245. 만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과 아버지 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김근혜, 김혜순,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22(4), 111-129, , 2013

      246.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방한별, 김양희, 박정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한국가족 자원경영학회지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12(4):103-116, , 2008

      247. 유치원의 아버지 참여프로그램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역할수 행 및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양진화, 아동학회지,30(6),417~442, , 2009

      248.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소득수준에 따른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의 차이:저소득 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김경하,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13

      249. 부모기 전이에 남편의 양육참여와 부인의 결혼만족도간 관계 -자기효능감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진경 ( Jin Kyung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2(1),1-17, , 2014

      250.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아버지의 만족감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9세 전후 자녀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 조선화, 한국놀이치료학회지, 4(2),41-58, , 2001

      25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 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양육태도와 우울의 종단매개효과, 연은모, 윤해옥, 최효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 학논집,19(3),119-142, , 2015

      252. 남편의 양육참여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을 매개로 취업모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정주영,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7(1), 106-126, , 2013

      253.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와 사회적지원이 후속출 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매개를 중심으로, 양소영, 성지현, 김종훈, 아동학 회지,34(1),87-102, , 2013

      254.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심리특성이 어머니 양육스트 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효과로), 최항준, 조수경,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 술학회논문지,16(12),8157-8164, , 2015

      255.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 도에 미치는 영향: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를 대상 으로, 박희진, 문혁준,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 지원학회지,8(2),121-137, , 2012

      256.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양육 태도의 매개적 역할을 고려하여, 정수진, 최정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소아 청소년정신의학,19(2),120-127, , 2008

      257. “빈곤층 여성 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 원 연구 : 영적 안녕감, 가족자원의 조절 효과검증”, 김유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258. 아버지의 양육수행,양육스트레스 및 양육지식이 부모효 능감에 미치는 영향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김선애, 한유진, 한국생활과학회, 한 국생활과학회지,18(1),417-442, , 2009

      259. 가족환경 변인이 아버지의 만족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 는 영향 -청소년 초기 (9세 -15세 )의 자녀를 둔 아버지를 중심으 로 -, 조선화, 김광웅, 청소년복지연구,1(2),79-99, , 1999

      260. 어머니의 장애인식,양육태도 및 자아존중감이 주의력결 핍 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미경, 양숙미,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정서-학습장애연구,21(4),163-188, , 2005

      261.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임신,출산 정서와부모됨의 태도,양육스트레스가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이대균, 임현주, 최항준,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32(3),225-244, , 2012

      262. 어머니의 양육행동,영아의 사회 정서행동,아버 지의 양육참여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을 중심으로, 최선녀, 최항준, 임현주, 한국영유아보육학,제76집,49-72, , 2013

      263. 아버지의 역할 지각과 심리적 특성 요인에 관한 연 구: 결혼만족도, 직업 만족도, 자아 존중감, 부친의 양육성 지각을 중 심으로, 윤혜진, 허영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 국영유아보육학,19,333-347, , 1999

      264.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증상,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신연희, 최성열, 정현희, 아동교육,19(3),143-158, , 2010

      265. 주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방임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숙영, 홍순혜, 한국아동복지학,28,137-169, , 2009

      266. 한국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예측 변인 :사회인구학적 특 성,영아 특성,어머니의 심리적 특성,부부관련 특성,사회적 지지를 중 심으로, 엄지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267.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잠재성장모형을 통한 패널 데이터 분석을 중심 으로, 김춘경, 제5회 한국아동패널 학술대회,313-330, , 2014

      268.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족건강성,자아존중감 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 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 이복희,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4),57-74, ,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