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emotional leadership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response-based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09075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2016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5.1 판사항(6)

      • DDC

        372.2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ix, 219 p.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미숙
        권말부록: 유아 대인관계 형성능력 척도 등
        참고문헌: p. 141-15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란 문학작품과 유아의 교류를 통해 형성된 다양한 반응을 존중하는 반응중심 접근법을 활용해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공감하며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는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1-3.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유아의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으로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단계를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평가 방법을 계획한 후,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에 대한 검토 및 수정ㆍ보완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2]에서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관계능력, 정서지능,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U유치원과 H유치원 만 5세 2학급(실험집단: 21명, 비교집단: 21명) 유아 42명이다. 연구도구는 김성민(2009)이 개발한 교사용「유아 대인관계 형성능력 척도」와, 이병래(1997)가 개발한 교사용「유아 정서지능 검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유아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5년 10월 5일부터 11월 27일까지 8주 동안 총 24회로, 실험집단에서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리더십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반응을 인지하고 존중하며 감성역량 및 주도적 대인관계능력 증진을 통해 미래사회의 영향력 있는 감성리더십을 갖춘 인재를 기른다’로 선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로서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한다’, ‘타인의 반응을 이해하고 공감한다’, ‘원만한 대인관계능력을 증진한다’, ‘정서능력을 증진한다’, ‘또래 유능성을 증진한다’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자기감정 이해 및 조절(자기인식, 감정표현, 자기관리), 타인감정인식 및 공감(타인이해, 공감하기, 타인존중), 대인관계능력(관계형성, 상호작용, 공동체의식), 문제해결능력(협력하기, 의사소통, 문제해결), 비전제안 및 지원(비전제시, 격려하기, 성장지원)으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단계, 교사의 역할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원리는 ‘경험의 원리’, ‘흥미의 원리’, ‘반응존중의 원리’, ‘감정교류의 원리’, ‘관계관리 능력의 원리’를, 교수-학습 전략으로는 ‘감성 확인하기’, ‘반응 표출하기’, ‘긍정적 교류 형성하기’, ‘협력하기’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원리와 전략을 토대로 도입, 전개, 마무리의 교수-학습 단계를 구성하였다. 도입에서는 문학작품 감상하기, 전개는 반응 공유하기, 리더십 요소 찾아내기, 리더십 요소 명료화하기, 리더십 요소 심화하기, 마무리는 정리하기로 구성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계획자 및 실천자, 동기 유발자, 상호작용자, 환경준비자, 평가자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교사평가와 유아평가로 구성하였다.
      둘째,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은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리더십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대인관계능력, 정서지능, 또래 유능성을 검사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대인관계능력은 하위영역인 지시 따르기, 긍정적 상호작용, 사회적 반응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형성하기에서는 사후 검사 점수가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정서지능은 전체 정서지능 및 하위영역인 자기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 유능성은 전체 또래 유능성 및 하위영역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고 존중하는 가치관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대인관계능력과 또래 유능성 발달을 도모하고 소통을 위한 감성의 올바른 이해를 통해 미래사회의 경쟁력 있는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어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가 연계성 있게 구성되었다. 또한 유아의 대인관계능력과 정서지능, 또래 유능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란 문학작품과 유아의 교류를 통해 형성된 다양한 반응을 존중하는 반응중심 접근법을 활용해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

      (국문초록)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란 문학작품과 유아의 교류를 통해 형성된 다양한 반응을 존중하는 반응중심 접근법을 활용해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공감하며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는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1-3.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유아의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으로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단계를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평가 방법을 계획한 후,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에 대한 검토 및 수정ㆍ보완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2]에서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관계능력, 정서지능,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U유치원과 H유치원 만 5세 2학급(실험집단: 21명, 비교집단: 21명) 유아 42명이다. 연구도구는 김성민(2009)이 개발한 교사용「유아 대인관계 형성능력 척도」와, 이병래(1997)가 개발한 교사용「유아 정서지능 검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유아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5년 10월 5일부터 11월 27일까지 8주 동안 총 24회로, 실험집단에서는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리더십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반응을 인지하고 존중하며 감성역량 및 주도적 대인관계능력 증진을 통해 미래사회의 영향력 있는 감성리더십을 갖춘 인재를 기른다’로 선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로서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한다’, ‘타인의 반응을 이해하고 공감한다’, ‘원만한 대인관계능력을 증진한다’, ‘정서능력을 증진한다’, ‘또래 유능성을 증진한다’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자기감정 이해 및 조절(자기인식, 감정표현, 자기관리), 타인감정인식 및 공감(타인이해, 공감하기, 타인존중), 대인관계능력(관계형성, 상호작용, 공동체의식), 문제해결능력(협력하기, 의사소통, 문제해결), 비전제안 및 지원(비전제시, 격려하기, 성장지원)으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단계, 교사의 역할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원리는 ‘경험의 원리’, ‘흥미의 원리’, ‘반응존중의 원리’, ‘감정교류의 원리’, ‘관계관리 능력의 원리’를, 교수-학습 전략으로는 ‘감성 확인하기’, ‘반응 표출하기’, ‘긍정적 교류 형성하기’, ‘협력하기’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원리와 전략을 토대로 도입, 전개, 마무리의 교수-학습 단계를 구성하였다. 도입에서는 문학작품 감상하기, 전개는 반응 공유하기, 리더십 요소 찾아내기, 리더십 요소 명료화하기, 리더십 요소 심화하기, 마무리는 정리하기로 구성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계획자 및 실천자, 동기 유발자, 상호작용자, 환경준비자, 평가자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교사평가와 유아평가로 구성하였다.
      둘째,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은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리더십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대인관계능력, 정서지능, 또래 유능성을 검사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대인관계능력은 하위영역인 지시 따르기, 긍정적 상호작용, 사회적 반응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형성하기에서는 사후 검사 점수가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정서지능은 전체 정서지능 및 하위영역인 자기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 유능성은 전체 또래 유능성 및 하위영역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고 존중하는 가치관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대인관계능력과 또래 유능성 발달을 도모하고 소통을 위한 감성의 올바른 이해를 통해 미래사회의 경쟁력 있는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어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가 연계성 있게 구성되었다. 또한 유아의 대인관계능력과 정서지능, 또래 유능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ⅵ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9
      • 국문초록 ⅵ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9
      • 3. 용어의 정의 10
      • Ⅱ. 이론적 배경 12
      • 1. 유아 감성리더십 12
      • 가. 유아 감성리더십의 개념 및 중요성 12
      • 나. 유아 감성리더십의 내용 및 내용요소 17
      • 다. 유아 감성리더십의 교수-학습 방법 21
      • 2. 반응중심 접근법 23
      • 가. 반응중심 접근법의 개념 및 중요성 23
      • 나. 반응중심 접근법의 교수-학습 방법 26
      • 다. 반응중심 접근법과 유아 감성리더십의 관계 28
      • 3. 대인관계능력 30
      • 가. 대인관계능력의 개념 및 중요성 30
      • 나. 대인관계능력의 구성요소 32
      • 다. 유아 감성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33
      • 4. 정서지능 35
      • 가. 정서지능의 개념 및 중요성 35
      • 나. 정서지능의 구성요소 36
      • 다. 유아 감성리더십과 정서지능의 관계 38
      • 5. 또래 유능성 40
      • 가. 또래 유능성의 개념 및 중요성 40
      • 나. 또래 유능성의 구성요소 41
      • 다. 유아 감성리더십과 또래 유능성의 관계 43
      • Ⅲ.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45
      • 1.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절차 45
      • 2.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시안 개발 47
      • 가. 목적 및 목표 47
      • 나. 교육내용 54
      • 다. 교수-학습 방법 65
      • 라. 평가 91
      • 3.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최종안 96
      • 가. 프로그램 타당도 검증 96
      • 나. 프로그램 최종안 96
      • Ⅳ.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98
      • 1. 연구방법 100
      • 가. 연구대상 100
      • 나. 연구도구 100
      • 다. 연구절차 104
      • 라. 자료분석 115
      • 2. 결과 및 해석 116
      • 가.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대인관계능력에
      • 미치는 효과 116
      • 나.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정서지능에
      • 미치는 효과 118
      • 다.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또래 유능성에
      • 미치는 효과 120
      • Ⅴ. 논의 및 제언 123
      • 1. 논의 및 결론 123
      • 2. 제언 140
      • 참고문헌 141
      • Abstract 155
      • 부록 16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아문학교육, 송정원, 이현정, 이대균, 백경순, 서울: 공동체, , 2006

      2. 유아문학교육, 서정숙, 창지사, 서울: 창지사, , 2010

      3. 리더쉽 (김남현 역), Northouse, P. G., 서울: 경문사, , 2007

      4. 정서 지능 개념의 성립, 이병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95-214, , 1997

      5. 감성의 리더십 (장석훈 역), Goleman, D., Mckee, A., Boyatzis, R., 서울: 청림출판사, , 2003

      6. 리더와 리더쉽 (김원식 역), Nanus, B., Bennis, W., 서울: 황금부엉이, , 2005

      7.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연구, 경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993

      8. 반응중심의 문학 독서방법 고찰, 송국섭,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9. 유아 감성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김영옥, 생태유아교육연구, 9(4), 187-212, , 2010

      10. 유아 리더십교육의 이론과 실제, 강은진, 김보정, 정남미, 연혜, 김금희, 박성희, 최유경, 전영순, 유연일, 김성숙, 이소희, 박혜숙, 창지사, 서울: 창지사, , 2009

      1. 유아문학교육, 송정원, 이현정, 이대균, 백경순, 서울: 공동체, , 2006

      2. 유아문학교육, 서정숙, 창지사, 서울: 창지사, , 2010

      3. 리더쉽 (김남현 역), Northouse, P. G., 서울: 경문사, , 2007

      4. 정서 지능 개념의 성립, 이병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95-214, , 1997

      5. 감성의 리더십 (장석훈 역), Goleman, D., Mckee, A., Boyatzis, R., 서울: 청림출판사, , 2003

      6. 리더와 리더쉽 (김원식 역), Nanus, B., Bennis, W., 서울: 황금부엉이, , 2005

      7.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연구, 경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993

      8. 반응중심의 문학 독서방법 고찰, 송국섭,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9. 유아 감성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김영옥, 생태유아교육연구, 9(4), 187-212, , 2010

      10. 유아 리더십교육의 이론과 실제, 강은진, 김보정, 정남미, 연혜, 김금희, 박성희, 최유경, 전영순, 유연일, 김성숙, 이소희, 박혜숙, 창지사, 서울: 창지사, , 2009

      11. 유아를 위한 감성교육 프로그램, 박찬옥, 황의명, 서울: 창지사, , 1999

      12. 유아 리더십 유형화에 관한 연구, 박연경,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13. 유아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허태근 ( Tae Geun Hur ), 한국경영공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145-165, , 2015

      14.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이석열(Lee, Suk-Yeol),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회지, 24(3), 51-77, , 2006

      15. 유아 창의적 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유경훈, 이경화,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22(2), 135-161, , 2010

      16. 독서문화운동본부 한우리 추천 도서, 한우리, www. hanuribook.or.kr, , 2015

      17. 반응중심 문학론의 시 교육 적용 연구, 류시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 1998

      18. 교사평정용 유아리더십 측정 도구개발, 황윤세, 장영숙,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9(4), 5-22, , 2009

      19. 아동의 대인문제해결사고에 관한 연구, 박찬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과정 전공,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 1986

      20. 효과적인 대인관계 노하우 프로그램집, 유영분, 서봉연, 강길례, 한국가이던스, 서울: 한 국가이던스, , 2001

      21.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황윤세,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2), 115-129, , 2010

      22.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곽윤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 2004

      23. 유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찬옥, 노영희, 이원영, 한국유아교육학회, 서울: 한국어린이육영회, , 1993

      24. 한국판 대인관계 문제 척도(K-IIP)의 개발, 권석만, 김정욱, 정남운, 한국심리학회,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53-175, , 2000

      25. 유아 창의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경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 2013

      26.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연구, 강현주, 광주대학교,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27.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김경석 역), Covey, S. R., 서울: 김영사, , 2003

      28.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성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9

      29.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명숙,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30.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 척도 개발, 권정해 ( Jeong Hae Kwon ), 김판희 ( Pan H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3(1), 79-102, , 2014

      31. 유아리더십에 대한 국내 학위논문 연구동향, 이병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423-451, , 2015

      32.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간의 구조 분석, 최기영, 우수경,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 2002

      33. R-E. 유아교사의 리더십(정수경, 김경철 공역), Sullivan, D., 파주: 정민사, , 2007

      34. 유아 서번트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최남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 2005

      35. 유아의 정서조절과 도덕성 및 리더십의 관계, 신지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36. 2, 4세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과 가상 이해 능력, 이순형, 민미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 회지, 25(6), 337-354, , 2004

      37. 반응 중심 문학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노영문,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38. 유아를 대상으로 한 반응중심 동화수업의 효과, 류혜원, 계명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 2007

      39. 유아의 리더십과 자아존중 및 정서지능의 관계, 정지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40. 유아 감성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최선희, 목포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 2013

      41. 인지,창의,리더십 계발을 위한 글로벌리더 모형, 이경화(Lee Kyung Hwa), 한국영재교육학회, 영재와 영재교육, 8(3). 23-41, , 2009

      42.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강유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43.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연구, 이혜원, 한국유아교육학회, 덕성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5

      44.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민선,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45. 유아 대인관계 리더십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은진,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46.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은해(Un Hai Rhee), 박주희(Ju Hee Park), 대한가정학회, 대 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 2001

      47. 서번트 리더십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경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48. 4세 유아를 위한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구성 및 효과, 박정란,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49. 반응 중심 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미술 감상 지도 방안, 장은하,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남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50.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감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명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51.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서윤희, 조부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219-247, , 2012

      52.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학습의 관계, 이미라, 충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53. 유아를 위한 사회 정서 지도 (박경자, 김송이, 권연희 공역), Kostelnik, M., Whiren, A., Gregory, K., Soderman, A., Stein, L., 서울: 교문사, , 2005

      54.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에서 나타난 아동의 문학 능력 분석, 임주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55. 인형극활동이 유아 리더십 및 감성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김은희, 한양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56. 감성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오은숙, 광주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57.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조절능력 및 대인관계형성능력의 관계, 김민영, 원광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5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조직몰입과의 관계 연구, 김철구(Kim Cheol-goo), 강경석(Kang Kyung-seok),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5(4), 1-24, , 2007

      59. 유아의 정서성과 정서조절전략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배윤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 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60. 반응 중심 문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선화, 성 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61. 유아의 사고방식으로서의 셀프 리더십 요인 분석 및 수업활동, 조희정, 이명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241-261, , 2006

      62.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白奘昊, 동신대학교 대학원,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63.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미숙, 박은영, 한국유아교육학회,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64.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양송, 창 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65. 유아 리더십과 사회적 능력, 기질 및 어머니 양육태 도간의 관계, 이찬숙, 이채호,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89-303, , 2009

      66. 반응중심 문학학습이 아동의 문학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경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67. 부모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리더십에 미 치는 영향, 최미숙, 김진영, 한국영유아보육학, 87(1), 263-280, , 2014

      68. 유아 서번트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이 유아 인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김문자, 한국복지실천학회,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69. 유아의 대인관계 형성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구조분 석, 김성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9

      70.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 향, 유선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71. “감성 리더십과 직무태도 간 관계에서 적합성의 조절효 과 분석,”, 고부섭, 호 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6

      72.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낙흥 ( Kim Nak-heung ), 김은실 ( Kim Eun-sil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73.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 과, 박서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74. 실외 전래놀이 활동이 방과후 과정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송주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75. 유아의 실행기능, 자아존중감,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 는 영향, 김보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76. 그림책을 활용한 리더십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정남미,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 8(4), 113-136, , 2012

      77. 애착이론에 근거한 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 과연구, 장석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78. 유아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조망수용능력과 주장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상희, 이순복, 생태유아교육연구, 11(3), 151-177, , 2012

      79. 유아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 정유정(Jeong Yujeong), 김규수(Kim Kyus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283-301, , 2009

      80. 유아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서번트리더십 프로그램개발과 효과성 연구, 송연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81. 반응중심 문학활동이 유아의 정서표현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 치는 영향, 김기정,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82.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 유아 내적 표상의 매개 효과 검증, 정지나, 한국아동학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83.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미숙 ( Mi Sook Choi ), 송순옥 ( Soon Ock S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84. 글로벌 리더 프로그램이 5세 유아의 인지∙창의∙리더십 향상에 미 치는 효과, 유승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85.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 송순옥 ( Soon Ock Song ), 최미숙 ( Mi Sook Choi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313-332, , 2014

      86.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 직무만족 및 헌신에 미치는 영향, 신명신, 고현,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249-268, , 2014

      87. 유아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기술 에 미치는 영향, 김경숙,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88. 동시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음운인식능 력에 미치는 효과, 이보람,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89.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 래관계 관리전략, 박주희, 한국아동학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1

      90.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이 수간호사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몰입, 직무 만족에 미치는 효과, 박희자, 경상대학교 대학원,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91.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 인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김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92.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 또래 유능성, 자기조절능력이 유 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카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93. 동시를 활용한 음운인식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능력 및 읽기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94.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사회적 지지, 의 사결정력간의 구조적 관계, 임경임,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95.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정서조절전략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인지능력의 영향력, 최미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6(1), 235-253, , 2012

      96. 동요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능력 및 이야기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양성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97.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실천적 연구. -문학 교과서 ‘문학의 수용과 생산’단원을 중심으로-, 박경숙,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98.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형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김선영, 최혜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323-346, , 2015

      99. 그림책을 통한 감성교육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문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100. 감성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은정,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101. 심미적 탐색을 통한 그림책 일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그리기 표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 홍혜경, 현은순,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159-183, , 2009

      102. 보육교사가 인식한 시설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문성 인식 간의 관련성 분석, 김정주 ( Jeong Ju Kim ), 박형신 ( Hyoung Shin Park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3), 437-135, , 2011

      103. 토의활동에 기초한 유아 화법교육이 유아의 대인 문제해결능력과 또래 상호작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104.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이야기이해력, 자 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여경,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12

      105.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 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재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 2014

      106. 반응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수업이 학습자의 공감능 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유주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2013

      107. 교사가 인식한 유치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직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변혁적, 감성적, 거래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이명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108. 스토리텔링 전략에 기반한 감성리더십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H보험사 세일즈 매니저를 중심으로, 김연운,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