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소정원,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반재혁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1

        Ectopic eruption is caused by an abnormal direction of eruptive path, most common in maxillary first molar, mandibular lateral incisor, and maxillary canine, and sometimes mandibular first molar. Ectopic eruption of first molar leads to abnormal root resorption of second deciduous molar, which, if left untreated, could cause premature loss of second deciduous molar; mesial tilting and rotation of first permanent molar; lack of space for eruption of second premolar; and occlusal problems. Therefore early treatment is advised when diagnosed as ectopic eruption. Treatment of ectopic eruption in the first permanent molar involves providing proper guidance for the direction of eruption using interproximal wedging and distal tipping methods while preserving second deciduous molar. This case report shows satisfactory results of the ectopic erup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s in young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Humphrey appliance and Halterman appliance. 이소맹출은 치아가 비정상적인 위치로 맹출하는 경우를 말하며, 주로 상악 제1대구치, 하악 측절치, 상악 견치에서 발생하며 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흔히 제2유구치의 비정상적인 치근흡수를 야기하며, 이를 방치하게 되면 제2유구치의 조기상실, 제1대구치의 근심경사 및 회전, 제2소구치의 맹출 공간 부족 및 교합문제 등을 야기하게 되므로 이소맹출로 진단될 경우 조기 치료가 추천된다. 이소맹출은 대개 통상적인 방사선검사를 통해 발견되나, 간혹 제2유구치의 치근흡수가 심할 경우 치수가 감염되어 동통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소맹출의 치료는 제2유구치를 보존하면서 제1대구치의 맹출 방향을 바로 잡아 주는 것으로 크게 치간이개(interproximal wedging)와 원심경사이동(distal tipping)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한다. 본 증례들은 하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을 보이는 환아들로, Humphrey appliance와 Halterman appliance를 이용하여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법으로 본 유치열의 우식패턴

        정승열,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terns of caries in the dentition of preschool children using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815 preschool children aged 36-71 months old were examined for caries experience. The first four clusters in the cluster analysis were (1) molars, (2) upper incisors, (3) lower 1st molars, and (4) upper 1st molars in teeth, (1) occlusal surfaces of lower molars and upper 2nd molars, (2) mesial surfaces of upper central incisors, (3) occlusal surfaces of lower 1st molars, and (4) separation between occlusal surfaces of upper and lower 2nd molars in tooth surfaces, and (1) proximal surfaces of upper anterior teeth, (2) occlusal surfaces of lower molars, (3) buccolingual surfaces of upper anterior teeth and (4) buccolingual, proximal, and occlusal surfaces of upper molars and buccolingual and proximal surfaces of lower molars in tooth surfaces groups. In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teeth could be divided into lower 1st molars, upper 1st molars, upper central incisors, upper lateral incisors, lower 2nd molars, upper 2nd molars, and the rest(canines, lower incisors), tooth surfaces could be divided into occlusal surfaces of lower molars, mesial surfaces of upper central incisors, occlusal surfaces of upper molars, and the rest, and tooth surface groups could be divided into proximal surfaces of upper anterior teeth, buccolingual surfaces of upper anteiror teeth, occlusal surfaces of lower molars, and the rest in the order of the distance from others. In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caries pattern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유치열에 존재하는 우식패턴을 연구하기 위하여 유치열을 가진 유아들을 대상으로 치면별 우식경험도 조사를 실시하고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367H 월 이상 71 개 월 이하의 어린이 815명 이 었다. 군집분석에서 먼저 분리된 네 개의 군집은, 유치는 (l) 유구치, (2) 상악 유절치, (3) 하악 제1유구치, (4) 상악 제1유구치, 유치면은 (1) 하악 유구치 교합면과 상악 제 2유구치 교합면, (2) 상악 유중절치 근심면, (3) 하악 제1유구치 교합면, (4) 상하악 제2유구치 교합면의 분리, 유치면군은 (l) 상악 유전치 인접면, (2) 하악 유구치 교합면, (3) 상악 유전치 협설면, (4) 상악 유구치 협설면, 인접면, 교합면 및 하악 유구치 협설면과 인접면이었다. 다차원척도분석에서 상호간에 가장 멀리 떨어진 순서로 보았을 때, 유치는 하악 제 1유구치 , 상악 제 1유구치 , 상악 유중절치, 상악 유측절치, 하악 제 2유구치, 상악 제 2유구치, 기타 유치(유견치, 하악 유절치)로 나눌 수 있었고, 유치면은 하악 유구치 교합면, 상악 유중절치 근심면, 상악 유구치 교합면, 기타 유치면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유치면군은 상악 유전치 인접면, 상악 유전치 협설면, 하악 유구치 교합면, 기타 유치면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 KCI등재

        어린이의 치과치료시 약물에 의한 진정요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안소연,최병재,곽지윤,강정완,이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진정요법은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보상, 속박, 체계적 탈감작법(말-시범-시행), 친밀감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는 환자의 반응이 개선되지 않아 일반적인 치과치료가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행동조절법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진정요법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기준이나 방법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미국소아치과학회의 진정요법에 관한 기준이 있기는 하지만 국내의 상황이 미국과 다르므로 한국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소아치과에서의 진정요법 현황에 대한 실태를 조사, 그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소아치과 임상에서의 진정요법에 대한 임상 기준을 정하는데 기여하고자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573명을 대상으로 진정요법 사용 실태에 관한 설문지를 발송하여 이 중 회신을 한 220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약 66%가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진정요법에 관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내 소아치과에서 진정요법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2. 진정요법으로 치료를 결정 하게 된 요인은 행동조절, 치료내용과 양, 보호자의 요구, 내원횟수, 전신질환의 순서이었다. 3. 진정요법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연령은 만 3세가 가장 많았고, 만 4-5세, 만 2세 미만, 만 6-10세, 만 10세 이상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4. 진정요법 시 chloral hydrate는 60-70mg/kg, hydroxyzine은 10-40mg/kg(25mg/kg)을 사용하고 있었고, 경구 투여가 가장 선호하는 약물투여 경로였다. 5.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환자감시 방법은 피부나 손톱색 둥의 관찰을 포함한 환자 평가와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통한 환자감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약 56%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Sometimes the dentists encounter a child who can not be treated with traditiona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for example, reward, restraint, Tell-Show-Do, familialization). In such a case, the dentists use sedation technique. Recently, in Korea, the use of sedation by pediatric dentists is increased. But, the guideline and survey of sedation is very insufficient. Now, we need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 in Korea. We carried ou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bout sedation with a questionaire to pediatric dentists in Korea.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1. Sixty six percent of pediatric dentists use sedative agents in their practice. In this study, using sedation shows an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past. 2. Determinative factors of using sedation were orderly behavior management, number of visiting, guidian's opinion, amount of treatment, general condition. 3. Distribution of ages in patients sedated with agents was orderly 3 years, 4-5 years, under 2 years, 6-10 years, more than 10 years. 4. Particular sedative drugs were chloral hydrate 60-70mg/kg, hydroxyzine 10-40mg/kg(25mg/kg), and oral route was the most favorable route. 5. Observation of skin and nail color, pulse oximeter were the most frequently utillized monitoring method during sedation. 6. Only fifty six percent of pediatric dentists comple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rse.

      • KCI등재

        ProTaper의 세가지 사용방식에 따른 성형능역 비교

        김소연,박정길,허복,김현철 大韓齒科保存學會 2005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만곡이 삼한 근관에서 ProTaper(R)를 수동으로 사용하는 방법, 엔진 구동으로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치관부는 엔진 구동으로 치근단부는 수동으로 사용하는 세 가지 방법의 근관 성형 능력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근관 길이가 170mm이고 근관 입구에서 10mm 떨어진 부위에서 만곡이 시작되며 평균 40도의 단일 만곡을 가지는 투명한 레진 블락 30개를 사용하였다. 각 군당 10개의 레진 블락을 사용하였으며, 수동형 ProTaper(R)로 전체근관을 성형한 군형 M군, 엔진 구동형 ProTaper(R)로 전체근관을 성형한 군을 R군, 근단부는 수동형 ProTaper(R)를, 치관부는 엔진 구동형 ProTaper(R)를 사용하여 성형한 군을 H군으로 하였다. 각각의 블락을 성형하고 각 군별 근관 성형시간을 기록하였다. 근관 성형전과 후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근단공으로부터의 수직 이동 거리 1, 2, 3, 4, 5 그리고 6 mm 위치에서 수평선을 긋고 총 근관폭경, 근관 만곡 내외측 삭제량, 근관의 변위, 중심 이동률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근관 성형시간은 R군, H군, M군 순으로 짧았고, 세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2. R군이 전체적으로 삭제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1, 3 mm를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었다(p > 0.05). 3. 만곡내측 삭제량에 있어서는 1 mm 지점에서는 R군이, 6 mm 지점에서는 H군이 컸지만 (p < 0.05), 나머지 지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만곡외측 삭제량은 1 mm 지점에서만 R군이 컸다 (p > 0.05). 4. H군, R군은 1, 2, 3 mm 지점, M군은 1, 2 mm 지점에서 만곡외측으로의 변위를 보였고, 그 외의 지점에서는 내측변위를 보였다. 각 군 간의 변위차이는 6 mm 지점에서 H군이 컸다(p < 0.05). 5. 근관의 중심 이동률은 6 mm 지점에서 H군이 R군에 비해 유의하게 컸지만 다른 모든 위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 < 0.05). 본 실험결과를 토대로 할 때, 각 평가 항목에서 측정 위치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었으나, 중심 이동률은 대부분의 위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만곡 근관을 성형시에는 세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이 더 유용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aping ability of the three ProTaper instrumentation techniques in simulated canals. Thirty resin block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10 canals each. Each group was instrumented with manual ProTaper (Group M), rotary ProTaper (Group R), and hybrid technique (Group H). Canal preparation time was recorded. The images of pre- and post-instrumented root canals were scanned and superimposed. The amounts of canal deviation, total canal width, inner canal width, outer canal width and centering ratio were measured at apical 1, 2, 3, 4, 5 and 6 mm levels. 1. Canal preparation time was the shortest in R group (p <0.05). 2. The amounts of total canal width in R group was generally larger than the other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except at the 1, 3 mm levels (p ) 0.05). 3. The amounts of inner canal width in R group was larger than M group at the 1 mm level and H group was larger than R group at the 6 mm level (p < 0.05). The amounts of outer canal width in R group was larger than H group only at the 1 mm level (p <0.05). 4. The direction of canal deviation in H, R group at the 1, 2, 3 mm levels was outward and that in M group at the I, 2 mm levels was inward. The amounts of canal deviation in H group was larger than R group at the 6 mm level (p <0.05). 5. The amounts of centering ratio in H group was larger than R group at the 6 mm level (p <0.05).

      • KCI등재

        상악 유전치부의 치간공간과 인접면 우식에 관한 조사연구

        김진영,이광희,라지영,안소연,정승열,임경욱,반재혁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3

        본 연구는 상악 유전치부의 치간공간과 인접면 우식의 상관관계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익산에 거주하는 만3-7세의 어린이 55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탐침이 통과하는지 여부로 치간공간이 있음과 없음으로 분류하였고 와동이 형성되었거나 법랑질 표면이 연화되었을 경우 인접면 우식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 유전치부의 치간공간은 영장류 공간이 77.4%, 발육공간이 유측절치와 유중절치 사이에서 54.4%, 양유중절치 사이에서 39.0%로 나타났다. 2. 인접면 우식발생율은 우측유견치가 6.3%, 우측유측절치가 14.7%, 우측유중절치가 33.5%, 좌측유중절치가 33.7%, 좌측유측절치가 16.0%, 좌측유견치가 4.7%로 나타났다. 3. 치간공간의 수가 많을수록 상악 유전치의 우식발생율은 낮아졌으나 그 상관관계(r=0.024)는 미약하였다. 4. 상악 유전치부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존재할 때 보다 평균 우식발생율이 높았으며, 치간공간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한 곳이라도 치간공간이 존재하는 경우보다 평균 우식발생율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ntal spaces and proximal caries in maxillary anterior primary teeth. 555 children aged 3-7 inhabit in Iksa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interdental space which was detected by a dental explorer. They were determined to have proximal caries if cavity was formed or the enamel surface was softe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Regarding interdental spaces, 77.4% had primate spaces; 54.4% had developmental spaces between central and lateral incisor, and 39.0% between central incisors. 2. Interproximal caries incidences in right primary canine, lateral incisor, and central incisor were 6.3%, 14.7%, and 33.5%, respectively. Also interproximal caries incidences in left primary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and canine were 33.7%, 16.0%, and 4.7%, respectively. 3. Children with more interdental spaces had less caries incidence, but the relationship was weak(r=-0.024). 4. The mean caries incidence was higher in absence of interdental space of maxillary primary incisors than in presence of space. The mean caries incidence with no interdental space was twice as high as that with presence of interdental space.

      • SCOPUSKCI등재
      • SCISCIE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