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만삭 신생아 경련의 추적 관찰: 신경발달 예후 관련인자

        임수정,전자경,윤영아,문청준,김순주,이주영,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 대한신생아학회 2013 Neonatal medicine Vol.20 No.1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the major neurodevelopmental sequelae of the full-term neonatal seizures,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oor neurodevelopmental outcome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full-term newborns who had clinical and/or electrographic seizur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t. Mary’s Hospital between June 1994 to July 2007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neurological outcome, various factors were analyzed with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AS for Windows version 9.2). Result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seizures in full-term infants was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76.2%). The most common type of seizure was subtle (50.9%), followed by multifocal clonic (41.8%), and the seizure type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 prognosis. Moderate to major EEG abnormal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oor clinical outcome. Additional factors related to neurodevelopmental outcome were Apgar score at five minute, evidence of HIE on brain MRI, Sarnat stages of HIE, number of anticonvulsant drugs used for seizure control and duration for normalization of EEG abnormalities. Conclusion: The risk factors observed in this study may be helpful to predict the neurological outcomes in full-term neonates with seizur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만삭 신생아 경련의 신경발달 예후를 알아보고, 임상 양상과 뇌파 및 뇌영상 검사 소견 중 예후에관여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4년 6월부터 2007년 7월까지 가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만삭 신생아 경련 환자의 신경발달 예후를 후행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중증 신경발달 이상이 있는 군과 정상군으로 구분하여 신경발달 예후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만삭 신생아 경련의 원인 질환 중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 76.2%로 가장 흔하였다. 경련의 발생 시기는 생후 첫 24시간 이내와 2-3일에 각각 60.0%, 23.6%로 대부분이 생후 3일 이내에 발생하였으며, 이들 중 67.4%에서 신경발달 장애를 보여 생후 4일 이후에 발생한 경련보다 예후가 불량하였다. 비전형적 경련과 다국소 간대성 경련이 가장 흔히 보인 경련이었으며, 경련의 유형과 신경발달 예후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뇌파검사상 중등도 혹은 중증 이상을 보였던 증례는 뇌파가 정상 혹은 경증 이상을 보였던 증례에 비하여 신경발달 예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불량하였다. 기타 신경발달 예후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5분 아프가 점수,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저산소성허혈성 뇌증 소견의 유무, Sarnat 병기, 뇌파 검사의 중증도, 경련 조절에 사용된 항경련제의 수, 뇌파소견의 정상화에 소요된 기간 등이었다. 결론: 만삭 신생아 경련에서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 병변과 Sarnat병기, 항경련제에 대한 반응성, 뇌파이상의 중증도는 신경발달 장애의 위험인자로 예후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1950년대 잡지 창간호에 나타난 반공담론

        임수정,이혜은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0 No.-

        In 1950s temporary division of Korea became permanent following the Korean War,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an ideology of anti-communism to infuse anti-communist sentiments across social and cultural spectrum. With this historical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in 1950s magazines which were accessible media to a general audience. For this, the situation of publishing magazines in this period was examined, and copyright papers together with editorials of first issues of 380 magazines launched in 1950s were analyzed. Analysis shows that only 74 magazines contained “Our Oaths” fixed by the Publication Registration Law at that time and there are 13 magazines including anti-communism texts. It is confirmed that magazine publishers were reluctant to accommodate the requirement of the government on the anti-communism. The first reason is that there existed the freedom of press against pressure from the government at that time. Second, the government’s demand was not widely accepted by the public and the intellectual. In conclusion, it is understood that Korean government intended to heighten the anti-communist sentiment in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1950s, while anti-communism was far from public interest with the sprouting democracy in the society. 1950년대는 6․25 전쟁을 겪으며 분단이 고착화된 시기였고 이에 따라 정부는 반공이데올로기를 국시로 삼으며 사회․문화 전반에 반공의 기류를 형성하고 반공사상을 주입시키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일반 대중이 쉽게 접할 수 있었던 매체인 잡지에서의 반공담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50년대의 잡지 간행의 상황을 고찰하고 특히 1950년대 잡지의 창간호 380종을 대상으로 판권지와 창간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당시 출판등록법에 규정되어 있던 ‘우리의 맹세’가 수록된 잡지는 74종에 불과하였으며 창간사에서 반공과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잡지는 13종이었다. 이를 통하여 잡지도 기존 반공 관련 예술장르의 경향과 유사하게 반공에 대한 국가적 요구 수용에 있어서는 소극적이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원인으로는 첫째, 일반적인 통념과 다르게 당시 사회적 분위기는 정부의 압력에 항거할 수 있는 언론의 자유가 존재했고 둘째, 대중들과 지식인들의 호응을 얻어내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결과적으로 1950년대는 반공을 국시로 내세우며 반공문화를 형성하고자 하였지만 국내에는 이미 민주주의적 환경이 싹트고 있었고 대중들의 관심 역시 반공과는 거리가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사별을 경험한 성인의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과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 애도회피의 매개효과

        임수정,황희훈,김시형,이동훈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xiety/avoidance attachment) and prolonged grief (PG) is mediated by deliberate grief avoidance (GA). Participants in this study (1,200 adul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measuring demographic information, insecure attachment, GA, and PG. We only used data of 576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bereavement. The analysis procedure is as follow: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were conducted.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was verifi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r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fit indice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Finally, through the bootstrapping proces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anxiety attachment on GA and the effect of GA on P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as that GA mediated the link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PG.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사별 경험자를 대상으로 성인애착과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에서 애도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후, 사별 경험이 있는 576명의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정보와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 애도회피, 지속비애 증상을 측정하였다. 분석절차는 첫째, 기술 통계치 및 상관관계를 확인,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을 검증,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와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부스트트래핑 절차를 거쳐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불안애착이 애도회피에, 애도회피가 지속비애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 검증결과에서는 불안애착과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에서 애도회피의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이는 불안애착이 높아지면 애도회피를 하는 경향성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지속비애 증상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속비애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애도회피에 대한 개입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조선시대 궁중검무의 유형별 고찰(考察)

        임수정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5 No.2

        본 연구는 현행 각 지역 향제교방검무 형성에 영향을 끼친 조선시대 궁중검무의 유 형별 공연양상을 궁중연향을 기록한 각종 의궤(進宴儀軌,進饌儀軌,進爵儀軌 )와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등의 문헌사료를 중심으로 고찰(考察)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 각종 의궤와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 기록된 궁 중검무의 유형은 검기무(검무), 첨수무, 공막무로 나타나고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의궤의 악장의 기록을 통해 검기무와 공막무의 유래를 중국 진나라 말기 홍 문연의 잔치에서 벌어진 고사에서 인용하고 있고 첨수무는 속칭 엽무라 불리우던 춤 인데 영종조에 첨수무로 개칭되었음을 알 수 있다.또한 검기무는 여기(女妓)에 의해, 첨수무는 여기 및 무동(舞童)에 의해 공막무는 무동에 의해 2개의 검기(劍器)를 들 고 추는 춤으로 나타난다. 또한 다른 궁중정재와 달리 공연 시 창사(唱詞)를 부르지 않는 형태로 공연하였다. 둘째, 의궤의 공령에 기록된 궁중검무 복식과 권수도식의 정재도 및 복식도를 통하여 살펴본 궁중검무의 유형 중 검기무(검무)와 공막무의 복식은 전복(戰服)의 형태를 띠며 첨수무 역시 소매가 좁은 형태의 상의(狹袖)와 쾌자형태의 옷인 반비의(半臂 衣)와 전대를 띠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의궤에 나타난 공령의 기록(各差備)과 정재도 및 정재무도홀기의 기록을 통 해 살펴본 궁중검무는 유형별로 2, 4, 8명에 의해 두명씩 짝을 이루어 각각 검 두 개 를 들고 추어졌음이 나타난다. 넷째, 정재무도홀기의 기록에 나타난 궁중검무의 유형별 반주음악은 검기무와 공막무는 무령지곡을 연주하고 첨수무는 만천춘지곡을 반주음악으로 사용하고 연주시 모두 향당교주 방식으로 연주한다. 다섯째, 정재무도홀기의 기록에 나타난 춤의 진행방식에 있어 검기무는 춤을 추 기 전에 악사가 검기를 가져다 놓고 좌우로 나가면 춤이 시작되고, 첨수무와 공막무는 춤을 추다가 춤의 중간에 악사가 검기를 가져다 놓고 좌우로 나가는 형식을 띠고 있 다. 여섯째,정재무도홀기의 기록에 나타난 궁중검무의 유형중 검기무에 사용된 춤동 작은 무작(舞作), 상대무진 (相對舞進), 상대무퇴(相對舞退), 환립(換笠), 혹배혹 면이무(或背或面而舞), 상대궤무(相對跪舞), 농검(弄劍), 집검(執劍), 번표이농수 검무(翻飄而弄袖劍舞), 기립(起立), 무작(舞作), 각용재(各用才), 연귀소(鷰歸 巢), 연풍대(筵風擡), 무진(舞進), 무퇴(舞退) 등으로 다채롭게 나타나고 첨수무와 공막무는 동일한 춤사위로 구성되어 있고 검기무에 나타나지 않는 회선이무(回旋而 舞)의 춤동작이 나타나며 환립(換笠), 각용재(各用才) 등의 춤동작은 나타나지 않는 다.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aspects of performing each style of geommu(sword dance) performed at court in the Joseon dynasty, which influenced on taking shape of regional geommu performed at gyobang(office for training the entertaining women) in each province, around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Jeongjaemudoholgi(record for court dance) and several uigwes(record for royal banquet). The styles of geommu at court revealed in the above documents are named as geomgimu(geommu), cheomsumu and gongmakmu, and the summery of the investigation on them is as follows: Firstly, through the record of uigwe, the origin of the geomgimu and the gongmakmu is cited from an old story of the banquet at Hongmen in the late period of the Qin dynasty of China. And the cheomsumu, popularly called yeopmu, was renamed as it i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jong,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geomgimu was performed by yeoggi(entertaining women), the cheomsumu, by yeoggi and mudong(boy dancer), and the gongmakmu, by mudong, with two pieces of sword prop per person. They were also performed without changsa(a kind of narration or a song sung in Chinese before the dance), which was different from other kinds of court dance. Secondly, among the styles of geommu at court investigated through the uigwe's formal regulation on the costume of court geommu and its graphic records on the formation and the costume of court dance, both costumes of the geomgimu(geommu) and the gongmakmu carried the style of jeonbok(a kind of outer tunic) and also that of the cheomsumu, narrow-sleeved upper garment, banbiui(a kind of jeonbok) and jeondae(wide belt). Thirdly, from the regulation of uigwe and the record of Jeongjaemudoholgi, each geommu performed at court was danced by double numbered dancers such as two, four, and eight dancers according to the styles. And it is also found that they danced carrying two sword props, that is, one in each hand. Fourthly, the accompanying music to each style of court geommu found in the record of Jeongjaemudoholgi is as follows: the geomgimu and the gongmakmu were accompanied by muryeongjigok(sonorous music used for military exercises or the king's procession) and the cheomsumu, by mancheonchunjigok(a kind of hyangdanggyoju). And all of them were played in the way of hyangdanggyoju(playing Korean and Chinese musical instruments by turns). Fifthly, when it comes to the progression of dance revealed in the record of Jeonjaemudoholgi, the geomgimu began after musicians put the sword props on the dancing area and retreated to the right and left. On the other hand, the props of the cheomsumu and the gongmakmu were put in the middle of dance by musicians. Sixthly, among styles of geommu at court appeared in the record of Jeongaemudoholgi, the geomgimu has various dance movements named as follows: mujak; sangdaemujin; sangdaemutoe; whanlip; hokbaehokmyeonimu; sandaegwemu; nonggeom; jipgeom; beonpyoinongsugeommu; girip; mujak; gakyongjae; yeonguiso; yeonpungdae; mujin; mutoe etc. The cheomsumu and the gongmakmu have the same dance vocabularies and additional one such as hoeseonimu which is not appeared in the geomgimu. And the two excluded some vocabularies such as whanlip and gakyongjae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