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시점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통한 우리 전통춤의 특성 이해

        엄태영,박한훈,박종일,남상원,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2 No.1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 춤에 내포된 감정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춤을 무용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징량들을 추출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면, 좌, 우 세 시점에서 획득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인식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시스템에 의해 인식된 감정패턴과 변화의 정성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정립된 정성적 분석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정성적인 분석에만 국한되던 우리 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을 통한 이해의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춤의 특성을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한국 전통춤 가운데 우리 춤을 대표할 수 있는 춤사위를 선정하고, 정성적/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 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ethod has more reliable performance by using multiple cameras unlike the privious methods using a single camera. The other purpose of this thesis is extracting sequential emotional patterns of Korean dance using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proposing a criterion for spec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quant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is can concrete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depend only on the qualitative analysis. We expect that this thesis provides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Korean da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ome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 KCI등재

        ICA를 통한 우려 춤의 감정인식

        엄태영,박한훈,남상원,박종일,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8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4 No.1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 춤에 내포된 감정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 춤을 무용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정량들을 추출한다. 이러한 특정량을 분석하기 위한 기존의 PC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방법 보다는 조금 더 유용한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방법을 적용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 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 한다. 또한, 시스템에 의해 인식된 감정 패턴과 변화의 정성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정립된 정성적 분석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정성적인 분석에만 국한되던 우리 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을 통한 이해의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춤의 특성을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한국 전통춤 가운데 우리 춤을 대표할 수 있는 춤사위를 선정하고, 정성적 /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 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urthermore, the features are analysed by ICA(independent Coponent Analysis) more useful than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u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extracting sequential emotional patterns of Korean dance using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proposing a criterion for spec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quant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is can concrete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depend only on the qualitative analysis. We expect that this thesis provides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Korean da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ome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 KCI등재

        민족의 기원으로 본 한국춤 사상-단군 신화를 중심으로-

        백현순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2 No.1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신화로 비록 다른 민족의 신화와는 다르나 신화적 특징을 가진 특이한 신화이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기원인 「단군 신화」를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우리 민족의 사상적 원류를 탐색하고, 그 민족사상적 특성이 한국춤 속에서 어떠한 춤 철학을 구성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단군 신화」는 고조선 건국의 주역인 환웅이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와 결혼하여 국가를 만듦으로써 민족 중심의 주체적 의식이 신과 인간의 결합이라는 융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의식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단군 신화」에 관한 최초의 문헌인 삼국유사에 나타난 단군 신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단군 신화」의 사상을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와 국가를 세우는 이념으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할만하다’는 홍익인간사상과 인간세상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을 국가의 목적이자 각개인의 삶의 목표라고 보는 인간 중심주의인 휴머니즘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단군 신화」에서 우리 민족의 존재 근원인 천지인 합일사상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단군 신화」는 고조선의 역사적 사실과 신화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는데, 곰이 쑥과 마늘만 먹어 인간이 되어 결국 천신과 결혼하는 인간적 질서의 모태를 설명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존재상황에 기반을 둔 토테미즘을 느낄 수 있다. 넷째, 단군은 나라를 세워 인간세계를 다스렸는데 그의 역할이 바로 무당이자 통치자였다는 것을 통해 「단군 신화」 속에는 우리의 무교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단군 신화」에는 우리가 천자의 후손임을 알게 해 주고, 우리 민족에게 동질성을 심어 주어 미래의 희망적 삶을 살게 한 ‘한’사상이 들어 있다. 여섯째, 「단군 신화」에는 단군을 ‘환인제석’이라는 불교용어를 사용한 점과 후에 단군이 죽어 신선이 되었다는 도교적 요소의 사상, 그리고 가부장제의 유교적 사상 등 여러 가지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군 신화」의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춤 사상을 추론해 보면, 첫째, 한국춤 역시 홍익인간과 휴머니즘 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은 천신과 조상을 숭배하였는데, 그 숭배의식을 위해 춤을 추었다. 그리고 그 춤의 목적이 홍익인간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춤의 주체나 대상, 표현 등 모든 것이 다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휴머니즘 행위인 것이다. 둘째, 한국춤을 출 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무용수는 천지인의 공간 구조에서 삼재의 조화를 이루는 주체로, 한국춤에서의 천지인 합일은 「단군 신화」 속 우리 민족의 존재 근거와 함께 우주의 탄생에 관한 사유체계의 철학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한국춤에는 「단군 신화」에서 보이는 토테미즘 사상과 무속사상이 들어 있다. 넷째, 한국춤에서의 ‘한’은 ‘한사상’의 의미를 지니며 「단군 신화」에 나타나는 한사상은 유․불․선이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사상이다. 이를 한국춤과 연관하여 볼 때 이기(理氣)의 우주 전개 개념으로 음양의 원리에 의해 동작선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한’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교춤, 불교춤 등이 현재 추어지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한국춤 속에는 한사상을 포함하여 유교사상이나 불교사상 등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Dangun Myth>, as one of the Korean myths, has been believed to be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ythological feature different from the other ethnic myth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ideology in the Koreans by dint of <Dangun Myth> and the contribution of ideological properties to the philosophical construction of Korean dance. <Dangun Myth> is marked by the convergence of ethnicity-centered autonomous consciousness, God and human through the birth of a nation following the matrimony between Hwanwoong as main agent of founding of Kojoson and Woongnyeo as human transformed from a bear, which illustrates Korean characteristic of ethnic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ntent of <Dangun Myth> show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first literature on <Dangun Myth>, some ideas of <Dangun Myth> can be inferred. First of all, as a founding ideology,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are profoundly rooted. Then, oneness of heaven, earth and man is involved. Third, <Dangun Myth> has the blended feature of historical facts and mythological elements of Kojoson, showing the matrix of human order through the matrimony between human changed from a bear and heavenly god, which leads us to perceive totemism based on existential state of Korean people. Fourth, from the fact that Dangun, as a shaman and ruler, founded a nation and governed human world, Taoism is believed to be included. Fifth, in <Dangun Myth>, the thought exists that proves the Koreans are sons of heaven and gives us homogeneity, making us lead a better life in the future. Last but not least, seeing that Dangun is also named as Hwanin Jeseok, a Buddhist term, Dangun becomes an ascetic and patriarchy is widespread, the thought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is said to be inherent in <Dangun Myth>. From the <Dangun Myth> mentioned earlier, the ideas on Korean dance can be inferred. To begin with, it is discovered that Korean dance has also the thought of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The Koreans worship heavenly god and ancestors, dancing for worship ceremonies. The purpose of the dance is to benefit all the humans; the subject, object, and expression involved in the dance are an act of humanism. Second, Korean dance performer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could be defined as the subject creating harmony of the three disaster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heaven ,earth and human. The unity of heaven, earth, human in Korean dance displays basis existence of the Koreans and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inking system on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ird, Korean dance definitely has the idea of totemism and shamanism. Finally, 'sorrow' in Korean dance is meant by Han-ism, which forms inseparable relationship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Korean dance has been greatly affected by Han-ism in that the movement of Korean dance is determined by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confucian and Buddha dances are seen to be performed, Korean dance is believed to include H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우리 춤사위의 분석과 재구성에 기반한 다시점 영상으로부터의 감정인식

        엄태영,박한훈,박종일,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 No.1

        최근신체로부터 표현된 감정을 인식하려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지고 있다. 특히 춤은 인간의 감정을 극대화한 신체 움직임으로 감정인식을 위한 좋은 소재가 되어왔다.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감정)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의 감정을 분석하고 인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서양 춤의 분석과 감정인식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갔지만, 우리 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학술적으로도 가치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춤동작에서 감정을 인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 춤을 무용 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징량들을 추출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한다. 선행연구(서양 춤에 대한 연구)에서는 정면시점의 경우만을 이용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정면, 좌, 우 세시점에서 획득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ethod has more reliable performance by using multiple cameras unlike the privious methods using a single camera.

      • KCI등재

        韓國舞踊專攻子의 韓國的情緖認知에 따른 살풀이춤 學習態度分析

        추혜연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3 No.1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의 한국적 정서인지에 관련된 사회심리학적변인을 탐색하여 살풀이춤을 수용하는 학습태도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여 향후 민족정서의 재창조와 더불어 사회제도와 교육제도내의 한국무용에 참가한 전공자들의 정체성확립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한국무용전공자들의 개인적 신상에 따른 한국적 정서인지정도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한국무용전공자들의 개인적 신상에 따른 살풀이춤 학습태도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한국적 정서인지에 따른 살풀이춤 학습태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한국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대학교, 무용단을 모집단으로 선정 하였다. 표본 수집은 총 595명을 수집하였으나, 최종적으로 실제분석에 사용 된 인원은 575명이었다. 수집 된 자료로 한국무용전공자의 개인적 신상에 따라 한국적 정서인지와 살풀이춤 학습태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변량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한국적 정서인지가 살풀이춤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단 집단이 고등학교, 대학교 집단보다 한국적정서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단 집단이 고등학교, 대학교 집단보다 만족감과 자아실현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몰입감 영역에서는 고등학교 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정서인지와 살풀이춤 학습태도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었다. 즉 한국적 정서의 하위영역인 한과, 흥은 살풀이춤 학습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한국무용전공자들에 있어 무용의 참여활동의 빈도가 한국적 정서와 살풀이춤 학습태도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고, 또한 살풀이춤을 인식하는 학습태도에 있어 한국적 정서인지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ind out Korea dance majors of Korean emotion related to social psychological factor operate Salpuli study attitude how influencedgo to the bottom of after a nation emotion recreation, further socialrule, and education rule Korea dance participated majors stagnatiestablishment. In order to research first, Korea dance major ofindividual a special quality according to Korean emotion aware to extent were analysis. Second, Korea dance major individual a special quality according to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were analysis. Final, Korean emotion according to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of relation investigat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575 among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and expert dance groupfrom two stratified randomly selected group; in Seoul, Kyongki were surveyed by means of the revised questionnaires.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were determined by conducting a pilot stud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a=.800-.892. Questionnaire utilized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was employed for ascertai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that each respondent attached to each item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by employing the SPSS 10.1 vers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For all analysis an alpha level of .05 were us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sed,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ings; 1. Expert dance group were Korean emotion aware higher than high school, university group. 2. Expert dance group were satisfaction and self-actualization higher than high school, university group, but high school group in immersion area were higher than expert dance group, university group. 3. Between Korean emotion aware and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were causal relationship;. Thus, Korean emotion on sub-area of Han, Heung directly influenced to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 KCI등재

        한국 민속춤과 문화 대중성

        백현순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1

        본 연구는 한국 민속춤 속에 들어있는 대중성이 무엇인지 추론하고 오늘날 왜 한국민속춤이 대중의 관심을 끌 지 못하고 있는지에 대해 연구를 하고자 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속춤이 한국 문화로서 가 지는 대중성이란 무엇인가를 밝히고둘째, 한국 민속춤에 들어있는 보편적 가치를 추출하여 대중성의 요인을 밝히고 셋째,한국 민속춤이 대중성을 획득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연구하고 한다. 한국 민속춤은 제천의식 에서 출발한 우리 고유의 문화로 집단적 개념의 춤 형식을 띠므로 그 자체가 대중성을 띠고 있는 대중문화이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민속춤이 대중적 관심을 끌지 못한 데에는 한국 민속춤의 가치를 잘 인식하지 못 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 민속춤에는 보편적 정서의 가치인 신명과 민족적 정서의 가치인 공동체, 그리고민속춤을 통한 교육적 가 치인 창의성, 마지막으로 문화유산으로서의 유물적 가치가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치를 바탕으로 한국 민속춤 을 대중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속춤 축제를 활성화 시킬 것, 둘째, 민속 춤을 관광과의 연계를 통해 활성화 시킬 것, 셋째, 민속춤 교육을 통해 활성화 시킬 것, 넷째,트위터를 활용하 여 활성화 시킬 것, 다섯째, 한국 민속춤의 재창작을 통해 활성화시킴으로써 한국 민속춤의 대중화를 실현시 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popularity of Korean folk dance and thereason why the dance has not appealed to people; first of all, the concept of popularity thatfolk dance has as Korean culture is going to be defined. Second, the factors consisting ofpopularity are to be explored through the extraction of universal values in Korean folkdance. Third, the plan for Korean folk dance to become popular will be made. Havingoriginated from a harvest ritual, Korean folk dance takes on a form collective dance andtherefore can be called as popular culture itself. The fact that Korean folk dance has notattracted people’s atten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failure to recognize the value of Koreanfolk dance. The traditional dance has some values such as pleasure, community, creativityand cultural heritage. The ways to popularize Korean folk dance, based on the values , areas follows:first, multiple folk dance festivals are required to be held. Second, the linkbetween folk dance and tourism ought to be fostered. Third, folk dance is needed to berevitalized through education of folk dance. Fourth, more use of SNS should be encouragedto invigorate the folk dance. Last but not least, re-creation of Korean folk dance makes itpossible to popularize Korean folk dance.

      • KCI등재

        경기도 도당굿 쌍군웅춤의 構造와 意味 -시간성과 공간성을 중심으로-

        김운미,박영애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1

        본 연구는 경기도 도당굿 군웅거리 쌍군웅춤의 구조와 의미를 시간성과 공간성을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군웅거리의 쌍군웅춤은 우리 춤에 내재된 음양의 이치뿐만 아니라 경기도 도당굿의시루말에 의한 신화성을 담고 있다. 쌍군웅춤과 신화의 연관성은 경기도 도당굿의 미지와 산이가 구현하는 서사무가에서 찾을 수 있다 . 경기도 도당굿에 있어서 쌍군웅춤의 연구가 중요한 것은 군웅거리가 신화창조의 내력을 담고 있는 구비문학 적 의의를 가지며, 굿이 갖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액을 제거하는 데에 있어서 신과 자연, 인간이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한 의지의 표현으로 상징적 의미가 쌍군웅춤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쌍군웅춤의 연행구조와 의미를 연구하는 것은 경기도 도당굿에서 분화된 전통춤 연구에 대한 선행적(先行的)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군웅거리의 연행방식은 선굿의 미지-쌍군웅의 미지+산이-군웅노정기의 산이로 연행 주체가 변화하는 특이성 이 있다. 쌍군웅춤은 군웅굿 의례의 한 형식으로 그 속에 일정한 틀과 규칙이 있으며 신명이 오르는 과정에서 즉흥적 움직임이 많았다. 이것은 굿의 현장성 때문이기도 하다. 군웅거리는 경기도 도당굿의 집합체로 보이는데, 이것은 도당굿의 공간성 및 시간성과도 관계가 있다고 보인 다. 굿춤은 의례에서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적 현상을 신체를 통한 상징으로 표현하는것이다. 쌍군웅에 있어서 춤 의 기능은 군웅신이 오시는 길을 정화한다는 일반적 기능과 서사무가 이면에 내재된 감추어진 상징적 기능이 있다고 보았다. 여기서 상징은 미지와 산이는 음양의 대대적 관계로 해석되며 대대적 관계(공간성)속에 순환성(시간성)이 있 다. 그리고 사방(시간과 공간)의 중심에는 산, 마을, 우물경기도 도당굿 쌍군웅춤의 構造와 意味 117등 신과 인간이 만나는 신인합일(神人合一)의 영역으로 신성성을 지닌다. 하늘과 땅,밤과 낮, 신과 인간 등 자연의 질 서 속에 있는 이원적인 요소들이 서로 극(極)하지 않고 대대적 관계 속에 상호 보완적이고 조화로운 삶을 영위 하고자 하는 무속의 기본적인 사상체계(思想體系)가 쌍군웅춤 속에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기도 도당굿의 연행적 가치는 국문학적, 음악학적, 무용학적, 연극학,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연구의 가치 를 지니며 경기도 도당굿의 무속춤을 연구하는 것은 근대전통춤의 형성과 분화를 이해하고 우리 춤의 뿌리를 찾아가는 과정일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Gyeonggi-do Dodang-gutGunwunggeori SSanggunwung dance, focused on the temporality and the spatiality. SSanggunwung dance of Gunwinggeori contains not only the principles of the negative andthe positive within our dances but also the history of the Creation by Sirumal ofGyeonggi-do Dodang-gut. The association between SSanggunwung dance and the myth canbe found in Seosamuga performed by the Miji and Sani of Gyeonggi-do Dodang-gut. As for Gyeonggi-do Dodang-gut, the reason why the study on SSanggunwung dance isso important is that Gunwunggeori has the significance of oral literature that contains thehistory of the Creation and SSanggunwung dance has symbolic meaning in eliminatingmisfortune, which is the most basic function of a gut (exorcism), as an expression of a willfor harmonious living among god, nature and human. Studying on the performance structure and meaning of SSanggunwung dance is deemedto have a proactive value and significance for the study on traditional dances divided fromshamanism dances. The performance format of Gunwunggeori has its uniqueness in the change of theperformers from hereditary shaman of exorcism rite to Miji (hereditary shaman) ofSSanggunwung + Sani and then to Sani of Gunwungnojeonggi. * Hanyang University / kimunmi@hanyang.ac.kr** Completed Ph.D. Hanyang University Department of Dance /adriana21@naver.com경기도 도당굿 쌍군웅춤의 構造와 意味 119SSanggunwung dance was performed in a form of the Gunwung-gut ceremony. It hada certain formality and rule in it and had a lot of impromptu moves in the process ofexhilaration. This is also due to the on-the-spot nature of gut. Guwunggeori seems to be an aggregate of Gyeonggi-do Dodang-gut which might havea relation also with the spatiality and the temporality of Dodang-gut. Gut-chum is a dance to express the time and spatial phenomenon shown in ceremoniesas a symbol through a human body. In SSanggunwung, the functions of the dance includea general function to purify the road along which Gunwoong-god comes and a symbolicfunction that a Seosamu (narrative shamanism) hides in the other side. This symbol isinterpreted as the opposite relation (spatiality) of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and containsthe temporality in the opposite relation. And at the center of time and space, mountains,villages and wells have sacredness as the area of the unification of man and god where theymeet together. It was noticeable that SSanggunwung dance included a basic system ofthough from shamanism to pursue a complementary and harmonious living in an oppositerelation rather than incompatible relation that dualistic elements in nature’s order, such asheaven and earth, night and day and god and human, did not make themselvesincompatible each other. The performance of Gyeonggi-do Dodang-gut deserves its value for studies from theviewpoints of Korean literature, musicology, dance and cultural anthropology. Studying on the shamanism dance of Gyeonggi-do Dodang-gut shall be the process ofunderstanding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modern traditional dances andexploring the root of our dances.

      • KCI등재

        조선시대 궁중검무의 유형별 고찰(考察)

        임수정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5 No.2

        본 연구는 현행 각 지역 향제교방검무 형성에 영향을 끼친 조선시대 궁중검무의 유 형별 공연양상을 궁중연향을 기록한 각종 의궤(進宴儀軌,進饌儀軌,進爵儀軌 )와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등의 문헌사료를 중심으로 고찰(考察)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 각종 의궤와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 기록된 궁 중검무의 유형은 검기무(검무), 첨수무, 공막무로 나타나고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의궤의 악장의 기록을 통해 검기무와 공막무의 유래를 중국 진나라 말기 홍 문연의 잔치에서 벌어진 고사에서 인용하고 있고 첨수무는 속칭 엽무라 불리우던 춤 인데 영종조에 첨수무로 개칭되었음을 알 수 있다.또한 검기무는 여기(女妓)에 의해, 첨수무는 여기 및 무동(舞童)에 의해 공막무는 무동에 의해 2개의 검기(劍器)를 들 고 추는 춤으로 나타난다. 또한 다른 궁중정재와 달리 공연 시 창사(唱詞)를 부르지 않는 형태로 공연하였다. 둘째, 의궤의 공령에 기록된 궁중검무 복식과 권수도식의 정재도 및 복식도를 통하여 살펴본 궁중검무의 유형 중 검기무(검무)와 공막무의 복식은 전복(戰服)의 형태를 띠며 첨수무 역시 소매가 좁은 형태의 상의(狹袖)와 쾌자형태의 옷인 반비의(半臂 衣)와 전대를 띠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의궤에 나타난 공령의 기록(各差備)과 정재도 및 정재무도홀기의 기록을 통 해 살펴본 궁중검무는 유형별로 2, 4, 8명에 의해 두명씩 짝을 이루어 각각 검 두 개 를 들고 추어졌음이 나타난다. 넷째, 정재무도홀기의 기록에 나타난 궁중검무의 유형별 반주음악은 검기무와 공막무는 무령지곡을 연주하고 첨수무는 만천춘지곡을 반주음악으로 사용하고 연주시 모두 향당교주 방식으로 연주한다. 다섯째, 정재무도홀기의 기록에 나타난 춤의 진행방식에 있어 검기무는 춤을 추 기 전에 악사가 검기를 가져다 놓고 좌우로 나가면 춤이 시작되고, 첨수무와 공막무는 춤을 추다가 춤의 중간에 악사가 검기를 가져다 놓고 좌우로 나가는 형식을 띠고 있 다. 여섯째,정재무도홀기의 기록에 나타난 궁중검무의 유형중 검기무에 사용된 춤동 작은 무작(舞作), 상대무진 (相對舞進), 상대무퇴(相對舞退), 환립(換笠), 혹배혹 면이무(或背或面而舞), 상대궤무(相對跪舞), 농검(弄劍), 집검(執劍), 번표이농수 검무(翻飄而弄袖劍舞), 기립(起立), 무작(舞作), 각용재(各用才), 연귀소(鷰歸 巢), 연풍대(筵風擡), 무진(舞進), 무퇴(舞退) 등으로 다채롭게 나타나고 첨수무와 공막무는 동일한 춤사위로 구성되어 있고 검기무에 나타나지 않는 회선이무(回旋而 舞)의 춤동작이 나타나며 환립(換笠), 각용재(各用才) 등의 춤동작은 나타나지 않는 다.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aspects of performing each style of geommu(sword dance) performed at court in the Joseon dynasty, which influenced on taking shape of regional geommu performed at gyobang(office for training the entertaining women) in each province, around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Jeongjaemudoholgi(record for court dance) and several uigwes(record for royal banquet). The styles of geommu at court revealed in the above documents are named as geomgimu(geommu), cheomsumu and gongmakmu, and the summery of the investigation on them is as follows: Firstly, through the record of uigwe, the origin of the geomgimu and the gongmakmu is cited from an old story of the banquet at Hongmen in the late period of the Qin dynasty of China. And the cheomsumu, popularly called yeopmu, was renamed as it i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jong,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geomgimu was performed by yeoggi(entertaining women), the cheomsumu, by yeoggi and mudong(boy dancer), and the gongmakmu, by mudong, with two pieces of sword prop per person. They were also performed without changsa(a kind of narration or a song sung in Chinese before the dance), which was different from other kinds of court dance. Secondly, among the styles of geommu at court investigated through the uigwe's formal regulation on the costume of court geommu and its graphic records on the formation and the costume of court dance, both costumes of the geomgimu(geommu) and the gongmakmu carried the style of jeonbok(a kind of outer tunic) and also that of the cheomsumu, narrow-sleeved upper garment, banbiui(a kind of jeonbok) and jeondae(wide belt). Thirdly, from the regulation of uigwe and the record of Jeongjaemudoholgi, each geommu performed at court was danced by double numbered dancers such as two, four, and eight dancers according to the styles. And it is also found that they danced carrying two sword props, that is, one in each hand. Fourthly, the accompanying music to each style of court geommu found in the record of Jeongjaemudoholgi is as follows: the geomgimu and the gongmakmu were accompanied by muryeongjigok(sonorous music used for military exercises or the king's procession) and the cheomsumu, by mancheonchunjigok(a kind of hyangdanggyoju). And all of them were played in the way of hyangdanggyoju(playing Korean and Chinese musical instruments by turns). Fifthly, when it comes to the progression of dance revealed in the record of Jeonjaemudoholgi, the geomgimu began after musicians put the sword props on the dancing area and retreated to the right and left. On the other hand, the props of the cheomsumu and the gongmakmu were put in the middle of dance by musicians. Sixthly, among styles of geommu at court appeared in the record of Jeongaemudoholgi, the geomgimu has various dance movements named as follows: mujak; sangdaemujin; sangdaemutoe; whanlip; hokbaehokmyeonimu; sandaegwemu; nonggeom; jipgeom; beonpyoinongsugeommu; girip; mujak; gakyongjae; yeonguiso; yeonpungdae; mujin; mutoe etc. The cheomsumu and the gongmakmu have the same dance vocabularies and additional one such as hoeseonimu which is not appeared in the geomgimu. And the two excluded some vocabularies such as whanlip and gakyongjae etc.

      • KCI등재

        부산 경남 춤 원류 연구

        김온경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3 No.1

        한국은 세계 속에서 아주 작은 나라에 속한다. 그런데도 지역마다 각각 다른 풍습, 말씨, 그리고 노래와 춤의 유형이 다르다. 이처럼 한국과 같이 작은 영토의 국가에서 이렇듯 다양한 예술형태가 각기 다른 특정과 유형으로 발달된 나라는 드물다고 하겠다. 특히 춤의 경우에는 지역환경과 지역색에 따라, 그리고 향유계층에 따라 큰 차이를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특히 부산·경상도지역 춤에 주안점을 두고 부산·경남지역의 역사 문화적 배경과 문헌에 나타난 가야와 신라의 악무(樂舞)를 발췌하여 춤의 원류를 상고 하고 나아가 부산·경남지역 춤의 정체성을 조명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한국춤은 넓은 의미로 생활과 관련된 일춤과 놀이춤, 전문 예인들에 의해 기교적, 예술적으로 승화된 형태의 예인춤, 그리고 무속, 불교, 유교 등 종교의식과 관련된 제례무(察禮舞)로 그 유형을 분류해 볼 수 있다. 다시말해 생활춤(노동,놀이)과 예인 춤으로 그 목적에 따라 춤의 유형이 특성화되어 진화 발전되었던 것이다. 본 연구는 놀이춤인 경상도 덧배기춤의 유형과 전문 예인의 춤의 유형을 문헌을 통해 유추하면서 경남 춤의 원류를 상고해 보고자 한다. 부산 • 경남은 삼한시대는 진한국의 옛터이며 가야시대에는 가야국의 여러 국가가 자리 잡았던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현란히 꽃피웠던 가야문화는 한국고대사 연구 는 물론 부산·경남 춤 원류 연구에 있어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며, 독창적인 가야문화는 후에 신라에 합병되면서 그 실체가 밝혀지지 않고 있었으나 최근 고고학적 발굴 조사와 문헌 자료를 근거로 그 실체가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이 가야가 가실왕의 실덕으로 폐망하여 신라 진흥왕 때 모든 악가무(樂歌舞)는 신라로 흡수 되었다. 그러므로 경남 춤의 원류를 유추하기 위해서는 가야와 신라의 춤을 소급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체로 부산·경남 지역은 남성무가 강세로 나타났으며 역사의 흐름이 근대에 가까워질수록 교방계열의 기방무가 예인춤으로 부각되었다. 정재(呈才)로서 그 역사가 가장 오래된 춤으로 신라의 「검무」,「처용무」 그리고 고려의 「무고」 (승전무, 고무) 등이 모두 부산 • 경남지역에서 발원되었다고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있다. 지금까지도 그 맥을 이어가고 있는 이 춤들은 부산 • 경남춤 원류 연구에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야에서 신라로 귀화한 악성(樂聖) 우륵이 창제하였다는 가야금 역시 현재까지 전승되면서 그 악기에만 맞추어 춤을 추었다는 「가야지무」,「한기무」,「미지무」,「대금무」에 대한 기록은 사실상 경남 예인 춤연구에 많은 의미를 시사하고 있다. 놀이춤으로 덧배기춤에서 「가면무」 (야류. 오광대 계열)와 「동래학춤」 등을 들 수 있고 교방춤으로 「검무」,「포구락무」 ,「승전무」 , 「고무」 등이 현 재까지 전승되고 있으며 권번 춤으로 「굿거리춤」,「입춤」, 「한량춤」,「승무」,「수건 춤」, 「산조춤」 등이 그 맥을 이으며 전승되고 있으므로 부산·경남 춤의 원류 연구에 큰 몫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Korea is one of the exceptionally small countries in the world. However, each province has different tradition and an accent, and its music and dancing differ from those in other provinces. There are only few countries with a small territory like Korea where various art forms developed into different characters and forms. Especially in case of dancing, there are big differences observ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s of the region, regional characters and classes who enjoyed it. This study focuses on the dancing in the region of Busan and Gyeonsang do and analyzes the origin of dancing by selecting the music and dance of Gaya and Shilla found in documents and by studying the history and cultural background of Busan and Gyeongnam region. Furthermore, its significance will be put in clarifying the identity of the dance in Busan and the Gyeongnam region. The Korea danc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rms: everyday life related Ilchum(work dance), Nolichum(play dance), Yeinchum(performer's dance), which has technically and artistically sublimated by professional performers, and Jeryemu(dance in religious ceremonies) that are related to religious observances including those of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other words, the form of dancing was specialized and developed into the life dance (work and play) and performer's dance in relation to their purpose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origin of the Gyeongnam dance by analogizing the form of Gyeonsang do's Dutbaegichum, a type of Nolichum and professional performers's dance,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The area of Busan and Gyeongnam is the old site of Jinhan, and during the Gaya period, many countries of Gaya settled here. The Gaya culture that flourished in the region has a significant part in researching the origin of the Busan and Gyeongnam dance as well as the Korean ancient history. The original Gaya culture was not well known as Gaya was integrated into Shilla, but it has recently been slowly discovered by archeological researchs and the evidence from critical apparatus. When Gaya was perished because of King Gasil's loss of virtue, all music and dances was absorbed into Shilla. Therefore, in order to analogize the origin of dance in the Gyeongnam area, the necessity to study the dance of Gaya and Shilla becomes important. In Busan and the Gyeongnam region, Namsungmu was popular, and as it reaches the modern age, Gibangmu of Gyobang, as performer's dance, wan outstanding. It is recorded in Goryeosa Akji (The Music Section of the History of Goryeo) and Akhak Guebeom(Primer for Music Studies) that Shilla's Gummu (sword dance) and Cheoyongmu and Goryeo's Mugo (Seungjeonmu and Gomu), the dances with the longest history as the dance done in the party of the royal palace, were all originated from Busan and the Gyeongnam area. These dances are still continued to be practiced, and have much significance in theresearch of the origin of the Busan and Gyeongnam dance. In addition, a gayageum (a twelve stringed Korean harp) created by a celebrated musician, Ureuk, who came originally from Gaya and became naturalized in Shilla, is handed down to the present. The dances that are only danceable to the instrument include Gayajimu, Hangimu, Mijimu and Daegeummu, and the historical record about them is, in fact, important in the research fo the performer's dance in the Gyeongnam area. Gamyeonmu (mask dance of Yaru and Ogwangdae) and Dongraechakchum are the examples of Nolichum of Dutbaegichum. Among Kyobang chum(Kyobang dance), Gummu(sword dance), Pogurakmu, Seungjeonmu and Gomu have been transmitted to today, and among Gweonbunchum (Gweonbun dance), Gutgurichum, Ipchum, Hanryangchum, Seungmu and Sugunchum continue to exist, contributing greatly to the research of the origin of the dances in Busan and the Gyeongnam region.

      • KCI등재

        경기지역춤의 문화권적 특징 고찰

        이병옥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5 No.3

        본 연구는 경기지역 춤문화권의 지역적 기반을 고찰하고, 문화적 배경에 따른 여러 가지 민속춤들의 전승양상을 규명하여, 경기지역춤의 보편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경기지역 춤문화권의 전반적 특징은 ① 1천년 이상 도읍지역으로 상류사회의 궁중춤과 민중들의 민간춤이 함께 전승하는 ‘계층공유 춤문화권’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②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하여 북방문화권과 남방문화권 춤 특성의 양면성을 지닌 ‘중부지방 춤문화권’의 성격을 띠고 있다. ③ 경기지역 내부적으로는 해안과 평야지역 춤문화와 산간지역 춤문화로 대비되는 ‘이중구조적 춤문화권’의 특성이 구분된다. ④ 기후, 지리, 풍속, 역사 등의 여러 문화권이 중첩되는 ‘복합적 춤문화권’ 특징을 보이고 있다. ⑤ 경제와 문화수준이 높아 낙천적이고 예술감각이 발달하였으며, 무교와 불교와 유교 등 종교문화가 꽃을 피워 ‘고급예술적 춤문화권’을 형성하였다. ⑥ 궁중춤, 민간춤, 예인춤, 의식춤 등 전통춤 장르가 종합적이고 중심적으로 발달된 ‘한국춤의 중심문화권’ 특징을 지니고 있다. ⑦ 역사적으로 한강을 사이에 두고 고구려․백제․신라가 세력들 겨루던 지역으로 삼국의 역사문화가 융합된 ‘완충적 춤역사문화권’ 양상을 지니고 있다. 경기지역춤의 춤사위 특성은 ① 중부지방의 상향춤과 하향춤이 혼합된 중간적 ‘상하향춤’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② 탈춤사위의 특징은 ‘깨기춤’, ‘손춤사위’, ‘답지춤’, ‘뒷꿈치 돋음새춤’, ‘깨끼걸음’, 등으로 춤사위가 작지만 다양한 형태의 춤으로 발달하였고, 무게있는 ‘장년적인 춤’ 특징을 지니고 있다. ③ 경기무속춤은 ‘돋음새춤’이 주류를 이루며, 다양한 ‘무복춤’와 ‘무구춤’가 많이 추어진다. ④ 경기지역의 기방춤은 궁중춤과 양반춤의 영향으로 춤사위가 품격을 지닌 ‘절제적인 춤’과 부드럽고 우아한 ‘곡선춤’이 많고, 섬세한 ‘기교춤’이 많다. ⑤ 재인춤은 ‘남성춤’으로 투박하고 단순하며 힘차면서 고고하고 담백한 춤사위 특 징이다. ⑥ 경기지역춤은 우리춤의 보편적 정서인 ‘한․흥․멋․태’ 모두가 돋보이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gional background of Gyeonggi's dance culture and common characteristics of Gyeonggi's regional dances by clarifying the succession of various folk dances according to their cultural background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Gyeonggi's dance culture are: ① As Gyeonggi was a national capital for more than 1,000 years, it is succeeding “a shared dance culture” where palace dances of ruling classes and civil dances of commoners are succeeded together. ②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succeeding “central region's dance culture” which i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orthern and southern cultures. ③ Internally, Gyeonggi is succeeding “a dual-structural dance culture”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dances are classified into dance cultures of coast/plain and mountain regions. ④ Gyeonggi's dances are succeed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lex dance culture” where different cultures of climate, geography, customs, history, etc are intermixed. ⑤ As Gyeonggi was a province with a high level of economy and culture, it developed a positive artistic sense and "a luxurious artistic culture" that reflects the influence of various religious cultures, such as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⑥ Gyeonggi's dance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culture of Korean dances” where various genres of traditional dances, such as palace dances, civil cultures, artistic dances, and ritual dances, are developed. ⑦ Historically, Gyeonggi was a frequent battleground of Goguryeo, Baekje, and Shilla as it bordered the Han River and developed “a buffer culture of dance history” where the histories and cultures of the Three Empires converged. The characteristics of dances of Gyeonggi region are as follows: ① The dances are “Sanghahyangchum” that mix Sanghyangchum and Hahyangchum of the central region. ② Mask dances have developed into various styles, including ‘Kkaeggichum’, ‘Sonchumsawi’, ‘Dapjichum’, ‘Dduitggumchi Dodeumsaechum’ and ‘Kkaeggigeoreum’, and are ‘mid-aged dances’ with weighty movements. ③ Gyeonggi's shaman dances are mostly ‘Dodeumsaechum’ and involves various styles of ‘Mubokchum’ and ‘Muguchum.’ ④ Gyeonggi region's Gibangchum was influenced by palace dances and noble dances and developed many dignified ‘moderate movements,’ elegant ‘curvilinear movements,’ and delicate ‘technical movements.’ ⑤ Performers' dances were ‘male dances’ that were rough, simple, dynamic, elegant, and elaborate. ⑥ Gyeonggi's regional dances are characterized by the unique Korean emotions of ‘grudge, excitement, beauty, and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