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A를 통한 우려 춤의 감정인식

        엄태영,박한훈,남상원,박종일,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8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4 No.1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 춤에 내포된 감정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 춤을 무용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정량들을 추출한다. 이러한 특정량을 분석하기 위한 기존의 PC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방법 보다는 조금 더 유용한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방법을 적용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 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 한다. 또한, 시스템에 의해 인식된 감정 패턴과 변화의 정성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정립된 정성적 분석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정성적인 분석에만 국한되던 우리 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을 통한 이해의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춤의 특성을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한국 전통춤 가운데 우리 춤을 대표할 수 있는 춤사위를 선정하고, 정성적 /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 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urthermore, the features are analysed by ICA(independent Coponent Analysis) more useful than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u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extracting sequential emotional patterns of Korean dance using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proposing a criterion for spec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quant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is can concrete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depend only on the qualitative analysis. We expect that this thesis provides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Korean da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ome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 KCI등재

        다시점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통한 우리 전통춤의 특성 이해

        엄태영,박한훈,박종일,남상원,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2 No.1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 춤에 내포된 감정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춤을 무용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징량들을 추출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면, 좌, 우 세 시점에서 획득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인식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시스템에 의해 인식된 감정패턴과 변화의 정성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정립된 정성적 분석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정성적인 분석에만 국한되던 우리 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을 통한 이해의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춤의 특성을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한국 전통춤 가운데 우리 춤을 대표할 수 있는 춤사위를 선정하고, 정성적/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 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ethod has more reliable performance by using multiple cameras unlike the privious methods using a single camera. The other purpose of this thesis is extracting sequential emotional patterns of Korean dance using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proposing a criterion for spec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quant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is can concrete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depend only on the qualitative analysis. We expect that this thesis provides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Korean da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ome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 KCI등재

        민족의 기원으로 본 한국춤 사상-단군 신화를 중심으로-

        백현순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2 No.1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신화로 비록 다른 민족의 신화와는 다르나 신화적 특징을 가진 특이한 신화이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기원인 「단군 신화」를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우리 민족의 사상적 원류를 탐색하고, 그 민족사상적 특성이 한국춤 속에서 어떠한 춤 철학을 구성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단군 신화」는 고조선 건국의 주역인 환웅이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와 결혼하여 국가를 만듦으로써 민족 중심의 주체적 의식이 신과 인간의 결합이라는 융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의식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단군 신화」에 관한 최초의 문헌인 삼국유사에 나타난 단군 신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단군 신화」의 사상을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와 국가를 세우는 이념으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할만하다’는 홍익인간사상과 인간세상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을 국가의 목적이자 각개인의 삶의 목표라고 보는 인간 중심주의인 휴머니즘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단군 신화」에서 우리 민족의 존재 근원인 천지인 합일사상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단군 신화」는 고조선의 역사적 사실과 신화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는데, 곰이 쑥과 마늘만 먹어 인간이 되어 결국 천신과 결혼하는 인간적 질서의 모태를 설명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존재상황에 기반을 둔 토테미즘을 느낄 수 있다. 넷째, 단군은 나라를 세워 인간세계를 다스렸는데 그의 역할이 바로 무당이자 통치자였다는 것을 통해 「단군 신화」 속에는 우리의 무교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단군 신화」에는 우리가 천자의 후손임을 알게 해 주고, 우리 민족에게 동질성을 심어 주어 미래의 희망적 삶을 살게 한 ‘한’사상이 들어 있다. 여섯째, 「단군 신화」에는 단군을 ‘환인제석’이라는 불교용어를 사용한 점과 후에 단군이 죽어 신선이 되었다는 도교적 요소의 사상, 그리고 가부장제의 유교적 사상 등 여러 가지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군 신화」의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춤 사상을 추론해 보면, 첫째, 한국춤 역시 홍익인간과 휴머니즘 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은 천신과 조상을 숭배하였는데, 그 숭배의식을 위해 춤을 추었다. 그리고 그 춤의 목적이 홍익인간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춤의 주체나 대상, 표현 등 모든 것이 다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휴머니즘 행위인 것이다. 둘째, 한국춤을 출 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무용수는 천지인의 공간 구조에서 삼재의 조화를 이루는 주체로, 한국춤에서의 천지인 합일은 「단군 신화」 속 우리 민족의 존재 근거와 함께 우주의 탄생에 관한 사유체계의 철학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한국춤에는 「단군 신화」에서 보이는 토테미즘 사상과 무속사상이 들어 있다. 넷째, 한국춤에서의 ‘한’은 ‘한사상’의 의미를 지니며 「단군 신화」에 나타나는 한사상은 유․불․선이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사상이다. 이를 한국춤과 연관하여 볼 때 이기(理氣)의 우주 전개 개념으로 음양의 원리에 의해 동작선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한’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교춤, 불교춤 등이 현재 추어지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한국춤 속에는 한사상을 포함하여 유교사상이나 불교사상 등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Dangun Myth>, as one of the Korean myths, has been believed to be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ythological feature different from the other ethnic myth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ideology in the Koreans by dint of <Dangun Myth> and the contribution of ideological properties to the philosophical construction of Korean dance. <Dangun Myth> is marked by the convergence of ethnicity-centered autonomous consciousness, God and human through the birth of a nation following the matrimony between Hwanwoong as main agent of founding of Kojoson and Woongnyeo as human transformed from a bear, which illustrates Korean characteristic of ethnic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ntent of <Dangun Myth> show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first literature on <Dangun Myth>, some ideas of <Dangun Myth> can be inferred. First of all, as a founding ideology,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are profoundly rooted. Then, oneness of heaven, earth and man is involved. Third, <Dangun Myth> has the blended feature of historical facts and mythological elements of Kojoson, showing the matrix of human order through the matrimony between human changed from a bear and heavenly god, which leads us to perceive totemism based on existential state of Korean people. Fourth, from the fact that Dangun, as a shaman and ruler, founded a nation and governed human world, Taoism is believed to be included. Fifth, in <Dangun Myth>, the thought exists that proves the Koreans are sons of heaven and gives us homogeneity, making us lead a better life in the future. Last but not least, seeing that Dangun is also named as Hwanin Jeseok, a Buddhist term, Dangun becomes an ascetic and patriarchy is widespread, the thought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is said to be inherent in <Dangun Myth>. From the <Dangun Myth> mentioned earlier, the ideas on Korean dance can be inferred. To begin with, it is discovered that Korean dance has also the thought of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The Koreans worship heavenly god and ancestors, dancing for worship ceremonies. The purpose of the dance is to benefit all the humans; the subject, object, and expression involved in the dance are an act of humanism. Second, Korean dance performer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could be defined as the subject creating harmony of the three disaster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heaven ,earth and human. The unity of heaven, earth, human in Korean dance displays basis existence of the Koreans and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inking system on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ird, Korean dance definitely has the idea of totemism and shamanism. Finally, 'sorrow' in Korean dance is meant by Han-ism, which forms inseparable relationship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Korean dance has been greatly affected by Han-ism in that the movement of Korean dance is determined by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confucian and Buddha dances are seen to be performed, Korean dance is believed to include H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우리 춤사위의 분석과 재구성에 기반한 다시점 영상으로부터의 감정인식

        엄태영,박한훈,박종일,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 No.1

        최근신체로부터 표현된 감정을 인식하려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지고 있다. 특히 춤은 인간의 감정을 극대화한 신체 움직임으로 감정인식을 위한 좋은 소재가 되어왔다.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감정)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의 감정을 분석하고 인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서양 춤의 분석과 감정인식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갔지만, 우리 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학술적으로도 가치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춤동작에서 감정을 인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 춤을 무용 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징량들을 추출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한다. 선행연구(서양 춤에 대한 연구)에서는 정면시점의 경우만을 이용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정면, 좌, 우 세시점에서 획득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ethod has more reliable performance by using multiple cameras unlike the privious methods using a single camera.

      • KCI등재

        韓國舞踊專攻子의 韓國的情緖認知에 따른 살풀이춤 學習態度分析

        추혜연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3 No.1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의 한국적 정서인지에 관련된 사회심리학적변인을 탐색하여 살풀이춤을 수용하는 학습태도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여 향후 민족정서의 재창조와 더불어 사회제도와 교육제도내의 한국무용에 참가한 전공자들의 정체성확립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한국무용전공자들의 개인적 신상에 따른 한국적 정서인지정도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한국무용전공자들의 개인적 신상에 따른 살풀이춤 학습태도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한국적 정서인지에 따른 살풀이춤 학습태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한국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대학교, 무용단을 모집단으로 선정 하였다. 표본 수집은 총 595명을 수집하였으나, 최종적으로 실제분석에 사용 된 인원은 575명이었다. 수집 된 자료로 한국무용전공자의 개인적 신상에 따라 한국적 정서인지와 살풀이춤 학습태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변량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한국적 정서인지가 살풀이춤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단 집단이 고등학교, 대학교 집단보다 한국적정서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단 집단이 고등학교, 대학교 집단보다 만족감과 자아실현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몰입감 영역에서는 고등학교 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정서인지와 살풀이춤 학습태도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었다. 즉 한국적 정서의 하위영역인 한과, 흥은 살풀이춤 학습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한국무용전공자들에 있어 무용의 참여활동의 빈도가 한국적 정서와 살풀이춤 학습태도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고, 또한 살풀이춤을 인식하는 학습태도에 있어 한국적 정서인지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ind out Korea dance majors of Korean emotion related to social psychological factor operate Salpuli study attitude how influencedgo to the bottom of after a nation emotion recreation, further socialrule, and education rule Korea dance participated majors stagnatiestablishment. In order to research first, Korea dance major ofindividual a special quality according to Korean emotion aware to extent were analysis. Second, Korea dance major individual a special quality according to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were analysis. Final, Korean emotion according to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of relation investigat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575 among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and expert dance groupfrom two stratified randomly selected group; in Seoul, Kyongki were surveyed by means of the revised questionnaires.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were determined by conducting a pilot stud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a=.800-.892. Questionnaire utilized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was employed for ascertai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that each respondent attached to each item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by employing the SPSS 10.1 vers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For all analysis an alpha level of .05 were us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sed,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ings; 1. Expert dance group were Korean emotion aware higher than high school, university group. 2. Expert dance group were satisfaction and self-actualization higher than high school, university group, but high school group in immersion area were higher than expert dance group, university group. 3. Between Korean emotion aware and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were causal relationship;. Thus, Korean emotion on sub-area of Han, Heung directly influenced to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 KCI등재
      • KCI등재

        동해안 별신굿 춤사위의 생성요인에 관한 연구

        김운미,김윤지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2 No.2

        본 연구는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동해안 별신굿의 ‘무무(巫舞)의 종류 및 춤사위용어들을 분석하고, ‘무무’의 생성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무무’에 대한 내적구조를 살펴본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무’에 대한 춤과 춤사위 용어 정리가 전반적으로 잘 이루어졌다고 생각하 는 연구 자료에서 춤 및 춤사위 용어는 각기 다르게 제시되어 동해안 춤 및 춤사위 용어 정립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무무’의 연행이 관중에 의해 즉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료별로 다르고 무무의 명칭도 다양하다. 셋째, ‘무무’의 춤사위는 사람의 움직임을 흉내 낸 의태어가 주를 이룬다. 넷째, 지리적으로 항만활동에 불리한 동해안 자연조건으로 인해 어업이 주된 생계였던 동해안 마을 주민들은 불가피하게 마을 공동체의 굿을 하여 안정과 풍어를 기원하였다. 이것은 ‘동해안별신굿’전승의 활성화 및 동해안 대표 물고기이자 액운을 막아 주는 명태의 의미로 인해 ‘어포춤’, ‘명태 들고 추는 춤’이 유래되었을 것이다. 다섯째, 민속 어원적으로 동해시 방언의 단모음 음소는 10개가 주를 이루며 푸널이에서 ‘푸너리’춤, 검무에서 ‘거무’춤으로 유래되었을 것이다. 여섯째, 역사적으로 신라 지증왕(512)때 독도, 울릉도 영입을 비롯한 동해안 지역 확보 및 진흥왕(522)때 화랑도 설치 및 죽은 소년들을 애도하는 의미에서 ‘거무’춤이 유래되었을 것이다. 일곱번째, 종교적으로 신라는 동해안 지역 장악 및 삼국통일 이후 불교숭상정책 및 불교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바라춤’, ‘중춤’, ‘탑등과 괫대 들고 추는 춤’, ‘나비춤’, ‘거령산춤’이 유래되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 generative factors of ‘Mumu’ from diverse angles through its synthetic research and analysis of ‘Mumu’ of Byeolshingut in the East Coast designated as the important cultural property.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It is necessary to give priority to establishing the terminology of East-coast dance and its motions or movements thus far diversely used based on six research materials thought to be well-organized in relation to the terminology of ‘Mumu’ dance and its movements. 2. The number of kinds of Mumu dances in six research materials is diverse because the motion of ‘Mumu’ has improvisation by the audience. 3. The movement of ‘Mumu’ is composed of mimetic words imitating the human movements. 4. Residents in the East-coast villages whose livelihood was fishing due to the natural conditions of the East Coast naturally and geographically unfavorable to the harbor activity invoked stability and large catch by performing the exorcism of the village community inevitably. ‘Eopochum Dance’, ‘Dance with Alaska Pollack’ were derived from the meaning of the Alaska pollack which revitalizes the transmission of ‘East-coast Byelshingut’, is the representative fish of the East Coast and prevents misfortunes. 5. The phoneme of the single vowel of the dialect used in the East Coast in terms of ethnogenesis largely contains 10. ‘Puneorichum Dance’ would be derived from Puneolri and ‘Geomuchum Dance' from Kummu. 6. Historically, ‘Geomuchum Dance’ would be derived from the occupation of the East-coast area including the incorporation of Dokdo and Ulreungdo at the time of King Jijeung in the Shilla Kingdom(512) and the establishment of Hwarangdo at the reigning period of King Jiheung(522) and the meaning of expressing the sorrow at the dead boy. 7. Religiously, the Shilla Kingdom occupied the East Coast area and developed the Buddhism-respecting policy and the Buddhistic culture since the unification of three ancient states. Therefore, therefrom derived ‘Barachum Dance’, ‘Jungchum Dance’, ‘Butterfly Dance’, ‘Georyeongsanchum Dance’ and the like.

      • KCI등재

        산조춤의 전개 양상 연구

        김경숙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1 No.1

        산조춤은 19세기 말경 뛰어난 기량으로 자신의 음악성을 자유자재로 표현한 연주자들에 의해 완성된 독주곡에 맞 춰 춤꾼 역시 자신의 다양한 감성을 개성 있게 형상화한 춤이다. 살풀이, 태평무, 승무 등이 전통춤의 대표적인 종 목으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추어지고 회자되고 있는 것에 비해 산조춤은 우리 춤에 관한 책에서 거의 소개되어 있 지 않은 것으로 보아 큰 주목을 받아온 것은 아니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으나 무형문화재 종목으로 지정 되지 않았다는 점, 그 춤의 연원이 산조라는 음악이 완성되고 난 다음에 만들어지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오래되지 않았다는 점, 춤꾼의 기능적 능력과 개성적 품성 및 정신적인 세계와 깊이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하여 연행되어지 는 창작적, 즉흥적 요소가 다른 춤들에 비해 높아 매우 개인적 성향이 크다는 점 등을 들 수 있겠다. 그러나 현시 대의 문화적 흐름은 개인의 창의성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이 누구에게나 열려져 있으며, 춤과 과학기술 의 만남으로 표현의 세계가 어디까지 일지 가늠할 수 없는 세상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전통춤의 흐름에서도 예 외일 수 없다.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당시의 승무, 살풀이, 태평무 등의 전수위주의 집중현상에서 벗어나 신전통춤 이라 불리우는 경향의 춤들이 추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산조춤은 변화의 흐름을 전통적 요소로서 한국적 정서 를 담아내기에 적합한 형식의 춤으로서 주목된다고 할 수 있다. 표현의 제약성이 없이 우리의 내면 정서가 깃들어 있는 산조춤은 우리 춤의 맥을 이음과 동시에 창작적 기저를 이루게 하는 춤양식으로서 전통춤의 영역에서 이 시 대에 맞는 춤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이상의 관점에서 현재와 미래의 전통춤을 다채롭고 풍성하게 할 춤으로 산조춤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 하여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산조춤의 다양성을 그 형성과정과 실제 내용의 검토, 분석함으로써 향후 산조춤의 발전 방향을 돕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 추어져오고 있는 여러 작품 중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는 네 작품의 산조춤을 연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춤의 창자가 동일인물로 음악과 춤의 빈틈없는 조화를 이룬 강태홍의 산조춤과 시나위합주의 호남 산조춤은 전통적 기법의 지역적 특성의 춤사위로 구성되어 있었고, 김진걸의 산조춤 <내 마음의 흐름>은 가슴을 펴고 앞을 정확히 응시하며 쭉 펴는 팔의 선 등 신무용 기법의 춤사위로 오랜 기간 체계적으로 자신의 춤을 정립 시킨 춤이 있었으며, 전통춤의 기법과 정서를 극적 구성에 근거를 두고 현대 미적 감각으로 거문고의 장중한 선율 에 맞춰 표현한 최현의 산조춤 <연정>이 있는 것을 볼 때, 전통적 기법, 신무용적 기법, 극적 구성, 제목의 유무, 지역성 등 각 산조춤마다 그 형성기반에 따라 그 춤이 특성 있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강태홍산조춤은 우아미를 골격으로 하되 우아미가 절제되고 압축된 아름다움이며, 풍성하고 여유 있는 화 려함이 아닌, 맑은 간결한 화사함이 주된 미인 전아미(典雅美)임을 알 수 있었고, 호남산조춤은 자연미, 흥과 멋, 정중동, 신명과 여운, 희노애락의 깊은 맛을 여인의 농익은 미로 풀어내고 있었고, 김진걸산조춤은 전통춤에서 대 표적인 여백의 미보다는 무대의 사용이 광범위한 확장미, 전통춤 원형의 춤사위에서 벗어난 직선의 미가 강조되 고 있었으며, 최현산조춤은 역동적이고 굵고 장엄한 선율에 담백한 내면의 미를 정통적인 춤 세계인 여백의 미로, 또한 춤과 음악 그리고 연기의 조화를 통한 총체조형미로 표현되고 있는 것을 볼 때 각 산조춤마다 다양한 춤결을 특징짓게 하는 미의식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산조춤은 산조 음악의 섬세한 가락을 즉흥형식으로 연주한 음악의 흐름을 춤으로 표현하는 것, 주제를 가지고 산조음악을 만들고 춤으로 표현 하는 것, 극적 구성형식으로 춤을 만들되 전통적 기법으로, 신무용적 기법 으로, 그리고 전통춤에 얽매이지 않고 독창적인 춤사위를 창조하여 산조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다만 산조 음악 이란 기악독주곡으로 산조춤이 산조춤이 되기 위해서는 기악독주곡에 맞춰 창작될 때 산조춤의 정체성을 잃지 않 고 한국춤의 양식으로서 그 의의와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가야금, 거문고 산조 뿐 만아니라 대금산조, 해금산 조, 피리산조, 아쟁산조 등 음악 선택의 폭을 넓혀 악기마다의 독특한 음감, 선율의 다양한 감정을 춤에 살려내고 장단의 배열을 독창성있게 하여 자신의 춤색깔을 가장 잘 보여주는 다채로운 산조춤들이 만들어 질 때 한국춤의 세계가 풍성해지리가 기대한다. Sanjo dance (Free-style solo) is the characterful embodiment of a dancer’s emotions to a solo completed by performers who expressed their musicality with superb skills in the late 19th century. While Buddhist dance, Taepyeongmu (dance of peace) and Salpuri have many restrictions in expressions and Crown dance, Janggo dance and Fan dance are of spectacular composition which puts too much emphasis on the beauty of form and formativeness, Sanjo dance in which people’s emotions indwell without restrictions of expression is understood as an important legacy of original Korean dance. Carrying on the tradition of Korean dance and underlying the creation of original Korean dance, Sanjo dance can position itself as the dance form of the time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danc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development of Sanjo dance which has been performed and regarded to enrich and diversify the traditional dance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it. This study aims to be the basis for the identity of Sanjo dance and future direction for Sanjo dance through analyzing what kinds of Sanjo dance have been performed so far; how the dance has been formed and how its actuality has been demonstrated and; what its aesthetic features are. Results from investigating four works in Sanjo dance which are widely known and whose value is well acknowledged among other works have been performed to this day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at Kang Tae-Hong’s Sanjo dance which is of compact harmony between music and dance while one person serves as the singer for music and dance simultaneously and Honam Sanjo dance of Sinawi ensemble are composed of dance move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traditional techniques; Kim Jin- Geol’s Sanjo dance <Flow of My Heart> has systematically established his own dance moves for a long time with new dance techniques to straighten one up, stare at the front and stretch one’s arms and; Choi Hyeon’s Sanjo dance <Feelings> expresses traditional dance techniques and emotions based on dramatic composition in a modern aesthetic sense to a solemn melody of geomungo (Korean musical instrument with six strings), it is observed that each of Sanjo dance has been uniquely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basis of its formation such as traditional techniques, new dance techniques, dramatic composition, presence of title, regionality, etc. Second, it is found that Kang Tae-Hong’s Sanjo dance is fundamentally of elegant beauty, which is understated and compressed and of graceful beauty with clear and concise brightness instead of abundant or composed splendor; that Honam Sanjo dance expresses natural beauty, excitement and grace, motion amidst rest, fun and lingering imagery and profound human feelings with overripe beauty of a lady; that Choi Hyeon’s Sanjo dance expresses forthright inner beauty to a dynamic, thickened and solemn melody into beauty of space, the traditional world of dance and into total formative beauty through combination of dance, music and acting. These aspects demonstrate aesthetic consciousness which determines characteristics of each Sanjo dance. Future Sanjo dance can be created through expressing delicate melody of Sanjo music in the form of improvisation into dance; making Sanjo music with a theme and expressing it into dance and; composing dance and unique dance moves for Sanjo dance in a dramatic composition with traditional techniques and new dance techniques while being free from traditional dance. As to Sanjo music, however, it is an instrumental solo and to make Sanjo dance truly be Sanjo dance, it should not lose its identity as Sanjo dance in its creation to the instrumental solo so that its significance and value are to be retained as the form of Korean dance.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world of Korean dance when instrumental options are diversified with daegeum, haegeum, piri (Korean pipe), ajaeng (a seven-stringed instrument) etc in addition to gayageum, (Korean zither with twelve strings) and geomungo Sanjo; their distinctive musicality and various emotions of melody are reflected to dance and; when their rhythms are creatively arranged and Sanjo dance is developed into varied colors to display their own attributes best.

      • KCI등재

        황해도 굿춤의 원리와 형식성 고찰

        양종승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3 No.2

        황해도 굿춤은 신앙행위, 의례집행자, 의례공간이 제대로 갖추어졌을 때에 비로소 생성된다. 이때의 굿 춤은 신령의 영험력을 인간 삶에 도움이 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의례 진행의 중요한 요소이다. 황해도굿춤은 손놀림, 몸 굴림, 발 디딤의 삼 요소에 의해 전형화되어진 아홉 가지 기법에 의해 창출되어지는데 그 것들은 손놀림의 양사위, 양우선, 몰아치기, 몸굴림의 굴리기, 좌우치기, 들치기, 발 디딤의 연(連) 기법, 회(回)기법, 도(跳)기법 등이다. 본 글에서 밝혀진 황해도굿춤의 종류는 총 35종이며 이들은 앞서 논한 구기법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황해도굿춤은 신의 행동이나 지시를 전달 또는 말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신을 기쁘게 만들고 무당 자신의 흥을 돋우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예술적인 감각을 조건화하지 않는 그야말로 인간 본질의 내면에서 우러나는 미적 표현양식이 우선시된다. 즉 예술적인 미의 감각을 삽입시켜 남에게 보여주려는 춤이 아니라 무당이 신과 자연스럽게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만들어내는 자연적 표현들로써 무당 자신의 어떠한 목적 달성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자기 춤이고 신격의 춤인 것이다. Hwanghae Provincial Shamanic dance differs from professional artistic dance. Its authenticity is dependent upon the three conditions of a religious purpose, a shaman as the performer, and the performance occurring at a ritual shrine in order to be a trueshamanic dance. The actual purpose of shamanic dance in the shamanic ritual of Hwanghae Province is to invoke the spiritual power of shamanic god into the events of people's daily life. The shamanic dance of Hwanghae Provincial shamanic ritual has three technical models of movement for dance, including hand moving, body rolling, and foot stepping. There are nine techniques of shamanic dance which are yangsawi(양사위), yanguseon(양우선), molachigi(몰아치기) in the hand movement, guligi(굴리기), jwauchigi(좌우치기), deulchigi(들치기) in the body rolling, and yeon(연) techniques, hoi(회) techniques, and do(도) techniques in the foot stepping. Hwanghae Provincial shamanic ritual has 35 different kinds of ritual dances. All of these dances are using the models and techniques which I mentioned previously. The function of Hwanghae Provincial Shamanic dance manifests in many ways, including: movement through the action of god, delivering a message from gods to the people, making godshappy, and a shaman raising excitement in herself or himself. Hwanghae Provincial shamanic dance doesn't require artistic value rather, it reflects the inner spiritual value of a shaman. Therefore, Hwanghae Provincial shamanic ritual dance is not a performance for artistic showing. It is for a communicative purpose between a shaman and gods, directed toward the function of attainment of specific goals or outcomes which people want to derive from spiritual power.

      • KCI등재

        불교무용의 기원

        김종형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2 No.2

        일반적으로 불교에서는 계율 상 가무를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무용의 종교적 의미와 교화적 기능에 대해서는 여러 경전들에 밝혀놓고 있다. 춤과 음악을 석존은 부정적으로 보았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세속적인 흥취에 빠지는 것을 경계하여 수도승들이 오락에 뜻을 두게 될 경우 출가수도자 본래의 의의를 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하게 금지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석존은 대중들이 아름다운 춤과 음악을 마음을 다해서 공양하면 모두 불도를 이루게 되리라고 하였다. 이것은 춤과 음악의 긍정적면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교무용의 기원이 환희용약(歡喜踊躍)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고, 또한 환희용약은 깊은 신앙의 결과에서 얻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불교에서 무용은 신앙의 행위적 표현이며, 의식무용으로 전개될 수 있는 소지를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불교무용의 기원을 인도무용의 기원과 인도 공희기원설, 영산회상기원설, 인도 오명의 기원설, 밀교의 기원설 등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인도남부사원의 예배에서 반드시 무용이 수반되었으며, 불교사원의 조각에 공양무를 추는 무용수의 모습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힌두신앙에서 공양의식으로 공희와 뿌자를 통해서 예경하는 의식이 점점 예술적인 불교무용으로 발전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영산회상기원설에서는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환희용약하는 대중들의 법회광경과 묘음보살이 청동천녀와 함께 꽃과 향으로서 공양하고 기악과 가무로써 찬탄하였던 광경이 예술적으로 승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영산재를 중심으로 불교무용이 전승보급 되는 점을 감안할 때 가장 많이 불교무용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한다. 다음의 인도 오명설은 바라춤에 내명, 인명, 성명 등의 용어가 직접 거명된 점을 볼 때 불교 무용 바라춤이 오명에 기초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밀교의 기원설은 바라춤의 경우 대부분이 다라니와 진언으로 구성되어있는 점과 나비춤의 옴남작법에서와 같이 진언으로 구성된 사설에 맞추어 나비춤을 추는 경우와 다른 사설 중간에 진언을 하는 동안 나비춤을 추는 형식을 볼 때 밀교의 기원설도 불교무용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느 시대에 누구에 의해서 현재와 같은 작법이 생겨났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스승의 입을 통해서 지금까지 제자에게 전승되는 독특한 방식으로 내려왔다는 사실은 더 많은 조사연구가 필요하겠다. 불교무용의 사적전개는 인도의 사원에서의 무용수를 양성한 것과 사원의 조각작품, 그리고 까다칼리의 몸짓언어와 실제 영산재관욕작법에서 쓰이는 결인의 유사성을 살필 수 있었다. 중국의 천궁기악도에서 보살들은 악기를 연주하고 춤을 추는 동작은 우리의 나비춤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티베트의 경우는 실제로 승려들이 불교무용을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데 주로 동물의 탈을 쓰거나 악귀를 쫒는 등 권선징악의 의미를 담아 추는 포교무극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볼 때 한국에서의 불교무용은 원효대사의 교화무(敎化舞)인 무애무가 기원이 되어 조선시대에는 영산재의 형식 속에 불교무용이 의식적으로 한층 발전을 보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어느 시대에 누구에 의해서 현재와 같은 작법이 생겨났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스승의 입을 통해서 지금까지 제자에게 전승 되는 독특한 방식으로 내려왔다는 사실은 더 많은 조사연구가 필요하겠다. Buddhism, in general, prohibits songs and dances according to ś�īla (戒 rules) and vinaya (律 disciplines). However, the religious significance and educational functions are well explained in many sutras. In principle, the Buddha prohibited songs and dances. If practicing monks are into the secular pleasures, they are apt to forget the original purpose of practice. That's the reason why the Buddha has a negative view of songs and dances. However, the Buddha also expresses a positive view of songs and dances. If ordinary people perform songs and dances for the ritual service with their heart, it will help to the path to the Buddhahood. The origin of the Buddhist dance is derived from joy and elation that was caused by deep faith. Accordingly, the dance in Buddhism is a performing expression of religious faith. So it can be developed into ritual dance that could enhance our faith. There are many theories in the origin of Buddhist dance, i.e, the theory of Indian dance, the theory of Indian offering, the assembly at Grdhrakuta Mountain (靈山會上) theory, the five studies of India (五明 pa.ca-vidyā) theory, and esoteric Buddhism (密敎) theory. In South Indian temples, dances were always performed in worship services and we find offering dances depicted the sculptures of Buddhist temples. Also we can suppose that Hindu worship rituals and offering services gradually developed into an artistic Buddhist dance. In the assembly at Grdhrakuta Mountain theory, after hearing the sermon of the Buddha, the rejoicing masses and Gadgadasvara (妙音菩薩 Wonderful sound Bodhisattva) praised the Buddha by offering flowers and incense and playing songs and dances. This elated scene seemed to have been sublimated (sublimed) in art. As Buddhist dance has been transmitted mainly through Yeongsan-jae (靈山齋 Grdhrakuta mountain ceremony; the seven times seven days of funeral services; the forty-ninth day), the Grdhrakuta Mountain theory is very plausible. It can be said that the Buddhist dance, Bara-chum (Cymbals Dance) is based on the five studies of India (五明 pa.ca-vidyā) theory because the term such as śzabda (聲明, grammar and composition), hetu (因明, logic) and adhyātma (內明, philosophy) are mentioned directly in Bara-chum (Cymbals Dance). Next, esoteric Buddhism theory has greatly influenced Buddhist dance, as we can see Bara-chum (Cymbals Dance) mostly consists of dhāraṇzī and mantra. For example, when Omnam Dharma-making of Nabi-chum (Butterfly Dance) is performed, chattering is done with mantras. However, when and where this kind of Dharma-making performance was made and transmitted is unknown. The fact that this kin! d of performance has been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from teacher to student. So we need more study about this lineage transmissio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dance can be traced back to the historical fact that dancers were trained in Indian temples and we can find sculptures of dancers in temples. In addition to those, through the body language of Kadacali and the mudra used in Yeongsan-jae (靈 山齋), we can see the character of Buddhist dance. In China, in such painting as 'The Chart of eavenly Instrument (天宮伎樂圖), pictures of bodhisattvas playing instruments and dancing might have influenced Nabi-chum (Butterfly Dance). In Tibet, we can find the traits of Buddhist dance in the propagation dramas which encourage good and deflect evil. Traditionally, in Korea, Korean Buddhist dance started with Wonhyo's educational Muae-mu (No hindrance dance) in the Silla (新羅) period and then developed into Yeongsan-jae (靈山齋 Grdhrakuta mountain ceremony) in the Joseon (朝鮮) period. However, when and where this kind of Dharma-making performance was made and transmitted is unknown. The fact that this kind of performance has been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from teacher to student. So we need more specific study about this lineage trans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