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혜은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1986 地理敎育論集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present and future research trends in historical geograph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istorical Geographers held in July, 1986. Around 110 historical geographers from more than 10 countries participated and 63 papers for 21 subjects were presented at the conference.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istorical Geographers is not the only opportunity for the world's geographers to get together, but it is the one and only active international meeting for historical geographers as a speciality group. The origin of the ICHG was the meeting of historical geographers in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in 1975, and the meeting was enlarged to English-speaking historical geographers and named CUKANZUS in 1979. The Sixth meeting of CUKANZUS in 1986 was opened to historical geographers other than from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the name was changed to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istorical Geograp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conference discussed the organizing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istorical Geographers and inviting historical geographers from other countries especially Japanese and Chinese historical geographers, to the next meeting.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geography was somewhat retarded until the 1970s compared with the development of other subfields of geography. In recent years, however, the growth of historical geography has made much progress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areas and periods, and the application of new approaches by many historical geographers. That is, besides the traditional methodology-mere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newly-developed approaches have been applied in research since the late 1970s-statistical approaches using the computer for gathering, classifying, analyzing and mapping of data; theoretical approaches using theories and theoretical models; and behavioral approaches analyzing perceptions and the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past peoples. With these changes, historical geography, reconstructing the past geography of a certain place in a certain past period and tracing geographical changes of a certain place through time, has been changed from an egoistic and closed attitude discipline to a cooperative and open-minded attitude discipline. Moreover, many research papers and books have been published reflecting the changing trends of historical geography from the late 1970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present state of historical geography is of a preparation stage for a take-off in its history, because historical geographers tend to pursue interdisciplinary and cooperative research on an international basis, and try to apply newly-developed approaches in their research. If historical geographers maintain these attitudes in their research and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using different languages among scholars from different countries, historical geography will develop rapidly. The future of historical geography is therefore considered to be very bright.
이혜은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7 No.-
이 연구는 고문헌의 개념과 그 범주에 대한 한․중․일 한자문화권과 서구권의 용어 사용 및 범위에 대해 고찰하고 고문헌의 시기적 기준과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 장서의 시기적 추이를 비교 검토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 고문헌과 관련된 용어는 우리나라에서는 古書, 중국은 古籍, 일본은 古典籍이 서로 가장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고 이 개념에는 자료의 표현문자, 제작 방법, 장정의 형태, 제작 시기 등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대한제국(1910) 이전으로 하는 고문헌의 시기에 대한 기준은 1960년대에 고활자에 대한 연구와 당시 도서관에서 적용하는 기준을 기초로 하여 마련되었고 이후 동일 기준을 적용하여 목록규칙이 만들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헌’은 과거의 기록 매체 뿐만 아니라 디지털 자료에 이르기까지 수록된 정보 전반을 의미하는 용어로 확대되고 있으며 여기에 회고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고문헌은 고서, 고지도, 고문서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고문헌 관리는 고문헌 관리조직의 변화, 고문헌 등록 구분과 기준, 관련 규정을 살펴보고 실제 고문헌 장서의 목록레코드를 분석하여 시기적 추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은 발행시기가 1911-1945년인 장서가 24.2%를 차지하고 있어 고문헌의 기준 시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대학생 대상 비대면 집단상담 운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실시간 화상매체 활용을 중심으로
이혜은,박애실,김현정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n depth the experience of group counselors who operated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attempting to implement real-time video media due to COVID-19.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ight counselors with a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and had operated more than on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program respectivel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presented as situated structural statements and general structural statements that incorporate the derived supertopic. The result produced 69 meaning units, 18 sub-topics, and 4 super-topics. The 4 supe-rtopics in the study are: ‘New Challenges due to COVID-19’,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Concerns and attempt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Growing up while adapting to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 we explore what group counselors experienced in operating their first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discussions and follow-up studies on necessary topics for educating non-face-to-face group counselors.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실시간 화상매체를 활용한 비대면 집단상담에 집단운영자로서 참여한 집단상담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상담관련 전공 석사 재학 이상이면서 대면 집단상담 1회 이상, 비대면 집단상담 1회 이상 운영해본 경험이 있는 상담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상황적 구조 진술과 도출된 상위주제를 통합하는 일반적 구조 진술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69개의 의미단위와 18개의 하위주제, 4개의 상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로 나타난 4개의 상위주제는 ‘COVID-19로 맞닥뜨린 새로운 도전’, ‘비대면 집단상담의 어려움과 난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고민과 시도’ 그리고 ‘비대면 집단상담에 적응하며, 성장하게 됨`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시간 화상매체를 활용하여 비대면 집단상담을 처음 운영하면서 집단상담자는 무슨 경험을 하였는지를 살펴보고, 비대면 집단상담에 대한 교육에 필요한 주제에 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Z세대를 위한 메타버스(Metaverse) 기반 상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실행연구
이혜은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8 No.2
“How can technologies like the metaverse, AI, and VR be effectively utilized in counseling?” As digital transformation is taking place rapidly fter COVID-19, nterest in technology-based counseling is growing. Consequently, education on this form of counseling has become a crucial issue in counselor education. Responding to this trend, our study applie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the metaverse in counseling education, specifically for undergraduate Generation Z students.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use of the metaverse experienced by Gen Z learners in counseling education, the study tried to deriv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of the metaverse. Our research yielded 27 semantic units, 10 subcategories, and 5 superordinate categorie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metaverse-based counseling education program. The superordinate categories included ‘experience of being a counselor for the first time’, ‘experienc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etaverse’, ‘becoming one by opening up about each other’s career concerns’, ‘learning and growing in counseling from each other’, and ‘wanting to grow as a counselor in the future’. The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metaverse-utilized counseling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providing a foundation for subsequent empirical studies in this innovative field. ‘메타버스, AI, VR 등 신기술을 상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COVID-19 이후 디지털 전환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면서 테크놀로지 기반 상담에 관한 관심이 뜨겁다. 이와 함께 테크놀로지 상담에 대한 교육 역시 상담자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서 본 연구는 참여적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Z세대 학부생 대상 상담교육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탐색해보고, Z세대 학습자들이 상담교육에서 경험한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메타버스 기반 상담교육 참여 경험과 관련하여 5개의 상위범주, 10개의 하위범주, 27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고, 상위범주로 ‘처음으로 상담자가 되어 본 경험’, ‘메타버스의 장․단점을 체험’, ‘서로의 진로고민을 오픈하며 하나가 됨’, ‘서로 상담을 배우며 성장해나감’, ‘앞으로 상담자로 성장하고 싶어짐’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대학생 대상 상담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후속연구들을 위한 제언을 통해 실증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기초한 수학영역 평가도구 개발 기초연구
이혜은,황해익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6 유아교육학논집 Vol.10 No.3
유아의 특성 또는 능력에 대한 정보 수집은 서로 다른 교육단위의 교육과정을 적절하게 연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내용의 위계성과 발달적 개인차가 가장 뚜렷한 수학영역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입학전후 유아의 수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도구의 시안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및 유아수학능력의 발달적 경향, 선행 유아용 수학능력 평가도구 분석을 기초로 시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안은 전문가 평정과 만 5, 6세 유아대상의 적용을 통하여 시안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평가문항과 평가도구는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수학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나 남아와 여아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e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tools that are based on the continuity of mathematics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Both curriculums should be developed and designed in regard to a whole curriculums. Also the mathematics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s especially hierarchical so the composition and organization should also have continuity and articulation. The research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to set the guidelines and to develop mathematics assessment tools. A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 people group who are specialized in continuity of curriculums, evalu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mathematical education, evaluated the tools. Another part is to examine the adequacy of the assessment tools by applying this assessment tools to 20 5-year old kindergarteners and 20 6-year old 1st graders. The pretests was is to looked into the adequacy of the terms, methods, and the time of the test. The results for these par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ols have 5-sub sections:regulation, number sense, space and shape, measurement and statistics. Three to four children go through 57 questions and score between 0-66. Each teacher takes a role of evaluator in making the three to five children conform, scoring the test sheets and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subordinate areas and sum according to age to look into the developmental tendency of the tools shows that the mean increases as age increase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박창용,이혜은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07 기후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는 가뭄과 호우 자료를 사용하여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과거 기후를 고찰하였다. 삼국 모두 호우보다는 가뭄과 관련된 기록이 더 많았는데 이는 과거 농경 사회에서는 흉년이 들면 국가에 큰 위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뭄을 더 자세히 기술한 것으로 생각된다. 가뭄의 기록은 신라가 가장 많이 기술되어 있지만 극단적인 현상은 백제가 더 많이 기술되었다. 시기별로는 311-320년에 낙동강 동부의 영남 지역이 상당히 가물었으며 371-410년은 한반도가 전반적으로 가물었던 시기인 것으로 추정된다. 호우의 기록은 신라가 가장 많았다. 신라의 서부 지역은 동부 지역보다 호우가 더 빈번하게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현재의 호우 발생 빈도와 비교했을 때 어느 정도 유사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시기별로는 461-500년에 영남 지방은 대체로 습윤했으며 491-500년에는 영·호남 지역이 습윤했던 시기로 추정된다.
화산섬 환경에서 발달한 전통 농업 및 어업 경관: 제주도와 하와이의 비교 고찰
이혜은,김지수,성효현,정광중,전영준,이동주,정주연,안세진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Jeju Island and Hawaii Islands, which have stone culture landscape under the similar natural environment of volcanic island, formed unique traditional stone landscape in different socio-political contexts and compar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lements. We analyze physical environment and compared the stone cultural landscape elements of each islan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one heritage that make up the stone cultural landscape of both regions had material similarities in that they used basalt rock, and the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similarities between cultural heritages were also identified.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ed structure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acilities due to the different climate and topographical environment, as well as differences in operating methods and the use of heritage under different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between the two regions. Studies have shown that most of Hawaii's stone cultural heritage sites, although there is a movement for conservation and practical use of stone heritage recently, are inaccessible and often lost due to development and negligence, and that tourist resource or commercialization using them is very poor. On the other hand, in Jeju Island a growing interest in its unique stone cultural landscape has led to brisk efforts to create value-added products and achieve sustainable conservation. 본 연구는 화산섬 환경 하에서 돌문화경관을 이룬 제주도와 하와이 제도가 상이한 사회・정치적 맥락에서 독특한 전통 농업 및 어업 경관을 형성한 과정을 살펴보고 두 지역 간 경관요소별 특색을 비교 고찰하였다. 그 결과 두 지역의 돌문화경관을 구성하는 석조유산들은 모두 현무암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재료적 유사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유산 간 형태 및 기능적 유사성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두 지역 간 상이한 기후 및 지형 환경으로 인한 유산별 세부 설치구조와 공간분포 차이, 돌문화경관이 발달하게 된 사회・정치적 배경과 그러한 맥락 속에서 유산의 운용방식 및 활용양상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 하와이의 돌문화경관을 이루는 유산들은 최근에 보존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움직임은 있으나 대부분 접근성이 매우 낮고 개발과 방치로 소실된 경우가 많았으며, 이들을 활용한 관광자원화나 상품화도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주도의 경우 특유의 돌문화경관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이를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과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