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계부품·완성차 적용 살수 및 강우시험설비 개발에 관한 연구
황세진,소순재,손득균 한국신뢰성학회 2017 한국신뢰성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본 논문은 MIL-STD-810G, IEC 60529를 중점으로 하는 살수 및 강우시험 설비 개발 및 구축 현황을 기술하였다. 유압 및 전압 적용을 통한 시험대상의 실 사용 조건을 적용하여 살수 강우 환경을 모사한 시험설비로 작동 간 시험수행이 가능하다. 시험대상품은 2m×2m×2m, 2Ton 규모의 부품, 1~120톤 굴삭기로 국내 최초 전천 후 살수 및 강우 시험설비 구축을 통해 기계부품 및 완성차의 신뢰성확보를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황세진,정문열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3
In this paper, a generative algorithm that creates a new painting by combining numerous basic design elements of cell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as a system. Especially, creating numerous design elements from the initial design elements by using a simple cell generation algorithm, and then overlaying them created unpredicted moods with shapes and colors. The study proposes an intuitive algorithm that determines the color, size, and displacement from the parent for a child cell, when a new cell (child cell) is divided from a cell (design element). And by adding a random variable to these three attributes of a child cell, various paintings were created. The following new viewpoints were discovered from this artwork creation. First, when watching the painting created by this algorithm, a very creative painting was made that exceeds an expectation of what a good painting should be. First, unlike traditional painting that mixes paints, this painting method, which uses additive colors, created completely unpredictable colors and mood. The effect was obvious especially when thousands of design elements were combined. In this system, when a ‘cell’ is drawn, various basic figures like circle, line, and circular arc are used. These figures start from an oval and transforms diversely. When the parameter that describes an oval is modified variously, it becomes a very long oval that looks like a straight line and also various design elements like sector and circular arc. 본 논문은 수많은 세포들의 기본 조형 요소를 조합하여 새로운 페인팅을 생성하는 생성알고리듬을 시스템으로 설계 구현하였다. 특히 간단한 세포 발생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최초의 조형요소 (세포에 비유함) 로부터 수많은 조형요소를 발생시키고 중첩하여 예측하지 못한 형태와 컬러의 분위기를 창조해냈다. 하나의 세포 (조형요소) 에서 새로운 세포 (자식세포) 를 분열시킬 때 자식세포의 컬러, 크기 및 부모로부터의 변위 (變位 : displacement) 를 결정하는 직관적인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자식세포의 세 가지 속성에 무작위적인 변이를 더하여 다양한 페인팅을 생성할 수 있었다. 본 작품 창작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새로운 관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본 알고리듬이 그려내는 페인팅을 보고 있으면 좋은 그림은 이럴 것이라는 예상을 완전히 벗어나면서도 상당히 창발적인 페인팅이 만들어 졌다. 둘째 물감을 혼합하는 전형적인 페인팅과는 달리 빛 컬러의 가산혼합을 사용하는 본 페인팅의 기법이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컬러의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수천 개의 조형요소가 혼합될 때 특히 그런 효과가 나타났다. 본 시스템에서는 ‘세포’ 가 그려질 때, 원이나, 선들, 원호 등의 다양한 기본 도형들로 그려진다. 이들 도형은 기본적으로 타원에서 출발하여, 다양하게 변형된 도형이다. 타원을 기술하는 매개변수의 값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면, 한쪽 축으로 매우 긴 타원이 되어 직선으로 보이기도 하며, 부채꼴모양이나 원호 같은 다양한 순수 조형요소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황세진,손재영 한국부동산연구원 2020 부동산연구 Vol.30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iciency of the apartment market in the Housing Speculative Zones by testing whether the market follows stochastic processes like white noise, martingale, or random walk. Market efficiency is commonly tested with the martingale process, but this study employed more test methods to obtain robust results. For the study data, the KB monthly apartment price indices from April 2013 to July 2019 and the Korea Appraisal Board transaction-based quarterly apartment price indices from the first quarter of 2006 to the third quarter of 2019 were used. The Ljung-Box (LB) test, generalized spectral test, and variance ratio test were adopted for analyzing the white noise, the martingale differential sequence, and the random walk proces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apartment market is generally inefficient except for the four districts in Seoul (Gangnam, Seocho, Songpa, and Gangdong), where most people are very attentive to the movements of the marke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some submarkets in the overall inefficient housing market can become efficient. 본 연구는 투기지역의 아파트시장이 효율적인지를 백색잡음, 마팅게일, 임의보행 등 시계열과정 여부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4월부터 2019년 7월까지의 KB국민은행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2006년 1/4분기부터 2019년 3/4분기까지의 한국감정원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를 활용하였으며, 백색잡음 과정 여부는 Ljung-Box(LB) 검정을, 마팅게일 차분 과정 여부는 일반화된 스펙트럴 검정을, 임의보행 과정 여부는 분산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투기지역 내에서 아파트시장은 대개의 경우 비효율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동산시장에 대한 다수의 선행연구들과 일치한다. 그러나 한국감정원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를 활용한 분석에서 강남4구 등 일부 투기지역 내 아파트시장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남4구 등 아파트시장이 매우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효율성에 대한 아파트시장의 시계열적 분석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다양한 검정법을 적용하여 강건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질성 등의 특성 때문에 통상 비효율적인 부동산시장에서도 일부 하위시장이 효율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황세진,곽진영,강영주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by defining the standard jobs requirements for general clinical sites,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For that purpose, job classification, job overview, industry status, education and training status, etc and so 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NCS development manua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job classification should newly establish a major category of social welfare/religion, a middle category of counseling, and a small category of art therapy. The job outline was “Using art as a visual artist to familiarize with the scope of tasks (e.g., diagnosis, treatment plan, treatment, treatment evaluation, supervision, etc.) to help children, adolescents, and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stress and trauma in a social environment with psychological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industry status, 15,957 businesses and 123,657 people were also identified (National Statistical Portal, 2020);, and 1,279 related private registration qualifications were identified.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from August 25, 2021 to September 7, 2021 for a total of 552 art therapists in the clinical field to investigate occupational and job prospects. As a result of the survey, 94.6% and 73.4% of job prospects were expected to increase over the next 5 years. The status of education and training was identified based on six related universities and 26 graduate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contents of knowledge, technology, and quality for performing art therapy job were standardized and propos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procedures required by the country. 본 연구는 미술치료 영역의 발달재활서비스 시행과 더불어 일반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표준 직무를 정의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제안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NCS 개발매뉴얼 절차에 따라 직무분류, 직무개요, 산업현황, 교육훈련현황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분류는 대분류 사회복지․종교, 중분류 상담, 소분류 미술치료를 신설하는 것으로, 직무개요는 ‘시각적 예술인 미술을 활용하여 대상의 주호소문제 진단, 치료계획, 치료실행, 치료평가, 수련감독 등의 직무범위를 숙지하여 발달에 어려움을 갖는 장애아동과 장애인, 사회부적응을 호소하는 아동과 청소년, 사회적 환경 속에서 스트레스 및 트라우마로 인해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돕는 일이다.’였다. 산업현황의 종사자현황은 관련 15,957개 사업체, 123,657명으로 파악되었으며(국가통계포털, 2020), 관련 민간등록자격은 1,279개로 확인되었다. 직업 및 일자리 전망을 조사하기 위하여 임상현장 미술치료사 총 552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 25일부터 9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직업유망성은 94.6%, 일자리 전망에 대해서는 73.4%가 향후 5년간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훈련현황은 관련대학 6개, 대학원 26개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미술치료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요구하는 체계화된 절차에 따라 표준화하여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흰쥐 선조체의 일시적 국소뇌허혈 손상에서 GFAP 및 Vimentin의 면역반응변화에 관한 연구
황세진,조원길,권기환,정호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1999 한양의대 학술지 Vol.19 No.1
Various CNS damages induced by neurotoxicants, mechanical trauma or ischemia could induce an activation of astrocytes or reactive astrocytosis. GFAP and vimentin are the major constituents of astroglial intemediate filament which is increased in reactive astrocytosis. In adult brain, GFAP is expressed in both reactive and non-reactive astrocytes but vimentin is expressed only in reactive astrocytes. To investigate the alterations of astorglial GFAP and vimentin immunoreactivity during focal ischemic damage of striatum, the middle cerebral artery of the Sprague-Dawley rats were occluded(MCAO) by insertion of micro-emboli, which were made with silicon and nylon thread(4-0), via internal carotid artery for 60 minute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1 day, 7 days and 3 weeks after MCAO, and immunohisotchmical methods for GFAP and vimentin were employed. GFAP immunoreactivity is decreased in the lesion at 1 day after MCAO, and is maximally increased in the penumbra of ischemia 7 days after MCAO. GFAP immunoreactive area is gradually extended until 3 weeks after MCAO. Vimentin-immunoreactive astrocytes were increased 1 day after MCAO, and back ground-stain was markedly increased 7 days and 3 weeks after MCAO. Strong vimentin immunoreactivity is also observed in astrocytes and microglia-like cells at 7 days and 3 weeks after MCAO. It is consequently suggested that reactive astrocytosis induced by focal transient ischemic damage in rat striatum was initially limited at lesion site and gradually spread to ischemic penumbar due to delayed neuronal degeneration, and that it vimentin is a useful marker for delayed neuronal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