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월경전기 증후군과 해리증상 및 과거 학대 경험과의 연관성

        김종인,최태규,윤재항,서신영,Kim, Jong-In,Choi, Tae-Kyou,Yoon, Jae-Hang,Suh, Shin-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8 정신신체의학 Vol.16 No.2

        연구목적 : 월경전기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 PMS)은 가임기 여성의 약 80% 이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경 주기와 일치하는 질환의 특성 상 여성 호르몬의 변화가 질환과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특징적인 생물학적 원인에 대한 일관된 보고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질환의 심리학적 원인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들도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심리적 외상 경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은 과거의 심리적 외상이 클수록 월경전기 증후군의 증상이 심해진다는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한편 과거의 심리적 외상은 해리 증상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월경전기 증후군과 해리증상의 연관성에 대한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경전기 증후군의 정도와 해리증상 경험의 정도, 과거 학대 경험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경북에 근무하는 377명의 간호사들 중 설문과 기록을 충실하게 수행한 1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월경전기 증후군의 존재 여부와 증상의 정도는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DRSP),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SPAF)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해리 증상의 정도는 Dissociation Experience Scale(DES-K)을 사용하였고 과거의 신체/언어적 학대 경험, 성적 학대 경험, 부모의 배우자 학대 경험은 각각 부모의 신체적 언어적 학대 방임 척도, 성적 학대 척도, 배우자 학대 척도를 이용하였다. 결과 : SPAF 점수를 기준으로 대상자들을 월경전기 증후군이 없는 군(No PMS), 경도에서 중등도의 증상을 경험하는 군(mild to moderate PMS), 중증의 증상을 경험하는 군(severe PMS)으로 나누었을 때 신체적 언어적 학대 방임 척도($x^2=14.397$, df=2, p=0.001), 성적 학대 척도($x^2=8.376$, df=2, p=0.015), 부모의 배우자 학대 척도($x^2=9.322$, df=2, p=0.009)에서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찬가지로 DES 점수에서도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2=14.966$, df=2, p=0.001). SPAF를 사용하여 측정한 월경전기 증후군의 증상 정도와 과거의 학대 경험 정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해리 증상의 경험 정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결론 : 상기 결과는 월경전기 증후군의 증상과 해리증상, 과거 외상경험이 연관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 Premenstrual syndrome(PMS) is known to occur in more than 80% of reproductive women. Since PMS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sex hormones, biological factors are suspected to be associated with the syndrome, but there have been no consistent reports regarding biological causes. In that sense, it is postulated that the occurrence of PMS is much dependent on the biological aspects, but that the severity or characteristics of the syndrome is more dependent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Studies focusing on psychological factors are based on the theory that symptoms of PMS and previous psychologically traumatic events are closely related. If the theory is valid, it can be further postulated that symptom severity of PMS is associated with dissociative symptoms, since traumatic events are known to be related to dissociative symptoms.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association of PMS symptom severity with previous abuse history and dissociative symptoms. Methods : Subjects for the study were 377 nurses working in Seoul, Kyung-gi, and Kyung-book. 183 subjects who submitted valid data entered the study. The presence and the symptom severity of PMS were rated using Daily Records of Severity of Problems(DRSP) and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SPAF). Dissociative symptoms were evaluated with Dissociation Experience Scale Korean version(DES-K). Previous physical/verbal abuse, sexual abuse, and parental spouse abuse experience were rated with correspondent abuse scales. Results :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s No PMS group, mild to moderate PMS group, and severe PMS group according to SPAF total scor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S-K total score among 3 groups($x^2=14.966$, df=2, p=0.001). Physical/verbal abuse scale($x^2=14.397$, df=2, p=0.001), sexual abuse scale($x^2=8.376$, df=2, p=0.015), and parental spouse abuse scale($x^2=9.322$, df=2, p=0.009) also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 Symptom severity of PMS using SPAF total sco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oth with degree of dissociative experience and previous abuse experi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dissociative experience and previous abuse experience among 3 groups.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can be a possible association among PMS symptoms, dissociative symptoms, and previous psychologically traumatic experience.

      •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에서 분노 및 감정표현불능증

        서신영,김미영,이상혁,최태규,김근향,김은경,박선은,김용우,김서영,육근영,Suh, Shin-Young,Kim, Mi-Young,Lee, Sang-Hyuk,Choi, Tae-Kyou,Kim, Keun-Hyang,Kim, Eun-Kyung,Park, Seon-Eun,Kim, Yong-Woo,Kim, Seo-Young,Yook, Keun-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6 정신신체의학 Vol.14 No.2

        연구목적 : 월경전기 증후군은 생리 주기에 따라 가임기 여성의 75%가량이 겪는 흔한 현상으로 생리전에 증상이 시작하여 생리후에 증상이 가라앉는 증후군이다. 이 월경전기 증후군은 월경전 불쾌장애와 더불어 여성의 우울 증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른 심리적 요소와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다. 분노와 감정표현불능증(alexithymia)는 일반적으로 정신신체장애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월경전기증후군에서의 연관성은 거의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 등은 월경전기 증후군과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경기,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3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1달 동안 매일 자신의 생리주기에 따라 증상을 보고하도록 하는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 (DRSP)와 생리전 시기에 작성하도록 한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SPAF), Anger Scale, Toronto Alexithymia Scale 등으로 하였다. DRSP와 SPAE로 평가한 월경전기 증후군 125명과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 58명을 대상으로 분노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보다 분노억제 (t=2.0, p=0.04), 분노전체(t=3.1, p=0.00)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 보다 유의하게 감정표현불능증증 점수가 더 높았다(t=2.0, p=0.04).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와 일반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 비월경전기 증후군여성 3군으로 나누어 분노 수준과 감정표현 불능증 수준을 비교한 결과도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가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 유의하게 분노억제수준이 더 높았으며(F=4.6, p=0.01),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가 일반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F=5.1, p=0.01) 그리고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F=5.1, p=0.03) 보다 유의하게 더 분노전체 점수가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운데 연령과 임신여부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PAF 및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월경전기 증후군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 분노 억압점수 및 분노전체점수(anger total)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은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보다 감정표현불능증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상기 결과는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의 증상이 분노와 감정표현 불능증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alexithymia and premenstrual syndrome(PM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125 women with PMS and 58 women with non-PMS assessed by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DRSP) and Shortened Premestrual Assessment Form(SPAE). Anger level was assessed by anger expression scale. The level of alexithymia was assessed by Toronto alexithymia scale. We compared the scores of anger, alexithymia between PMS group and no-PMS group. Results : The mean scores of anger in(p=0.04), anger total(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PM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and the mean scores of alexithymia(p=0.04)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PM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anger and alexithymia could be higher in women with PM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and that symptoms of PMS could be associated with anger and alexithymia. therefore, It would be better to consider the level of anger and alexithymia in treating and evaluating women with PMS.

      • KCI등재
      • 산후우울증에서 위험인자로서의 가족응집성-적응력 평가 : 예비적 연구

        김보라,서신영,장성운,이상혁,최태규,김용우,조성준,육근영,류미,김묘정,김근향,육기환,Kim, Bo-Rah,Suh, Shin-Young,Chang, Sung-Woon,Lee, Sang-Hyuk,Choi, Tae-Kyou,Kim, Yong-Woo,Cho, Sung-Joon,Yook, Keun-Young,Ryu, Mi,Kim, Myo-Jung,Kim, Ke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9 정신신체의학 Vol.17 No.1

        연구목적 : 산후 우울증은 10~15%의 산모가 경험하는 흔한 질환이다. 본 예비적 연구의 목적은 산후 우울증과 산전 위험요인으로 가족 적응력 및 응집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 24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출산 전후의 시기에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임신 36~40주에 산전 위험요인에 대한 질문지, Edinburgh 산후 우울증 척도(EPDS), 가족 적응력-응집성 평가 척도(FACES), Beck 불안 척도(BAI) 등을 시행하였다. 출산 후 4~6주에 구조적 면담으로 미니 국제신경정신인터뷰를 시행하여 산후 우울증을 진단하였으며 산후 위험요인에 대한 질문지, EPDS, BAI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 산후 우울증 군과 비 산후 우울증 군을 비교한 결과, 여러 v위험 요인 중 가족 적응력 및 응집성, 산전 우울증상 및 임신 중 기분 변화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상 임신 중 기분변화, 낮은 가족 적응력-응집성 평가 척도 총점 및 각 하위 척도 점수가 산후 우울증의 유의한 연관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산후 우울증에 있어 낮은 가족 적응력 및 응집성이 유의한 연관성을 가진 요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예비적 연구로 연구 대상 수가 적어 상기 결과가 지지되기 위해서는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ve disorders reaches approximately 10-15% of childbearing women. This preliminary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tpartum depressive disorders and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Methods : Childbearing women(n=24) were assessed for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before and after childbirth prospectively. At gestational age between 36th and 40th week, the questionnaire about various factors before childbirth,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EPDS), Family adaptability-cohesion evaluation scale (FACES), and Beck anxiety inventory(BAI) were assessed. After childbirth, for the diagnosis of postpartum depressive disorders, a 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according to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was performed, furthermore, the questionnaire about various factors after childbirth, EPDS, and BAI were assessed at 4-6 weeks postpartum. Results : Among various factors and scales,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mood symptom and change during pregnancy were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ve disorder in comparison with non-postpartum depressive disorder subjects. In addition, low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nd mood change during pregnanc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factors with postpartum depressive disorder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e postpartum depressive disorder could be related with prenatal low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This preliminary study, however, includes only a few subjects, so that further large-sized study will be needed to replicate our results.

      • 기공에 기초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산모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이상혁,김무진행,이은희,서신영,육기환,최태규,Lee, Sang-Hyuk,Kim, Mu-Jin-Haeng,Lee, Eun-Hee,Suh, Shin-Young,Yook, Ki-Whan,Choi, Tae-Kyou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4 정신신체의학 Vol.12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공에 기초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산모의 우울, 불안 등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임신 16주 이상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공프로그램군은 8주동안, 일주일에 2번씩 기공프로그램에 참여한 5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군은 8주동안 1주일에 1번씩 산모교육에 참여한 40명으로 구성되었다. 평가도구는 우울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해밀턴 우울 척도(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벡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에딘버러 산후 우울증 척도(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를 이용하였다. 불안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스필버거 특성 상태 불안척도-1 (Spielberger trait state anxiety inventory-1, STAI-1), 해밀턴 불안 척도(Hamilton anxiety scale, HAM-A)를 이용하였다. 기공과 교육 프로그램 시작전, 이후 2주, 4주, 8주에 걸쳐 산모의 우울, 불안 수준을 상기 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기공프로그램군은 프로그램 시작 전과 8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불안과 우울 수준이 모든 척도에서 호전되었다. 반면 교육군은 시작 전과 8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한 호전은 없었다. 두 집단의 프로그램 전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기공프로그램군이 교육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기공에 기초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산모의 불안과 우울감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in pregnant women. Method: A 8 week controlled clinical trial compared 52 pregnant women assigned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40 pregnant women assigned pregnancy health education progra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EPD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pielberger trait state inventory-1(STAI-1),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AM-D), Hamilton anxiety scale(HAM-A) were used to measure anxiety and depression level. Result :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education control group on four measures above.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t 8 weeks termination on all measures of anxiety and depression compared to pretreatment level.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pregnant women.

      • 외부 평가상황에 놓인 기독교 목회자들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자기보고 경향성에 대한 탐색

        김근향(Keun-Hyang Kim),육근영(Keunyoung Yook),이상혁(Sang Hyuk Lee),최태규(Tae Kyou Choi),서신영(Shin Young Suh)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8 사회정신의학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 평가상황에서 자신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기독교 목회자들의 자기보고 경향성을 MMPI 타당도 척도를 통해 탐색하는 것이다. 방 법 목사 초기 심사과정에 있는 기독교 목회자 중 정신과적인 문제를 선별하기 위해 정신과를 방문한 남성 23명의 MMPI 타당도 척도와 입사상황에서 이루어진 일반 남성 23명의 MMPI 타당도 척도의 차이를 t-검증하였고 이들 46명의 자료를 타당도 척도의 형태에 따라 군집분석하였다. 결 과 두 집단 간에 타당도 척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체 군집분석 결과, L 척도와 K 척도 상에서의 유의미하게 다른 총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두 집단의 군집 분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목회자들이 가장 많이 분류된 군집 4는 자신을 긍정적 으로 보고하는 자기 방어적 경향을 시사하는 것으로 전체 목회자들의 평균 프로파일과 유사하였다. 군집 2는 지나치게 단순하고 자기 방어적인 경향 또는 도덕적, 이상적 가치를 지향하는 경향을 시사하지만 그 차이를 가려내기는 곤란하였다. 군집 3은 형태면 에서 나머지 군집과 크게 다른 군집으로 성숙한 자기 보고경향을 시사하는 프로파일이었다. 결 론 목회자들 역시 외부 평가상황에서 자신의 심리적 문제를 보고할 때 일반인들과 유사하게 자신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즉, 자기 방어적으로 보고하는 경향이 시사된다. 하지만 일부 목회자들은 지나치게 단순하고 경직된 방어경향 또는 성숙한 자기보고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목회자들은 외부 평가상황에서 자신의 심리적 문제에 대해 다양한 자기 보고경향성을 가진다는 점이 시사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inisters’ self-report tendency about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using MMPI validity scales in external evaluation situation. Methods: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MMPI validity scales between ministers’ group(N=23) and control group(N=23). MMPI validity scales’ profiles(N=46) were analyzed with cluster analysis. Results:MMPI validity scal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MMPI validity scales’ profiles were classified into 4 significant clusters(on L and K scale). Cross distribution of clusters and two group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luster 4 profile was similar to mean profile of ministers and contained highest portion of ministers. Especially, cluster 2 suggested that one has a naively and rigidly defensive tendency or moral and ideal value. Bu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defensiveness and idealistic orientation. Cluster 3, unusual type relative to other clusters, contained lowest portion of total subjects. This cluster suggested that one has a mature tendency to self-perception. Conclusion:Ministers have a defensive tendency to report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as much as most people do. However, there is naively defensive type or ideal orientation type and there is matured self-report types, balanced self-disclosure and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inisters have various self-report tendency to psychological symptoms in external evaluation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불안장애 환자에서 기공에 기초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이상혁,최태규,육기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5 신경정신의학 Vol.44 No.6

        Objectives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Methods : An 8-week controlled clinical trial compared 24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assigned to a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with 22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assigned to an education control program.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pielberger trait state anxiety inventory (STAI),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Hamilton anxiety scale (HAM-A),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Results :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education control group on anxiety symptoms and hostility, but Qigong group showed inconsistent findings on depressive symptoms.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n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interpersonal sensitivity, or phobic anxiety subscale of SCL-90-R compared to the education control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Qigong - 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in relieving anxiety symptoms. However, well-design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needed before these kind of interventions.

      • KCI등재

        한국 HIV감염자에서 생물학적 지표와 연관된 정신사회적 요인

        이상혁,고경봉,김준명,홍성관,최태규,이은희,서신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6 신경정신의학 Vol.45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biological markers in Korean Patients wi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Mcthods : 50 patients with HIV infection were enrolled. We administered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the Coping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Smithklein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QOL) to the 50 patients and measured CD4^(+) cell count and HIVRNA copies. Results : Simpl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CD4^(+) cell count. Tension, aggression, depression, frustration subscale in SRI and distancing, self controlling in coping scal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D4^(+) cell count, whereas QO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distancing and CD4^(+) cell cou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D4^(+) cell count and HIVRNA between homosexual patients and heterosexual patients. However, aggression, confrontation in SRI, and distancing in coping scal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heterosexual patients than homosexual patien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D4^(+) cell count may be associated with psychosocial factors in Korean patients with HIV infection, and passive coping strategy like distancing may be one of important factors in the progression of HIV infection. These findings also suggest that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s are needed for Korean patients with HIV infection.

      • KCI등재

        범불안장애 혹은 공황장애 환자에서 Mindfulness에 기반한 인지치료의 장기치료 효과 : 1년 추적관찰

        윤지원,이상혁,김용우,김묘정,육근영,류미,최태규,김근향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9 신경정신의학 Vol.48 No.1

        Objectives Mindfulness-base cognitive therapy (MBCT) has been used to treat patients with depression to prevent relap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 Cognitive Therapy for patients who suffer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or panic disorder for 1 year. Methods 19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or panic disorder were assigned to receive MBCT for a period of 8 weeks. The Hamiltion Anxiety Rating Scale (HAM-A),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ere used at 0 weeks, 8 weeks and 1 year to assess the results. Results MBCT demonstrated significantly decreases on all the anxiety scale scores (HAM-A, p=0.00 ; BAI, p=0.00) and depressive scale scores (HAM-D, p=0.99 ; BDI, p=0.00). The patients who received 8-week of MBCT showed a higher remission rate (15/19, 78%) during the 1-year follow-up period. Conclusion MBCT may be effective at relieving the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of patients who suffer with generalzed anxiety disorder or panic disorder for 1 year. However, further well-designed controlled trials are needed to assess the value of MB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