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크론병에서 소장 검사법: 4가지 검사법의 전향적, 무작위 비교연구

        최윤선 ( Yun Sun Choi ),장현주 ( Hyun Joo Jang ) 대한장연구학회 2009 Intestinal Research Vol.7 No.2

        소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소장내시경, 캡슐내시경, CT 소장조영술 등 새로운 검사법들이 개발되었으나 크론병 진단에서 이러한 검사법들의 역할에 대해서는 비교 연구결과가 많지 않다. 저자들은 크론병으로 진단되었거나 의심이 되는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소장조영술, 대장내시경(ileocolonoscopy), CT 소장조영술, 캡슐내시경의 민감도와 특이도에 대해 비교연구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첫째 날은 CT 소장조영술을 시행하였고 4일에 걸쳐서 대장내시경, 소장조영술, 캡슐내시경을 시행하였다. CT 소장 조영술에서 소장의 부분 폐쇄가 있을 경우 캡슐내시경 검사는 시행하지 않았다. 활동성 크론병 진단에 각 검사법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를 평가하였고, 크론병의 진단은 임상 양상과 4가지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내린 합의 진단을 표준으로 하였다. CT 소장조영술은 41명의 모든 환자가 받았고 말단회장까지 관찰한 36명의 환자를 포함하여 대장내시경은 40명의 환자, 캡슐내시경은 28명, 소장조영술은 38명에서 시행되었다. CT 소장조영술에서 7명(17%)에서 무증상의 부분 폐쇄가 있었고, 농양을 형성했던 10명의 환자와 협착이 있는 1명의 환자는 캡슐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지 않았다. 캡슐내시경 검사는 검사상의 문제로 한 명이 재검사를 받았고 다른 한 명은 위에 캡슐 저류로 소장 영상을 얻지 못했다. 네 가지 검사를 모두 받은 환자는 26명이었다. 각각의 검사결과는 다른 검사의 결과를 모르는 상태에서 진행되었고 모든검사를 마친 후에 평가하여 크론병 환자들을 활동기와 비활동기로 구분하였다. 소장 크론병에 대한 진단결과, 51%에서 활동성 크론병, 크론병이 없었던 환자가 42%, 5%는 비활동성크론병, 2%는 크론병 의심소견이었다. 이 중에서 활동성 크론병 또는 크론병 의심으로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크론병 활동성에 대한 각 검사의 민감도는 캡슐내시경이 83%, CT 소장조영술 83%, 대장내시경 74%, 소장조영술 65%였으며 각 검사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검사의 특이도는 대장내시경이 100%, 소장조영술 94%, CT 소장조영술 89%, 캡슐내시경 53%로 캡슐내시경의 특이도가 다른 검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검사의 정확도는 대장내시경이 86%, CT 소장조영술이 85%, 소장조영술이 79%, 캡슐내시경이 67%였다. 두 가지 검사를 병합하였을 때는 캡슐내시경과 다른 소장 영상검사를 했을 때92-100%의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였으나 특이도는 53-57%로 낮았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활동성 크론병의 진단 알고리즘으로 CT 소장조영술과 대장내시경의 병합검사를 가장 먼저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두 가지 검사의 병합은 조직 생검 뿐만 아니라 장외 합병증도 알 수있고 캡슐 저류의 위험성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캡슐내시경은 민감도가 낮고 검사 전에 소장의 방사선 검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초기 진단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으나 임상적으로 크론병이 강력하게 의심될 경우에 한하여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 KCI등재

        굴곡각에 따른 3차원 평직 복합재료의 등가 물성치 예측

        최윤선 ( Yun Sun Choi ),우경식 ( Kyeong Sik Woo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6 Composites research Vol.29 No.1

        본 논문에서는 3차원 평직 복합재료의 3-방향 섬유다발의 굴곡각에 따른 다양한 모델링을 구축하고, 제시한 모델에 대하여 등가 물성치를 예측하였다. 3차원 평직복합재료의 단위셀을 정의하고 미시역학 계산결과인섬유다발 물성치를 사용하여 섬유다발에 굴곡각에 따라 물성치가 변화하도록 요소 물성축을 설정 후 3차원 평직복합재료의 중시해석을 수행하였다. 계산결과 등가물성치는 참고문헌에 제시된 해석 및 실험값을 비교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계산결과 3-방향 섬유다발 굴곡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초기파손 강도와 파손순서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In this study, geometric modeling and finite element analysis of 3-dimensional plain weave composite unit cell consisting of 3 interlaced fiber tows and resin pocket were performed to predict effective properties. First, tow properties were obtained from micro-mechanics finite element unit cell analysis, which were then used in the meso-mechanics analysis. The effective properties were obtained from a series of unit cell analyses simulating uniaxial tensile and shear tests.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analysis and experimental results in the literature. Various crimp angles were considered and the effect on the effective properties was investigated. Initial failure strengths and failure sequence were also examined.

      • KCI등재

        당뇨병 환자의 하지 혈관 질환 검사에서 색도플러 초음파의 이용

        이경태,최윤선,양기원,배상원,이승환,Lee, Kyung-Tai,Choi, Yun-Sun,Young, Ki-Won,Bae, Sang-Won,Lee, Seung-Hwa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1

        Purpose: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nvolvement of vessels in lower extremity in diabetics, using color doppler ultrasonogram. Materials and Methods: Arteries of both lower extremities were divided into 3 groups-large vessel (above-knee arteries), popliteal vessel, and small vessel(below-knee arteries) -, and evaluated using color doppler ultrasonogram in 60 diabetics. In color doppler ultrasonogram, the wave forms of all vessels were divided into 5 grades; grade I was triphasic wave form, grade II was spectral broadening form, grade III was monophasic wave form, grade IV was pulsus tardus et parvus form, grade V was absence of wave. Grade III, IV, V were grouped into vessel obstruction. We reviewed the correlationships among the degree of the peripheral vascular involvement, duration of dibetes, existence of bilaterality, types of dibetes. Results: Bilateral involvement was high in both lower extremity. Luminal stenosis, vascular calcification and vessel obstruction were high incidence in the patients over ten years of diabetic duration. Prevalence of vascular calcification and vessel obstruction were high in the small vessel of ankle level. But, insulin injection was not related to the incidence of vascular abnormality. Conclusion: Color doppler ultrasonogram seems to be useful for evaluation of peripheral vascular status, decision making for necessity of additional test, periodic follow -up tool in diabetes patients.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의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제지방의 중요성

        윤정은(Jeong Eun Yun),이승혜(Seung Hye Lee),최윤선(Youn Seon Choi),양경선(Kyung Sun Yang),엄현덕(Hyunduck Um),김선미(Seon Mee Kim),이준용(Joon Yong Lee) 이승환(Seung Hwa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1

        연구배경: 폐경 후 여성에서 체지방량과 제지방량 중에 어느 체성분이 더 골다공증과 연관성이 높은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여성을 골다공증 유무에 따라 구분한 뒤 제지방과 골밀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서울의 한 대학병원을 건강검진 목적으로 방문한 만 50세에서 만80세 사이의 폐경 후 1년이 경과한 100명의 건강한 환자를 대상으로 DEXA를 이용한 요추와 대퇴골부위의 골밀도와 생체 전기저항분석법을 사용하여 체지방량 및 제지방량을 측정한다. 요추와 대퇴골 부위 골밀도의 T score 값이 2.5 표준편차 이상 감소한 군을 골다공증군으로, 모든 골밀도 값이 1.0 표준편차 이하로 감소한 군을 정상군으로 그 외를 골감소증으로 분류하였다. 체지방량과 제지방량을 독립변수로 한 골다공증유무에 따른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100명의 환자 중에 골다공증군이 28명(28%)이었으며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56.97±5.76세 였다. 체중과 체질량 지수는 요추 및 대퇴골의 골밀도(경부 및 전체)와 양의 관련성을 보였고 요추의 골밀도는 연령, 허리 둘레와 체지방량, 제지방량 및 상지, 하지, 몸통의 근육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는 연령, 제지방량 및 상지와 하지, 몸통의 근육량과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퇴골 전체의 골밀도는 허리둘레 체지방량 및 체지방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전체 환자군을 대상으로 요추의 골밀도 및 대퇴골 경부와 전체 골밀도 각각을 종속변수로 회귀분석 결과 제지방량은 골밀도 부위와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0.05). 골다공증의 유병위험은 제지방량이 1 kg 증가할수록 골다공증의 위험은 0.6배 감소하였으나 (95% CI: 0.384~0.934) 체지방량은 골다공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값은 체지방 값보다는 제지방량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lean mass and fat mass to the determination of bone mineral density(BMD) in postmenopausal women is a controversy. In this study, the impact of lean mass on BMD was examined, after the postmenopausal women were grouped by BMD level. Methods: The subjects were 100 postmenopausal women aged older than 50 and below 80 years old who visited a general hospital for medical check-up from July 2008 to November 2010. The lumbar spines and femur BMD T score were assessed with DEXA. And body fat mass and lean body mass were assessed with Inbody 720. Osteoporosis was defined as T score of any BMD lower than −2.5 SD. Normal group was defined as T score greater than −1 SD. They didn’t any disease and didn’t received hormone therapy or other medication that influence the bone density. Result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was 28% of this study. The mean age was 56.97±5.76. The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eight, BMI and The lumbar spines and femur BM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ith all subjects show that lean body mass, as independent variable, has significant determinants of BMD.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osteoporosis prevalence decreased 0.6 fold with 1kg increase in lean body mass (95% CI: 0.384~0.934).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ean body mass rather than fat mass may be associated with BMD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甲骨文字에 나타난 殷商代 ‘酒’ 文化 小考

        朴興洙(Park Heung-soo),崔允瑄(Choi Yun-sun) 중국문화연구학회 2014 중국문화연구 Vol.0 No.24

        This thesis is inteded to study the “Drinking” culutre during Yin-Shang Dynasty by analyzing the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related to drinking that are revealed with oracle-bone inscriptions. Chinese people give an importance to eating enough for them to think that food is the best among the 3 basic elements of life, that is, clothing, food and housing. Regarding to eating culture, since liquor was often used to offer to the almighty or to serve important quests, liquor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all kinds of foods. Especially, liquor played an important role related to various kinds of memorial services during Yin-Shang Period. Drinking culture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culture under which liquor was used as a kind of stuff for memorial serive has influenced on various aspects including life styles, literature, ideology, languages and characters, etc., while havi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reas of material life, emotional life and social networking for thousands of years. Oracle-bone inscriptions as the records of the people of Shang dynasty which was the first historical period of China have been the most direct and important empirical material for studying the ancient scripts and history of China, especially, the characters, hisotry and culture of Shang dynasty consistently. The shapes of characters of the oracle-bone inscriptions reflect the subjective shapes of the then people as well as reflecting the objective real facts in that period. Since the then people’s awareness and the cultural phenomena closely related to their lives are reflected to the process of creating characters, it can be said that a study on the shapes of characters of oracle-bone inscriptions is the foundation of a study on the culture of Yin-Shang Dynasty. That is, a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shapes of characters of oracle-bone inscriptions and an exploration of the fundamental meanings of such characters is a prerequisite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Yin-Shang Dynasty exactly. In this thesis, the writer focuses on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culture of Yin-Shang Dynasty by examining the oracle-bone inscriptions and the stuffs for memorial services related to liquor.

      • 간 종양의 방사선치료에서 위내용적과 종양 위치 간의 관계

        전미진,이창걸,이익재,최원훈,최윤선,신동봉,김종대,김세준,하진숙,조윤진,Jeon, Mi-Jin,Lee, Chang-Geol,Lee, Ik-Jae,Choi, Won-Hoon,Choi, Yun-Sun,Shin, Dong-Bong,Kim, Jong-Dae,Kim, Sei-Joon,Ha, Jin-Suk,Cho, Yoon-Ji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0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2 No.2

        Purpose: It aims to evaluate the location change and tendency of hepatic and intrahepatic tumors according to gastric volume and change of 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It studied 9 patients with hepatic tumors who visited Gangnam Severance Hospital from March 2009 to April 2010 and who underwent CT or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within 2 weeks before CT-simulation. The patients fasted for 6 hours before CT-simulation and drank 240~250 cc of water just before CT or PET for image fusion. Those two types of images were fused to RTP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Pinnacle 8.0h) focusing on bone structure of individual patients. Results: They drank 240~260 cc of water but their stomach volume after drinking water varied from 259.3 cc to 495.4 cc. Even though individual differences existed in the change of stomach volume before and after drinking water, the volume was increased by 130 cc (174%) on average. The change in absolut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umors ranged from 0.52 cm to 3.04 cm (1.52 cm on average); from 0.1 cm to 1.35 cm (0.44 cm on average) in cranial-caudal direction; from 0.05 cm to 2.75 cm (1.22 cm on average) in left-right direction; and from 0.05 cm to 1.85 cm (0.33 cm on average) in ventral-dorsal direction. Conclusion: It is hard to predict the movement of tumors by observing stomach movement, due to great individual differences;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the location of hepatic tumors was right-sided as the stomach was filled with water. Thus, it is recommended to maintain the fastened state to secure the accuracy of hepatic tumor treatment. If it cannot maintain the fastened state, it is recommended to measure stomach volumes and movement in the patient to consider the movement of hepatic tumors before radiation treatment.

      • KCI등재

        동해에서의 오징어 어황과 해황과의 관계

        조규대,김상우,강기홍,이충일,김동선,최윤선,최광호,Cho Kyu-Dae,Kim Sang-Woo,Kang Gi-Hong,Lee Chung-Il,Kim Dong-Sun,Choi Yun-Sun,Choi Kwang-Ho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동해의 오징어 어획량이 급증한 최근 $1990{\sim}1999$년 기간에 주목하여 동해에서의 오징어 어황 변동과 해황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동해에서 오징어 어획량의 경년변화 특징은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초반에 감소하고 1980년대 후반에 증가하였다. 이것은 기후변화에 따른 regime shifts의 변동과 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어획량은 9-12월까지 풍어기, 3-5월 사이가 흉어기를 보이고, 최대 어획량은 10월에, 최소어획량은 4월에 나타났다. 해구별 안정 어장의 지표로 제시한 변동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값이 1.0 이하로 매년 안정된 어장은 구릉포 연안역과 울릉도 주변해역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오징어의 최대 어획적수온 $16^{\circ}C$를 기준으로 한 어획적수심은 해역이 북상함에 따라 얕아졌다. 이 결과로부터 해역에 따라 조업시의 어획적수심에 대한 차등성을 둘 필요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조업 어장과 수온의 관계는 흉어기인 4월에 $10{\sim}14^{\circ}C$이고, 풍어기인 10월에 $10{\sim}20^{\circ}C$의 범위로서 오징어 어장 형성은 계절에 따른 대마난류역의 확장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described relationships between fluctuation of fishing conditions for common squid and oceanic conditions in the East Sea from 1990 to 1999. Annual catches of common squid have been higher since the late 1980s compared to the period of the late 1970s to the mid-1980s. These catches fluctuations might be related to the effect of regime shifts. Monthly catches of common squid appear the timing of a large catch from September to December and a poor catch from March to May. The monthly catches are also the highest in October and are the lowest in April. Annual stable fishing grounds for coefficient of variation below 1.0 are formed in waters around Guryongpo and Ullung Island Based on optimum water temperature for catch, $16^{\circ}C$, optimum water depth for catch shallow going north. It indicates that the optimum water depth of fishing work different of each area Fishing ground formation and horizontal water temperature appear the minimum $10{\sim}14^{\circ}C$ in April, the maximum $10{\sim}20^{\circ}C$ in October. If seem, that seasonal fluctuation of fishing ground is related to the extens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in the East Sea.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의 대퇴부와 요추부 골밀도에 의한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도

        이승혜(Seung-Hye Lee),윤정은(Jeong Eun Yun),최윤선(Youn Seon Choi),양경선(Kyung-Sun Yang),엄현덕(Hyunduck Um),김선미(Seon Mee Kim),이준용(Joon Yong Lee),이승환(Seung Hwa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2

        Background: Lumbar spine and total hip are widely used to measure bone mineral density (BMD) for diagnosis of osteoporosis. We want to evaluate relationship and concordance of the osteoporotic diagnosis between lumbar spine and total hip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BMD on both hips and lumbar spine of 100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were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The BMDs of total hip and lumbar 1~4 were classified into normal (T-score>−1.0), osteopenia (−1.0≥T-score>−2.5), osteoporosis (T-score≤−2.5) using WHO definitions. Results: Based on L1~4 T-score there were 15 osteoporotic, 35 ostepenic, 50 normal persons, and based on total hip T-score there were 1 osteoporotic, 20 ostepenic, 79 normal person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hip and lumbar BMDs (r=0.695). For all age groups, lumbar BMDs are lower than hip BMDs and the gaps are severe in older group. The discordance rate was 43% for all cases, and this was 36% in their 50’s, 65% in 60’s, and 60% in 70’s with the highest rate in 60’s (P<0.05). The discordance rates of the normal, osteopenic and osteoporotic groups were 39, 60 and 0% respectively, with the highest rate in osteopenic group (P<0.05). Conclusion: The discordance rate between total hip and lumbar spine was as high as 43%, and was the highest in the osteopenic group in their 60’s. Therefor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BMD of both sites should be checked together, but if not, the lumbar BMD should be checked first. 연구배경: 현재 골밀도 측정은 요추와 대퇴골 부위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상태로, 저자들은 만 50세 이상 폐경 후 여성에서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각 부위의 골밀도의 상관관계 및 골다공증 진단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폐경 후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대퇴부와 요추부의 골밀도를 DEX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퇴 총골밀도와 제 1~4요추 골밀도를 WHO 정의에 의하여 각각 정상(T-score>−1.0), 골감소증(−1.0≥T-score>−2.5), 골다공증(T-score≤−2.5)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진단 일치도 및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제 1~4요추 T-score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은 15명, 골감소는 35명, 정상은 50명이었으며, 대퇴 총골밀도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은 1명, 골감소는 20명, 정상은 79명이었다. 제1~4요추 평균 T-score와 총대퇴 T-score의 상관계수는 0.695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밀도는 전 연령대에서 요추부가 총대퇴부 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심하였다. 제1~4요추 골밀도와 대퇴 총골밀도의 진단 불일치도는 100예중 43예에서 불일치를 보여 43.0%였다. 연령대별 불일치율은 50대, 60대, 70대가 각각 36%, 65%, 60%로 50대에 비해 60, 70대에서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P<0.05). 대퇴 총골밀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각 군에 따른 불일치율은 정상인군, 골감소군, 골다공증 군에서 각각 39%, 60%, 0%로 골감소 군에서 가장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P<0.05). 결론: 요추와 대퇴 총골밀도의 진단 불일치율은 43.0%로 높았으며, 특히 60세 이상과 골감소 군에서 높았다. 따라서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측정시 가능하면 대퇴부와 요추부의 골밀도를 함께 측정해야 하며, 부득이하게 한 곳만의 골밀도를 측정한다면 요추부 골밀도를 우선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