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질리언스 관점의 복합문화공간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연구 -문화적 창조계급 중심으로-

        진수현,박현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포스트 코로나의 시대에 인류는 전대미문의 혼란과 방황에서 벗어나 변화에 적응하고 자생적으로 회복하며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가고 있다. 외부 환경으로 의해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하던 경험은 인간으로 하여금 더욱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문화 활동으로 집중하게 한다. 이러한 현상에 더불어 다양성과 편의성의 추구에 따라 한 공간에서 더욱 다양한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내에도 다수의 복합문화공간이 생겨나고 있으며, 아울러 공간의 영속성을 위한 지속가능성한 발전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속가능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자발적으로 문제에 대응하고 유지하는 동력인 리질리언스의 특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리질리언스의 특성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문화의 의미와 중요성에 따라 복합문화공간이 등장하게 된 흐름을 파악하고, 사회 생태적 리질리언스의 개념을 중심으로 리질리언스와 지속가능성의 관계를 짚어본다. 이후 문화적 관점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여 그 결과로 도출된 다섯 가지 특성을 기준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사례 선정의 기준은 환경적 지속가능한 특징이 반영된 국내외 복합문화공간을 대상으로 한다. 해외사례로는 지역 주민과 사용자들의 관심도가 높고 다양한 문화 예술적 컨텐츠 및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일본 도쿄의 트렁크 호텔, 프랑스 파리의 메르시샵을, 국내 사례로는 부산의 F1963, 부천의 B39의 4곳을 선정하여 사례별 차별화된 소결을 도출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로 모든 사례에서 문화적 전문성과 사회문화적 상징성이 공통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복합문화공간이 문화적 전문성을 갖춘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문화 애호가들이 모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징적인 집적 장소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 점이 가치 형성의 주요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문화적 창조계급 중심의 커뮤니티의 형성 및 자발적 활동을 통해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며, 이는 사회적 지속성을 이루는 필수요인이라 분석된다. 특히, 해외 사례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복합문화공간이 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나타난다. (결론) 첫째, 문화적 창조계급 중심으로 문화적 전문성을 형성하여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 및 문화 애호가들이 집적하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 둘째, 문화적 전문성을 가진 창조계급과 문화 애호가들이 활발하게 교류하여 사회문화적 상징성을 높이게 된다. 셋째, 이러한 사회문화적 상징성이 창조적 생산활동과 소비활동이 동시에 발생하여 자체적으로 재생산되는 선순환구조를 만들게 된다. 이 선순환 구조가 리질리언스이며, 사회적 지속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자는 리질리언스의 특성 활용이 복합문화공간의 사회적 지속가능한 발전을 만들어 갈 수 있는 하나의 해결책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귀신 소재 영상콘텐츠에 재현된 소외된 자

        진수현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9

        귀신의 존재는 우리 인식의 결과물로써 개인이나 집단 공동체 내 특정 경험이 그 기저에 자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귀신 존재의 분석은 우리 사회, 문화적 현상을 살펴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이다. 귀신이 표출하는 사회, 문화적 지표로서의 의미는 다양하겠으나, 그중에서 사회적 약자, 소외된 자들의 억압된 욕망과 그 지점이 맞물려 있는 사실에 관심을 두고 살펴보았다. 귀신이 발생시키는 공포의 이면에는 소외된 자들의 좌절된 욕망이 내재하며, 이 욕망과 공포의 실체화 및 재생산은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체적 실체를 얻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영상콘텐츠에 재현된 소외된 자들의 공포와 욕망은 평탄치 못한 삶에서 오는 살다 죽은 존재라는 인식이 깃들어 있다. 이 영상콘텐츠에 재현된 귀신은 인간에 빙의하여 식욕과 폭력성을 보인다. 이는 우리의 인식 속 귀신은 배고픈 존재라는 의미가 내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귀신은 배고픈 존재이며 그 죽음이 평탄치 못한 까닭으로 한을 가진 존재가 된다. 따라서 귀신이 인간의 육체를 잠식했을 때, 식욕과 폭력성의 증가가 나타나는 결말로 이어진다. 그리고 자신의 욕망이 좌절된 그 공간에 나타나 인간에게 위해를 가하는 존재로 형상화된다. 영상콘텐츠에서 재현되는 귀신 존재는 타자화된, 우리 사회 공동체의 외부적 존재이다. 이에 외부적 존재는 사회를 혼란하게 만든다. 따라서 사회 질서의 회복을 위해서는 제거되어야 할 존재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 지배질서로부터 소외되고 객체가 될 수밖에 없는 존재들이 표출하는 사회적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영화 <미나리>에 재현된 이주민의 적응과 생존의 삶

        진수현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4

        The narrative of a film is a fictional world that was created. However, given that a world represented by a film is an imitation of reality, this fictionality of the film becomes a real event that contains an aspect of our life. The reflection of our reality in worlds represented by various cultural contents including the film is probably pursued so that we may experience indirectly and understand events arising from the various ways of life we lead.The film Minari represents the process of immigration and settlement of a South Korean immigrant’s (Jacob) family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980s. And the process of immigration and settlement experienced by the family is boiled down to adaptation to a new environment and survival.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whole world coexists, being mixed up into one, the immigrant life of adaptation and settlement can have some implication for us. In this context, this paper looks into some aspects of the immigrants’ identity represented in the film Minari, that is, adaptation to a new environment and survival.This paper looks at the narratives of the immigrant family’s adaptation and survival, through their conflicts, living space, and symbolic subject matters embodied in the film Minari. In the development of its narratives, the film Minari does not bring to the forefront cultural conflict and clash resulting from immigration. Rather, it relates that true adaptation, settlement and survival should be accompanied by familial love. The wheeled house denotes a space of unstable life, and the incineration of male chicks is construed as revealing that what they want is settlement and survival. It may safely be said that the minari planted by Soon-ja is a subject matter symbolizing a desire to take root in barren soil and represents immigrants’ life of adaptation and survival. 영화의 서사는 창작된 허구적 세계이다. 그러나 영화가 재현한 세계가 현실의 모방이라면 이 영화적 허구는 우리 삶의 한 단면이 담긴 실재적 사건이 된다. 영화를 비롯한 많은 문화콘텐츠에서 재현하는 세계가 우리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은 어쩌면 우리가 영위하는 다양한 방식의 삶에서 오는 사건들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이를 이해하기 위함일 것이다. 영화 는 1980년대 한국인 미국 이민자(제이콥) 가족의 이주와 정착 과정을 재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가족이 겪는 이주와 정착의 과정은 새로운 환경에의 적응과 생존으로 집약된다. 전 세계가 하나로 뒤섞이며 공존하는 현재, 영화 가 재현하는 이주민의 적응과 생존의 삶은 우리에게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영화 에 재현된 이주민으로서의 정체성 즉 새로운 환경에의 적응과 생존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영화 에 형상화된 이민자 가족의 갈등과 거주 공간, 상징적 소재를 통해 그들의 적응과 생존의 서사를 살폈다. 영화 는 이주로 인한 문화적 갈등과 충돌을 전면에 내세운 서사로 극이 전개되지 않는다. 그보다 진정한 적응, 정착과 생존은 가족의 사랑이 수반되어야 함을 이야기한다. 바퀴 달린 집은 이주 가족의 불안정한 삶의 공간을 의미하며, 수평아리를 소각하는 모습을 통해 그들이 원하는 것이 정착과 생존임을 드러내고 있다고 보았다. 순자가 심은 미나리는 척박한 땅에 뿌리내리기를 염원하는 상징적 소재로 이주민의 적응과 생존의 삶을 대변한다 할 것이다.

      • KCI등재

        女鬼의 變移樣相 考察 - 說話와 都市怪談의 比較를 通하여 -

        진수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9

        본 고는 설화와 도시괴담 속 여귀의 변이양상을 고찰하여 이러한 이야기 속 여귀의 변화된 모습과 행동 이면에 숨겨진 당대 사람들의 사회나 여성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여귀가 등장하는 설화와 현대의 여귀가 등장하는 이야기를 비교해보고, 그 속에 나타나는 여귀의 표출양상은 또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귀신 소재 이야기 속에는 귀신에 대한 사람들의 관념이 구체적 형상으로 드러나 있고 우리는 이를 인식함으로써 귀신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사람들이 귀신의 존재에 주목하는 이유와 이를 통해 그들이 표출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 이들의 실체를 밝히는 열쇠라 판단했다. 흔히 처녀귀신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여귀들은 과거에도 현재에도 여전히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이야기되고 있다. 그들의 외양은 오랜 시간 속에서도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그들이 귀신이 된 사연이나 사람들에게 등장하는 목적 등은 시대에 따라 변모하여 왔다. 이는 우리의 사회가 구술과 문자의 시대에서 시각(영상)의 시대로 변화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구술과 문자 시대의 산물인 설화에서는 이야기의 완결성에 조금 더 초점이 맞춰져 이루어졌다. 이로써 과거 설화에 등장하는 여귀는 고착된 사회에 균열을 일으켜 공동체 전체의 변화를 요구하는 담론 형성의 기능을 담당했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이들이 등장하는 이야기에는 자신들이 여귀가 된 이유와 해원의 과정이 강조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여귀설화는 내용의 전체적 완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반면 현대의 여귀는 실재적 공포를 통해 개인적이고 파편화된 현대사회의 단면을 드러내 보여줄 따름이다. 괴담 속 여귀는 설화의 그들과 달리, 공동체 전체의 변화를 요구하는 담론 형성의 기능보다는 현대사회의 불안과 공포만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한 점은 여귀가 된 이유와 해원이 괴담에서는 크게 드러나지 않는 것 대신, 그들 형상의 강조와 출몰장소를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그들의 형상 즉 시각적인 부분만을 파편화시켜 기괴하게 묘사함으로써 현대인의 내재된 불안감과 공포심을 자극하는 것이다. 이는 해체된 공동체에서 기인한 개인적이고 파편화된 현대의 특징이 여귀를 통해 증명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differences between portrayals of the female ghost in folk tales versus urban legends. Changes in appearance and behavior in the female ghost story have arisen from changes in the people in the community and in women. Changes also occurred between older tales of female ghosts compared to stories of modern female ghosts, and these various changes are also examined. Female ghosts in Korea are often represented as virgins, despite wide variations in ghost storie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nor has their appearance changed significantly despite long intervening years. However, the purposes for which they appear to people have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times. These changes may relate to the changes in society because of the emphasis now on the visual—for example, on account of the prevalence of videos. In an era of dictation and text, what began as a product of oral narrative and character has changed toward a lesser focus on the completeness of the story. The female ghost of the past was in charge of the functions of a narrative form that requires a change in the entire community to avoid causing cracks in the fixed society. Thus, inevitably, the story appears to highlight why the female ghost appears; it is often to settle a grudge. For this reason, the completeness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was rel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the modern female ghost is revealed to show a cross-section of a private and fragmented modern society through real fear. Unlike the traditional ghost story, wherein the function of the form of discourse is to require a change in the whole community, the function of the modern story is only to highlight the anxiety and fear of modern society. In summary, the ghost of the urban legend stimulates the inherent fear and anxiety of modern man by describing the bizarre shape of a fragmented ghost for which only the visual part is revealed. This is a feature of the modern individual and of the fragmentation that has resulted in dissolution of the community, which can be seen in the portrayal of female ghosts today.

      • KCI등재

        Firefighters’ Exposures to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Tasks in Some Fire Scenes in Korea

        진수현,변혜정,강태선 한국산업보건학회 2019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9 No.4

        Objectives: Firefighters are known to be exposed to a variety of toxic substances, but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exposure profile of firefighting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exposure monitoring of toxic chemicals at fire scenes, to compare the concentrations of respective chemicals among firefighting tasks, and to assess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concentrations of chemicals. Methods: Researchers performed sampling at firefighting scenes during four weeks in 2013. At the scene, we collected samples based on firefighters’ own activities and examined the situation and scale of the accident. Collected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ncluding fire extinguishing and overhaul, and were analyzed in the laboratory according to respective analysis methods. Results: A total of fourteen fire activity events were surveyed: five fire extinguishing, six overhaul, and three fire investigations. Although no substance exceeded the ACGIH TLV, PAHs were detected in every sample. Naphthalene ranged from 0.24 to 279.13 mg/m3 (median 49.6 mg/m3) and benzo(a)pyrene was detected in one overhaul case at 10.85 μg/m3. Benzene (0.01-12.2 ppm) was detected in every task and exceeded the ACGIH TLV.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entrations between tasks was shown.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l firefighting tasks generated various hazardous combustion products, including possible carcinogen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업교육의 에듀테크 연구동향 분석

        진수현,강예빈,송영수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2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s data for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EduTech to corporate HR Manager by exploring the trend of EduTech research in corporat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network analysis using R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264 academic papers collected based on related keywords such as enterprise, education, learning, and edutech. As a result, first of all, as e-learning was utilized in earnest in the early 2000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of smart learning and edutech was also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addition to educatio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using EduTech in various fields such as design and complex studies has been expanded. Second, in the application of EduTech, the keywords for 'e-learning' and 'satisfaction' were 'learning transfer', and the top keywords increased by time. The education that utilizes new technology in corporate education is changing from the satisfaction of function to the interest in the transfer of learned knowledge.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keyword network of EduTech education by period, new technology keyword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ppeared in corporate education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developed. It can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highly related to the direction of corporate education.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on trends in EduTech research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EduTech and the use of education in companies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교육의 에듀테크 연구 동향을 탐색하여 기업교육 담당자에게 에듀테크 도입 및 적용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업, 교육, 학습, 에듀테크 등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264편의 학술 논문을 수집하여 R 프로그램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2000년대 초 기업에서 이러닝이 본격적으로 활용되면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러닝, 에듀테크 활용으로 기업교육도 발전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학과 경영학 외에 디자인, 복합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에듀테크를 활용한 연구가 확대되었다. 둘째, 기업의 에듀테크 활용에서 ‘이러닝’, ‘만족도’에 대한 키워드가 ‘학습전이’로 상위 키워드가 시기별로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기업교육에서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교육이 단순히 기능에 대한 만족도에서 학습된 지식의 전이에 대한 관심으로 관점이 변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시기별 기업의 에듀테크 교육의 키워드 네트워크로 분석한 결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업교육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증강현실, 가상현실과 같은 새로운 기술 키워드가 등장하였다. 기술의 발전이 기업교육의 방향과 연관성이 높음을 나타내는 자료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업교육 분야의 에듀테크 연구에 대한 동향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관련 연구가 기업교육 현장에서 에듀테크의 도입과 기업에서의 교육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항공사 서비스 불공정성에 따른 고객불평행동 연구

        진수현 ( Soo-hyun Jin ),허희영 ( Hee-young Hurr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7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5 No.5

        본 연구는 항공사 서비스과정에서 고객이 느낀 서비스 불공정성이 불평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다. 항공기 탑승 경험이 있는 내국인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통계적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절차 불공정성을 지각할수록 불만을 제기하거나 고객이탈의 불평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배 불공정성을 지각할수록 고객 불평행동 중 주변 사람들에게만 불평을 구전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각된 상호 불공정성 측면에서는 주변 사람들에게 불평을 구전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SNS상의 불만표출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성별이 남성 또는 여행목적이 단체/교육 연수인 경우 고객 불평행동중 불만제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이 여성일 때 또는 여행목적이 관광/휴가인 경우 불평에 대한 구전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객 불평행동 중 주변 사람들에 대한 불평 구전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행목적이 관광/휴가일 때는 낮아지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한편, 국내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하는 경우 주변 사람들에 대한 불평 구전뿐만 아니라 인터넷상에 불만표출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객 불평행동을 유발하는 서비스 불공정성의 중요성 및 고객 관리 방안에 대해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we study how complaint behaviors can be affected by service unfairness that customers get in airline services. We conduct empirical studies on 402 Korean passengers who have experienced flight services before, and analyze the results in terms of awareness and demography as follows. First, we observe that customers who are more aware of procedural unfairness are more likely to complain or do switching. In addition, it is observed that customers having more knowledge in distributive unfairness pass their complaints by word-of-mouth to the people around them only, while those aware of interactional unfairness are willing to express their complaints not only by word-of-mouth but also by uploading on their SNSs. Second, from a demographic point of view, it is found that male customers or those whose purpose of trip is group/education complains more, while female customers or those traveling for tour/vacation is less likely to complain by word-of-mouth. In addition, we observe that complaints by word-of-mouth happen more by male customers than female customers, and less to the customers whose purpose of trip is tour/vacation. On the other hand, domestic low-cost-carrier customers are observed to complain more both by word-of-mouth and by using their SNSs. Based on the research analysis, we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service unfairness that may cause customer complaint behavior, suggest some practical guidelines for customer management, and finally discuss the future work.

      • KCI등재

        영상콘텐츠에 재현된 공포와 전복의 욕망: 원귀와 괴수 소재 영상콘텐츠를 중심으로

        진수현(Jin Su-Hyu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6

        원귀는 한 집단의 구성원에 의해 인식되는 원형적 사고가 반영된 결과물이다. 이들이 작동시키는 사회, 문화적 현상은 개인의 특수한 경험 내지 사회 구성원의 공통 사고가 기저에 자리한다. 현재 가장 강력한 재현의 수단은 영상매체이다. 이 영상매체에 새겨진 장면들은 코드화된 의미들로 구성되며 이들 코드에는 사회적이고 공동체적인 인식이 담겨 있다. 이의 결과로 나타난 귀신과 괴수의 재현은 한 사회 내부의 사회적, 문화적 공포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통적 여성 원귀 소재 영상콘텐츠의 원귀는 전통적인 수동적 여성상을 재현한다. 그러나 원귀의 공포가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균열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고 해석한다면, 사회 체제의 수정과 전복의 욕망이 공포로 치환된 것으로 볼 여지가 생긴다. 반면 현대적 원귀 소재의 영상콘텐츠는 보다 개인적이며 파편화된 욕망이 공포로 재현되고 있다. 이 때문에 원귀의 위해는 그 이유가 없고 폭력적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이 위해의 공포가 현 사회를 전복시킬 위협으로 재현해 실재적으로 형상화한다. 외부세계에서 온 존재에 의해 공포의 확산과 사회 전복의 실재적 위협도 동일한 측면에서 그려진다. 즉 전통적 원귀와 현대적 원귀 소재 영상콘텐츠에서 재현되는 공포는 모두 사회 전복의 위협을 가져온다. 그러나 전통적 원귀 소재 영상콘텐츠의 원귀는 보다 사회적이고 공동체적인 모순에 의한 공포를 재현한다. 이에 반해 현대적 원귀는 개인적이고 파편화된 공포로써 사회 전복의 공포를 재현한다고 볼 수 있다. Vengeful spirits are products reflecting the archetypal thought recognized by members in a group. There are experiences specific to individuals or the common thought among social members, which are underlying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operated by such spirits. The current strongest measure of reproduction is video media. The scenes inscribed in such video media consist of coded meanings, and the codes include social and communal recognition. The resulting reproduction of spirits and monsters is turned into social and cultural fear in the inside of a society. From this perspective, it is found that vengeful spirits appearing in video contents about vengeful female spirits reproduce the traditionally passive womans image. If fear for vengeful spirits is interpreted to function to cause a crack in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in a society, desire for correcting and subverting the social system may be displaced into fear. On the other hand, more individualistic and fragmented desire is reproduced as fear in video contents regarding modern vengeful spirits. Any damage caused by them is, therefore, described as unmotivated and violent one. The fear for such damage is tangibly embodied, as it is reproduced as a threat to subvert the current society. Both the spread of fear and the tangible threat to subvert the society, caused by beings coming from the external world are described in the same aspects. The fear reproduced in video contents about the traditional or modern vengeful spirits thus brings about a threat to subvert the society. The vengeful spirits appearing in video contents about the traditional ones are, however, likely to reproduce fear for social and communal contradiction. Meanwhile, the modern ones may reproduce the individualistic and fragmented fear for social subver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