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연구를 위한 한국종교민속론의 시각

        편무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동아시아의 범주에 관한 학제적 논의가 충분하지 않은 가운데 한국의 종교민속학에서는 이미 시급한 문제로 다가 왔다. 불교민속론의 발전적 모색을 위해서는 동북아시아의 불교민속에 국한된 연구를 지양하고 동남아시아나 서남 아시아의 불교민속을 포함한 총체적 국면을 봐야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종교민속론이 나아가야할 방향이라는 종 교민속연구회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여기서는 동아시아고대학회 제현의 고견에 귀 기울이기로 하였다. 종교민속연구가 결코 한국에 국한된 종교민속만을 다루는 것이 아닌 것처럼 동아시아고대학회 역시 동아시아를 논 의의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는 또 다른 언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래서 동아시아라는 광역의 문화 영역과 어떤 종교민속이 각각 날실과 씨실이 되어 만나는 접점을 연구의 시발점 으로 삼아야 함을 전제로 내세웠다. 지금까지의 비교 연구가 개별적인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으나 이제부 터는 가령 문양이나 세시풍속에서 발견되는 종교민속을 통해 동아시아 전체를 조망하는 문화횡단에 도전해야 한다 . 그러기 위해 주목해야 하는 것이 종교민속학적 관점인데 이것은 종교민속 현상과 동아시아가 함께 만든 자수의 감상법과도 같은 것이다. 한편 사회과학이나 인문과학의 다른 영역들처럼, 문화관련 영역에서도 동아시아로 뻗어나가야 한다는 방향성에는 일단 아무도 의문부호를 달지 않는다. 그러나 인문과학이 생각하는 동아시아의 범주는 사회과학과 일치하지 않을 뿐더러 인문과학 내부에서조차 미묘한 차이가 있다. 편의적이고 통상적이라는 판단 기준은 학술적으로는 무책임하 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교민속학의 특징에 비추어 볼 때, 한자와 중화를 축으로 생각하던 과거의 발상이 과연 지 금과 앞으로의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지 의문을 갖게 되었다. 고려해야할 점은 또 있는데, 그것은 문화과학의 이론으로 중심과 주변의 주종관계가 아닌 전체와 부분의 유기적 관 계로 봐야한다는 점이다. 역사 과학에서는 토인비가 “유기적인 전체”라 표현하였다. 전체와 부분에 의한 문화구조 는 그 어느 것도 중심일 수 없고 늘 주변일 수도 없다. 인도의 범아일여(梵我一如, Brahman-Atman-Aikya) 사상 에 수렴되는 이론이라 할 수도 있겠고, 현상학에서도 관련된 논저는 연구사의 중요한 줄기를 이룰 정도이다. 그와 같은 사상적 맥락에 입각했을 때 중국은 불교의 경유지이면서 재활성 지역이고 고구려 역시 경유지이자 재활성 지 역이라는 관계성에는 차이가 없다. 마찬가지로 인도는 불교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지만 엄격히 말하면 리그베다 사 상이나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타교가 재활성된 지역이므로 같은 흐름의 관계성은 연속해서 꼬리를 무는 식이다. 한 마디로 전체가 유기체적 관계라는 인식이 중요한데 그렇게 본다면 불교는 무에서 유로 창출되었다기 보다 불교이 전부터 거듭된 재활성의 도달점이자 새로운 시작이었다. 무도 없고 유도 없다는 고대 인도의 원초적 사상 역시 그 렇게 사유되지 않았을까. 이와 같이 본다면 한자에 대한 확고부동한 가치 부여와 문화권 설정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래서 종교민속학에서는 동아시아를 아시아의 동부 지역이라는 본의로 되돌려놓고 종교민속 전반을 고찰하고자 한다. 거기서부터 종교와 어떤 민속과의 관계를 검증해야 하며, 불교는 물론이려니와 유교나 도교 가톨릭 개신교 공히 이러한 입장과 관점은 공유되어야 한다. 이상은 동아시아와 종교민속의 관계에 국한된 논술이지만 역사학이나 문학 또는 고고학이나 지리학 해양학 등 다 양한 연구 분야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동아시아고대학회는 각 분야가 생각하는 동아시아의 범주가 무엇 인지 살펴본 연후에 학회로서의 총체적 입장을 밝힐 필요가 있다. While the existing research of topics associated with East Asiais not adequate, clarifying Korean folklore of religion has become an urgent task. For more understanding Buddhist folklore, we must examine Northeast Asia along with Southeast and West Asia. Similar to how research on religious folklore is not limited to Korea, the Association of East Asia Ancient Studies has conducted research in the field of East Asia. Conventional East Asian studies still retain the model of seperate fields of study with respect to East Asia. Now, we must cross-culturally conduct research on one specific cultural phenomenon. For this reason, this paper discusses the necessity to investigate some folkloristic phenomena employing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oubt that cultural studies must consider East Asia Studies, similar to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disciplines. The range of perspective used in East Asian Studies. however, is not integrated with the social sciences. Subtle variations can be found even within humanities. Criteria of judgment, that are convenient and ordinary, continue to be used without significant academic responsibil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question arises whether previously effective Sino-centered thought continues to be relevant in the global era. Another aspect needs to be considered. Cultural structures must be perceived as an organic relation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s, and not as examples of master-servant relations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Arnold J. Toynbee also described it as an organic whole. Nothing can be a center or a periphery in the cultural studies, as they are composed of wholes and their parts. This theory converges with the Indian philosophy of Brahman-Atman-Aikya. Phenomenological arguments also account for an important part of the theory. In this intellectual context, China can be perceived as a stopover and a revitalizing region, and Koguryo as well. Likewise, though India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Buddhism, India also revitalized the Rigveda and Zoroastrianism of Persia. These relationships are impermanent.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see the whole as an organic link. Buddhism emerges from a combination of the constant revitalizations that occured before its arrival and its own new beginings, instead of simply emerging out of nothingness. I think the ancient Indian philosophy stating that there is no nothingness or being was also conceived in a similar manner. Therefore, we must reconsider Sino-centric thinking. It is necessary to redefine East Asia as the eastern part of Asia and take religious folklore into consideration. From that point of view, we must verify a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folklore. Additionally, this viewpoint has to be shared with not only Buddhism, but also Confucianism, Daoism, and Christianity. These are the featur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 and religious folklo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verse fields such as history, literature, archaeology, geography, oceanography, and so on. For these reasons, the Association of East Asia Ancient Studies should declare a perspective as an academic conference, after reviewing a range of East Asian Studies in other areas of research.

      • KCI등재

        九州 海岸島嶼와 東아시아의 戰爭 — 고대 韓․日지역세계의 대외적 교섭을 중심으로 —

        鄭孝雲 동아시아고대학회 2007 동아시아고대학 Vol.15 No.-

        본고는 3세기부터 7세기에 걸치고 대한해협을 사이에 둔 한반도의 남해 연안지역과 큐슈 북부의 해안 지역에서 전개된 전쟁 즉, 포상 8국의 전쟁, 고구려와 왜의 전쟁, 반정전쟁, 백촌강의 전투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포상 8국의 전쟁은 3세기 초 公孫씨의 帶方郡 설치로 인한 낙랑군과 구야국을 연결하는 해상 루트의 혼란과 한반도 남해안 연안 세력과 가야세력과의 해상 교역권의 질서 재편을 둘러싼 것이었다. 광개토왕릉비로 보이는 백제를 매개로 한 고구려와 왜의 전쟁은, 중국 대륙의 불안정한 정세에 연동된 4세기 초 고구려의 낙랑․대방군 지역에의 군사적인 병합에 의한 한․일 지역사회의 새로운 질서 재편에 의한 결과였다. 6세기반정의 전쟁은 일본 열도의 大和정권과 九州 북부 연안의 筑紫정권과의 싸움이었지만, 가야와 신라, 백제와 신라의 가야지역에의 세력 확장이란 정세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7세기에 전개된 백강전투는 당시의 동아시아 제국 즉, 신라와 당의 세력과 백제부흥군과 왜, 고구려 세력이 참가한 국제전이었다. 전쟁의 배경에는 중국 대륙의 당제국의 출현과 각 지역 정치 세력의 권력 집중을 매개로 한 통일 국가로의 정치적인 의지가 있었다. 이상의 전쟁은 한반도의 남해 해안의 도서와 일본 구주 북부 연안의 도서를 포함한 두 지역이 공유하는 해양이라고 하는 지리적인 공간을 무대로 전개되었지만, 한․일 지역세계에만 한정한 것은 아니고, 동아시아 세계의 정치, 외교 정세와도 밀접한 연결을 가져 전개된 특징이 있었던 것이다. 또, 이들 전쟁은 발 생 시기와 각 지역의 고대국가에의 성장과 발전, 사회경제적인 변화에 따라 관여한 정치세력의 변화는 있었지만, 대마도를 중간 기착지로서 생활을 해 온 한반도의 남해안과 큐슈 북부 연안의 도서 즉, 고대 한․일 해역세계 도서의 해상민들이 직접 관여하고 있었다고 하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고대 한일지역 세계는 바다라고 하는 자연적, 지리적인 장벽에 의해서 단절되고 있던 것은 아니고, 오히려 해양을 매개로 한 도서라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고대 한․일 지역세계 나아가서는 고대 동아시아 세계와 역사적, 전통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근세의 고대사 편찬과 쇼군의 ‘무위(武威)’ - 대외관계적 관점에서 -

        장혜진 동아시아고대학회 2024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4

        『본조통감』은 도쿠가와 막부체제의 정당성과 정통성을 확보하는 하나의 장치라고 하는 데는 이견이 없다. 일본 통치자로서 지녀야 할 전통적인 ‘무위’의 소재를 고대사 속에서 발견할 수 있고, 그 ‘무위’가 근세에 들어와 의례화되는 ‘덕’의 정치 로 변모했다고 할 수 있다. 고대 일본 통치자의 ‘무위’가 도쿠가와 쇼군의 ‘무위’로 이어진다고 보고 있으며,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고대사 인식은 과거의 인식과 다르지 않았다. 하쿠세 키의 역사학이 하야시 가호의 가호사학에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은 여러 선행연구 에서 밝혀진 바 있으며 특히 『読史余論』의 ‘공가구변설’이 그러하다. 아라이 하쿠 세키는 일본 고대의 동아시아세계에서 천황의 親征 및 親政을 일본 통치자로서의 무위(武威)로 보고 있다. 일본 고대사회는 국내적으로 親政을 하고 대외적으로 親征을 하는 천황만이 가진 권력과 권위였고 이것이 발현된 시대였다. 그러나 시대 에 따라 점차 천황의 무위는 상실되어 갔고 이는 무사정권으로 이양되었다. 그러 한 과정을 『본조통감』의 계보 속에서 찾을 수 있다. 17세기 초,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신격화 사업도 신국의 나라인 일본에서의 통치 자적 자격을 갖추기 위한 하나의 親政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작업이었고, 18세기 초까지 이어지는 화이변태기라는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화이중화질서에 편입되 지 않는 국제관계를 재편하고자 했던 일본은 親征이 아닌 외교 의례에서 쇼군의 ‘무위’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즉 동아시아세계에서 통용되는 국왕호를 쇼군의 외교 호칭으로 복호하면서 동아시아세계 속에서 일본국의 위치를 재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른바 추상화된 ‘무위’라고 할 수 있고, ‘무위’가 덕으로의 정치로 전환된 것이 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대내외적인 쇼군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시도 로, 근세 일본에서의 『본조통감』의 고대사 편찬 또한 큰 의미를 가진다 할 수 있다. The device known as “Honchotsugan” played a crucial role in legitimizing the Tokugawa shogunate systems without objection. Additionally, the concept of “BUI” as the supreme ruler of Japan has roots in ancient history. Ancient Japanese rulers in East Asia showed “BUI” through military conquests (親征) or in the direct political (親 政) rule of the Japanese Emperor (天皇). Essentially, “BUI” symbolized the Emperor’s power and authority. Over time, this this authority shifted to the samurai world as the Emperor’s power waned, as evidenced by the genealogy recorded in “Honchotsugan”. In the early modern era of peace, “BUI” evolved into a ritualized virtue.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deification of Tokugawa Ieyasu aimed to establish his qualifications as Japan’s ruler, part of the Shogun’s direct political efforts. Concurrently, during the Kaihentai (華夷変態) transformation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Arai Hakuseki sought to integrate ceremonial and virtuous aspects of “BUI” into the reorganiz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transformation emphasized the emperor’s ceremonial role in external relations, rather than military conquesst, emphasizing the diplomatic name of the shogun. These endeavors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relate closely to the compilation project of “Honchotsugan” in early modern Japan.

      • KCI등재

        일본 고대국가의 蕃관념의 특수성 - 천하관의 특징을 중심으로 -

        정진아 동아시아고대학회 2007 동아시아고대학 Vol.16 No.-

        고대의 동아시아에 있어 왕권강화의 논리의 하나로서 천하관은 필수불가결한 관념이었으며, 이민족들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중국 및 삼국과는 달리, 고대 일본의 경우는 주변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성립할 수 없었고, 호족들을 포섭해가는 과정 속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고대 일본의 천하관은 호족들의 통합 과정과 이에 따른 천황권 통치의 강화 속에서 형성된 개념이기 때문에 고정적일 수밖에 없으며 천황이 존재하는 한 영속적인 성격의 내부통치의 이데올로기로서 기능할 수밖에 없는 한계성을 가진다고 하겠다. 또한 호족의 복속화 작업과 맞물려서 진행되는 왕권강화과정은 통치 질서 내부에 이질적이고 배타적인 존재가 있어야만 유지되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었다. 즉 化外人이 천황의 덕화가 미치는 化內人으로 된다는 것은 化外人의 배타성을 더욱더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바로 이러한 천황통치의 이데올로기를 化外人을 통해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또한 化外人에 대비되는 化內人이라는 신분표상은, 일본 사회 내에서 천황의 덕을 받고 산다는 동질의식을 통하여 내부통치의 강화 이데올로기로서 작용하였다고 생각한다. 물론 율령국가 체제의 정비와 함께 일본의 천하관도 대외관계를 의식한 설정으로 바뀐다. 즉 중국을 隣國으로, 발해와 신라를 蕃國으로 설정하지만, 이러한 구도 설정은 실질적인 외교상에서 실재하기 어려운 논리이며, 蕃이 소멸하면 일본의 천하관은 무너지게 된다. 따라서 일본사회 내에 또 하나의 번을 설정함으로서 영구불멸의 항상적인 번의 지배를 가능케 하는 존재가 바로 도래계 씨족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도래인들은 蕃人으로 파악되었으며 도래계 씨족들이 다른 이민족들과는 달리 改姓, 授位, 천황권의 강화와 관계된 의식의 襲職등을 통하여 천황과의 계속적인 관계 설정이 요구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즉 이러한 지속적인 관계의 설정은 왕민화의 과정이 종결되지 않았다는 것이며, 일본사회에 동화된 도래계 씨족들을 蕃人으로 파악하여 일본사회 내에서 다원적세계의 지배자라는 논리를 통하여 백성들의 복속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천황의 내부통치 강화논리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As part of the logic for strengthening the throne, a world-view was most likely an essential and indispensable concept. Unlike China's ‘Four Foreigners to Follow One Order’ policy and in the case where the Three Korean States actually shared borders with foreign nations, ancient Japan could not be established from the relationship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instead can be said to have been formed in the process of winning over powerful clans. Therefore, the Emperor system of Japan has the unique feature that it could be maintained only when there is a heterogeneous and exclusive existence within the ruling order. With the system of legal codes, the Japanese world-view also changed to a configuration that became aware of foreign relations. In other words, they set China as a neighboring country and Balhae, Shilla and other foreign nations as foreign countries, but another group of foreigners was set within Japan as well. This kind of composition is, for practical purposes, a difficult logic to exist in reality in foreign affairs, and once foreigners cease to exist, Japan's world-view will also be destroyed. Thus, by setting another group of foreigners within the Japanese society, clan of the overseas origin became an existence that made perpetual and constant domination over foreigners possible. Clan of the overseas origin were recognized as foreigners and unlike other immigrants, the clan of the overseas origin had the unique characteristic that a continuous relationship configuration with the Emperor through fulfillment of formal duties related to changing surnames, appointment to positions and strengthening of the Emperor's throne were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문화콘텐츠로서 한국 관왕묘제(關王廟祭)의 복원 가능성과 활용 전략

        이하나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4

        관왕묘제(關王廟祭)란 ‘관왕묘(關王廟)에서 관왕(關王)으로 추존된 관우(關羽)에 게 제사를 올리는 의례’를 의미한다. 관왕묘(關王廟)는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홍콩, 한국, 일본, 싱가포르, 태국 등 동아시아 전역에 설치되어 있다. 관왕묘가 설치되어 있는 나라는 모두 관우를 기리고 숭상하는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데,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이런 나라에서 관우를 기리는 양상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한국에도 관왕묘(關王廟)가 존재한다. 한국에 관왕묘가 처음으로 건립된 시점은 임진왜란 때인 1597년이었고, 당시 관왕묘의 건립은 문치주의(文治主義) 국가인 조 선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사건이었다. 관왕묘가 건립된 후 명나라 장수들은 선조에 게 친제(親祭)를 요구했다. 당시 선조가 관왕묘에서 재배례(再拜禮)를 시행하면서 관왕묘제는 조선의 사전(祀典)에 편재된다. 관왕묘제는 이후 조선의 국가 제례로써 명맥을 이어갔지만, 고종대인 1908년 향사이정으로 인해 폐지되었고 현재까지 복 원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관왕묘제는 국가 사전에 편재된 국가의례이며, 이러한 국가의례는 선조 (先祖)들의 정신을 담은 전통 문화 유산이자 살아있는 역사 그 자체라고 할 수 있 다. 무엇보다도 관왕묘제는 악(樂)․가(歌)․무(舞)가 총체적으로 결합된 종합예술 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 문화유산으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더하여 동아시아 국가 전역에서 공동으로 간직하고 있는 문화유산이라는 점을 살 폈을 때, 21세기인 현재에도 여전히 동아시아 보편 문화유산으로 기능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런 점에 입각하여 본고는 글로벌 문화콘텐츠로서 한국 관왕묘제의 복원 가능 성과 그 활용의 전략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동아시아 보편 문화유산인 관왕 묘와 관왕묘제의 한국적 특수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가치 있는 콘텐츠로 복원하는 방법을 고민하였고, 글로벌 문화콘텐츠로서 한국 관왕묘제 활용의 전략과 의미를 다각도로 살폈다. 이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관왕묘 및 관왕묘제의 특별한 기준이 될 한국 관왕묘 제 복원의 단초를 제공하고, 그동안 외면당했던 한국 관왕묘제의 가치를 자각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러한 노력으로 세계인이 동아시아 보편 문화 로서의 관왕묘 및 관왕묘제를 한국에서도 향유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Kwanwangmyo Ritual is the ritual of offering sacrifices to Kwanwoo, who was revered as Kwanwang at Kwanwangmyo Shrine. Kwanwangmyo Shrines are established across East Asia, including China, Taiwan, Hong Kong, Korea, Japan, Singapore, and Thailand. All countries with Kwanwangmyo Shrines have a culture of honoring and revering Kwanwoo, with each country having a different way of honoring Kwanwoo. The first Kwanwangmyo Shrine was established in Korea in 1597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its establishment was an unacceptable incident in the Joseon Dynasty, a country whose elite society was structured around literacy during that time. After Kwanwangmyo Shrine’s construction, Ming Dynasty generals demanded that King Seonjo conduct the ritual himself. As King Seonjo practiced re-baptism at the Kwanwangmyo Shrine, the Kwanwangmyo Ritual became omnipresent in the ritual codes of JoseonSince then,T, and continued as a national ritual in Joseon butuntil it was abolished in 1908 withbythe Hyangsajeong of King Gojong and has not been restored since. However, the Kwanwangmyo Ritual is a national ritual omnipresent in the national ritual codes and forms a part of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living history, preserving the spirit of our ancestors. Furthermore, the Kwanwangmyo Ritual has significant value in ou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s a comprehensive art that combines instrument, song, and dance. Moreover, given that it is a cultural heritage shared by all East Asian countries, the Kwanwangmyo Ritual still has the potential to serve as a universal item of the cultural heritage of East Asia, even in the 21st century. Based on this fact, this paper examinesd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the Korean Kwanwangmyo Ritual as a global cultural content and exploresd the meaning of its restoration. We especially consider ways to restore the Kwanwangmyo Shrine and Kwanwangmyo Ritual, which are items of a universal cultural heritage in East Asia, into valuable contents to reveal Korea’s uniqueness, and examine the meaning of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Kwanwangmyo Ritual as a global cultural content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will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Kwanwangmyo Ritual, which will become a special standard for the Kwanwangmyo Shrine and Kwanwangmyo Ritual in East Asia, while providing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 neglected Korean Kwanwangmyo Ritual.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se efforts will enable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to experience the Kwanwangmyo Shrine and Kwanwangmyo Ritual in Korea as universal cultural items of East As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