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북부 산지초지에서 국내육성 목초 이용 불경운 초지조성 혼파조합이 목초 생산성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최기춘,김원호,최기준,Jung, Jeong Sung,Choi, Ki Choon,Kim, Won Ho,Choi, Gi J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는 평창지역의 산지초지에서 국내 육성 신품종 오차드 그라스와 톨 페스큐를 이용한 혼파조합이 초지의 연차별 생산성과 식생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북부지역 산지초지 겉뿌림 초지조성에 가장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처리는 4처리로 T1 : 수입 톨 페스큐 위주 혼파조합, T2 : 수입 오차드그라스 위주 혼파조합, T3 : 국내 오차드그라스 위주 혼파 조합, T4 : 국내 톨 페스큐위주 혼파조합 이었다. 혼파조합별 월동 후 생육조사 결과 목초 식생비율은 모두 90% 이상, 분얼 3개 이상, 정착개체수 40개(30×30cm)이상으로 월동 전 생육은 우수하였다. 혼파조합별 초지 식생에서 중북부지역에서는 혼파조합에 관계없이 오차드그라스가 46%에서 최고 89%로 주초종이었으며 켄터키블루그라스는 오차드그라스 다음으로 많은 초종으로 5%에서 최대 26% 식생비율을 보였고 상번초의 비율이 낮아졌을 때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증가하였다. 티모시의 경우 중북부지역에서 1차와 2차시기에 식생비율이 높아졌다가 3차와 4차시기에 낮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초장의 경우 혼파조합별 유의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4년간의 건물수량을 살펴보면 국내 목초를 이용한 혼파조합인 T3 (7,633 kg ha<sup>-1</sup>)와 T4 (7,570 kg ha<sup>-1</sup>)는 수입목초를 이용한 혼파조합 T1 (6,950 kg ha<sup>-1</sup>)과 T2 (6,934 kg ha<sup>-1</sup>)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북부(평창) 지역에서는 초종별 파종 비율보다는 국내 국외품종에 의한 영향이 수량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국내품종이 상대적으로 영속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초지의 영속성과 건물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국내개발 오차드그라스 위주 혼파조합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ed mixture using new domestic grass varieties orchardgrass 'Onnuri' and tall fescue 'Greenmaster'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vity from 2015 to 2018 in oversown hilly pasture, the central northern area of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sisted of 4 mixed grasses (Treatment 1 : tall fescue oriented mixture with imported varieties; Treatment 2 : orchardgrass oriented mixture with imported varieties; Treatment 3 : orchardgrass oriented mixture with domestic varieties, Treatment 4 : tall fescue oriented mixture with domestic varieties). Evaluation of seasonal changes in botanical composition of pasture showed that orchardgrass was the highest in all treatments, ranging from 46 to 89% and Kentucky bluegrass was the second highest in all treatments. Treatment 3 (7,633 kg ha<sup>-1</sup>) and Treatment 4 (7,570 kg ha<sup>-1</sup>), mixed grasses using domestic varieties, were show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than Treatment 1(6,950 kg ha<sup>-1</sup>) and Treatment 2 (6,934 kg ha<sup>-1</sup>), which were mixed grasses using introduced varieties.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orchard grass oriented grasses mixture with domestic varieties was good for grassland vegetation and productivity in oversown hilly pasture, the central northern area of Korea.

      • KCI등재

        중부지역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파종시기 이동이 겉뿌림 초지의 식생변화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최기춘,김원호,김현섭,최기준,Jung, Jeong Sung,Choi, Ki Choon,Kim, Won Ho,Kim, Hyeon Shup,Choi, Gi J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천안지역에서 겉뿌림 초지조성 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산지초지 조성에 적합한 피종시기를 설정하고자 2015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천안시 소재 국립축산과학원 축산개발부 구릉지에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총 4처리로 8월 18일 파종, 9월 1일 파종, 9월 15일 파종, 9월 29일 파종이었다. 월동 후 생육조사에서 8월 18일 파종과 9월 1일 파종이 목초 93%로 가장 우수한 식생을 보였고, 9월 29일 파종은 목초 75%, 잡초 25%로 약간 저조한 식생을 보였다. 분얼의 경우 8월 18일 파종이 7.2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월 29일 파종이 3.7개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개체의 경우 9월 1일 파종과 9월 15일 파종에서 75개($30cm{\times}30c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8월 18일 파종에서 49개($30cm{\times}30cm$)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률은 전체적으로 87에서 92%로 높게 나타났다. 2016년 1차 예취 시기를 보면 9월 1일 파종이 목초 96%, 잡초 4%,로 가장 우수한 식생을 보였으며 9월 29일 파종은 목초 88%, 잡초 12%로 양호한 식생을 보였다. 2016년 1차 예취 시기에서 초종구성을 보면 일찍 파종할수록 톨 페스큐의 비율이 높았고 늦게 파종할수록 상대적으로 오차드그라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017년 1차 예취시기에서는 목초의 식생비율이 87에서 95%로 양호하게 나타났지만 2차 예취시기부터 잡초의 비율이 50% 이상으로 높아졌다. 이는 5월부터 7월까지 극심한 가뭄으로 목초가 크게 피해를 받아 상대적으로 잡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총 건물수량은 8월 18일($13,632kg\;ha^{-1}$)파종과 9월 1일($13,988kg\;ha^{-1}$)파종이 9월 15일($11,883kg\;ha^{-1}$)파종과 9월 29일($11,459kg\;ha^{-1}$)파종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부지역에서는 되도록 9월 초까지 파종을 완료하는 것이 식생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ing dates on grassland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oversown pasture located in Cheonan of South Korea. Four treatment group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seeding dates: 18th August, 1st September, 15th September and 29th September. Evaluation of seasonal changes in botanical composition of pasture showed that the highest ratios of grass in 18th August and 1st September (pasture species 93% and weeds 7%) and the lowest in 15th September (pasture species 75% and weeds 25%). In the plant length, there i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5% probability level. In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grass, 18th August ($13,362kg\;ha^{-1}$) and 1st September ($13,988kg\;ha^{-1}$) were higher than 15th September ($11,883kg\;ha^{-1}$) and 29th September ($11,459kg\;ha^{-1}$). The findings of the this study suggest that seeding by early September the most desirable results for botanical composition and grassland productivity in oversown pasture, Cheonan of South Korea.

      • KCI등재

        중부지역 부실 산지초지에서 국내육성 신품종 목초 이용 혼파조합이 식생구성 및 건물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김현섭,박형수,최기춘,이상훈,지희정,최기준,김원호,Jung, Jeong Sung,Kim, Jong Geun,Kim, Hyeon Shup,Park, Hyung Soo,Choi, Ki Choon,Lee, Sang Hoon,Ji, Hee Jung,Choi, Gi Jun,Kim, Won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는 부실 산지초지에서 국내육성 품종을 이용한 혼파조합이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중부지역 산지초지 갱신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고자 2013년 8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서산시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의 경사초지에서 수행되었다. 대상지는 pH가 산성이었고 유기물의 함량은 높았으며, 애기수영 및 고사리 등이 일부 우점되어 있는 중급정도의 초지였다. 초기생육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출현되었고 월동 후 초장은 5~6cm, 분얼은 3~5개 정도로 양호하였지만 목초 식생비율이 66~75%로 악성잡초로 인하여 목초 정착이 불량한 부분이 발견되었다. 초지식생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구는 목초 및 잡초의 식생비율변화 폭이 크지 않았으며 여름철 잡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all fescue 위주 혼파조합을 부실초지에 보파한 결과 목초 비율이 80%정도까지 증가하여 대조구 대비 우수한 식생을 보였다. 조성 초기에는 orchardgrass비율이 높았지만 3년차(2016) 부터는 tall fescue비율이 증가하였고 상대적으로 orchardgrass의 비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Orchardgrass 'Kordione'과 Orchardgrass 'Onnuri'위주 혼파조합은 유사한 식생비율 변화를 보였으며 부실초지에 보파한 결과 목초 비율이 80%정도까지 증가하여 우수한 식생을 보였고 봄철에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차가 지속될수록 하번초인 Kentucky bluegrass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성에서 tall fescue(Greenmaster)위주 혼파조합은 3년차에서 tall fescue가 안정적으로 정착하면서 대조구 및 orchardgrass(Kordione, Onnuri)위주 혼파조합 보다 잡초침입 없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량을 보였다. 연차별로 보면 2년차에서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시험구에서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3년차 때 대조구와 tall fescue위주 혼파조합은 변화가 크지 않았지만 orchardgrass위주 혼파조합의 수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해보면 중부지역에서 부실초지를 갱신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혼파조합은 tall fescue(Greenmaster)위주 혼파조합이었지만 orchardgrass(Kordione, Onnuri)위주 혼파조합의 경우 조성 후 2년차가 넘어가면서 수량감소가 나타나기 때문에 2년차 때 목초를 보파해준다면 우수한 식생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over seeding using new grass varieties orchardgrass 'Kordione' and 'Onnuri', and tall fescue 'Greenmaster'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vity from 2013 to 2016 in low productivity hilly pasture, middle area of Korea. There were used 3 grass seed mixture types made of different compositions and amounts {T1: control - no over seeding, T2: tall fescue (TF) 'Greenmaster' $18kg\;ha^{-1}$, orchardgrass (OG) 'Kordione' $9kg\;ha^{-1}$, Perennial ryegrass (PRG) 'Linn' $5kg\;ha^{-1}$, and Kentucky bluegrass (KBG) 'Kenblue' $2kg\;ha^{-1}$, T3: TF 'Greenmaster' $9kg\;ha^{-1}$, OG 'Kordione' $18kg\;ha^{-1}$, PRG 'Linn' $5kg\;ha^{-1}$, and KBG ' Kenblue' $2kg\;ha^{-1}$, T4: TF 'Greenmaster' $9kg\;ha^{-1}$, OG 'Onnuri' $18kg\;ha^{-1}$, PRG 'Linn' $5kg\;ha^{-1}$, and KBG 'Kenblue' $2kg\;ha^{-1}$}.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grassland, T1 nearly remained constant in other seasons while ratio of weeds were increased in summer season. T2 was better than control (T1) in portion of grass ratio, which has increased by 80%. In the early time of establishment, the portions of OG were increased in T2, but TF rate was increased after 3 years later when grass was established. T3 and T4 showed a very similar patterns, grass ratio had increased by 80% and the portion of KBG had increased as time passed. T2 ($129,763kg\;ha^{-1}$) was show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than other treatments (T1: $6,756kg\;ha^{-1}$, T3: 9641, and T4: 10,738) in 2016.

      • KCI등재

        애기수영 우점 산지초지에서 식생개선 기술적용이 식생구성 및 건물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박형수,이상훈,김원호,김현섭,김영진,이효원,최기준,Jung, Jeong Sung,Kim, Jong Geun,Park, Hyung Soo,Lee, Sang Hoon,Kim, Hyeon Shup,Kim, Won Ho,Kim, Young Jin,Lee, Hyo won,Choi, Gi J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애기수영 우점 초지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식생개선 기술을 적용하여 갱신한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 추이를 분석해보고 개량효과를 생태적 방법으로 고찰해 보고자 2013년 8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강원도 평창의 방목용 초지에서 수행되었다. 토양개량을 위해 석회를 $2MT\;ha^{-1}$의 양으로 2회 시용한 결과 pH 4.69에서 5.47까지 향상되었으며, 이후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pH 4.91에서 4.98 수준을 유지하였다. 초장은 식생개선구가 모든 방목 시기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방목 후 초장은 12~18 cm 사이로 대조구와 식생개선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초지 식생구성은 목초의 비율이 증가되었고 잡초(애기수영)의 비율은 12%에서 2%까지 감소하였다. 목초는 orchardgrass와 timothy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Kentucky bluegrass의 식생비율이 증가하였고 tall fescue의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방목두수는 한우 20두로 2014년도 총 방목기간은 58일이었고, 2015년도는 55일 이었다. 가축의 총 건물섭취량의 경우 2014년은 $7,848kg\;ha^{-1}$이었고 2015년에는 $6,941kg\;ha^{-1}$로 2014년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평균 초지 가축 이용률은 2014년도 84%로 2015년도 79%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목초의 건물수량은 2014년도 1차 방목에서 대조구는 $3,437kg\;ha^{-1}$로 식생개선구 $5,460kg\;ha^{-1}$ 보다 생산량이 59% 증가되었고, 2015년도 총 건물수량에서 대조구는 $5,742kg\;ha^{-1}$로 식생개선구 $8,685kg\;ha^{-1}$ 보다 51% 건물수량이 증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Improvement of Botanical Composition Technology (IBCT)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a Rumex acetosella-dominated hilly pasture in Pyeongchang, in a period from August 2013 to the end of growing season in October 2015. $2MT\;ha^{-1}$ limestone was applied in August 2013 and April 2014. Liming significantly increased soil pH from 4.69 to 5.47 and then the soil pH consistently hovered at 4.91~4.98. For every grazing time, plant height was found to be higher with the application of IBC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After graz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height was found between the IBCT group and the control. Changes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grassland can be affected by a lot of circumstances, but application of IBCT decreased Rumex acetosella from 12% to 2%, while also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pasture. In relation to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grass, orchardgrass and timothy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s throughout the whole study period. The proportion of Kentucky bluegrass increased over time while tall fescue steadily decreased. The totals for grazing days were 58 in 2014 and 55 in 2015. Average herbage dry matter intake was $7,848kg\;ha^{-1}$ in 2014 and $6,941kg\;ha^{-1}$ in 2015. Due to the application of IBCT, dry matter productivit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59% during the first grazing period in 2014 (3,437 kg ha and 5,460 kg ha in control and IBCT). In 2015,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the IBCT group was 51% greater than the control ($5,742kg\;ha^{-1}$ and $8,685kg\;ha^{-1}$ in control and IBCT). Under acidic soil conditions, red sorrel can grow more strongly than grasses because it has better tolerance in dry and acidic conditions. Therefore, constant management is required in order to keep red sorrel from dominating the hilly pasture.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IBCT was able to effectively control weeds at all points. As a result, total management, including improvement of soil, overseeding, and application of selective herbicide and fertilizer, is needed to maintain excellent grassland conditions due to the limi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grassland productivity.

      • KCI등재

        평창지역에서 겉뿌림 산지초지 조성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생산성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김현섭,지희정,최기춘,최기준,최보람,오승민,김원호,Jung, Jeong Sung,Kim, Jong Geun,Kim, Hyeon Shup,Ji, Hee Jung,Choi, Ki Choon,Choi, Gi Jun,Choi, Boram,Oh, Seung Min,Kim, Won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ing dates on grassland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oversown hilly pasture located in Pyeongchang of South Korea. Four treatment group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seeding dates of grass mixture: T1, August 13; T2, August 27; T3, September 10; and T4, September 24. Evaluation of seasonal changes in grass botanical composition revealed the highest ratios of grass in T1 and T2 (81-100% grass) and the lowest in T4 (46-90 % grass). In the plant length, the first harvest time was longer than other cutting times and last harvest time was the lowest.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grass was highest in T2 ($9,042kg\;ha^{-1}$) and T1 ($8,845kg\;ha^{-1}$) and lowest in T4 ($5,086kg\;ha^{-1}$).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seeding by late August provide the most desirable results for vegetation and grassland productivity in oversown hilly pasture, Pyeongchang of South Korea. 본 연구는 평창지역의 산지에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평창지역의 산지초지 조성에 적합한 피종시기를 설정하고자 2015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의 산지에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총 4처리로 T1: 8월 13일 파종 T2: 8월 27일 파종, T3: 9월 10일 파종, T4: 9월 24일 파종이었다. 월동 후 초지 식생구성을 보면 T1과 T2까지는 목초 식생비율이 98%이상으로 높은 식생밀도를 보였지만 T3이후부터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분얼의 경우 T1과 T2에서 4.4개 이상으로 양호하였지만 T3이후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초기 월동률의 차이는 이후 목초의 식생 및 생산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연차별 식생변화를 보면 T1과 T2의 경우 목초 비율이 81%이상으로 우수하였지만 T4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전체 건물 수량의 경우 T2와 T1이 각각 $9,042kg\;ha^{-1}$와 $8,845kg^{-1}$로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T4의 경우 $5,086kg\;ha^{-1}$로 건물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평창지역에서 8월 말까지 파종을 완료 한 경우 목초 월동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식생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겉뿌림 산지초지에서 목초 파종량이 초지의 생산성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김현섭,박형수,최기춘,지희정,최기준,오승민,Jung, Jeong Sung,Kim, Jong Geun,Kim, Hyeon Shup,Park, Hyung Soo,Choi, Ki Choon,Ji, Hee Jung,Choi, Gi Jun,Oh, Seung Mi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산지초지에서 목초 파종량이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산지초지 조성에 적합한 파종량을 설정하고자 2015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평창군의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과 천안시의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2개소에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총 4처리로 T1: 기준 파종량 대비 50%감량, T2: 기준 파종량(평창 $37kg\;ha^{-1}$, 천안 $34kg\;ha^{-1}$), T3: 기준 파종량 대비 50% 증량, T4: 기준 파종량 대비 100%증량 이었다. 월동 후 생육조사에서 T1이 목초 63%, 잡초 24%, 나지 13%로 가장 불량하였으며 T3와 T4는 목초 90%이상으로 매우 우수한 식생을 보였다. 분얼은 T1이 6.53개 (본/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4가 4.49개(본/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 개체수는 T4가 62개($30{\times}30cm$)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1이 44 ($30{\times}30cm$)개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률은 T1에서 92%로 가장 높았고 T4에서 7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목초 식생은 2016에서 T2, T3, T4에서 목초 비율이 87~100%로 우수한 식생을 보였고 T1의 경우 목초 비율이 75~92%정도로 나타났다. 2017년도 목초 식생은 T1의 경우 1차 예취시기에서는 목초비율이 91% 였지만 4차 예취시기에서 75%까지 떨어졌다. 2017년 T2, T3, T4에서 목초의 비율은 79~95%의 양호한 식생을 유지하였다. 초장의 경우 유의적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2016년 목초 건물 생산성은 T4 ($13,576kg\;ha^{-1}$)와 T3($12,727kg\;ha^{-1}$)가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T1 ($9,583kg\;ha^{-1}$)과 T2 ($10,925kg\;ha^{-1}$)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2017년 전체 건물 생산성을 보면 T3 ($9,598kg\;ha^{-1}$)와 T4 ($9,294kg\;ha^{-1}$)가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T1 ($6,809kg\;ha^{-1}$)과 T2 ($8,117kg\;ha^{-1}$)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2016년과 2017년 전체건물수량을 종합해보면 T4 ($11,435kg\;ha^{-1}$)와 T3 ($11,162kg\;ha^{-1}$)가 상대적으로 T1 ($8,196kg\;ha^{-1}$)과 T2 ($9,521kg\;ha^{-1}$)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겉뿌림 산지초지 조성시 기준량 대비 50%에서 100%증량은 목초의 정착률 및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eeding rate of a seed mixture on grassland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Seeding rates were composed of four different treatments varying by the amount of seed: T1, 50% decrease in seeding rate from standard; T2, standard seeding rate; T3, 50% increase in seeding rate from standard; and T4, 100% increase in seeding rate from standard. In 2016, seasonal changes in grass botanical composition revealed T2, T3, and T4 in portion of grass ratio were the highest with a range of 87-100%, whereas T1 was the lowest of all treatments. In 2017, the botanical composition in T1 showed that the grass ratio in of the first cutting was 91%, but in the fourth cutting its ratio decreased by 75%. The results from both years were combined for each treatment, T4 ($11,435kg\;ha^{-1}$) and T3 ($11,162kg\;ha^{-1}$) demonstrat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of the treatments (T1: $8,196kg\;ha^{-1}$; T2: $9,521kg\;ha^{-1}$) (p<0.05). As a result, a 50-100% increase in the seeding rate from the standard demonstrated the best grassland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 KCI등재

        파종 방법과 토양처리용 제초제 처리가 수수 ×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이기원,최기춘,지희정,박형수,김원호,김영진,이상학,이상훈,Jung, Jeong Sung,Lee, Ki-Won,Choi, Ki Choon,Ji, Hee Jung,Park, Hyung Soo,Kim, Won Ho,Kim, Young-Jin,Lee, Sang Hak,Lee, Sang-Ho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5 No.1

        본 시험은 사료용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파종방법 및 제초제 종류에 따른 약해 및 생산성을 비교하여 안전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제초제 종류별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in vitro 조건에서 발아율 분석결과 control > simazine > methaventhiazuron > alachlor 순으로 나타났으며 alachlor 처리시 shoot의 길이는 1~1.3 cm 범위로 무처리 4.37 cm와 비교했을 때 약 1/4배 정도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root는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alachlor는 shoot 보다 root에 약해를 더 심하게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시험에서 제초제 종류에 따른 약해는 in vitro 시험과 마찬가지로 alachlor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났으며 파종방법에서는 조파가 약해를 더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주수의 경우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에서 적었으며 제초제 처리시 파종방법에 따라 조파의 경우보다 산파에서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 처리에 따른 잔주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건물수량의 경우 제초제 종류별로 보면 조파의 경우 simazine과 methabenzthiazuron에서 각각 무처리 대비 101%와 99%의 수량을 보였고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에서는 각각 무처리 대비 32%와 56%였다. 산파의 경우 simazine과 methabenzthiazuron에서 각각 무처리 대비 89%와 84%의 수량을 보였고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에서는 각각 무처리 대비 13%와 29%로 나타났으며, alachlor 보다 simazine과 methabenzthiazuron이 건물수량 감소가 적었으며 제초제 처리시 산파보다 조파가 alachlor에 대한 약해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DN 수량 역시 건물수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alachlor와 simazine + alachlor 모두에서 TDN 수량이 가장 낮게 나왔으며 제초제 처리시 산파보다는 조파의 경우가 제초제 시용에 따른 수량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ing method and pre-emergence herbicides on weed control and the production of the $sorghum{\times}sudangrass$ [sorghum bicolor (L.) Moench] hybrid under field and in vitro conditions. Under the in vitro condition, we evaluated how different kinds of herbicides affect the rate of seed germination and the growth of early seedlings in the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treated with herbicides. Simazine, alachlor, and methabenzthiazuron were used, and their concentration levels were 0%, 40%, 70%, and 100%. The germination ratio of the seeds was reduced by the application of simazine, methabenzthiazuron, and alachlor compared with the control (distilled water). The alachlor application severely decreased the sorghum germination ratio. However, seed germination was not greatly influenced by the concentration level of the herbicides. Root and shoot length were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control > simazine > methabenzthiazuron > alachlor. Overall, alachlor significantly reduced root length more than shoot length. The differential tolerance of the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to pre-emergence herbicides by seeding method was then tested under the field condition. The plants were severely injured by the alachlor application, leading to a great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ems. However, for the simazine and methabenzthiazuron applications the number of stems lost was slightly lower than it was for the alachlor and simazine + alachlor applications. In the seeding method, drilling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herbicide injury than broadcasting. All of the herbicides effectively controlled weeds. The simazine and methabenzthiazuron application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DM) yield. However, the alachlor and simazine + alachlor applications severely reduced the DM yiel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lachlor appli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lant production. Similarly,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 was greatly reduced by the alachlor and simazine + alachlor applications. From the results presented above, we concluded that the yield of DM was the highest for broadcasting with no herbicide. and drilling was the most-effective way to reduce herbicide injury. The simazine application was the most-effective herbicide, showing the highest forage yield and TDN yield.

      • KCI등재

        천안지역 논에서 청보리 후작으로 사료용 벼 및 사료 피를 이용한 조사료 생산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정종성(Jeong Sung Jung),이배훈(Bae Hun Lee),최보람(Bo Ram Choi),한옥규(Ouk Kyu Han),박형수(Hyung Soo Park),최기춘(Ki Choon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9

        본 연구는 중부지역 논에서 동계사료작물인 청보리 ‘영양’과 후작으로 하계사료작물인 사료용 벼‘영우’와 사료피 ‘제주피’를 파종하여 생육특성과 생산성을 평가하여 논에서 안정적으로 조사료를 연중 생산할 수 있는 작부체계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청보리(황숙기)의 건물수량은 5,136~6,623 kg/ha, 사료용 벼(황숙기)는 16,664 kg/ha 그리고 사료 피(출수기)는 9,870 kg/ha을 나타냈다. 그리고 청보리와 사료용 벼 그리고 사료 피의 작부체계에 의한 총 건물수량은 각각 21,800 kg/ha, 16,493 kg/ha으로 사료용 벼가 약 32% 높게 나타났다(p<0.05). 비록 사료용 벼가 생산성에서는 높았지만 사료 피는 재배기간이 짧고 사료가치와 생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응급조사료 등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ouble cropping system using forage barley (FB) Youngyang, whole crop rice (WCR) Yeongwoo, and barnyard millet (BM) Jeju native over two years (from late September to early October). FB, WCR, and BM were sown in an experimental field (3×4m² plot) of the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Development, Cheonan, South Korea, and harvested in the middle of May or early October. Dry matter (DM) yields of FB and WCR harvested at the yellow stage were 5,136~6,623 kg/ha and 16,664 kg/ha, respectively. DM yield of BM harvested at the heading stage was 9,870 kg/ha. Total DM yields were 21,800 kg/ha for FB+WCR and 16,493 kg/ha for FB+BM, which was significant (p<0.05). The study shows that summer forage crop selection is important to ensure stable forage crop production using a double cropping system based on summer forage crops after harvesting FB.

      • KCI등재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 초지환경과 관리기술의 차이가 초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최기준,정종성,최기춘,황태영,김지혜,김원호,이은자,성경일,이기원,Choi, Gi Jun,Jung, Jeong Sung,Choi, Ki Choon,Hwang, Tae Young,Kim, Ji Hye,Kim, Won Ho,Lee, Eun Ja,Sung, Kyung Il,Lee, Ki-W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 초지환경과 재배기술의 현장실천 정도에 따른 초지 생산성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7부터 2018년까지 수행되었다. 2017년 10개소 초지의 평균 건물수량은 7,492 kg/ha이었으며 초지별로는 4,652~13,292 kg/ha 범위로서 차이가 많았으며, 초지별 최소유의차는 1,577 kg/ha이었다(p<0.05). 2018년 10개소 초지의 평균 건물수량은 7,914 kg/ha이었으며 초지별로는 3,927~12,372 kg/ha 범위로서 차이가 많았으며, 초지별 최소유의차는 1,464 kg/ha이었다(p<0.05). 재배 환경 중에서 강수량과 평균온도는 초지 건물수량과 상관이 없었으나 초지토양의 비옥도와 건물수량 간에는 고도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시비관리 및 초지보파 등 초지관리기술의 현장적용 정도와 건물수량 간에는 고도의 상관(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리나라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초지의 건물수량 증가를 위해서는 초지 관리기술의 현장실천과 초지토양 비옥도 증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ultivation techniques on productivity of grasslands in central and southern area of Korea on 2017 and 2018. Average dry matter yield of grasslands at 10 actual production sites was 7,496 kg/ha. that was ranged from 4,652 to 13,292 kg/ha with least significant difference(LSD) of 1,577kg/ha between grasslands (p<0.05) on 2017. Average dry matter yield of grasslands at 10 actual production sites was 7,914 kg/ha. that was ranged from 3,927 to 12,372 kg/ha with LSD of 1,577kg/ha between grasslands(p<0.05) on 2018. Dry matter(DM) yield of grasslands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soil fertility (p<0.01) but not correlated with rainfall and air temperature among cultivation environments. And also DM yield of grasslands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grassland management techniques(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es of grassland management techniques and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are more important than cultivation environments by climate change for increasing the DM yield of grassland in central and southern area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