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s connotations symboliques de l’eau dans La Chair et le Sang et dans Galigaï de François Mauriac : une image ambivalente de la relation de l’homme à la nature

        이중민 한국프랑스학회 201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4 No.-

        프랑쏘아 모리악은 두 소설 « La Chair et le Sang »과 « Galigaï »에서 또 시적 언어로써 자연배경의 하나인 물의 이미지를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작가는 물의 여러 모양, 피레네의 원시림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급류, 평원을 굽이치는 강물 그리고 지롱드 지척의 술렁거리는 대양의 물을 그려낸다. 그는 물의 다양한 움직임을 보지 못하고 지나치지 않는다. 독자는 대서양의 요동치는 격렬함과 가론느의 일상적인 유순함의 대비를 곧 알게 된다. 등장인물의 삶의 터전에 관여하는 물의 외관에만 작가가 애정을 표시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그는 소곤거리는 물, 포효하는 물을 꼼꼼하게 그려냄으로써 독자의 또 다른 감각을 일깨운다. 그의 물은 계절과 장소의 다름에 따라 얼음처럼 차고 샘물처럼 상쾌하고 그리고 한 여름 양어장의 물처럼 미지근하기도 하다. 그의 물은 바람에 석인 빗물이 되어 때로는 매혹적인 향기를 때로는 썩은 수렁의 악취를 실어다 주기도 한다. 프랑쏘아 모리악의 물은 두 손을 모두어 떠 마시기에 좋은 물이며 심한 구역질을 하게하는 물이기도 하다. 작품 속에 나타난 물은 대지 평원 포도밭 숲 그리고 그것들 위에 서식하는 모든 생물체들과 마찬가지로 주인공들의 생활을 일부임을 보게 된다.

      • KCI등재후보

        후천성 면역 결핍증 환자에서 조직생검으로 확진된진행성 다발성 백질뇌병증 1예

        이중민,진범식,신소연,최준용,장경희,송영구,김준명,박윤선,최석훈,한상훈,이꽃실,박윤수,조정호 대한감염학회 2004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6 No.1

        세포면역결핍 상황에서 병발하는 진행성 다발성 백질뇌병증은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그 발생률 또한 같이 증가하고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 양상과 방사선 검사에 추가해서 뇌척수액의 분자생물학적 검사 또는 뇌조직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본 예는 뇌생검을 통해 진행성 다발성 백질뇌병증이 확진되었으며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후 양호한 경과를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n Korea, as the prevalence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increases, various opportunistic infections are becoming a problem.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PML) is postulated to be associated with impaired cellular immunity and can be more frequently encountered these days primarily due to increasing incidence of AIDS. Neurologic deficits and brain imaging study together strongly suggest PML, but confirmatory diagnosis can be made only by cerebrospinal fluid study or tissue biopsy. In Korea few cases of confirmed PML in AIDS patients have been reported, and herein we offer our experience of a case of PML who underwent brain biopsy for confirmative diagnosis.

      • KCI등재후보

        Fran?ois Mauriac의 <<La chair et le sang>> 에 나타난 나무의 이미지

        이중민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4 프랑스어문교육 Vol.17 No.-

        프랑쏘아 모리악의 대부분의 다른 작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초기작품인 « La Chair et le sang » 속에서도 자연(Nature), 특히 나무(arbre)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의 작품을 읽는 독자들은, 작가가 그의 고향 지롱드지방과 보르도에 얼마나 큰 애정을 나타내는지, 자연을 그려내는 그의 詩같은 운문의 풍요로움과 나무를 표현하는 그의 화려한 문체의 정확함을 통해서 곧 이해할 수 있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모습을 달리하는 웅장한 소나무, 무성한 가지의 전나무 그리고 거대한 원을 만드는 마로니에 등을 충실히 그려냄으로써 프랑쏘아 모리악은 자연과 나무에 대하여 각별한 애호를 서술하고 있다. 등장인물들은, 소설가가 아직도 생생히 기억하는, 이 나무들을 단지 삶의 배경으로만 여기지 않고 거기에 그들의 미묘한 감정과 내적인 심리상태를 비추어 거기로부터 인간적인 기쁨과 슬픔 그리고 위안과 비난을 느낀다. 나무도, 작가의 어린시절의 마을사람들인, 이 주인공들을 한낱 농부로만 여기지 않고 그들을 지켜보며 그들이 처한 상황과 감정변화에 깊이 동요되고 동반자가 되어 그들과 함께 기뻐하고 애통해하는 하나의 생명체가 된다. « La Chair et le sang »에서 나무와 등장인물 Claude는 서로를 기대고 있는 단순한 상대자가 아니라 서로의 깊숙한 내면에 직접적으로 간여하는 뗄 수 없는 관계로 나타나고 있음을 독자들은 알 수 있다. 나무의 매개로 이런 긴밀한 관계를 전달함으로써 그의 작품속의 장중한 광경이 주는 감동은 독자들을 사로잡는다.

      • KCI등재

        L'environnement naturel lié à l'eau dans les romans de François Mauriac - La Chair et le Sang et dans Galigaï -

        이중민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1 프랑스어문교육 Vol.37 No.-

        프랑쏘아 모리악은 그의 작품에서 독자들을 물과 연관된 자연의 요소에 다가가기를 초대한다. 이 자연의 요소는 시적인 이미지가 풍부한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작가는 특히 물의 다양함을 표현한다. 피레네의 원시림에서 흘러내리는 급류, 지롱드 평원을 구불구불 산책하는 큰 강 그리고 작가의 고향에 아주 가까운 대서양의 포효하는 파도를 묘사한다. 작가는 가론느 강의 온화한 흐름에서 대양의 부서지는 파도까지 들려주며 이런 물의 행태의 차이를 밝혀낸다. 작가는 소설작품의 주인공들의 삶의 터전에 나타나는 시각적인 물의 모습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조용히 소곤거리는 때로는 으르렁거리는 물의 청각적인 물의 양상도 소개하고 있다. 프랑쏘아 모리악은 매혹적인 향기를 실어다 주는 맑은 물 또한 고약한 악취를 내는 썩은 물도 묘사하기를 좋아한다. 계절과 장소에 따라 산악의 얼음처럼 차가운 물과 수영하는 젊은이의 몸을 휘감는 따사로운 물 등 각기 다른 촉감의 물을 기술한다. 그리고 마시고 싶어지는 청명한 물과 다가가기도 어려운 혼탁한 물도 작품에 나타낸다. 자연적 요소인 물은 대지와 초원 포도밭 숲 그리고 풀과 함께 프랑쏘아 모리악의 등장인물들의 생활의 배경이다. 그것들 중에서 물은, 물의 이미지를 좋아하건 무서워하건, 우리 삶의 기준이 되는 한 존재이다.

      • KCI등재

        L’aspect réconfortant de l'arbre dans l'œuvre romanesque de François Mauriac

        이중민 한국프랑스학회 201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5 No.-

        프랑수아 모리악은 나무를 향한 특별한 애정을 보여준다. 작가는, 나무를 좋아하는 것처럼 나무에 다가가는, 주인공들을 그린다. 그들은, 나무와 닮아가면서, 식물의 삶을 알고, 자신들의 어려움을 참아내기도 한다. 등장인물들은 식물들의 삶과 비슷해지며 친구나 식구들에게서 받지 못하는 애정을 바란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프랑수아 모리악의 주인공들과 나무들을 이어주는 여러 가지 정서는 감정이입, 동질감, 위로, 연민 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무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소외되고 절망한 등장인물들의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인다. 그들과 공감하고 속내이야기를 비난하지 않고 들어줌으로써 그들을 위로한다. 나무는 주인공들이 외부에서 받은 상처를 감싸준다. 자연을, 특히 나무를, 통하여 프랑수아 모리악은 주인공이 가지게 되는 내면의 모습을 만들어 낸다. 그들의 내부 감정과 등장인물이 살고 있는 외부세계 사이의 상호 연결은 작가의 소설에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프랑수아 모리악 소설 속의 인물을 만나면서 독자들은 당연히 자연 속에 비추어진 주인공의 모습을 찾아내게 되기에 이른다. 이 자연, 이 논문 속에서는, 이 나무들이 소설의 인물들과 이런 내밀한 연결을 만든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주인공의 심리와 나무들 사이에 수많은 암시와 상징으로 가득한 꼭 필요한 일치를 찾아내었다. 프랑수아 모리악의 등장인물들에게 이 작가의 고향 지롱드의 대지는 삶의 터전을 마련해주고 있다. 주인공의 내면 심리는 시와 같이 아름다운 소설의 배경에 투영된다. 프랑수아 모리악의 자연은 단지 움직이지 않는 하나의 장치를 그려내는데 유용한 것이 아니라 작가의 작품에 또 주인공들에게 생명을 불어넣는 살아있는 대상인 것이다. 이것은 프랑수아 모리악의 소설만이 가지는 자연의 신과도 같은 능력이다. 끊임없이 물결치듯 살랑거리는 소나무 숲의 잔잔한 속삭임, 대지의 냄새, 사람들을 외롭게 하는 회색의 비 이 모든 자연 요소들이 등장인물의 정신세계를 만들어 낸다. 프랑수아 모리악은 자연이 강한 상상력의 근원임을 말한다. 이 작가에게 자연은 사람 내면의 목소리를 변모시키는 힘을 간직한다. 작가는 자연 속에서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려고 애쓴다. 자연은 사람의 내면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작가는 말한다. « 우리는 우리의 자신을 잘 읽어내지 못한다. 오직 자연만이 우리 내면의 소리 편곡할 수 있는 힘을 가진다. 자연은 우리 자신을 드러내는 실체이다. » 작가는 자연배경과 등장인물의 심리 사이의 단순한 닮은 점을 찾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소설 작품 속의 자연과 주인공들의 사이에 실현되는 꼭 필요한 관계 즉 연대감을 우리들이 느낄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다.

      • KCI등재후보

        말디토프 질량 분석을 이용한 한국인의 B형간염 바이러스유전자형 및 임상적 의의에 대한 재평가

        이중민,안상훈,장혜영,신지은,김도영,심명기,홍선표,정현재,김수옥,한광협,전재윤,문영명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4

        Background/Aim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genotype of hepatitis B virus (HBV) may correlate with the disease natural history and treatment outcome. However, several of these studies used low sensitivity assays in a small number of patients, and this has precluded an accurate evaluation of Korean HBV genotypes. We analyzed Korean HBV genotypes in a large population by employing a new technology, restriction fragment mass polymorphism (RFMP) using MALDI-TOF mass spectrometry, in a sensitive and specific manner. Methods: Between February 1995 and December 2003, a total of 475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were enrolled. The assay is based on the mass measurement of oligonucleotides having genotypic variations of the S gene. Clinical features including the virologic status and disease progression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total patients was 35.5 years. Out of 475 patients, there were 162 (34.1%) inactive carriers, 172 (36.2%) had chronic hepatitis, 77 (16.2%) had liver cirrhosis and 64 (13.5%) ha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here were 454 patients (95.6%) with genotype C, 4 patients (0.8%) with genotype A, 16 patients (3.4%) with the mixed A and C genotype [7 patients (1.4%) with A<C versus 9 patients (2.0%) with C>A], and 1 patient (0.2%) with B genotype. Comparing genotype A and C, genotype A patients were all inactive carriers without HCC, whereas genotype C patients included those with chronic hepatitis, liver cirrhosis and HCC. Conclusions: HBV genotype C is highly prevalent in Korea. Although it is a small percentage, genotype A also exists and it seems to take a more benign clinical course than genotype C. Further studies are necessita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HBV genotypes and the various aspects of the diseases’ clinical course. 목적: HBV에 의한 감염은 임상 경과 및 결과가 매우 다양한데, 이의 원인은 숙주 요소, 환경 요소 및 바이러스 요소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며 이 중에서 HBV 유전자형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전자 B형이 C형보다, A형이 D형보다 양호한 경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유전자 C형이 주된 유전자라고만 알려졌을 뿐 임상 경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이전의 연구보다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한 MALDI-TOF MS를 응용한 RFMP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HBV 유전자형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HBV 감염의 임상적 의의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5년 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인 만성 HBV 감염 환자의 혈청 475예를 대상으로 하여 MALDI-TOF MS를 응용한 RFMP 방법으로 유전자형을 검출하였고, ALT, HBeAg, anti-HBe와 HBV 감염에 대한 과거력 및 가족력을 분석하였으며, 임상 진단을 비활동성 보유자,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세포암종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총 475예에서 남자가 393명, 여자가 82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5.5±13.7세(16-70)이었으며 진단은 비활동성 보유자,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세포암종이 각각 162예(34.1%), 172예(36.2%), 77예(16.2%), 64예(13.5%)이었다. HBV 유전자는 C형이 454예(95.6%)이었고, A형이 4예(0.8%), A와 C형의 혼합형이 16예(3.4%)이었으며 이 중 A 우세형이 7예(1.4%), C 우세형이 9예(2.0%)이었다. B형은 1예(0.2%) 있었다. 전체 대상군을 A군(A형 단독형과 우세형) 및 C군(C형 단독형과 우세형)으로 나누었을 때 A군에서는 11예 모두 비활동성 보유자인 반면에, C군에서는 463예 중에서 151예의 비활동성 보유자, 171예의 만성 간염, 77예의 간경변증 및 64예의 간세포암종이 있었다. 결론: 국내의 주된 HBV 유전자는 C형임을 다시 확인하였으나, 극동아시아에 드문 것으로 알려진 A형이 다수 검출되어 이의 원인은 대상 환자 수의 차이, 검사 방법의 차이, 감염 경로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유전자 A형이 C형에 비하여 양호한 임상 경과를 보이는 것으로 추측되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Le sentiment d’oppression à travers la personnification des arbres dans l’œuvre romanesque de François Mauriac

        이중민 한국프랑스학회 2013 한국프랑스학논집 Vol.84 No.-

        프랑쏘아 모리악은 자주 등장인물의 슬픔에 처한 마음에 따라 부정적인 모습을 드러내는 자연요소들을 다양하게 그려낸다. 대서양 연안에 끊임없이 내리는 비와 지롱드 평야지방의 참기 어려운 열기를 그렇게 묘사하기도 한다. 작가의 나무는 때로는 주인공들처럼 고통의 비명을 지르며 그들과 아픔을 나누고 더 나아가 그들을 위로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가 보려는 이 논문속의 나무들은 불행에 처한 등장인물들의 내적 고통을 더욱 쓰리게 하는 위협적인 모습이다. 작가의 대표적인 소설 속에서 나무가 등장인물들에게 나타내는 적대적인 감옥의 창살 교도관 장애물 방해자 공격자의 형상은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하였다. 황량한 숲속의 소나무와 전나무들은 포위하고 공격하는 전쟁터의 무리지은 적군으로 때로는 뛰어 넘을 수 없는 어두운 감옥의 높은 벽으로 그려진다. 집을 둘러싸고 있는 정원의 나무들마저도 주인공들을 감시하는 교도관의 태도를 가진다. 그들은 친구나 가족에게서 이해 받지 못하는 작품 속 인물들의 탄식을 듣기는 하지만 그들의 탈출을 막는 방해자의 생김새로 드러난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소설 속 인물들은 나무들이 그들의 자유로운 행동을 속박해서 슬픔으로 고통 받는 외관을 내보인다. 나무들의 등장인물들의 의지와 대립되는 불길한 자세가 중심인물의 괴로움을 깊게 하는 이미지 즉 나무들의 해를 끼치는 이미지를 찾아내었다. 이 나무들은 등장인물들을 고독과 절망 속에 다시 가두어 탈출의 모든 가능성을 차단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불행한 주인공의 심리와 주인공들의 슬픔을 배가시키는 나무들 사이에 수많은 암시와 상징으로 가득한 꼭 필요한 관계를 찾아내었다. 프랑쏘아 모리악의 나무는 단지 배경으로서의 하나의 장치일 수 없으며 주인공들의 내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영향을 끼치는 살아있는 대상인 것이다. 이것은 프랑쏘아 모리악의 소설만이 가지는 자연의 신과도 같은 능력이다. 작가는 나무인 배경과 등장인물의 의식 사이에 그려지는 어긋나는 관계를 찾는데 만족하는 것이 아니다. 나무와 주인공들의 사이에 만들어지는 억누르는 이미지를 어떻게 다양하고 분명하게 우리들이 느낄 수 있는지 보여준다. 즉 나무가 하나의 풍경으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들의 심중에 폭넓게 간섭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