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어리스: 더 하이스쿨 맥베스>의 문화번역: 한국과 미국의 십대들

        이오진 한국연극학회 2020 한국연극학 Vol.1 No.76

        ‘미국의 한인 극작가 Jiehae Park의 희곡 <Peerless(2016)>는 셰익스피어의 <Macbeth>를 재창작한 작품으로, 아시안 아메리칸 쌍둥이 자매 M과 L이 명문대에 입학하고자 같은 반 백인 남학생을 살해하고 그 망령에 시달리는 이야기이다. 본고는 한국에서 공연한 <피어리스: 더 하이스쿨 맥베스(2020)>의 문화번역 과정을 되짚으며, 최종적 결과물인 공연이 번역과 윤색의 과정을 통해 어떻게 무대에서 구현되었는지 그 변환을 서술하고 있다. 희곡은 소수자성의 정의(定義)와 이 사회의 정의(正義)에 대해 쌍방으로 질문하고 있으며, 공연은 소수자성에서 발생하는 위계와 그 전복을 무대 위에서 표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 KCI등재

        The First Known Case of Blood Group Chimerism in Monochorionic Dizygotic Twins in Korea

        이오진,조덕,신명근,김선옥,박종태,김희경,양동욱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4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4 No.3

        Dear Editor, Monochorionic (MC) dizygotic twins (DZT) are rarely conceived naturally [1]. However, the number of pregnancies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has increased from 9,864 in 1994 to 29,733 in 2006, thus multiple birth rate in- creased from 10/1,000 live births in 1980’s to 27.5/1,000 live births in 2008 in Korea [2]. All MC DZT are theoretically chime- ric for blood cells because blood stem cells might be exchanged through the common (MC) placenta [1, 3]. To date, there is no report on MC DZT exhibiting blood group chimerism in Korea. There has been only one reported instance of blood group chi- merism in a dizygotic dichorionic pregnancy, even though IVF- ET is widely used in Korea [2, 4]. We report blood group chime- rism in sex-discordant MC DZT conceived via IVF-ET, initially misdiagnosed at birth as having blood subgroup B3.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단클론감마병증에서 면역글로불린 중쇄 및 경쇄 복합체 직접 측정의 유용성: 모세관 전기영동과의 수행능 비교

        강민구,신명근,김진각,장민중,이오진,김혜란,조덕,김수현,기승정,신종희,서순팔,양동욱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4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4 No.1

        Background: Determination of monoclonal gammopathy through conventional protein electrophoresis is sometimes difficult because of the presence of large proteins such as haptoglobin and transferrin, which may obscure the results. Ambiguity in an electrophoresis band can give rise to confusion or difficulty in interpretation. The heavy chain/light chain assay (HLC assay) using Hevylite antibody (The Binding Site, UK) has recently been developed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of monoclonal proteins. We compared the immunotyping (IT) profiles to the immunoglobulin (Ig) heavy/light chain measurements obtained using the HLC assay and observed the ratios between intact Ig kappa and lambda. Methods: We collected 35 and 28 sera from patients with suspicious and definitive monoclonal protein, respectively. Then we performed serum protein electrophoresis (SPEP) and IT by Capillarys2 (Sebia, USA). Monoclonal protein production was investigated using Freelite antibody (The Binding Site) and specific Ig(G, A)κ and Ig(G, A)λ Hevylite antibodie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for Windows (IBM, USA). Results: Direct measurement of Ig heavy/light chains showed discordant IT results for 12 (34.2%) of 35 patients’ sera with suspicious SPEP pattern and identical IT results for 28 patients’ sera with definitive monoclonal peak in the SPEP results. Overall, the results of the HLC assay and IT showed good agreement (κ=0.718, P=0.000 by cross-tabulation Gamma, Kappa analysis). Conclusions:The results of direct measurement of serum Ig heavy chain/light chain pair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IT and were helpful for determination of monoclonality in the case of ambiguous electrophoresis results. Measurement of the heavy chain/light chain pair ratio also allowed precise quantification of the monoclonal Igs with ambiguous electrophoresis patterns and identification or discrimination of clonality. 배경: 전통적인 단백 전기영동에 의한 단클론감마병증의 확인은 합토글로빈, 트랜스페린과 같은 큰 농도를 가진 단백에 의해 가려지므로 어려울 수 있다. 전기영동 밴드에서의 이와 같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혼란스럽거나 해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최근 M단백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Hevylite 항체(The Binding Site, UK)를 사용하는 Heavy chain/light chain assay (HLC assay)가 개발되었기에, 면역 전기영동에 의한 M단백의 형별판정과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및 경쇄 쌍의 직접 측정을 하여 얻은 완전 면역글로불린의 카파 및 람다 비율에 의한 형별판정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Capillarys2(Sebia, Norcross, USA)에 의한 혈청 단백 전기영동과 면역 전기영동에서 의심스러운 소견을 보인 35검체와 확실한 단클론성을 보인 28검체를 각각 모았다. M단백의 생산은 Freelite 항체(The Binding Site, UK)와 특이적인 Ig(G, A)κ and Ig(G, A)λ Hevylite 항체(The Binding Site)에 의해서도 측정되었다. 검사결과는 PASW 18.0에 의해서 분석되었다. 결과: 면역글로불린 중쇄/경쇄 쌍의 직접 측정은 의심스러운 전기영동 소견을 보인 35검체 중에서는 12검체(34.2%)에서 면역전기영동에 의한 M단백의 형별판정과 일치하지 않았고, 혈청단백 전기영동에서 확실한 단클론성 피크를 보였던 28검체에서는 면역전기영동에 의한 M단백의 형별판정과 모두 일치한 소견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HLC assay와 면역 전기영동검사 결과는 M단백의 형별판정에 있어서 좋은 일치율을 보였다(κ=0.718, P=0.000, 일치도 분석). 결론: 혈청 면역글로불린 중쇄/경쇄 쌍의 직접측정은 면역전기영동과 동등한 유용성을 보이며, 전기영동에서 애매한 단클론성을 보이는 경우 형별판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애매한 전기영동 소견을 보이는 M단백의 경우, 정량을 하여 형별판정의 확인 및 감별을 하는 데 유용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국내 Acinetobacter 임상분리주 내 adeG, adeB, adeE, adeY, abeM 및 adeJ 유출 펌프 유전자의 분포

        최인선,최지애,장숙진,박건,정석훈,김춘미,이오진,강성호,문대수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9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9 No.4

        Background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six efflux pump genes in Acinetobacter clinical isolates collected from South Korean hospitals. MethodsIn this study, we used a total of 339 Acinetobacter strains, comprising 279 Acinetobacter calcoaceticus–Acinetobacter baumannii (ACB) complex and 60 non-ACB complex strains. We performed specific PCR assays to detect adeG, adeB, adeE, adeY, abeM, and adeJ, transporter genes of the multidrug efflux pumps AdeFGH, AdeABC, AdeDE, AdeXYZ, AbeM, and AdeIJK, respectively. ResultsFrequencies of six efflux pump genes varied according to the species of Acinetobacter . Frequencies of adeE, abeM, and adeJ between A. baumannii group and A. nosocomialis grou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requencies of adeB, adeE, adeY, and adeJ among the susceptible A. baumannii (SAB), multidrug-resistant A. baumannii (MDRAB), and extensively drug-resistant A. baumannii (XDRAB) groups within the 154 strains of A. baumannii. The frequencies of efflux pump genes in imipenem-susceptible and imipenemnonsusceptibl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deB, adeY, and adeJ. The frequencies of efflux pump genes in ciprofloxacin-susceptible and ciprofloxacin-nonsusceptibl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deB and ade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requency of efflux pump genes among groups sampled from different regions of Korea, across 86 strains of A. baumannii collected in 2012. ConclusionsThe frequencies of six efflux pump genes obtained in this study demonstrate the fundamental epidemiological feature of efflux pump genes in Korean Acinetobacter clinical isolates. 배경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병원들에서 수집된 Acinetobacter 임상분리주가 보유한 6가지 유출 펌프 유전자의 빈도를 측정하는데 있다. 방법본 연구에서 사용한 총 339주의 Acinetobacter 균주는 Acinetobacter calcoaceticus–Acinetobacter baumannii (ACB) complex 279주와 non-ACB complex Acinetobacter 60주로 구성되었다. 다약제 유출 시스템인 AdeFGH와 AdeABC, AdeDE, AdeXYZ, AbeM 및 AdeIJK 유출 펌프 각각의 운송(transporter) 유전자인 adeG와 adeB, adeE, adeY, abeM 및 adeJ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해 각 유출 펌프 유전자에 특이적인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adeG와 adeB, adeE, adeY, abeM 및 adeJ의 6가지 유출 펌프 유전자의 빈도는 14군의 Acinetobacter 균종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A. baumannii 군과 A. nosocomialis 군에서 adeE와 abeM, adeJ의 양성률은 두 균종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 baumannii 154주는 SAB, MDRAB, XDRAB 군별로 adeB와 adeE, adeY 및 adeJ의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Imipenem-감수성군과 imipenem-비감수성군은 adeB와 adeY, adeJ의 양성률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iprofloxacin-감수성군과 ciprofloxacin-비감수성군은 adeB와 adeY의 양성률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012년에 수집한 86주의 A. baumannii는 수집지역별로 6가지 유출 펌프 유전자 모두 양성률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이 연구에서 얻어진 6가지 유출 펌프 유전자의 양성률은 국내 Acinetobacter 임상분리주 내 유출 펌프 유전자의 기본적인 역학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