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복지투자 방향 재설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엄문영,김민희,오범호,이선호,김혜자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3

        본 연구는 현행 지방교육재정분석의 각 분야별 투자 현황이 교육복지투자 총 규모와 성질별투자 유형 파악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고, 최근 3년간 17개 시·도교육청 교육비특별회계 결산자료를 세세부사업 수준까지 내용적으로 분석하여 실제적인 교육복지투자 총규모 및 유형별투자 실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최근 3년간 교육복지투자 총 규모는 2011년 4조 6,004억 원, 2012년 6조 1,201억 원, 2013년 7조 1,620억 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11년 대비 2013년 약 55.7% 증가했다. 2011년 대비 2013년 유형별 교육복지투자는 보편-기본 >보편-부가 > 선별-기본 > 선별-부가 순으로 투자 우선순위가 조정되는 과정이 확인되었다. 최근 보편적 교육복지의 확대에 따른 교육재정 전반의 위축은 경제계에서 주장하는 저출산과 학생수 감소 등으로 인한 교육비 부담 경감 전망이 현재의 교육복지투자 양상과 미래 투자전망을 고려하지 않은 협의적 시각에 따른 것임을 반증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보편적 교육복지가 선별적 교육복지를 구축하는 상황은 교육재정의 투자우선 순위에 대한 기회균 등의 원리, 지방의 균등한 교육발전을 천명하고 있는 헌법적·법률적 가치를 고려할 때 재원 확보에 대한 책임 공방보다는 절대적인 재원 확충을 위한 진지한 관심의 전환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This study is assumed that the current analysis and suggestions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have some limitations on catching real amount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Accordingly, we attempted to explore content analysis using recent 3 years’ accounting information based on 17 local offices of education. Then we suggested the summation and each type amount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based on new framework used for this study. The study suggested the results that 4.6 trillion in 2011, 6.1 trillion in 2012, and 7.1 trillion in 2013. The 2013 year amount is the 55.7 percent increased figure comparing to 2011. Additionally, it is confirmed that universal/basic welfare investment strikingly increased compared to selective/basic and additional welfare investment. The increased of universal education welfare means that the economic parties’ allegation is likely to have fault because it is not considered the real investment of current and future education welfare. Too much narrow perspective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will lead to the fallacy of educational finance security prediction. In conclusion, considering that equal opportunity principle and balanced development of lo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policy-makers should concentrate on securing the money for implementing harmless educational policies including NURI curriculum, instead of arguing the financial accountability of universal education welfare.

      • KCI등재

        공교육의 관점에서 본 한국 유아교육체제 분석

        엄문영,최예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asks for develop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current ECE system in South Korea. This study reviewed the Ministry of Education’s “5-year development plan” to analyze the vision and directions of the government’s ECE policy, analyzed the current ECE system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derived from primary principles and policy domains for public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policy tasks for incorporating ECE into the public education syste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government has strived to establish an advanced ECE system under the goals of increasing publicness and national accountability and has pursued improving its quality beyond the increased accessibility of the ECE. Second, Korea has continued to improve the ECE system by increasing the enrollment rate in public kindergarten, providing greater financial subsidies to parents, clarifying the transparency in financial accounting by adopting the “K-edufine” system, introducing the evaluation system, implementing a national (“Nuri”) curriculum, and encouraging collaboration with parents and communities with mandatory parent meeting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four tasks for the government in each short-term and long-term plan based on the “principle-domain” framework for increasing the public nature of ECE.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유아교육체제를 분석하여 향후 유아교육 공교육화 진전 과정에서의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의 유아교육 5개년 발전계획을 통해 유아교육 공교육화의방향과 내용을 살펴보고, 공교육의 원리와 실제 영역의 구조적 준거를 토대로 유아교육체제의 현황을 분석하여, 유아교육이 기간학제화 단계로 나아가는 데 있어 실현되어야 할 향후 정책 과제를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정책은 공공성과 국가책임의 강화라는 목표 아래, 유아교육의 양적 확대를 넘어 질적·문화적 개선에 이르는 목표를 추구함으로써 보다 선진화된유아교육체제 구축을 시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의 유아교육은 지난 20년간 국·공립 유치원 취원율 제고, 부모 부담률 개선, K-에듀파인 도입으로 인한 재무회계 투명성 제고, 평가인증의 도입, 누리과정의 전면적 시행, 유치원 운영위원회 의무화를 통한 부모-지역사회 연계 제고 등의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를 위한 원리-영역프레임웍을 설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아교육 공교육화 체제 진입을 위한 과제들을 단기와 장기로 구분하여 각각 4가지 세부 과제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에 대한 학부모 요구 분석 : 강원도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엄문영,황정훈 한국초등교육학회 2022 초등교육연구 Vol.35 No.3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consumer friendly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caring democracy and publicity. In order to achieve to the purpose, survey of 531 elementary school parents was taken in the population of Gangwon-do having clear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fter analyzing data,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s for using elementary care classes were found to be high trust in institutions, ease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and improve sociality and peer relations, and parents' emphasis was on available time, safety, and convenience of movement between homes and care institutions. Second, dissatisfaction factors are insufficient number of care institutions and care gap time. Third, parent demands for improving elementary care classroom in Gangwon-do are to take care all day long, the publicity of care subjects, professionalism of daycare teachers, and the low teacher-children ratio.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s. Specifically, this study confirms that expanding elementary care classroom from a parent-friendly perspective,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among local government, local education government, and school, enhancing capability of daycare teachers, and establishing systematic recruiting processes are necessary. 본 연구는 돌봄민주주의와 공공성의 관점에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돌봄교실 운영의 개선 방안을 수요자 중심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지리적·환경적 특성이 뚜렷한 강원도 지역을 모집단으로 하여 초등학교 학부모 531명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는 이유는 기관에 대한 높은 신뢰도, 사교육비 부담 완화, 사회성 및 또래관계 향상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들이 중시하는 부분은 이용 가능 시간, 집과 돌봄기관 간의 이동에 대한 안전 및 편의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돌봄교실 불만족 요인으로는 돌봄기관 수의 불충분, 돌봄 공백 시간대 발생 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강원도 초등돌봄교실 개선을 위한 학부모들의 요구사항으로는 온종일 돌봄, 돌봄 주체의 공공성, 돌봄 전담인력의 전문성, 돌봄교실의 낮은 아동 비율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강원 지역 초등돌봄교실의 개선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학부모 친화적 관점에서의 초등돌봄교실의 양적 확대 및 운영시간 개선, 지자체·교육청·학교의 협조체계 구축, 돌봄전담사 역량 제고 및 체계적 선발 제도 확립 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Has Low-Income Students’ Access to Selective Institutions Change? A Longitudinal Study of College Access from 2008 to 2016

        엄문영,이정연,손은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교육논총 Vol.43 No.1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if access for low­income students to selective colleges has improvedover the past eight years. The researchers used a long­term data source from IPEDS and appliedmulti­level models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number of low­income studentsin higher education has risen, but at a slower pace in selective institutions compared to lessselective ones, leading to underrepresentation of low­income students in selective institution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ddressing access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