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구술생애기록물 맥락 표현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조화에 관한 연구

        이정연,이정연,유종덕,이종윤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30

        Oral history is the work to make the record of the verbal content recreated by the memories of the survivors. Oral history recording is accomplish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the interviewee, the interviewer, the cameraman, the recorder, the transcriber and etc.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context at the time of the production to be expressed. So planning for the collection of oral records, the collection of oral records, and their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This study, being started from this sense of problem, designed conceptual model of metadata to well reflect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oral records of the women life of among the oral records and extracted the elements through this. The whole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including from planning, producti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leading to use, related to the oral records of the women life, was classified into a hierarchy. It also proposed the system which can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der' through authority records and subject thesaurus. 구술은 생존자의 기억을 통해 재현된 내용을 기록화 시키는 작업으로 구술채록은 구술자, 면담자, 촬영자, 녹취자 등의 협업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구술기록물은 생산 당시의 맥락이 표현되는 것이 중요하며 구술기록물 수집을 위한 기획, 구술기록물 수집, 보존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에서는 구술기록물 중에서도 여성구술생애기록물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의 개념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통하여 요소들을 추출 하였다. 여성구술생애기록물 관련 기획부터 생산, 보존, 관리, 이용에 이르는 기록 관리의 전 과정을 포함하여 계층으로 분류하였으며, 전거레코드와 주제 시소러스를 통해 '여성'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이 현대무용 창작에 미치는 영향: 작품 <루시드 드림(Lucid Dream)>을 중심으로

        이정연 한국무용학회 2023 한국무용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이정연댄스프로젝트의 2019년 작품 <루시드 드림(Lucid Dream)>을 창작자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대무용창작에 있어서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의 활용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은 증강현실과 혼합현실이 사용된 예술에 관련된 선행연구 및 사례 고찰, <루시드 드림> 작품에 참여한 안무자와 기술팀의 제작과정 등의 일지와 인터뷰를 분석하였으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개발회의 기록과 공연 후 컨퍼런스 발표를 통해 발전방안을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 아이디어를 확장하게 된다. 둘째, 작품의 시각화와 공간감을 준다. 셋째, 창작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넷째, 창작자의 창의성과 예술성을 강화시킨다. 다섯째, 관객의 관심도와 연출 효과가 증대된다. 기술의 발전은 예술의 창작과 표현 방법을 혁신시키고 예술은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예술과 기술융합의 창작물은 창작자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줌과 동시에 새로운 예술 장르로 발돋움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ucid Dream", the 2019 work of Lee Jung-yeon danc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or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use of AR and MR technologies in modern dance creation.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case review related to art using AR and MR, and embodied the development plan through the records of development meetings and post-performance confer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expands the creative idea. Second, it gives a visualization and a sense of space of the work. Third, i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creative process. Fourth, it strengthens the creativity and artistry of creators. Fifth, the audiences' interest and directing effect are increas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evolutionizes the creation and expression of art, and art plays a role in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reation of art and technology convergence is expected to open infinite possibilities to creators and at the same time become a new art genre.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한국 위키피디아의 지식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이정연,전수현 한국정보관리학회 2020 정보관리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는 대표적인 온라인 협업커뮤니티인 한국 위키피디아의 초기 2002년부터 2019년까지의 편집로그 빅데이터를 해체하여 공동협업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공개된 오픈데이터의 표준화된 XML 문서편집 기록을 활용해 Phython과 R을 이용하여 분석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한국 위키피디아 편집자의 참여 방법, 데이터 내용의 특징, 문서 생성의 추이 등을 설명할 수 있었다. 소수 편집자들의 적극적 활동과 대다수 편집자들의 느슨한 참여도 밝혀졌으며, 온라인에서도 나타나는 사회 문화적 특징이 한국 위키피디아에서도 나타났다. 집단지성을 지속화시키기 위해서는 새롭고 다양한 외부자원이 필수인데 신규 진입자들이 공동편집 커뮤니티에 안착하기 위한 다각적인 고려가 필요하며, 관리자 그룹의 고착화를 탈피하여 순환구조를 통한 개방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llaborative process in time series by dismantling the edit log big data of Wikipedia Korea, a representative online collaboration community, from early 2002 to 2019. Analysis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document edit records, formatted in standardized XML, and analyzed using Python and R. The ways of editors’ contribution, the characteristics of data contents, and the trend of document creation were explained by the analysis. An active contribution of a small set of editors and a loose participation of the majority were revealed. In additio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online communities were also found in Wikipedia Korea. A new, diverse set of external resources is necessary to sustai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An effort to settle new editors into the wikipedia community and an openness through circulation structure to avoid the exclusiveness of the management group are suggested.

      • KCI등재

        다운증후군 학생과 교사가 함께 한 무용공연 사례연구 -미적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이정연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ase of dance performance by students with Down syndrome and teachers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aesthetic experience gained from it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The practice and prior schedule of the dance performance as an event of the Special Olympics World Winter Games Pyeongchang in January 2013 were used as a program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study subjects were four students with Down syndrome, two teachers, and two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ven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three months from the practice to the day of the performanc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aesthetic experiences ga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he aesthetic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consisted mainly of corporeality, temporality, and relationality, relationality and spatiality, and spatiality and relationality, respectively. Moreover, this study considered the essence of these aesthetical experiences.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extract the meaning of ‘meaning’and ‘change’. The results showed that a new form of stage performed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together aimed for meeting place and newly recognized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body and independent attitudes had the meaning of change aiming for development.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한 무용공연 사례를 통해 그로부터 얻은 미적 체험의 의미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2013년 1월 평창 동계 스페셜 올림픽의 이벤트 행사로 진행된 무용공연의 연습, 실행 전 일정이 연구의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었으며, 여기에 참가한 다운증후군 학생 4명, 교사 2명, 부모 2명이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연구는 공연 연습부터 공연 당일에 이르기까지 약 3개월간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학생, 교사, 부모 각자의 입장에서 얻은 미적 체험을 분석할 수 있었다. 학생의 입장에서 얻은 미적 체험은 신체성, 시간성, 관계성이 주를 이루었고, 교사의 입장에서는 신체성, 관계성, 공간성의 미적 체험이, 부모의 입장에서는 공간성과 관계성이 주를 이루었다. 아울러 이러한 미적 체험의 본질을 고찰한 결과 두 가지의 핵심, 즉 ‘만남’과 ‘변화’라는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장애 학생과 교사가 함께 공연하는 새로운 형태의 무대는 만남의 장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새롭게 인식된 신체, 이해와 소통, 자립적 태도 등은 발전을 지향하는 변화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무용창작공연 프로젝트: 예술다면성(多面性) 논의

        이정연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6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multifacetedness of art and proposes points of discussion on the project for the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creative dance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m. Methods: Seven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jointly conducted a project for the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creative dance, and after their activities of a total of 12 class hours, a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materials of the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terviews conducted, class observation sheets, and videos and photo data. Results:: First, this study could find the significance of preservice teachers’ aesthetic experiences. It improved their existing understanding of dance learning activities and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such as challenge, courage, diversity of methods, interest, and pleasure. Through the devotion and immersion produced in the process of experience, they came to learn the knowing as artist-teachers to some extent by experience. Second, this study could find the effect on aesthetic emotional competencies. It was noted that, through the joint work, they shared consciousness and emotions, which developed into personal relationships in which they trusted each other. Moreover, their creativity and expressiveness expanded so that they recognized the expansion themselves, and their consciousness of the value of beauty and cultural enjoyment also improved. Third, it could be the momentum to weigh up measure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multifaceted art curriculum. It became the chance to diagnose the possibilities of the integrated composition of art subjects or art project-typ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programs. 목적: 본 연구는 무용교육 안에서 예술다면성의 의미와 가치는 무엇인가? 초등예비교사가 경험한 무용창작공연 프로젝트를 통해 논의될 수 있는 예술다면성은 무엇인가?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탐구하여 교사의 초등무용교육의 예술다면적 가치 인식, 교수학습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방법: A교육대학교 재학생 7명의 창작무용 제작, 공연 프로젝트가 수행되었다. 수행 기간은 2021년 9월~10 월, 총 12차시로 전 과정의 수업관찰지, 동영상, 면담 자료 등의 수집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예비교사의 미적 체험의 결과 몇 가지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기존에 생각하고 있던 무용 학습활동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도전, 용기, 방법의 다양성, 흥미와 즐거움 등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체험의 과정에서 생성된 헌신과 몰입을 통해 ‘예술가 교사’로서의 앎을 다소나마 체득하게되었다. 둘째, 심미적 감성 역량이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공동 작업을 통해서 의식과 감정을 공유하고, 서로를 신뢰하는 인격적 관계로의 발전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창의력, 표현력 등이 스스로 인정할 만큼 확대되었으며, 아름다움의 가치와 문화적 향유의식도 향상되었다. 셋째, 예술다면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가늠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예술교과 간 융합적 구성, 예술 프로젝트형 교수학습방법 및 프로그램 등의 가능성을 진단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KCI등재

        영화창작자의 정보활동모형 설계에 관한 질적 연구

        이정연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No.4

        This study interpreted film-creators' information behavior by reconstructing information behavior in the process of film-planning using human information behavior. Film creators exchange,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through channels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so called “the small world.” After these processes, they strategically express this information by creating a film.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urpose of film-creating activity and that of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are intertwined and that co-communic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channel and information source. 본 연구는 영화창작자들을 대상으로 영화기획과정에서의 정보활동을 인간정보행위모형을 재구성하여 영화창작자의 정보활동모형을 해석해 보았다. 영화창작자의 정보활동은 영화의 작은사회 정보환경 내의 채널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수집, 분석하며 이를 공통된 창조물로 내면화하여 전략적인 결과물로 표현한다. 영화창작정보추구 목적과 일상생활정보추구의 목적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밀접하게 연결되며, 공동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정보채널이면서 동시에 중요한 정보원임이 밝혀졌다.

      • KCI등재
      •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토론 수업의 효과 연구

        이정연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토론 능력 향상을 위해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수 업 방안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토론 학습은 특정 주제나 문제에 대해 상호 간의 의견을 교환하는 활동을 통해 정보 를 수집, 처리, 분석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어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 는 데 효과가 있다(송선희, 2010). 이러한 토론의 특징으로 외국어 학습에서도 토론 교육 은 고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토론은 외국어 능력 이외에도 논리적 이고 비판적인 사고력을 요구하는 활동이므로 학습자들이 토론 능력을 갖추기는 쉽지 않다. 학습자들이 토론 논제에 대해 다양한 시각과 견해를 갖추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브 루타를 활용할 수 있다. 하브루타는 유대인 전통 교육 방식으로 두 명이 짝을 이루어 하 나의 주제에 대해 찬성과 반대 입장을 교체하여 논쟁하면서 진리를 찾아가는 방식이다 (Kent & Allison, 2012). 하브루타를 통해 학습자들은 서로 가르치고 배우게 되며 의사소 통 능력, 비판적 사고력, 설득하는 능력 등을 기르게 된다. 이러한 하브루타의 특징으로 인해 한국에서도 수업에 이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으나 주 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 토론 수업에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토론 논제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견해를 갖추기 위한 방법으로 하브루타를 활용하여 외국인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높여 최종적으로 토론 능력 향상을 키울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 이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 다. 실험은 2018 년 7 월 서울 소재 대학 부설 언어교육기관 5 급 학생 11 명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방식의 토론과 하브루타를 활용한 토론 방식으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두 차례의 토론은 모두 토론 전 단계, 토론 단계, 토론 후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각각 160 분 동안 진행되었다. 먼저 전통적인 방식으로 진행된 토론 수업은 ‘도덕적 행동의 법제화를 허용해야 한다’ 는 논제로 모두 교실에서 진행되었으며 논제에 대한 소개 후 관련 동영상을 시청하고, 찬성과 반대 입장을 가진 글을 같이 읽으면서 각각의 입장에서 주장과 근거 내용을 찾 도록 하였다. 그 후에 자신의 입장을 결정하여 토론 개요서를 작성하고 같은 입장을 가 진 학습자끼리 토의 과정을 거쳐 토론을 하게 하였다. 이 때 외국인 학습자임을 고려하 여 내용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표현적인 면에서도 학습이 이루어지게 수업을 구성하 였다. 하브루타를 활용한 토론 수업은 ‘적극적 안락사를 허용해야 한다’는 논제로 교실 밖 활동과 교실 활동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교실 밖 활동에서는 논제에 대한 파악 후 교 사가 제공해 준 자료와 개별적으로도 자료를 수집한 후 찬성과 반대 입장에서 토론 개 요서를 작성하게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실에서는 교실 밖에서 정리해 온 내용 확인 을 위해 교사가 논제와 관련된 질문을 하고 관련 표현 학습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교사 의 설명 후 수업 전에 작성한 토론 개요서를 수정하고, 두 명이 한 팀이 되어 논제에 대 해 찬성, 반대 입장을 번갈아 가며 일대일 토론을 하게 하였다. 일대일 토론 후 학습자 들에게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토론 개요서에 추가하고 최종적으로 논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결정하게 하였다. 입장 정리 후 같은 입장을 가진 학습자들과 토의를 거쳐 전체 학급 학생들이 찬반 토론을 하는 과정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두 차례의 토론 수업을 마친 후 하브루타를 활용한 토론 수업이 토론 능력 향상에 어 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63.6%의 학습자들은 하브루타를 활용한 토론 수업이 토론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고 응답하였고, 특히 교사가 수업 전에 제공한 자료(41.7%)와 개별적으로 수업 전에 사전 조사한 자료(33.3%)가 토론 능력 향상에 가장 도움을 주었다고 답하였다. 교사가 제공한 자료 중 내용적인 면과 표현적인 면에서 직접적으로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한 학습자가 많았는데 이러한 결과로 전통적인 방식에 따른 토론 수업보다 하브루타를 활용한 토론 수업에서 토론 관련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토론 내용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Examining Party Lines and Economic Growth in South Korea: Past Experience and Future Implications

        이정연 한국학술연구원 2009 Korea Observer Vol.40 No.2

        This study tries to examine data on the economies of the respective administrations and find an objective basis for the link between party lines and economic growth — an association that had become rather firmly entrenched in the minds of numerous South Korean voters in the latest election. By using a number of sensible measures of economic growth,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we provide evidence in support of the voter sentiment of 2007. In doing so, we also identify the two key variables behind the link between party lines and past growth: capital investment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Crucial factors in achieving sound economic growth were an administration’s ability to muster vibrant investment and its competence in improving the allocation of resources, including capital investment, through higher structural and regulatory efficiency. The identification of these two variables carries a very important lesson for the current Lee Myung-bak administration, which has concentrated on boosting corporate investment in physical capital from the start. In other words, too much focus on capital investment runs the risk of missing out on another primary source of economic growth we have identified: total factor produ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