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재한 조선족의 사회경제적 분화와 집중거주지 공간의 재편 움직임- 이동통치와 장소 만들기의 적응과 대항의 관점으로 -

        안누리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5

        This study points out that so far, Korean-Chinese studies in Korea have individually studied their social and economic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concentrated dwellings. And argues that their social and economic growth was supported by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concentrated Korean-Chinese dwellings in Korea. Elite Korean-Chinese emerged as a way to attain socioeconomic status based on the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and social demand, and it is established that they eventually became the subject of active place-making as they react, oppose, and adapt to governmobility. This study argues that one of the strategies for active place-making for migrants can be “sales” of real estate in migration countries, and analyzes the Supreme Court registration data to confirm that concentrated dwellings of Korean-Chinese in Korea has been expanded to Siheung-si, Incheon-si, and Bucheon-si, Gyeonggi-do. And examines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spac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dentified changes in the status of new concentrated dwellings and revealed that the strategy for active place-making is a result of the social and economic differentiation of the Korean-Chinese in Korea,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growth and spread of concentrated dwellings. 본 연구는 그동안의 재한 조선족 연구가 이들의 사회・경제적 성장과 집중거주지의 분화가 각각 개별적으로 연구되었음을 지적하며, 재한 조선족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는 이들의 사회・경제적 성장이 뒷받침되었음을 주장한다. 엘리트 재한 조선족은 정부의 이주 정책, 사회의 수요를 기반으로 사회경제적 지위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출현하였게 되었으며, 이동통치에 대응・저항・적응하면서 점차 능동적 장소 만들기의 주체가 됨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이주민의 능동적 장소 만들기 전략 중 하나로 이주국의 부동산 ‘매매’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하며, 대법원 등기자료 분석을 통해 재한 조선족의 집중거주지가 경기도 시흥시, 인천시 부평구, 경기도 부천시 등으로 확장되었음을 확인하고 공간이 재편되는 과정임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재한 조선족의 사회・경제적 분화에 따른 능동적 장소만들기 전략이 집중거주지의 성장 및 확산의 배경임을 밝히고 새로운 집중거주지 위상의 변화를 규명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Plant Regeneration of Calystegia soldanella by Tissue Culture of Nodes

        고정문,안누리,차현철 한국원예학회 2008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49 No.5

        In order to establish mass production of Calystegia soldanella, a coastal sand dune plant, the nutrition conditions focused on phytohormones for in vitro plant r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The node explants were regenerated with ratio of 33%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NAA (0.5 µM). As the effects of cytokinins, the combinations of auxin of NAA (0.5 µM) and two kinds of cytokinins of TDZ (0, 1, 5, 10, 20, 30, 50 µM) or BA (0, 1, 5, 10, 20, 30, 50 µM) were used to stimulate shoot formation. Shoot formation was better in 0.5 µM NAA with 5 or 10 µM TDZ than that of BA treatments. MS medium with 3% sucrose as carbon source was the most effective and 1/2 MS with 3% sucrose was moderate on root induction; in contrast, maltose supplemented medium showed low root induction and 1/2 MS medium with maltose did not induce any root formation. The regenerated plantlets were transferred to pots containing vermiculite to produce intact plants.

      • KCI등재

        Contents of Trans-resveratrol in Korean Grape Cultivars, including “Kyoho”

        박혜정,고정문,안누리,Hyeon-Cheol Cha,Young Soo Kim 한국식물학회 2009 Journal of Plant Biology Vol.52 No.4

        Concentrations of trans-resveratrol were analyzed in 36 Korean-grown grape cultivars, including cv. Kyoho. This cultivar has large irregular berries and a deepblack skin and accounts for >15% of all grapevines grown in Korea. The content of trans-resveratrol is an important quality parameter, and its pattern of variability increased gradually until the time of harvest. Its distribution also fluctuated significantly among leaves, seeds, and exocarps, with the highest amount (1,477 μg g−1 dry weight) occurring in the leaves. Among all cultivars evaluated here, trans-resveratr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eongsoo” and “High Bailey,” their levels being 50% above the overall mean (i.e., 2.0-mg g−1 dry weight), whereas 14 cultivars had contents that were 10% less than that mean value

      • KCI등재

        참여적 디자인과 일반적 디자인의 프로세스에 따른 디자이너 직무내용 비교분석

        이지현 ( Lee Jeehyun ),이은지 ( Lee Eun-jee ),지원 ( Ahn Jiwon ),김지은 ( Kim Jieun ),류림정 ( Ryu Limjeong ),누리 ( Oh Nuri ),장건 ( Zhangji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본 연구는 네트워크와 소비자와의 협업을 상품의 기획·생산의 차별적 방법으로 사용하는 참여적 패션디자인 확대 현상에 주목하고, 참여적 디자인과 일반 디자인의 프로세스 별 직무 내용 비교를 통해 참여적 패션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확장된 업무내용과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일반 패션회사와 참여적 패션회사 8곳의 디자이너·기획자를 심층인터뷰하고 인터뷰내용을 질적 자료 분석도구인 NVivo 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 디자인 프로세스의 경우, 패션디자이너에게 멀티테스커(multi-tasker)로서 시대적 패러다임의 흐름에 따를 수 있는 적응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요구하는 직무내용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참여적 디자인의 경우는 기획과 진행 그리고 상호관계와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조정자의 역할, 웹 기반의 업무환경변화 에 적응할 수 있는 직무 수행내용이 강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참여적 디자이너의 업무내용은 디자인 의뢰자·소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창의적 아이디어와 디자인의 공유, 그리고 디자인 선별과 생산 가능한 모델로의 연계 등이 직무내용에서 우선시되는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여적 패션디자이너의 직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크게 실행적 직무 내용과 조직 맥락적 직무 내용으로 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조직 맥락적 직무는 전체 디자인 전개와 제작, 생산 과정에 디자이너가 의견조정자와 기획자로서 역할을 하면서 일반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와 의 차별적 시스템을 만드는 것으로, 참여적 패션디자이너의 직무는 실행적 직무와 조직 맥락적 직무의 다층적이며, 통합적인 구조로 정의될 수 있었다. 앞으로의 디자이너 직무와 역할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인 패션디자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전문지식과 스킬 중심의 제한적 역량과 직무에서 벗어나, 보다 확장되고 유연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Collaborations with consumers are used as the different method to planning and production of products, unlike the traditional fashion designs planning and production process Leading by design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the expansion of participatory fashion design and Open platform and analyzed extended role object requiring to Participatory fashion designers. The results shows, in the general design process, the role of fashion designers as multi-taskers are required. In the cases of participatory design, facilitating roles, planning and the correlation with progression were required to designers. Also, participatory work contents of participatory designers are to overall business planning and progress control, running between consumers and producers are emphasis. Main jobs of general designers were to analyze the market trends and design concepts to set up and run, going through the assessment process. The main jobs of participatory designers were understanding the needs of sponsors and consumers, sharing creative ideas among stake-holders and design and control of production of selected models. As a result, the job of participatory designers was able to be classified largely as the operational and organizational Job description. Organization contextual Job analysis is the differential system compare to general fashion design process, the role of designers is planners serving as a mediator comment, production coordinator and facilitator during feedback process and the entire process of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tion. Participatory fashion designer`s job is defin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of the operational tasks and duties of the multi-layered and contextual organization. In the future, the changing role of designers and the job analysis of fashion expertise should be studied more and the participatory systems in fashion industry should be studied also to extend the variety of fash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