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위 배출 시간

        기주영,채희복,박선미,윤세진,정현용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1

        간경변증 환자에서 소화기 증상의 정도와 울혈성 위염, 복수의 유무가 위 배출 시간의 지연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환자는 2001년 3월 1일부터 2002년 5월 31일까지 간경변증으로 진단 받은 33명의 환자를 대상(평균연령 54.3세)으로 하였고, 정상 대조군을 위 장관 질환의 과거력이 없고 소화 장애등의 자각증상이 전혀 없으며 위 배출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 복용이나 전신 질환이 없었던 15명을 대상(평균 연령 30세)으로 하였다. 위 배출 시간검사는 50gm의 달걀 1개에 Tc^(99m)-tincolloid lmCi를혼합하여 고형질화 시킨 TC^(99m)-tin-colloid-steamed egg를 섭취한 후부터 single-head-gamma camera(Picker Co,. USA)을 이용하여 위 배출 시간 반감기(T1/2)를 찾아냈으며 위배출 시간은 T1/2의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위 배출 시간의 지연은 정상 대조군 T1/2의 mean±1 SD(45.0+12.7분) 이상으로 하였다. 정상 대조군(n=15)의 위 배출 시간은 42.64±16.80분이었고, 간경변증 환자군(n=33)은 42.54±20.80분으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울형성 위염 및 복수의 유무, 증상점수 4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위 배출 시간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식도 정맥류가 있는 군(n=26)과 없는 군(n=7)의 위 배출시간은 각각 49.27±16.80분, 31.71±10.61분이었고, 위 정맥류가 있는 군(n=7)과 없는 군(n=26)의 위 배출 시간은 각각 53.14±11.71분, 43.50±5.85분으로 정맥류가 있는 군에서 위 배출 시간의 지연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식도 정맥류 p=0.654, 위 정맥류 p=0.991). 혈청 알부민 수치와 위 배출 시간 반감기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177). 결론적으로,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소화불량 증상의 정도와 울혈성 위염, 복수의 유무에 따라 위배출 시간에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delayed gastric emptying time(GET) was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gastrointestinal discomfort, congestive gastropathy, and ascites in patients with liver cirrohsis. Thirty three patients, aged 54.3 years, with liver cirrhosis and fifteen control subjects, aged 30 years, without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history of gastrointestinal disease were participated from the first of March in 2001 to the 31st of May in 2002. For GET, solid phase gastric emptying was done with radionuclide scintigraphy using single-head gamma camera after ingestion of Tc99m tin-colloid-steamed egg. Delayed GET was defined as the half time period in GET(T1/2) longer than the mean value plus 1SD of controls (45.0+12.7min). GET between Control group and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as 42.64±16.80min, 42.54+20.80, respectively. Therefor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base of congestive gastropathy, symptom score '4', and cirrhosis, there is no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GET measured in the group with esophageal varix(n=26) or without esophageal varix(n=7), was 49.27±16.80min, 31.71±10.61min, respectively. GET measured in group with gastric varix or without varix, was 3.14±11.71min and 43.50±5.85min, respectively. But, there is no difference statically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rum albumin level and T1/2 of GET(p=0.177).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with no apparent clinical difference between gastric emptying time and liver cirrohtic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discomfort, congestive gastropathy, and ascites.

      • 알코올 대사 효소들의 유전적 다형성이 음주 행태 및 간경변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기주영,김민옥,유일영,채지영,홍의실,안성철,김헌,박선미,윤세진,채희복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2

        Background/Aims: Genetic variations of ethanol-metabolizing enzymes can affect alcohol drinking behavio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distributions of these genetic polymorphisms between a healthy control group and a heavy drinker group which included an alcoholic liver cirrhosis group. Methods: Genotypes of ADH2, ALDH2, CYP2E1, and catalase were ident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leukocytes in 42 healthy controls, 12 heavy drinkers, and 30 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Results: 1) The genotype frequencies of ALDH2 (1*1), ADH2 (1*1), CYP2E1 (c1c1), and catalase1 (TT) were 69%, 55%, 38%, and 12%, respectively in healthy Korean male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the genetic polymorphism of ALDH2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heavy drinker group (12 heavy drinkers and 30 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The genotype frequency of ALDH2 mutant, ALDH2 (1*2) and ALDH2 (2*2) in the heavy drinker group (1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30%). 3) We didn’t find anyone with ALDH2 homozygote mutant (DD) in the heavy drinker group.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genetic polymorphisms in ADH2, CYP2E1 and catalase1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bsence of ALDH2 mutant genotype is strongly related to heavy drinking behavior. We can not prove, however, any evidence that the polymorphisms of other ethanol-metabolizing enzymes are associated with the determination of alcohol-drinking behavior.(Korean J Hepatol 2003;9:89-97) 목적: 만성적인 다량의 음주에도 불구하고 알코올 중독자의 15%만이 알코올성 간경변증에 이르는데, 유전학적인 차이를 포함한 간질환에 대한 개인적인 감수성의 차이가 발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정상 대조군, 과음주력이 있으나 간경변증의 증거가 없는 군, 알코올성 간경변증 환자군 간의 ALDH2, ADH2, CYP2E1, catalase의 네 가지 알코올 대사 효소의 유전자형 빈도 차이가 음주 행태 및 질환 발생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정상 성인 42명을 정상 대조군(평균연령 52±9세)으로, 임상적 혹은 방사선학적으로 알코올성 간경변증이 확실하게 증명된 30명을 알코올성 간경변증군(평균연령 52±9세)으로, 음주력은 있으나 간질환의 증거가 없는 12명을 과음주자군(평균연령 46±6세)으로 배정하였다. 환자의 말초혈액 백혈구에서 DNA를 추출한 후, ALDH2, CYP2E1, ADH2, catalase1 유전자에 대해 PCR을 시행한 후 제한 효소들로 처리하여 제한분절길이 다형성으로 유전자형을 나누어 각 유전자형의 출현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본 연구에서 검사한 정상 성인 남자 42예에서 알코올 대사 효소들의 유전자형 빈도는 ADH2는 (1*1), (1*2)가 38%, 36%, ADLH2 (1*1)(야생형), (1*2), (2*2)이 각각 69%, 28%, 2%의 비율로 나타났다. CYP2E1의 경우 c1/c1(야생형) 유전자형이 55%를 차지하였다. catalase1의 경우 TT(야생형)유전자형이 12%를 차지하였다. 2) 정상 대조군과 음주자군(과음주자군과 알코올성 간경변증 환자군의 합)간에 ALDH2 (1*2) 혹은 (2*2) 유전자형 빈도가 유의하게 음주자군에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음주자군 중에서는 ALDH2 효소의 결핍형 동형접합체 ALDH (2*2)는 한 예도 없었으며 이형접합체만이 5예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야생형 동형접합체(88%)였다. 3) 정상대조군과 음주자 간에 ADH2, CYP2E1, catalase1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포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ALDH2 결핍 유전자형 존재는 개인의 음주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나, 음주자군에서 그 결핍 빈도가 낮아 알코올성 간경변증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임상 연구를 통하여 규명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었다. ADH2, CYP2E1, CAT1 유전자의 경우에는 세 군 간에 서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어 질병 발생과, 음주 행태에 있어서 이 유전자들의 역할은 미미할 것으로 생각된다.

      • 알코올 대사 효소들의 유전적 다형성이 음주 행태 및 간경변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기주영,김민옥,유일영,채지영,홍의실,안성철,김헌,박선미,윤세진,채희복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2

        목적: 만성적인 다량의 음주에도 불구하고 알코올 중독자의 15%만이 알코올성 간경변증에 이르는데, 유전학적인 차이를 포함한 간질환에 대한 개인적인 감수성의 차이를 포함한 간질환에 대한 개인적인 감수성의 차이가 발병에 중요한 영향으리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정상 대조군, 과음주력이 있으나 간경변증의 증가가 없는 군, 알코올성 간경변증 환자군 간의 ALDH2, ADH2, CYP2E1, catalase의 네 가지 알코올 대사 효소의 유전자형 빈도 차이가 음주 행태 및 질환 발생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정상 성인 42명을 정상 대조군(평균연령 52±9세)으로, 임상적 혹은 방사선학적으로 알코올성 간경변증이 확실하게 증명된 30명을 알코올성 간경변증군(평균연령 52±9세)으로, 음주력은 있으나 간질환의 증거가 없는 12명을 과음주자군(평균연령 46±6세)으로 배정하였다. 환자의 말초혈액 백혈구에서 DNA를 추출한 후, ALDH2, CYP2E1, ADH2, catalasel 유전자에 대해 PCR을 시행한 후 제한 효소들로 처리하여 제한 분절길이 다형성으로 유전자형을 나누어 각 유전자형의 출현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본 연구에서 검사한 정상 성인 남자 42예에서 알코올 대사 효소들의 유전자형 빈도는 ADH2는 (1*1), (1*2)가 38%, 36%, ADLH2 (1*1)(야생형), (1*2), (2*2)이 각각 69%, 28%, 2%의 비율로 나타났다. CYP2E1의 경우 c1/c1(야생형) 유전자형이 55%를 차지하였다. catalase1의 경우 TT(야생형)유전자형이 12%를 차지하였다. 2) 정상 대조군과 음주자군(과음주자군과 알코올성 간경변증 환자군의 합)간에 ALDH2 (1*2) 혹은 (2*2) 유전자형 빈도가 유의하게 음주자군에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음주자군 중에서는 ALDH2 효소의 결핍형 동형접합체 ALDH (2*2)는 한 예도 없었으며 이형접합체만이 5예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야생형 동형접합체(88%)였다. 3) 정상대조군과 음주자 간에 ADH2, CYP2E1, catalase1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포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ALDH2 결핍 유전자형 존재는 개인의 음주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나, 존재는 개인의 음주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나, 음주자군에서 그 결핍 빈도가 낮아 알코올성 간경변증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임상 연구를 통하여 규명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었다. ADH2, CYP2E1, CAT1 유전자의 경우에는 세 군간에 서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어 질병 발생과, 음주 행태에 있어서 이 유전자들의 역할은 미미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Genetic variations of ethanol-metabolizing enzymes can affect alcohol drinking behavio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distributions of these genetic polymorphisms between a healthy control group and a heavy drinker group which included an alcoholic liver cirrhosis group. Methods: Genotypes of ADH2, ALDH2, CYP2E1, and catalase were ident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leukocytes in 42 healthy controls, 12 heavy drinkers, and 30 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Results: 1) The genotype frequencies of ALDH2 (1*1), ADH2 (1*1), CYP2E1 (c1c1), and catalase1 (TT) were 69%, 55%, 38%, and 12%, respectively in healthy Korean male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the genetic polymorphism of ALDH2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heavy drinker group (12 heavy drinkers and 30 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The genotype frequency of ALDH2 mutant, ALDH2 (1*2) and ALDH2 (2*2) in the heavy drinker group (1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30%). 3) We didn’t find anyone with ALDH2 homozygote mutant (DD) in the heavy drinker group.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genetic polymorphisms in ADH2, CYP2E1 and catalase1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bsence of ALDH2 mutant genotype is strongly related to heavy drinking behavior. We can not prove, however, and evidence that the polymorphisms of other ethanol-metabolizing enzymes are associated with the determination of alcohol-drinking behavior.

      • SCOPUSKCI등재

        신 청소율 검사(Renal Clearance Study)를 이용하여 진단한 Gitelman씨 증후군 2예

        기주영 ( Gi Ju Yeong ),김혜영 ( Kim Hye Yeong ),임정묵 ( Im Jeong Mug ),오광식 ( O Gwang Sig ),박영선 ( Park Yeong Seon ),권순길 ( Kwon Sun Gil ),신종성 ( Sin Jong Seong ),김미성 ( Kim Mi Seong ),지정훈 ( Ji Jeong Hun ),엄재호 ( E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6

        We have experienced two patients who had hypokalemic metabolic alkalosis as well as hypomagnesemia and hypocalciuria with elevated plasma renin activity. We have performed renal clearance study after water loading, administration of furosemide and thiazide in two patients and two normal controls. Maximal free water clearance per 100 mL glomerular filtration rate(C_(H2O) ) and distal fractional chloride reabsorption[ C_(H2O) /(C_(H2O) +C_(Cl))] in our patients were reduced than the controls. Chloride clearance(C_(Cl)) was increased after furosemide administration but not after thiazide administration. Distal fractional chloride reabsorption[C_(H2O) /(C_(H2O) +C_(Cl))] was dramatically decreased by furosemide administration in our patients, whereas thiazide had little effect on it. Fractional excretion of sodium, chloride, magnesium, calcium was increased by furosemide administration, whereas thiazide administration had little effect on this parameters.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presence of a defect in the distal convoluted tubule rather than in the thick ascending loop of Henle. Herein, we report two cases of Gitelman`s syndrome diagnosed by renal clearace study after water loading, administration of furosemide and thiazid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유방 지방괴사로 발현한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기주영 ( Joo Young Kee ),최효진 ( Hyo Jin Choi ),신동우 ( Dong Woo Shin ),이은영 ( Eun Young Lee ),이윤종 ( Yun Jong Lee ),이은봉 ( Eun Bong Lee ),박소연 ( So Yeon Park ),송영욱 ( Yeong Wook So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5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2 No.2

        Althoug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is a chronic inflammatory multi-system disease characterized by protean manifestations, there were a few reports of breast involvement in patients with SLE. Histopathologically, most cases show lupus panniculitis. We report a 26-year-old female patient with SLE presenting with breast fat necrosis and biopsy revealed lymphocytic leukocytoclastic vasculitis and subacute 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rather then lupus panniculitis. Patient received hydroxychloroquine and prednisolone with an improvement of breast necrosi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