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語和韓國語容器標記的强制性對比

        姜海燕 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語文學誌 Vol.0 No.67

        對里外關系的認識是人類對空間的最基本的認知能力。不管是里外關系明確的實體還是无界的抽象槪念,我們都會賦予邊界,有內有外來認知。里外關系的反復再現和運用會形成容器圖式。漢語和韓國語表達里外關系的方位詞有“里、內、中”和“안,속”等。本文將這些方位詞統稱爲“容器標記”。容器標記作爲凸顯實體“容器性”的顯性手段,它的隱現會不同程度地影響實體的“容器性”。容器標記的隱現不僅跟參照實體的典型性、由它構成的方位短語的句法位置有關,還跟漢語和韓國語方位詞的語法地位有關。本文從以上三個方面考察漢語和韓國語容器標記的隱現情況,幷對比分析導致異同的原因。 Cognition of the lo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side and outside is one of human’s most basic cognitive competences. Whether entities with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inside and outside or abstract concepts which are unbounded, we will identify them with boundary. The application and reappear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de and outside will become container image schema. Localizers that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de and outside are such as li, zhong, nei in Chinese and an and sok in Korean. They are termed as container markers in this paper. Container markers are explicit means to highlight the “containerness” of entities, so their appearance-disappearance will more or less influence the “containerness” of entities. In addition, their appearance-disappearance are related to the typicality of reference entities, the syntactic positions of locative phrases they compose of, and the grammatical status of localizers. This paper studies the container markers’ appearance-disappearance from the above three aspects. Furthermore,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reason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 KCI등재

        Effect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ccording to the IL-8-251 Polymorphism in Koreans

        강해연,김상균,Mi Kyung Lee,김주성,정현채,송인성 대한의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7 No.10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polymorphisms of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s are important host genetic factors i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The present study evaluated whether IL-8-251 polymorphism affected H. pylori eradication rat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 pylori eradication on angiogenesis and the inflammatory process according to the IL-8-251 polymorphism. A total of 250 H. pylori-positive patients treated by endoscopic resection of the gastric neoplasm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134 H. pylorieradicated group, 19 H. pylori-eradication failure group, and 97 H. pylori-infected group). H. pylori status, histology, and angiogenic factor levels were evaluated at baseline, 6months, and 18 months. H. pylori eradication rate was 92.9% in AA genotype, 85.7% in AT genotype and 88.4% in TT genotype (P value = 0.731). Elevated IL-8 and matrix metalloproteinase-9 concentrations in H. pylori-infected gastric mucosa were reversible by successful eradication of H. pylori, independent of the IL-8-251 polymorphism. It is suggested that elevated IL-8 and MMP-9 concentrations in H. pylori-infected gastric mucosa are altered significantly after successful eradication and these conditions continue for 18 months. However, IL-8-251 polymorphism does not affect H. pylori eradication rate and the sequential changes of related angiogenic factors after H. pylori eradication in Korea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위암 환자에서 초음파내시경을 통한 병기 진단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김보현,이동호,강해연,고성준,양기영,이정훈,이광혁,박영수,황진혁,김진욱,정숙향,김나영,정현채,송인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6 Clinical Endoscopy Vol.33 No.5

        Background/Aims: The preoperative staging of gastric cancer facilitates the planning of therapy. Preoperative endoscopic ultrasonography is a useful procedure for the staging of gastric cancer, but sometimes there can be problems with overstaging and understaging. Methods: Endoscopic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preoperatively on 171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 results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were compared with the postoperative histological staging. Results: The overall accuracy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T stage was 65.5%, the overall accuracy was 74.4%, 51.7% and 38.9% for determining the T1, T2 and T3 staging, respectively. Endoscopic ultrasonography had an accuracy of 67.3% for determining the abs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In univariate analysis, the diagnostic accuracy was lower for infiltrative type and gastric cancer with microinvasion significantly.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overstaging occurred for gastric cancers with concomitant ulcer, inflammation or submucosal fibrosis (p=0.004) and that understaging occurred for gastric cancers with infiltrative type or microinvasion (p=0.029, p<0.001). Conclusions: Endoscopic ultrasonography is a valuable diagnostic tool for most gastric cancers with some exceptions due to the overstaging and understaging. Gastric cancers with concomitant ulcer, inflammation or submucosal fibrosis may contribute to overstaging. By contrast, gastric cancers with infiltrative type or microinvasion may result in understaging.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263-270) 목적: 위암의 수술 전 병기 평가는 위암의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초음파내시경 검사는 위암의 병기 판정에 있어 유용한 검사이지만, 과대평가 혹은 과소평가되는 경우가 있어, 본 연구는 어떠한 요인이 병기 판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조직검사로 위암이 진단된 1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초음파내시경 검사로 진단된 TNM 병기와 수술 후 얻은 병리조직으로 진단된 TNM 병기를 비교하여 병기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T 병기에 대한 초음파내시경의 정확도는 65.5%였고, 각각 T1, T2, T3 병기에 대하여 74.4%, 51.7%, 38.9%의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림프절 전이의 유무를 판단하였을 때 초음파내시경은 67.3%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위암의 심달도 판정은 조직학적으로 장형(70.8%)에 비하여 미만형(59.7%)이거나, 복합형(60.6%)인 경우에 정확도가 낮았으며(p=0.155), 팽창형(72.7%)에 비하여 침윤형(57.8%)인 경우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08). 궤양이나 염증, 점막하 섬유화를 동반하는 경우에도 정확도가 낮았다(54.8% vs. 67.9%, p=0.091). 이외에도, 조직학적으로 미세침윤이 있는 경우 심달도 판정(50.0%, p<0.001)이나 림프절 전이 판정(42.9%, p<0.001)에 있어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다변량 분석을 하였을 때 궤양이나 염증, 점막하 섬유화를 동반하는 경우 과대평가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고(p=0.044), 침윤형이거나 미세침윤을 동반하는 경우 과소평가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p=0.029, p<0.001). 결론: 초음파내시경 검사는 수술 전 병기 판정에 있어 유용한 검사이나 궤양이나 염증반응, 점막하 섬유화를 동반하는 경우 과대평가되는 경우가 많았고, 침윤형이거나 미세침윤을 동반하는 경우 과소평가되는 경우가 많았다.

      • KCI등재

        위장관 간엽종양의 감별진단에서 초음파 내시경하 대형침 생검

        강현우,김주성,김상균,강해연,정현채,송인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5

        목적: 위장관 간엽 종양 중 가장 흔한 위장관 간질 종양의 치료방침 결정에서 중요한 악성 위험 인자는 종양의 크기와 세포 분열 지수이고, 세포 분열지수 산정에는 충분한 조직 채취가 필수적이다. 초음파 내시경하 대형침 생검은 충분한 조직을 얻을 수 있어, 기존의 초음파 내시경하 세침 흡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장관 간엽 종양의 감별진단과 위장관 간질 종양의 위험도 측정에서 초음파 내시경하 대형침 생검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시행한 초음파 내시경에서 직경이 2∼5 cm인 위장관 간질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초음파 내시경하 대형침 생검을 시행하여, 조직 채취율, 악성 위험도 및 합병증 등을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8명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이중 2명에서 생검을 실패하였다, 생검을 시행한 16명에서 종양크기의 중앙값은 2.7 cm이었다. 진단에 적절한 조직 채취율은 50%였고, 조직 채취가 적절한 군과 부적절한 군 사이에서 나이, 종양의 크기, 종양이 위치하는 층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종양이 위에 있는 경우에서는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조직 채취율이 높았다(p=0.021). 또한 적절한 조직 채취군에서 비채취군에 비해 의미있게 생검 회수가 많았다(p=0.012). 조직채취가 적절한 군에서 4예는 위장관 간질 종양, 4예는 평활근종으로 진단되었다. 위장관 간질 종양으로 진단 받은 4예 중 1예에서 악성 위험도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유의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위장관 간엽 종양에서 초음파 내시경하 대형침 생검의 적절한 조직 채취율은 기존보고와 달리 높지는 않았다. 생검이 실패하거나 조직이 충분하지 않은 것은 시술자의 숙련도, 대상 종양의 크기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하며 생검기구가 연약하여 생검시 구부러지면 여러 번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 충분한 조직 채취가 어려웠던 것도 한 원인이다. 향후 적절한 생검 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중환자실 환자의 상부 위장관 재출혈 위험 요인 분석

        고성준,천재희,김주성,예병덕,강해연,김보현,이정훈,양기영,김상균,정현채,송인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6 Clinical Endoscopy Vol.32 No.5

        Background/Aims: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rebleeding after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UGIB) in critically ill patients.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0 patients undergoing bedside esophagogastroduodenoscopy between April 2000 and February 2004 for UGIB that developed whilst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Results: Eight out of 60 patients died within 7 days, and an additional 7 patients died within 30 days after the initial bleeding. Two of these 15 patients (13.3%), died from GI bleeding. The 7-day and 30-day rebleeding rates were 34.6% (18/52 patients), and 51.1% (23/45 patients), respectivel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ignificant variables revealed, anemia (Hb<9.0 g/dL) and hypoalbuminemia (<3.0 g/dL) to be significant factor for 7-day rebleeding, and hypoxia (<80 mmHg), anemia (Hb<9.0 g/dL), blood transfusion (≥3 units) to be significant independent risk factor for 30-day rebleeding. Conclusions: The rebleeding rates in the ICU setting were as high as 34.6% at 7 days and 51.1% at 30 days. This suggests that the underlying conditions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s affect the rebleeding rate more than the endoscopic features. Therefore, adequate general ICU care including the prevention and correction of hypoxia, anemia, and hypoalbuminemia, and minimizing blood loss can reduce the risk of rebleeding after UGIB in an ICU setting.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2:320-325) 목적: 상부 위장관 출혈 후 발생하는 재출혈은 환자의 예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나, 심각한 기저 질환이 동반되어 있는 중환자들에 있어서 재출혈 빈도 및 위험 인자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의 상부 위장관 출혈의 재출혈 빈도 및 위험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4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환자 중 의미 있는 상부 위장관 출혈이 있어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 의미있는 상부 위장관 출혈로 상부 위장관 내시경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는 모두 60명이었다. 환자의 내시경 소견과 임상적 요인에 따라 내시경 지혈술 또는 혈관 조영 색전술 및 내과적 약물 치료를 시행하였다. 이 중 출혈 후 7일 이내에 사망한 환자는 8명이었고, 이후 30일 이내에 추가적으로 사망한 환자는 7명이었다. 총 15명의 사망 환자 중 상부 위장관 출혈로 사망한 환자는 2명이었다(13.3%). 7일 이내의 재출혈률은 34.6% (18/52명)이며 30일 이내의 재출혈률은 51.1% (23/45명)이었다. 재출혈의 위험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단변량 및 다변량 회귀 분석에서 빈혈(Hb<9 g/dL)과 저알부민혈증(<3.0 g/dL)이 7일 이내의 재출혈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위험 요인이었으며, 저산소증(PaO2<80 mmHg), 빈혈(Hb<9 g/dL) 그리고 적혈구 수혈(≥3 units)이 30일 이내 재출혈에 대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위험 요인이었다. 결론: 중환자실 환자의 상부 위장관 재출혈 빈도는 7일째에 34.6%이었고 30일째에는 51.1%이었다. 재출혈에 관여하는 위험 인자들은 저산소증, 빈혈, 저알부민혈증과 수혈량으로, 중환자실 환자의 상부 위장관 재출혈의 예방을 위해서는 저산소증, 빈혈, 저알부민혈증의 예방과 교정 및 혈액 소실의 최소화와 같은 전반적인 내과적인 보존적 치료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