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외 시설재배 토양에 대한 유효규산 추출방법 비교

        조현종,정종배,최희열,이용우 한국토양비료학회 2004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7 No.4

        밭작물에 대한 규산질 비료의 시용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으나 적정시용수준이 밝혀져 있지 못하며 또한 밭토양에서의 유효규산 측정방법이 구명되어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참외 시설재배지 토양에 대하여 유효규산 측정방법을 구명하기위해 수행되었다. 경북 성주지역의 참외 시설재배지 38개소의 토양과 참외 잎 시료를 채취하여 가용성 토양 규산 함량과 잎 중의 총 규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가용성 토양 규산은 0.5 N HCl, 1 N sodium acetate buffer (pH 4.0), citric acid 1%, water, Tris buffer (pH 7.0), 그리고 1주간 담수하는 방법 등으로 추출하였으며, 식물체 규산은 autoclave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중의 가용성 규산은 비색법으로 정량하였다. 각 추출방법별로 가용성 토양규산 함량과 식물체규산 함량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는데, 1 N sodium acetate buffer 방법이 토양 규산과 식물체 규산 관계를 가장 뚜렷한 포화곡선으로 나타내었다. 포화곡선으로부터 산출된 참외 잎 중의 포화 규산 함량은 약 14 g SiO2 kg-1이었고 1 N sodium acetate buffer 방법으로 추출할 경우 토양 규산 함량 120 mg SiO2 kg-1이 참외에 적정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 N sodium acetate buffer 방법의 경우 참외 잎 중의 규산 함량이 포화되는 수준 이하의 토양 규산 함량 범위에서는 토양 규산 함량과 식물체 규산 함량 사이에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논토양의 유효규산 측정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1 N sodium acetate buffer를 이용한 유효규산 추출방법이 밭토양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앞으로 다양한 작물과 토양을 대상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일반연제(포스터) : P-4 ; 객담에서 분리된 Catalase negative Staphylococcus aureus의 유전학적 조사

        조현종,차영종,문미순,박정호,최병희,노길우,김현정,이혜경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3 임상미생물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3 No.-

        배경: 황색포도상구균은 병원환경이나 생활주변에서 감염되기 쉬운 균종 중 하나로 환자에서 흔히 분리되는 중요한 병원균이다.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질환은 연부조직 감염, 폐렴, 심내막염, 카테타 관련 감염, 균혈증, 골수염, 관절염, 식중독, toxic shock syndrome, 요로감염, 수막염 등 다양하다. 대부분 포도상구균은 catalase 양성이나 드물게 catalase negative S. aureus(CNSA) 17예가 객담에서 클론하게 관찰되어 이에 분자유전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방법: 2009년 5월부터 2010년 1월 사이에 객담에서 분리된 CNSA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균종동정과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MICROSCAN (MicroScan, WalkAway 96 plus,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USA)으로 Pos Combo 1A로 시행하였다. kat A 유전자 돌연변이 여부를 보기위해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7개의 housekeeping 유전자 (tpi, pta, yqiL, aroE, glpF, gmk, arc C)를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을 사용하여 sequence type (ST)을 구하였다. 또한 6개의 toxin 유전자 (pvl, tst, eta, etb, seb, sec) 보유 여부를 보기 위해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결과: 2009년 5월 1일부터 2010년 1월 31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에서 분리된 S. aureus는 1,458건이고 이중 catalase 음성인 S. aureus는 17건이다. 균주는 5% 면양혈액한천배지에 배양하여 β용혈을 일으키며 황금색 집락을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slide latex agglutination test 양성을 보였다. 3% H2O2 catalase 시험에서는 음성을 보였다. Microscan에서 그람양성 동정키트로 99.9% 가능성으로 S. aureus로 동정되었으며, penicillin, oxacillin, cephalothin, erythromycin, ciprofloxacin, gentamycin에 내성을 보였고, vancomycin, teicoplanin, habekacin 에는 감수성을 보였다. 대상검체 17건 중 15건이 객담이었고 연령별 빈도는 70대, 80대, 60대, 50대 순이었다. 분자유전학적 조사에서 kat A 유전자의 4군데에서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A602G 돌연변이로 histidine이 arginine으로, A695T 돌연변이로 glutamic acid가 valine으로, T778A 돌연변이로 tryptophan이 arginine으로, G1438A 돌연변이로 glycine이 serine으로 바뀌었다. 이 균주는 MLST 결과 ST5로, SCC mec type II로 판명되었으며, toxin 유전자 중 tst와 seb을 보유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기존의 잘 알려진 histidine 돌연변이 외에 3군데의 새로운 돌연변이를 발견하였다. 추가적인 증례수집과 연구를 통해 catalase negative S. aureus의 임상적인 연관성 및 병원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Application of biopharmaceutics classification system (BCS) in drug transport studies across human respiratory epithelial cell monolayers

        조현종,Prabagar Balakrishnan,Hongxia Lin,Min-Koo Choi,김대덕 한국약제학회 2012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42 No.3

        Transport studies of model drugs were conducted across the human nasal epithelial (HNE) and normal human bronchial epithelial (NHBE) cell monolayers cultured by air–liquid interface method. Physicochemical properties (e.g., molecular weight, calculated partition coefficient, dose number) of model drugs were quoted from literatures and apparent permeability coefficients (Papp)across the HNE and NHBE cell monolayers were directly measured. A linear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Papp values of model drugs in the HNE and NHBE cell monolayers. As the molecular weight of model drugs increased, the Papp showed a decreasing pattern while the increase of partition coefficients resulted in the increment of Pap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nsport of model drugs across both cell monolayers followed mainly the passive diffusion mechanism, although substrates mediated by drug transporters showed a deviating pattern. It wa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almost all model drugs could be grouped into the same biopharmaceutics classification system as that classified by the human intestinal permeability when the Papp was plotted as a function of dose number (D0) of each drug.

      • KCI등재

        In vitro Nasal Cell Culture Systems for Drug Transport Studies

        조현종,Ubonvan Termsarasab,김정선,김대덕 한국약제학회 2010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40 No.6

        Growing interest in the nasal route as a drug delivery system calls for a reliable in vitro model which is crucial for efficiently evaluating drug transport through the nasal cells. Various in vitro cell culture systems has thus been developed to displace the ex vivo excised nasal tissue and in vivo animal models. Due to species difference, results from animal studies are not sufficient for estimating the drug absorption kinetics in humans. However, the difficulty in obtaining reliable human tissue source limits the use of primary culture of human nasal epithelial cells. This shortage of human nasal tissue has therefore prompted studies on the “passage” culture of nasal epithelial cells. A serially passaged primary human nasal epithelial cell monolayer system developed by the air-liquid interface (ALI) culture is known to promote the differentiation of cilia and mucin gene and maintain high TEER values. Recent studies on the in vitro nasal cell culture systems for drug transport studies are review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 KCI등재

        Polysaccharides-based spray-dried microspheres for maintained stability and controlled release of protein

        조현종,Dahlkyun Oh,김대덕 한국약제학회 2012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42 No.2

        Spray-dried microspheres based on polysaccharides were developed and the conformational stability and controlled release of incorporated protein were evaluated using bovine serum albumin (BSA) as a model protein. Microspheres composed of water soluble chitosan (WCS), hydroxypropyl-b-cyclodextrin (HP-b-CD) and polyethylene glycol (PEG) were prepared by spray dying. WCS was used as a mucoadhesive and biocompatible polymer. HP-b-CD and PEG were used as protein stabilizer during the spray drying process. Microspheres with 6–7 lm of mean diameter were successfully developed. Encapsulation efficiency of BSA in microsphere was over 70 %.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structure of incorporated BSA in microsphere was analyzed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circular dichroism, and fluorescence intensity measurement,respectively. Conformational stability of BSA was maintained during the spray drying process. BSA release from microspheres was evaluated in in vitro model using the Transwell insert, and showed a sustained release profile compared to naive BSA. Thus, these microspheres could possibly serve as an optimized delivery system for preserved stability and sustained release of protein.

      • KCI등재후보

        日本의 稻作農耕硏究 : 미생시대수전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Yayoi rice fields

        趙現鐘 호남고고학회 2000 湖南考古學報 Vol.11 No.-

        水田遺蹟에 대한 일본 考古學界의 연구는 1940年代 精剛縣에 소재한 登呂遺蹟의 조사를 基點으로 본격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지금은 北海島를 제외한 일본 전지역에서 궁생시대 水田遺蹟이 확인되고 있다. 水田은 地下水의 위치에 따라 濕田과 乾田 또는 半乾田 등으로 구분되며 초기에는 低濕地 周邊을 대상으로 한 濕田形態에서 점차 半乾田 또는 乾田이 일반화된다. 한편, 水田經營의 根幹은 물의 流入과 湛水 그리고 排水 등 효율적인 물 管理體季와 밀접하게 관계되며 따라서 水田에는 水路와 水門, 水桶(暗渠), 水中湺(井堰), 방죽(溜池), 논둑 등이 설치되어 평상관리뿐 아니라 洪水로 인한 水災 및 渴水期에 대한 대비 등 발달된 構造가 初期段階에서부터 확인되고 있다. 이것은 水田이 稻作과 함께 수용된 農業技術이며 그것이 상당히 발달된 형태로 일본에 유입되었음을 示唆한다. 이러한 수전의 立地는 欲間의 欲口部,沖積地의 緩傾斜面, 背後濕地등 비교적 다양하나 대체적인 지형으로는 沖積地一帶가 優勢하다. 이것은 水田의 開田을 條件으로서 土壤肥沃度가 비교적 높고 물의 관리가 용이한 沖積地와 같은 地形이 選擇的으로 採擇되었음을 보여 주며 그 배경으로서 各地形에 대응할 수 있는 技術的適應의 擴大가 이루어진 결과이다. 水田의 開田形態는 면적에 따라 크게 大區劃과 小區劃등 2 類型으로 구분되며, 稻作初期段階에서 이미 出現하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小區劃이 많다. 이러한 수전면적의 차이는 開田地形의 修理問題에 따른 考慮, 그리고 開田道具 즉, 木製農耕具의 發展과 궤를 같이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최근 우리나라의 울산 武去洞 玉峴遺蹟과 논산 麻田里遺蹟에서 확인된 水田이 小區劃인 점에서도 근거를 찾아볼 수 잇다. 稻作農耕의 구체적인 자료는 水田遺蹟을 통해 본 日本의 初期稻作은 繩文晩期에 해당되는 突帶文土器段階에 유입된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studies on rice fields in Japan. It deals with the basic structure of rice fields, characters of typical rice field sites, and management systems of rice fields including their structure and size. Studies on rice fields in Japanese archaeology were developed from the excavation of Toro site, Shizuoka prefecture, in 1940's, where the farming settlement including rice fields and many wooden tools were preserved in damp conditions, and its excavation produced a detailed picture of an early farming village in Japan. Since then, Yayoi rice fields has been found throughout Japan except Hokkaido. Rice fields system are divided into wet fields, dry fields and half-wet, half-dry field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undergroud water. Early rice fields were wet field system constructed near the swampy lowlands, but gradually changed into dry or half-dry fields system Operation of rice field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water control system such as inflow, filling, and outflow of water. Advanced structure of water control system including drainage canals and irrigation were already found from early rice fields. It means that rice agriculture was introduced in Japan with technologically highly developed form. Rice fields usually located in an alluvial plain where the soil fertility is relatively high and the water control is easy. Rice field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f large and small partition based on their size. Both types were already appeared from the early stage of rice agriculture. However small rice fields were more common since small paddies reduced the amount of earthwork required to keep water at an even depth. Earliest rice fields in Korea are also the small partition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