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순천만 국가정원을 향한 문화지리학의 시선

        진종헌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南道文化硏究 Vol.0 No.32

        비판적 문화지리학의 관점에서 순천만 국가정원은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해석할 수 있다. 순천만 국가정원은 상징경관이고, 공적 공간이며, ‘진정한’ 장소를 지향한다. 상징 경관으로서의 순천만 국가정원은 나라별정원에서 그 의미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정 원은 아름답고 조화로운 풍경을 넘어서, 특정한 역사시기와 지역 및 국가의 문화적 정체 성을 표현해 왔다는 의미에서 상징경관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순천만 국가정원은 공적 공간으로서 공공의 이익증진에 기여함을 목표로 한다. 국가정원은 공원이나 광장과 같은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는 전형적인 공적 공간은 아니지만, ‘인간이 자연을 이해하 고 문화의 한 부분으로 포섭해 온 긴 역사’에 대해 배우고, 감상하고 체험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순천만국가정원은, Relph의 관점에서 보자면 진정하게 만들어진 장소와는 거리 가 멀고, 오히려 디즈니화된 가짜 장소에 가깝다. 그러나 국가정원은 순천이라는 장소의 내향적이고 고유한 역사에 기반해 고유의 전통과 문화 및 환경을 단순히 계승하는 것을넘어서 세계-국가-지역의 중첩된 장소스케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초국적 문화의 일부로 서 순천의 새로운 장소정체성을 만들어 나가는 매개체 즉, 일종의 상징경관이다.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ree key words from the view of cultural geography. The Garden is symbolic landscape, public space, and reaches forward to ‘authentic’ plac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as symbolic landscape is well shown in the section of ‘The Gardens by Countries’.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s symbolic landscape in that it has represented cultural identity of a certain region or state and of a certain historical period beyond beautiful and harmonious scenery. The Garden as public space intends to promote the public good (or interest). Though the Garden is not a typical public space as a square or public park (open to anybody), it is definitely a space in history. During this historical space we can learn, appreciate, and experience a virtue of nature, and eventually embrace nature as a part of culture. The Garden is far from an “authentic place” from the perspective of Edward Relph. However,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 medium through which a new identity of Suncheon is constructed (part and nexus of changing transnational network of culture). This is based on interactions among various spatial scales like ‘global-national-local’. This is true rather than simply inherit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based on an introverted history of a place. All of these features make the Garden a symbolic landscape.

      • KCI등재후보

        지리산의 불교유산 :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 문제

        문동규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3 南道文化硏究 Vol.0 No.25

        이 글은 지리산의 불교유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는 글이다. 이것을 위해 이 글은 우선 전통사찰로 지정된 12개의 사찰(천은사, 화엄사, 연곡사, 칠불사, 쌍계사, 한산사, 법계사, 내원사, 대원사, 벽송사, 영원사, 실상사)에 소재하고 있는 문화재를 개괄적으로 나열하고, 그런 후 12개의 사찰 전체 가 아니라 화엄사·연곡사·칠불사·쌍계사·실상사에 소재하고 있는 문화재들, 즉 ‘화엄사 각황전·화엄석경·각황 전 앞 석등’,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연곡사 동승탑’,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칠불 사 아자방지’ 등을 세계유산등재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그 결과 이들 문화재들이 세계문화유산 에 등재 가능함이 드러난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재들 내지는 지리산의 불교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이 있다. 세계문화유산의 등재는 험난한 길이기 때문이다. 첫째, 지리산의 불교문화유산이 과연 세계문화유산 기준(1번부터 6번까지 중 하나 또는 일부 그리고 전부)에 부합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 다. 둘째, 지리산의 불교문화유산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그것들 각각의 단순한 면이 아니라 사 찰의 건축문화, 사상, 역사 등이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지리산 사찰과 관련된 모든 문화, 예를 들면 사찰 제영시, 사찰과 관련된 한국인의 문학, 지리산 불교설화, 그리고 신앙의 측면을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유형의 문화재에 무형의 정신적 가치를 투여하자는 것, 다시 말해 단순히 우리 눈에 보이는 부동산에만 주목할 것이 아니라 그 부동산과 관련된 무형의 자산들을 부동산과 연계시켜 그 부동산을 돋보이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studied the possibility to register Jirisan Buddhist Heritage in World Cultural Heritage. First of all, I listed as an overview of the cultural properties in 12 temples(Cheoneunsa, Hwaeomsa, Yeongoksa, Chilbulsa, Ssanggyesa, Hansansa, Beobggyesa, Naewonsa, Daewonsa, Yeongwonsa, Silsangsa) that has been designated as the traditional temples, and then examined sequentially ‘Hwaeomsa Gakhwangjeon, Hwaeom stone buddhist scriptures, a stone lanterns in front of Gakhwangjeon’, ‘Hwaeomsa four lion three storied Stone pagoda’, ‘Yeongoksa eastern stupa of buddhist’, ‘Ssanggyesa jingam sunsa Tower’, ‘Silsangsa seated metal statue of Buddha’, ‘Chilbulsa Aza room ground’ that I think the possibility to register the cultural properties(in Hwaeomsa, Yeongoksa Chilbulsa, Ssanggyesa, Silsangsa) in World Cultural Heritage. And, when I want to be World Heritage cultural properties, I am reviewing what some strategy is needed. First, the Temple and Buddhist Heritage in Jirisan is coincidence or not of a World Heritage standard. Second, we should be studies the Temple building culture and history in order to be listed on the World Heritage the Temple and Buddhist Heritage in Jirisan. Third, we need to study all the Buddhist temple cultures in Jirisan, For example, the korean literature related of a temple, the Buddhist story in Jirisan, the Buddhist faith in Jirisan, the Buddhist temples jeyoungsi in Jirisan etc..

      • KCI등재후보

        순천 판소리의 전승실상과 특징

        표인주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4 南道文化硏究 Vol.0 No.27

        순천 판소리의 역사문화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순천 판소리의 전승실상을 파악해보고, 그것을 토대로 전승적인 특징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먼저 순천 판소리의 형성과 발전에는 ①순천은 15세기 초에 순천도호부로서 정치군사적 중심지이었다는 점, ② 순천은 장시가 발전한 경제적인 유통공간이었다는 점, ③순천에서 활동한 신청과 권번이라는 민속예술적인 배 경이 크게 작용했다는 점, ④순천이 전남 동부지역의 교육적 중심공간으로서 역할을 했다는 점 등 역사문화적 배경이 크게 작용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을 토대로 순천 판소리의 전승 실상을 ①순천 판소리 초창기의 오끗준과 김질엽, ②순천 판소리 형성에서 송만갑의 역할, ③박봉술과 소리선생, ④순천 판소리 계승자로서 소리꾼으로 나눌 수 있다. 순천 초창기의 판소리를 오끗준과 김질엽을 중심으로 보면 동편제 소리로서 <춘향가>와 <수궁가>가 널리 불리 어졌을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의 소리를 계승하는 제자들이 불분명하여 그 음악적인 실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하 기 어렵다. 그래서 순천 판소리의 면모는 송만갑의 역할을 통해서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송만갑은 많을 제자를 배출했지만, 순천과 인연을 맺고 있는 명창으로 가야금병창 오태석을 비롯해 박초월ㆍ김 연수ㆍ박봉술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송만갑을 중심으로 송문 일가의 판소리를 계승하고 있다. 오태석은 20세 무렵 1918년부터 1921년경에 낙안에 머물렀던 송만갑에게 판소리를 익혔고, 박초월은 <춘향가>ㆍ<흥보가>ㆍ< 심청가>를, 김연수는 <흥보가>와 <심청가> 전편을 송만갑에게 배웠다. 특히 김연수는 순천에서 동편제를 익혔 고, 박봉술과 창극단활동을 하면서 순천 판소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송만갑 못지않게 순천 판소리 발전에 기여한 소리꾼으로 박봉술인데, 순천에 정착한 것은 해방 후로 알려져 있 고, 1953년부터 1958년까지 순천국악원의 소리선생으로 있으면서 성창열ㆍ선동옥ㆍ박정례 등을 배출했으며, 순 천지역을 중심으로 순흥극단을 조직하여 주광덕ㆍ공기남ㆍ배금찬ㆍ박정례ㆍ선농월ㆍ박향ㆍ성창렬ㆍ성옥란 등 과 함께 활동하기도 했다. 박봉술은 박정례를 중심으로 성창렬ㆍ선동옥ㆍ선농월 등의 제자들을 배출하여 순천 판소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순천 판소리는 송흥록ㆍ송만갑ㆍ박봉술을 중심으로 계승되고 있지만, 서편제와 보성제의 소리가 혼합되어 계승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동편제 소리의 계승은 송순섭ㆍ김향순ㆍ주순자ㆍ성판수ㆍ박미홍ㆍ김영애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동편제와 보성제가 혼합된 판소리는 전옥순ㆍ염금향ㆍ황철환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보성소 리는 김몽석과 주순자로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비록 순천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순천 출신으로 보성 소리를 계승하고 있는 소리꾼으로 주소연과 박지윤을 들 수 있다. 순천 판소리의 특징을 창자와 유파, 그리고 텍스트 계승이라는 차원에서 살펴 볼 수 있는데, 먼저 판소리 창자 및 유파에 따른 특징으로, 동편제는 송흥록-박만순-오끗준의 계열과 송흥록-송광록-송우룡의 계열이 있고, 송 우룡 계열은 다시 송우룡-송만갑 계열과 송우룡-유성준의 계열로 나누어진다. 보성제는 정응민-성우향의 계열 이 있지만, 순천 지역 출신의 명창들은 거의 대부분 동편제 창법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오늘날 순천에 는 동편제가 중심이 되고 있기는 하지만, 보성제의 전승도 확대되고 있는데, 본격적인 전승은 염금향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순천 판소리의 특징을 텍스트 계승에 나타난 것을 토대로 파악할 수 있는데, 순천 판소리는 동편제 소 리로서 송만갑의 <춘향가>ㆍ<적벽가>와 유성준의 <수궁가>가 대표적인 작품이다. 순천에서 송만갑과 유성준 의 소리를 모두 수용하고 있는 명창이 박봉술이기 때문에 <적벽가>가 대표작인 그를 순천을 대표할 수 있는 소 리꾼이라 할 수 있다. It is the truth that the background of folk arts in Suncheon and the fact that Suncheon was the center of politics, the military, economic distribution and education had a huge effect on the advent and development of the Suncheon Pansori. The transmission state of Suncheon Pansori is divided into four parts: O Kkeut Jun and Kim Jil Ueop were prelavent in the early Suncheon Pansori; the role of Song Man Gab in the advent of Suncheon Pansori; and Park Bong Sul and Sori-Sunsaeng and singer as successor of Suncheon Pansori. Suncheon Pansori was succeeded mainly by Song Heung Rok, Song Man Gab and Park Bong Sul but also by a combination of Sopyonje and Boseongje. One of the characteristics is that Dongpyonje has two lines of Song Heung Rok - Park Man Sun-O Kkeut Jun and Song Heung Rok. The Song Gwang Rok-Song Woo Ryong and Song Woo Ryong line is separated into the Song Woo Ryong- Song Man Gab line and the Song Woo Ryong-U Seong Jun line. It is the characteristic that Boseongje has the Jeong Eung Min-Seong Woo Hyang line but almost all master singers from Suncheon follow the singing style of Dongpyonje. Suncheon Pansori is Sori of Dongpyonje and the representative songs are <Chunhyangga> and < Jeokbyeokga > by Song Man Gab and < Sugungga> by U Seong Jun. It is possible to say that Park Bong Sul is the representative Master singer of Pansori in Suncheon because he accepts both the Sori of Song Man Gab and U Seong Jun.

      • KCI등재

        지리산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의 성과를 중심으로

        강정화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6 南道文化硏究 Vol.0 No.31

        본고는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이 지난 9년여 동안 수행한 지리산 관련 연구 성과를 개략 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추진해야 할 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은 2007 년에 문학ㆍ역사ㆍ철학ㆍ지리ㆍ생태 등 여러 분과의 박사급 연구자 10여 명이 지리산 연구를 위해 결성한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산악문화 연구단이다. 지리산권문화연구단에서는 그동안 지리산 관련 인문분야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 하여, 대략 연구논문 300편, 자료총서 33권, 연구총서 11권, 번역총서 8권, 교양총서 7권, 마을총서 1권이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산출하다. 지리산은 역사적으로 국내 여느 산에 비해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계된 공간이다. 따라서 지리산권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조선시대 지식인의 지적 활동과 관련한 자료가 풍부하게 남아 있다. 예컨대 지리산을 유람하고 남긴 유람록이나 기행시, 지리산권역 ㆍ호남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南冥學派와 蘆沙學派, 근ㆍ현대의 東學과 빨치산의 활동 등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 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산 연구에 있어 인문분야 연구자가 없던 국내 학계에 ‘산의 인문학’ 또는 ‘산학(山學) 연구’의 학술적 토대를 구축하고, 나아가 국내 여타 산 문화 연구로의 관심을 촉진시키고 확산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다. 그리고 향후 이의 지속적 연구를 위한 과제도 점검하다. 무엇보다 연구자가 이를 지속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어야 하고, 나아가 지리산 연구를 수행할 새로 운 연구자를 폭넓게 확보해야 한다. 또한 지리산을 넘어 국내외 명산과의 비교 연구로까 지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분야별 심화 연구 및 분과 간 공동연구가 절실히 요청된다. This study set out to roughly sort the findings of Mt. Jiri research conducted by the Jirisan Region Cultural Research Institute (hereinafter “the Institute”) for the last nine years and propose its future tasks. The Institute is the nation’s first and only research institute (about mountain culture) that was formed by ten doctoral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geography, and ecology. The Institute was formed to conduct research on Mt. Jiri in 2007. The Institute has carried out ongoing research on humanities related to Mt. Jiri. It has achieved eye-opening results including approximately 300 research papers, 33 collections of data, 11 collections of research, eight collections of translations, seven collections of liberal arts, and one collection of villages. Mt. Jiri’s culture is mo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han any other mountain in the nation’s history. These studies preserve a rich repository of materials related to the intellectual activities of intellectuals that were active around the region of the mountain during the Joseon period. There has been, for instance, active research conducted across various fields: travel journals and poems after a trip to Mt. Jiri, the Nammyeong School and the Nosa School that were active around Yeongnam and Honam within the perimeter of Mt. Jiri, and the activities of Donghak and North Korean partisan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y established an academic foundation for “humanities of the mountains” or “research on mountain studies” in the academic circles of South Korea, where there had been no research in humanities on the mountain. This made a huge contribution to the facilitation and spread of interest in research about other mountain cultures in the nation. The present study also reviewed tasks for ongoing research for the future.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re should be conditions arranged for researchers to conduct ongoing studies. It is also critical to secure a broader scope of new researchers to conduct research on Mt. Jiri. Those efforts should extend to comparative studies between Mt. Jiri and other celebrated mountains home and abroad. This desperately calls for in-depth research in each field and joint research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 KCI등재후보

        남해안 竹防簾 어업과 물질·물건의 전통지식

        박경용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3 南道文化硏究 Vol.0 No.25

        죽방렴은 참나무 말목을 바다에 박고 발처럼 엮어 만든 대나무 어살을 둘러쳐서 멸치를 주 어종으로 포획해온 원시어법이다. 죽방렴 어업은 남해군 지족해협처럼 조수 흐름이 빠를 뿐만 아니라 밀물과 썰물이 교차하는 특 수한 지형 여건 및 멸치와 같은 특정 어류의 반복적 회유 등과 같은 복합 환경적 배경 속에서 발달한다. 어류 의 습성 및 조수 흐름, 물때 등을 이용한 어구 설치와 어획방식 등은 죽방렴 어업의 자연과 우주에 대한 전통 지식의 일면을 보여준다. 죽방렴어구의 재료 조달과 설치 및 어획과 가공, 유지 보수 등 이른바 죽방렴 어업의 재생산을 위한 다양한 도구나 시설물에 대한 인식과 운용지식은 죽방렴 어업의 물질과 물건에 대한 전통지식 을 함의한다. 죽방렴 어업의 물질·물건 전통지식은 어획 성과와 가공품의 품질을 제고하고 어구의 내구성, 경제성 및 어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준다는 점에서 죽방렴 어업의 지속적 발전과 재생산을 위한 필수적인 사안이다. 동시에 ‘죽방렴 복합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남해안 지방에서 특수하게 전승되어온 어로문화의 일면을 세밀하게 엿 볼 수 있도록 해준다. 최근에는 관광객들로 하여금 죽방렴 어구와 어획과정을 가까이서 직접 볼 수 있도록 함 으로써 관광 및 교육자원화도 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문화적 의의와 가치에도 불구하고, 남해안 죽방렴 어업은 여러 가지 면에서 보존과정에 어려움 이 제기되고 있어 보존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첫째, 해양환경 오염과 수온 변화, 어류 남획 등으로 죽방렴 어획량이 급격하게 감소됨으로써 유지, 존속을 위 한 걸림돌이 되고 있다. 어획량의 감소는 채산성 악화로 인해 죽방렴 어업의 유지를 위한 시설 투자를 꺼리게 됨은 물론 장기적으로는 이를 운영해나갈 인력을 확보할 수 없게 만든다. 현재에도 지족해협일대의 23개 죽방 렴 어업자들은 60대, 70대 고령자가 대부분이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족해협근역의 공단이나 취락지구 로부터 바다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관리를 철저히 함과 동시에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마구잡이식의 어로행 위도 근절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죽방렴은 그 모양이나 자연 및 우주 원리에 의해 어획하는 방식에는 예나 지금이나 변화가 없지만, 죽방 렴 어구의 재료나 유지, 관리방식 및 어획과 가공작업 등에서는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이로 인해 전래의 죽방 렴 어업이 지닌 문화요소들이 상당히 변질, 훼손, 왜곡되고 있다. 근년에 ‘명승’ 문화재로까지 지정된 마당에서 이와 같은 문화요소의 심각한 변화는 죽방렴 어업의 역사성과 문화재적 가치를 저하시킨다. 이에 대한 대안으 로 뭍에 근접해 있는 1개의 죽방렴에 대해서는 예산 지원을 통해 참나무 말목과 대발을 설치하는 등 본래의 형 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처하고 있어 다행이다. 죽방렴 자체는 이렇게라도 해서 원형성을 보존하지만, 이의 유지 및 보존을 비롯하여 어획과 가공, 포장, 판매 등 죽방렴 어업의 재생산을 위한 부수적인 관련 문화적 사 상(cultural things)의 보존방책은 전혀 강구되지 않고 있다. 셋째, 위 두 번째 사안과 관련하여 ‘죽방렴 문화복합’의 전통성을 보여줄 수 있는 시설이나 도구를 비롯하여 관 련 서사나 민요, 공동체 생활상(놀이·연희·울력), 물증(사진·장부·문서) 등의 자료들은 대부분 유실되었다. 이 는 타 생활부문과 마찬가지로 사회변화와 더불어 기능 면에서 현실적 적합성이 떨어지는 물건이나 시설, 기억 , 물증 등이 자연적으로 도태, 인멸되어온 결과이다. 죽방렴 어업의 경우 플라스틱제품이 보급되기 전만 하더 라도 대나무로 제작된 산대미나 발 등을 비롯하여 참나무 말목을 박는 박말과 박메, 쇠두겁등이 일상적으로 활용되었었다. 죽방렴 어업의 지원시설인 발막만 하더라도 통풍을 고려하여 대나무로 벽면을 세웠으며, 내부 에는 멸치 건조용의 간대를 설치하였다. 많이 늦긴 했을지라도, 각 업주들이 보존하고 있는 과거의 도구들이 나 물증을 비롯하여 죽방렴 운영과정에서 생산되거나 전승되어온 기억이나 서사자료까지 수집할 필요가 있다 . 물건의 경우 남아 있지 않는 것은 원로 어업자들의 기억을 되살려 원형에 가깝게 제작하면 될 것이다. 그리 하여 죽방렴 문화복합을 재현해서 전시물로 남기고 후세에 보여줄 수 있도록 해야겠다. 이른바 ‘죽방렴역사관 ’ 혹은 ‘죽방렴박물관’, ‘죽방렴문화전승관’ 등의 이름으로 죽방렴 어구의 원형 및 관련물건과 물증, 어로작업 모습, 어획원리, 생활상, 생태조건 등 관련되는 유·무형의 문화상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줄 수 있어야겠다. 지족 해협의 죽방렴은 인근 사천시 삼천포해협과 더불어 전국에서 유일하게 보존, 전승되므로 관련 문화전승 공간 의 구축은 꼭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raditional knowledge of materials and things on the Juk-bang-ryeom[ 竹防簾], handed down at the JiJok Strait[知足海峽] in the southern sea, Korea. The Juk-bang-ryeom is one of the oldest and the primitive fishery tools in korea, operating by a fast stream from a wide gap of the ebb and the flow of the tide. It needs various traditional knowledge of nature and space, concerning of the geographical features above and below the sea, the tide, the dept of the sea, tide time and the habits of fishes etcs.. It have been made of bamboo, oak tree and other several materials. The perceptions and concerning skills about establishing of fishery tools, catching and manufacturing of anchovy(Maelchi) are traditional knowledge of materials and things on the Juk-bang-ryeom. Traditional knowledge of materials and things are scientific and indigenous one based on folk fishery and local ecological conditions. It is very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nded down by our ancestors. Therefore we should research traditional knowledge of materials and things and plan the way for maintenance and conservation and usage of the Juk-bang-ryeom. The establishment of the Juk-bang-ryeom museum is one way for con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concerning culture complex.

      • KCI등재

        순천만국가정원과 남도문예르네상스

        강성호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南道文化硏究 Vol.0 No.32

        이 논문은 순천시의 『2016년 주요업무보고서』와 2016년 7월에 수립되어 현재 진행 되고 있는 전남도청의 『남도문예르네상스』 사업들을 중심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 토에 근거하여 이 논문은 순천만국가정원의 지속적 발전방안을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시작단계에 놓인 순천만국가정원의 중장기적인 체계적인 전망과 운영방안을 지역 시민사회와 공유하면서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둘째, 순천 원도심 ‘역사타운’이 담고 있는 전통문화자원과 기독교근대유산 등을 순천만국가정원과 유기적 결합시켜 상호 시너지를 높여나가야 한다. 셋째, 전남도청이 진행하는 ‘남도문예르네상스’의 전남전통정원 사업 과 순천만국가정원을 연결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모색하여, 전남지역에서 순천 만국가정원이 차지하는 위상을 높여나가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the planning work related to the garden of Suncheon City in 2016, and the problem of the ‘Namdo Literary Renaissance’ of Jeonnam Province.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some tasks to be considered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First,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s in its infanc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id-to-long-term systematic view and management plan of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by sharing it with the local civil soci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enhance synergy by organically combining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nd modern Christian heritage of Suncheon city with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tatus of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n the Jeonnam area. This can be done by looking for specific ways to link the Jeonnam traditional garden project of the ‘Namdo Literary Renaissance’ conducted by Jeonnam province to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 KCI등재

        태산문화연구와의 비교를 통해서 본 지리산문화연구의 의의와 전망

        김지영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6 南道文化硏究 Vol.0 No.31

        산은 인간에게 풍부한 자연 생산물과 함께 정신적 안락처이자 현실 재앙의 피난처로 서의 역할을 하여왔다. 산은 숭배의 대상이기도 하으며, 갈취와 정복의 대상이기도 하다. 산을 바라보는 현대적 시각은 산이 가진 자연자원에 대한 활용가치나 휴양 및 건강을 위한 관광자원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1987년 세계복합유산으로 등재된 중 국의 태산은 1980년대에 이르러 산을 인문학적으로 바라보는 시도를 하다는 점에서 동아시아 산악문화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2007년 11월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이 결성되기 전의 지리산문화연구는 자연과학역 에서 동식물자원이나 지형 및 암석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2007년 11월 이후, 지리산문화에 대한 문학ㆍ역사ㆍ사상ㆍ신앙ㆍ인문지리 등에 대한 연구가 눈에 띄게 급증한 것은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의 공헌이 아닐 수 없다.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의 연구가 마지막 차년에 들어선 이 시점에 지금까지의 지리산문 화연구의 현황과 그 발전 추세를 점검하고 현재의 한계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법론과 방향성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고에서는 산악문화연구의 한 유형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태산문화 연구의 현황 과 발전단계 등을 모델로 삼아 지리산문화연구의 현황을 통계화하고, 이에 대한 발전단 계의 특징을 추출하면서 향후 해결해야 할 문제점과 보안되어야 할 점 등을 고찰하였다. Jiri Mountain has undertaken the role of providing enriched natural resources as well as a spiritual comfort zone and a shelter from disasters for humans. Jiri Mountain has long been the subject of worship and it has been the subject of extortion and conquest. Contemporary views of the mountain are mostly focused on the utility value of the natural resources on the mountain as well as the tourist resources for resorts and health. In 1987, Tae-san of China (World Heritage) attempted to look at the mountain in humanities studies. This had an important implica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ain culture studies in East Asia. In November 2007, the Jiri-san culture studies, before organizing the Jiri-san culture study organization was dominated by the studies of animal and plant resources, topography, and rocks in the natural sciences. After November 2007, there was a conspicuous increase of studies of culture, history, ideology, faith, humanities and geography using Jiri-san culture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Jiri-san culture study organization. As the studies by the Jiri-san culture study organization have been implemented for nearly 10 years,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check the trend of status and development of the Jiri-san culture studies and determine the methodology and direction of current issues and tasks for the future. Under this article, in order to examine the implication of Jiri-san culture studies and its insufficient part, this study is summarizing the status and development phase of the Tae-san culture studie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mountain culture studies. This also includes the type of mountain culture studies and further looks into the status and development phase of the Jiri-san culture studies. Therefore, it contemplates the issues to solve and work as supplements for the Jiri-san culture studies.

      • KCI등재후보

        마을만들기에서 민속문화의 활용과 활로 - 광주광역시 북구를 대상으로

        서해숙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4 南道文化硏究 Vol.0 No.27

        본 연구는 도심 속에 전통적인 마을공동체 정신을 부활시키고 현대사회가 지향하는 공동체의 환경과 복지를 실 천하고자 추진한 광주광역시 북구의 마을만들기를 대상으로 사업의 내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 사업에서 실 제 민속문화의 활용정도에 대한 검토와 함께 민속문화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서 살폈다. 광주광역시 북구의 ‘아름다운 마을만들기’ 사업은 급속한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삭막한 삶의 공간을 주민공동 사업을 통해 가꾸어 나가는 과정에서 인간관계 회복, 주민자치 실현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크게 마을삶터 가꾸기, 마을인재 육성, 마을공동체 형성 3대 프로그램을 꾸준히 진행하였다. 그 결과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기는 했으나 주민 참여의 새로운 장, 지속가능한 실천적 주민운동으로서 진전을 보였고, 완전하지는 않으 나 공동체의식 확산에 일조하는 바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문화동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문화동은 ‘시화(詩畵)’ 라는 마을이 갖는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체 캐릭터와 테마를 개발하고 이를 마을만들기 세부사업과 연계지 어 단기·중기·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는데, 이런 문화적 테마가 마을만들기로서의 지속성과 동(洞)만 의 독자성과 정체성, 역사성, 전통성 등 문화적 의미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독일의 마을만들기 에서 민속학의 역할에 대한 검토와 우리나라에서도 정부나 지방자치제의 마을만들기에서 민속문화가 부분적 혹 은 일시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살폈는데, 이제는 문화의 변화와 지속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체계적인 활용 , 즉 문화자원 프로그램 개발, 인적자원 발굴, 지역문화의 현대적 해석과 재구성 등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지역의 민속문화를 활용한 마을만들기는 궁극적으로 ‘만들기’라는 수단을 통해서 마을과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원동력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the promotion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Buk-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looked into the degree of the application of cultural resources and the role and direction of folk-culture based on that. ‘Beautiful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Buk-gu, Gwangju Metropolitan City has continuously carried out three programs, including building living spaces, developing talented people in the town and building a village community in order to improve the space of a dreary life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 a joint project by the residents. As a result, it was set as a sustainable and practical movement by the residents. This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autonomous community spirit. Today, there is a wide range of sightseeing programs: farming, fishing and mountain villages. This study focused on the case of Munhwa-dong, one of the areas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Buk-gu, Gwangju. Munhwa-dong developed the village’s own character and theme, ‘Poem and Picture’ and was promoting this link to the detailed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the short, medium and long terms. This cultural theme came to have persistence as a ‘Community Building’ Project and became the image of Munhwa-dong’s own uniqueness, identity, significance and historical transition. Also, this study looked into the role of Folklore in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Germany and examined how folk-culture was partially or temporarily used in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the modern interpretation and reconstruction of local cultur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historical flow of cultural change and sustainability - a development of a program on cultural resources.

      • KCI등재후보

        중국 태산과 여산의 유교문화

        김지영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4 南道文化硏究 Vol.0 No.27

        중국 태산과 여산은 각각 장강(長江) 이북(以北)과 장강 이남에 위치하면서 장강 이남 이북의 문화와 역사를 대 표하는 명산이다. 태산은 역대 황제들이 직접 찾아와 하늘에 제사를 지냄으로써, “황제의 산”으로 불리었다. 또한 국가적으로 중요 한 다섯 산을 지정하였던 “오악(五嶽)” 중 으뜸으로 존숭되었으며, “오악독존(五嶽獨尊)”으로 불리었다. 태산은 불교, 도교, 유교와 지방 민간 종교가 공존하는 곳으로 은사(隱士), 왕공 대신, 철학가, 시인, 화가들의 영감(靈感 )적 원천이었다. 태산은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자연과 인간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천인합일 사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공자는 태산의 지맥에 속하는 곡부 창평향에서 태어나, 중국인의 정신 가운데 또 하나의 태산으로 자리하고 있 다. 태산을 중심으로 한 산동지역은 유학의 근원지로써 곳곳에 공자와 관련된 고사 및 유적지가 많이 남아 있다. 태산의 동쪽 등산로에는 공자와 관련된 흔적과 일화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등산객들은 태산을 오르면서 공자와 함께 등산을 하는듯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 후세 사람들은 태산을 공자처럼, 혹은 공자를 태산처럼 여겼기 때문 에 항상 태산을 찾으려는 염원을 가졌다. 여산은 예로부터 “기이하고 수려함이 천하제일”이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으며 큰 산, 큰 강, 큰 호수가 하나로 어 우러져 험준함과 온유함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여산은 불교, 도교, 기독교, 천주교, 동정교, 이슬람교 등의 6교가 공존하는 다원 문화를 이루고 있으며 문화명산 , 종교명산, 교육명산, 정치명산이라 불린다. 1920년대 지어진 교회와 학교들이 30여 개 남아 있고, 18개 국가 건 축양식의 별장이 600여 동 남아 있다. 근현대적으로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의 주요 남부 거점지이자, 주요 회의가 열린 곳이기도 하다. 여산은 송대 유학 교육의 발원지로서, 중국 유교사상의 제2 전성기를 이끈 주희가 세운 백록동서원이 자리하고 있다. 백록동서원은 유교문화 전파의 선봉 역할을 하면서 동아시아권의 유교 교육과 인재 양성에 크게 공헌하였 다. 태산과 여산은 중국 명산 관련 유교문화의 두 유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공자와 주자라는 유교인물이 명산과 연 관되어 유적지를 남기고, 학파를 형성하며 서원을 설립하면서 독특한 명산의 유교문화를 형성하였다. Thai Shan and Lushan are mountains that are located along the northern Yangtze river and the southern Yangtze river, respectively. These two mountains represent cultures and histories of each region. Tai Shan mountain (or Mount Tai) used to be called the "Emperor's Mountain", where China's Emperors visited to perform ancestral rites. Further, the mountain used to be called 五岳獨尊 (The first of China's five best mountains). Thai Shan is a place where many kinds of religions - Buddhism, Taoism, Confucianism and folk religions have developed. Also the area is an inspiration to Buddhist monks who practice ascetism, to ministers, philosophers and artists. Thai Shan’s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landscape reflects a 天人合一 thought (a theory that man is an integral part of nature). Confucius (Chinese name: Kong Zi) was born in the Qufu Changping district located on Thai Shan. Confucius is regarded as another religious leader from Thai Shan which means that Confuciu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hinese spirit. The place surrounding Thai Shan is the center of Chinese Confucianism, and is famous for its old temples and historic sites that are related to Confucius. The main mountain trail of Thai Shan still holds legends of Confucius’ remains and actions. Mountain climbers, therefore, can feel as if they were climbing with Confucius. The Chinese posterity thinks of Thai Shan as Confucius and thinks of Confucius as Thai Shan; thus they always have a desire to visit Thai Sh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