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파세마고원의 거석유적

        임영진 ( Young Jin Yim ),박수현 ( Soo Hyun Park ),이정진 ( Jung Jin Lee ),( Bagyo Prasetyo ),가종수 ( Jong Soo Ka ),이동희 ( Dong Hee Lee ),조진선 ( Jin Seon Cho ),윤호필 ( Ho Pil Yun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8 No.-

        이 글은 2011년 2월에 이루어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파세마고원 지대의 거석문화유적에 대한 현지조사 보고문이다. 한국의 (재)호남문화재연구원과 인도네시아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공동으로 이 지역의 지석묘와 석실묘를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지석묘 7개소, 석실묘 7개소, 석상·석물·입석 13개소, 암각화 1개소를 조사하였다. 지석묘는 평야지대에 군집되어 있으며 남방식과 개석식이 공존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연대는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석실묘는 구릉지대에 단독 또는 몇기가 모여 있으며 지하 횡구식이지만 외형만으로는 지석묘와 구분하기 어려운 것도 있다. 석실묘 역시 정확한 시기를 알기 어렵지만 철기 유입 이후 지석묘가 발전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석상과 석물은 대부분 지석묘나 석실묘와 같은 지역에 공존하고 있지만 아직도 그 용도와 상호 관계가 파악되지 못하고 있으며 입석은 단독으로 존재한다. 수마트라섬의 파세마고원 지대에 남아있는 많은 거석문화유적은 선사·고대의 동아시아 교류사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지만 연구의 진전을 위해서는 정밀한 발굴을 통한 정확한 연대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is a survey report on the megalithic monuments of the Pasema area in Sumatra, Indonesia, which was conducted in February 2011. The survey was carried out collaboratively by the 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in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of Archaeology in Indonesia, and investigated seven dolmens, seven stone chamber tombs, thirteen stone statues, and one rock carving site. The dolmens, which can be divided into stone-supported type and capstone type, are situated on the plains and their construction dates are difficult to estimate. The stone chamber tombs, which are a side-entrance type, are situated on the low hills, but some of them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apstone type dolmens.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stone chamber tombs is equally ambiguous, although they appear to have developed after the dolmens. Most of the stone statues coexist with the dolmens or the stone chamber tombs, but their 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s not clearly understood until now. Menhir exists alone. The megalithic sites of the Pasema area are important archaeological materials through which we can understand cultural interactions in ancient East Asia. They awaits further investigation, particularly on the issue of establishing chronology through systematic excavation.

      • KCI등재

        토기로 본 5~6세기 복암리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

        서현주 ( Hyunju Seo ) 호남고고학회 2016 湖南考古學報 Vol.54 No.-

        나주 복암리 일대는 복암리 1~4호분으로 보아 3~7세기동안 고분이 조영되었음이 알려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최근들어 5~6세기를 중심으로 새로운 대형 고분들이 조사되면서 다양한 계통을 보여 주는 자료가 확인되어 이를 통해 복암리세력의 동향을 좀더 잘 드러낼 수 있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최 근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복암리 정촌고분, 가흥리 신흥고분의 토기를 중심으로 하고 복암리고분군과 비교하면서 5 ~6세기 복암리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복암리 정촌고분과 가흥리 신흥고분은 영산강중류지역인 복암리고분군의 인근에 위치하며, 토기나 매장시설로 보아 복암리 3호분보다 더 이른 시기에 조영되기 시작하였고 계통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가흥리 신흥고분은 5세기 중엽, 복암리 정촌고분은 분구와 함께 1호 석실묘가 5세기 후엽에 조영되기 시작하여 7세기를 전후한 시기까지 이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계통적으로 볼 때 가흥리 신흥고분은 가야계, 왜계, 백제계, 영산강하류지역, 복암리 정촌 고분의 1호 석실묘는 왜계, 백제계, 영산강상류지역 등 다양한 계통과 관련지역이 확인되며, 이후 석곽묘와 옹관묘, 사비기 석실묘에는 재지계 유물과 함께 소수의 가야계 유물도 포함되어 있다. 복암리 3호분이나 영동리고분군에서는 신라계 자료도 확인된다. 가흥리 신흥고분은 영산강하류지역의 양상과 연결되므로 5세기 중엽경에 이 일대의 세력이 재지성향을 가지면 서 중류지역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복암리 정촌고분은 다른 영산강 중류나 하류 지역의 고 분들과 비교하면, 토기나 매장시설 등에서 다소 이질적이다. 특히, 1호 석실묘는 영산강상류지역, 백제와의 관련이 두드러진다. 6세기경에 조영되어 주로 6세기 전반에 매장이 이루어진 복암리 3호분의 96석실묘를 중심으로 한 복 암리고분군에서도 백제계 토기는 이어지지만, 소위 백제식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배 형식이 주류를 이룬다. 두 고분 모두 백제계 위세품인 금동식리가 부장되어 백제와의 긴밀한 관계를 잘 보여주는데, 토기 양상 또한 시차를 두고 복암리세력이 백제와의 관계에서 위상과 역할이 변화·확대되는 모습을 잘 보여준다 Bokam-ri, Naju, is known for the presence of ancient tumuli dated to the 3rd to the 7th centuries AD, and a new set of tombs have recently been excavated. The current paper examines pottery assemblages of the newly excavated tomb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interaction of regional polities. The Jeongchon tomb in Bokam-ri and the Shinheung tomb in Gaheung-ri are located in the middle reach of the Yeongsan River. These tombs are close to the Bokam-ri tombs, but were built earlier than the Bokam-ri no. 3 tomb. The Shinheung tomb was built around the mid 5th century and reflects the influence from Gaya, Wa (倭) and Baekje. The tomb represents the emergence of new power group in the area. The stone chamber of the Jeongchon tomb was built around the late 5th century. The tomb and the associated pottery reflects cultural connections with Baekje, especially those in the upper area of Yeongsan River. The so-called Baekje-style flat cups are the dominant artifact types discovered from No. 96 chamber tomb of the Bokam-ri no. 3 tomb. Gilt-bronze shoes, a Baekje-style prestige item, were discovered from the Jeongchon tomb and the Bokam-ri no. 3 tomb. These findings suggest the close relationships of the local polities with Baekje and the changing political status of the Bokam-ri elite groups.

      • KCI등재후보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김승옥 ( Kim Seung Og ) 호남고고학회 2019 湖南考古學報 Vol.63 No.-

        이 글의 목적은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를 논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물질문화를 통한 정치체의 동정과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전제 및 방법론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호남지역 초기철기∼삼국시대 문화의 다양성과 마한의 시공간에 대해 논의한다. 마한의 시간적 전개과정은 물질문화와 문헌기록으로 볼 때 조기-전기-중기-후기로 나눌 수 있는데, 획기별로 마한의 주요 공간이 이동하였고 물질문화의 내용과 성격 역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가야의 상호관계를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본다. 1단계(3세기 중반∼4세기 중후반)는 호남지역에서 마한과 백제, 가야가 상호관계와 교섭을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 단계의 마한 문화는 호남 서부 일대에서 전성기를 누리게 되고, 금강 상류의 진안고원과 운봉고원 일대를 제외한 섬진강 전역에 나타난다. 마한 문화의 지역적 차이는 서부와 동부로 대별되는데, 서부는 물론이고 동부에서도 소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서부와 상대적으로 이질적인 섬진강 중류와 하류, 보성강권 문화는 영산강 상류와 서남해안의 문화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 호남지역, 특히 영산강유역의 마한 정치체는 중서부 지역 백제나 마한 정치체, 경남 서부의 금관가야와 활발한 대외관계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대외교섭은 중심과 주변간의 관계가 아닌, 소위 ‘동등 정치체간 교호관계’로 볼 수 있다. 2단계(4세기 후반∼5세기 후반)에 접어들면 전북 서부 일대는 백제의 지배영역으로 편입되지만 일부 거점지역을 제외한 영산강 일대는 정치와 문화의 자율성을 누렸던 것으로 판단된다. 섬진강유역권에서는 마한 문화가 점차 쇠퇴하면서 백제, 아라가야, 소가야의 문화요소가 혼재하게 된다. 그러나 5세기 중반 경에 이르면 백제와 대가야 세력이 치열한 각축을 벌이게 되는데, 그 핵심지대는 금강 상류와 섬진강 중류 일대로 추정된다. 마지막의 3단계(6세기 전반∼중반)에 이르면 백제가 호남지역 대부분을 영역화하기 시작하며 6세기 중반 경에는 직접지배가 완료되는데, 이는 물질자료와 문헌기록에서 입증된다. 영역화가 가장 늦은 지역은 섬진강 일대로 볼 수 있는데, 상류와 중류를 장악한 백제는 이후 운봉고원과 장수의 대가야 세력, 하류의 任那四縣을 정복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To this end, we first look at the theoretical premises and methodologies for examining the evolution and interrelation of political bodies based on material culture. Next, we discuss the diversity of the cultures within the Honam region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well as the space-time of Mahan. Based on material culture and written records, the temporal development of Mahan may be segmented into the initial- early-middle-late periods. The key spatial sphere of Mahan saw changes along with the progression of the periods, accompanied by diverse changes in the content and nature of its material culture. This study considers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through three stages. The 1st Stage (middle 3rd century ~ middle-late 4th century) was one where interrelation and negotiations bega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During this stage, the ancient culture of Mahan reached its peak in the western areas of the Honam region, spreading throughout the Seomjin River area, with the exception of the Jinan highlands in the upper Geum River area and the vicinity of the Woonbong highlands. Regionally, Mahan culture exhibited marked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ith further differences found in each of the sub-regions in not only the western but also eastern areas. The cultures of the midstream and lower areas of the Seomjin River and that of the Boseong River area, which were relatively disparate from those of the western regions, came to form close relations with the cultures in the upper Youngsan River and the southwestern coastline. The Mahan political bodies of the Honam region - in particular those near the basin of the Youngsan River - pursu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Baekjae and Mahan political bodies in the mid-western regions, as well as Geumgwan-Gaya in the 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nam-do province. Such diplomatic negotiations may be regarded not as a relationship between a core and its periphery, but as an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equal political bodies'. With the advent of the 2nd Stage (late 4th century ~ late 5th century), the western areas of the Jeollabuk-do province came under the dominion of Baekjae. However, most areas of the Youngsan River - barring certain foothold territories - still retained their political and cultural autonomy. As the Mahan culture gradually deteriorated in the basin areas of the Seomjin River, there was a confluence of cultural elements from Baekjae, Ara-Gaya, and So-Gaya. However, by the mid-5th century, there occurred an intense power struggle between Baekjae and Dae-Gaya - the key areas of this struggle are presumed to be in the upper Geum River area and the midstream of the Seomjin River. Lastly, with the advent of the 3rd Stage (early to mid-6th century), most of the Honam region became the territory of Baekjae, with the establishment of direct control seeing completion by the mid-6th century. This is supported by both material culture and written records. The areas that were the last to come under Baekjae control appear to have been around the Seomjin River. After first subjugating the upper and midstream regions, Baekjae then went on to conquer Dae-Gaya in the Woonbong highlands and Jangsoo, as well as the Four Prefectures of Imna(任那四縣) in the downstream parts of the river.

      • KCI등재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특징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장지현 ( Jihyoun Jang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최근 호남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문화 단계의 주거지, 수혈유구, 구상유구 등 생활유적에 대한 조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유적과 출토유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본고에서는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남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출토유물, 주거지의 구조적 특징,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값 등을 통해 크게 Ⅰ·Ⅱ·Ⅲ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먼저, Ⅰ기(기원전 5세기 전반~기원전 4세기 후반)는 A유형의 주거지에서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데, 점토대토기문화와 재지의 송국리문화가 만나는 시기로서 유적은 호남의 전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된다. Ⅱ기(기원전 3세기 전반~기원전 2세기 중반)는 점토대토기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시기로서 A유형 의 주거지도 확인되나 B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게 된다. II기의 취락은 대부분 해발고도 34m 미만의 낮은 구릉 정상부나 사면 또는 말단부에 입지한다. 또한 대부분 2~5기 정도의 주거로 구성된 소규모 취락의 양상을 보이고, 전북 내륙지역, 특히 만경강유역을 중심으로 유적이 밀집·분포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를 비롯하여 조합 식우각형파수부호, 두형토기, 삼각형석촉 등이 확인되며,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유적도 일부 등장하기 시작한다. Ⅲ기(기원전 2세기 후반~기원후 2세기 전반)에는 C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며, 광주를 비롯한 영산강 유역에 취락이 밀집·분포한다는 점에서 II기와 대조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가 극히 소량으로 확인되고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비중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조합식우각형파수 대신 우각형이나 봉상형파수로 대체되며, 경질무문토기가 다수 공반되고 두형토기의 출토율이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시루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f the Honam reg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 I, II, and III -- on the basi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wellings, stylistic observations of the excavated artifacts, and radiocarbon dating. In Phase I (early 5th to late 4th century BC), clay-stripe pottery with circular bands emerged. This was the period in which the indigenous Songguk-ri culture first encountered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Phase II (early 3rd to mid 2nd century BC) witnessed the rapid spread of the Clay-strip Pottery culture across the Honam region. Villages are mostly located on low hilltops and slopes lower than 34 meters above sea level, are small-scale with only 2-5 houses, and are densely distributed in inland Jeollabuk-do. Artifacts of this phase include assembled cow-horned jars, mounted dishes, triangular stone arrowheads as well as clay-stripe pottery with either circular or triangular bands. In Phase III (late 2nd century BC to early 2nd century AD), villages were densely distributed along the Yeongsan River around Gwangju. The ratio of clay-stripe pottery with triangular bands increased. The amount of hard Mumun pottery also increased and assembled cow-horned jars were replaced by simple cow-horned or rod-handled jars. Steamers also began to appear in Phase III.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논문 : 호남지방 고분 출토 동물유체 고찰

        김건수 ( Geon Su Kim ) 호남고고학회 2016 湖南考古學報 Vol.52 No.-

        호남지방에는 많은 고분이 산재하고, 이 고분들 가운데는 동물유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것들은 고분의 조영과 관련된 의례행위로서 동물을 매납했던 것들이다. 호남지방의 고분에서 동물유체가 출토되는 곳은 전역에 걸쳐 산발적으로 분포한다. 특히 전남지방에 있어서는 고분조영에 있어 전반적으로 동물을 제사에 이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시기적으로는 호남지방의 고분에서 동물을 제사를 이용한 것은 5세기 말부터 시작하였고, 6세기 대에는 전남지방 각지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동물유체가 확인되는 고분의 종류는 주구묘, 석실분, 석곽분, 전방후원형분이며 아직 옹관고분에서는 그 실례가 없다. 호남지방 고분에서 출토된 동물은 소, 말, 돼지, 개가 있는데 주류는 소가 중심이다. 이러한 동물공헌은 고구려와 백제의 관련 속에서 발전해 온 이 지역의 독특한 문화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Many ancient tombs are located in the Honam region, some of which contain animal remains. These remains represent ritual activiti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Tombs with animal remains are widely scattered across the Honam region. In the Jeonnam province, it appears that animals were commonly sacrificed during tomb construction. Animal sacrifice rituals started in the 5th century AD and became prevalent across the Jeonnam province by the 6th century AD. The tombs with animal remains are stylistically diverse and include fosse-girded tombs, stone-chamber tombs, stone-lined tombs, and keyhole-shaped tombs. Yet there is no archaeological example of a jar-coffin tomb with animal remains. The represented animals are cow (Bos), horse (Equus), pig (Sus), and dog (Canis), with cow comprising the majority. Animal sacrifice should be seen as a unique regional tradition that developed in interaction with Goguryeo and Baekje.

      • KCI등재후보

        논문 : 3~6세기(世紀) 호남지역(湖南地域)의 철기생산(鐵器生産)과 유통(流通)에 대한 시론(試論) -영산강유역(榮山江流域) 자료(資料)를 중심(中心)으로-

        김상민 ( Sang Min Kim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7 No.-

        본고는 3~6세기대 호남지역의 철기생산과 유통구조의 추론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남한지역의 제철유적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생산공정에 따라 제철유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남한지역 제철공정에 있어서 호남지역 철기생산의 위치를 확인하고, 호남지역에서도 정련단야 이상의 공정이 존재한다고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일본에서 실시된 제철 실험 자료와 화순 삼천리유적 출토품의 비교검토를 실시하여, 호남지역에 있어서 제련로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철공정 중 호남지역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단야공정에 대한 분석을 위해 하부구조와 송풍구의 형태를 중심으로 형식분류하고, 이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호남지역의 단야유적을 정련단야유적과 단련단야유적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유통구조는 정련단야유적에서 생성된 2차 생산소재가 단련단야유적으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생산과 유통구조에 대한 변화상을 정리하면, 3~6세기대 호남지역의 철기생산은 외부에서 유입된 2차 소재에 대한 단련단야공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6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제련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단야공정에서는 대규모 취락이 생산과 유통의 중심지가 되며, 그 중심지는 5세기중엽에 이르면 영산강의 중하류에서 중상류로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overview of ir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Honam Region from 3rd century to 6th century. This is achieved by first presenting a compilation of iron smelting sites loca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are then categorized by the type of production process that occurred at each site. It was then followed by the identification of locations associated with iron production sites in the Honam region while considering smelt products of the southern region. Based on there sults of this study, it appears that iron production was not limited to the process of smelting and refining within the Honam region. A comparison of data from a smelting furnace experiment conducted in Japan was compared with artifacts from the Samchun-ri site verifies this observati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sets of data confirm the existence of smelting furnaces similar to those from experiment within the Honam region. Moreover, forging sites central to iron production in the Honam region were classified by the furnace substructure and ventilation systems. As a result, smelting sites can be categorized into those that performed refining and forging and those where Danryun forging occurred. Furthermore, the refining and forging sites produced refined iron which was then distributed to Danryun forging sites. As this study demonstrates, iron production in the Honam region from 3rd century to 6th century. involved the refining and forging of iron which utilized smelt material imported from outside the Honam region. There is also evidence for the production of smelt material in the region around the 6th century. It is believed that large settlements were central to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ron as show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forging process and the distribution of forging sites and that these sites moved from the central downstream area to the central upstream of the Yeongsan River during the 5th centu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호남지방 철정 유통의 특징과 가야권역과의 교역 양상

        이춘선 ( Lee Choonsun ) 호남고고학회 2021 湖南考古學報 Vol.67 No.-

        이 연구는 호남지방 내 철소재인 철정의 내부 유통 특징에 따른 호남지방의 마한세력의 철소재유통의 특징과 가야와의 교역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호남지방에서 출토된 철정에 대한 형식분류와 편년을 실시하였다. 이후 철정이 출토되는 유구인 분묘부장, 주거지, 의례에서 유통되는 특징과 철기를 가공하는 단야구와 철소재를 단순 가공한 의례용 부형철기의 부장을 통해 호남지방의 철정 유통 특징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호남지방 내 철정 출토 유구에 따른 철정 유통양상을 살펴보았다. 호남 철정 유통 양상을 보면 분묘부장 철정은 이른 시기 호남지방 재지 수장층의 목관묘와 전용옹관 이전의 재지 옹관묘를 중심으로 철정이 부장되었고 전용옹관묘 단계에는 부장되지 않는다. 주거지를 통한 초소형의 철정은 마한에서 촌락별 철기제작이 가능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이 시기 호남지방의 의례용 철기나 단야구의 출토로 보아 철소재를 통한 자체 생산단계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백제의 마한 진출 이후 이들에 의한 유통은 발달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후 호남 동부지역의 소가야양식 토기와 석곽묘, 주거지가 확대되는 지역을 따라 철정의 유통이 다시 확대되고 있으며 석실묘에서는 위신재로서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철정이 해안과 교통의 중심인 의례유적에서 출토되어 기항지를 중심으로 한 마한 공동체 사회의 제의적 성격을 보여준다. 이러한 철정의 내부유통 특징과 분포양상을 통해 가야권역과의 관계를 살펴보면Ⅰ단계에는 금관가야와 관련된 해안 재지 수장층을 중심으로 부장된다. 이후 호남지방 세력은 마한의 해안 재지세력이 금관가야와 철정 교역을 통해 성장하였다. Ⅱ, Ⅲ단계인 4세기 중·후엽 금관가야의 철기공인이 중소 읍락으로 확대되며 아라가야에서도 자체적인 철정이 생산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금관가야와 아라가야 연합에 의한 두 계통의 철정이 유통되고 있으며 마한 재지세력에서도 철정 교역이 중소형 촌락 중심으로 성행하였다. 그러나, 철정을 통한 내부 유통은 성행하지 못하였고 Ⅳ단계 이후 호남 동부 섬진강 상류와 남해안 교역을 담당한 소가야연맹체와 마한 재지 해양세력과의 교역을 통해 철정이 유통되었다. 따라서 호남지방과 가야권역의 교역은 남해안 교역 주체의 변화에 따라 금관가야-금관·아라가야연맹-소가야 연맹체로 변화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materials in Mahan powers and the meaning of trade with Gay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ron ingots, which is iron material, within Honam area. To this e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type classification and chronicle recording for the iron ingots excavated from Honam area. Afterwards,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ingots in Honam area was reviewed through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relics where the iron ingots are excavated such as the tombs as well as the residential and ritual sites, the Smith’s tools that were used for processing ironware, and the tomb furnishings such as molding ironware that were simply processed from iron materials for using in a ritual ceremony. Based on such reviews,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 changes in distribution of iron ingots for the relics where those iron ingots were excavated in Honam area. In reviewing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ingots in Honam area, the iron ingots of tomb furnishings were mainly buried in the wooden coffin tombs and the jar coffin tombs, which were used prior to the dedicated jar tombs, of the higher classes in local regions of Honam area at early times, but were not buried in a phase of the dedicated jar coffin tombs. In addition, it is able to know that fabrication of ironware was possible in each village of Mahan in case of sub-miniature iron ingots through residential sites. Along with thi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was a self-production phase with iron materials in light of the excavation of ritual ironware or the Smith’s tools in Honam area during this period. However, a distribution by Baekje was not developed after their entry into Mahan. On the other hand, the iron ingots were distributed further in the eastern part of Honam again along the earthenware and stone lined tomb as well as the area where the residence site is expanded, and have started to play a role of the item that represents one’s dignity and prestige in the stone chamber tombs. In addition, the iron ingots were excavated from the ritual relics, which are the main places of coastal area and transportation, demonstrating the ritualistic nature of Mahan community based on the port of call.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han area and Gaya territory based on the internal transaction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trend of those iron ingots, it is observed in the phase I that those were mostly buried together with the higher classes who had lived in local regions of coastal area associated with Geumgwan Gaya. Since then, with regard to the powers in Honam area, the local powers of coastal regions in Mahan have grown through the trade of iron ingots with Geumgwan Gaya. In the phase II and III that belong to the mid to late 4th century, Ara Gaya also began to produce the iron ingots on their own as the blacksmiths of Geumgwan Gaya were dispersed to small and medium villages. At that time, two different series of iron ingots were used due to an alliance of Geumgwan Gaya and Ara Gaya, and the trades of iron ingots became also prevalent among the local powers in Mahan mainly based on small and medium villages. However, the internal distribution through iron ingots was not frequent, and after the phase IV, the iron ingots were distributed through trades with SoGaya, which was in charge of transactions in the upper area of Seomjin River and the southern coast, as well as the local marine powers in Mahan area. Therefore, trades between Honam area and Gaya territory was transformed to Geumgwan Gaya -> an alliance of Geumgwan-Ara Gaya -> SoGaya fed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