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장은희,김인숙,백양희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1

        본 연구는 낮은 자아존중감과 높은 우울성향으로 인하여 정서적 부적응의 문제를 지닌 시설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시설아동들의 정서적 적응을 돕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S시의 S아동복지시설에 입소되어 있는 초등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10명씩으로 구성하였으며, 2009년 1월 6일부터 2009년 2월 20일까지 주 2회 매 1시간 30분, 총 14회기에 걸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도구는 투사검사인 HTP(집, 나무, 사람)와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 Beck(1967)의 성인용 우울척도를 아동의 연령에 맞게 Kovas(1981)가 제작한 아동용 우울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사된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HTP검사에서도 부적 자아존중감 지표가 줄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HTP검사에서도 우울지표가 줄어 우울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effects on institutionalized children's self-esteem and depression who suffer from emotional maladjustment, providing group art therapy to help their emotion stabl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0, 4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ity, treating group art therapy for 90minutes twice a week. The methods of the measurement were HTP for self-esteem and depression scale and the data,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by SPSS v12. T-tes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art therapy effec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looking examine the result whether art therapy effect to increase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s self-esteem or not, statistically the result is showed something effectively and the experiment group's self-esteem was increased something. Statistically, group . Second, the experiment group's depression score was decreased by 9.2 points, which means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to reduce the depression for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 KCI등재

        당뇨병성 케톤산증 발생으로 당뇨병이 처음 진단된 환자의 병형 분류: 전격성 제1형 당뇨병의 임상적 특징

        장은희,이정은,이승재,전상훈,백기현,송기호,유순집,이종민,윤건호,강무일,이광우,김미경 대한당뇨병학회 2008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2 No.5

        Backgroun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lassify newly diagnosed diabetic patients who initially presented with diabetic ketoacidosis (DKA) into specific types of diabetes and to describe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fulminant type 1 DM in Korea. Methods: Using data from 4 hospitals of CMC from 1 January 1999 to 1 March 2008, we identified all patients who manifested DKA when they were first diagnosed as diabetes.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were reviewed from medical records. Results: We identified 51 newly diagnosed diabetic patients manifested DKA. Among them, 14 (27.4%) patients were classified as autoimmune type 1 DM, 8 (15.7%) as antibody negative type 1 DM, 5 (9.8%) as fulminant type 1, 16 (31.4%) as type 2 DM and 8 (15.7%) as secondary DM. Five patients who fulfilled the criteria of fulminant type 1 DM were older (32.2 ± 10.7 vs. 15.7 ± 4.4 years, P = 0.010), had shorter duration of symptoms (4.2 ± 2.7 vs.16.7 ± 15.2 days, P = 0.014) and lower stimulated C-peptide levels (0.1 ± 0.0 vs. 0.7 ± 0.6 ng/mL, P = 0.050) compared with patients with autoimmune type 1 DM. Conclusion Newly diagnosed diabetic patients presenting with DKA composed of heterogenous types of diabetes. The prevalence of fulminant type 1 diabetes among them was 9.8% and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patie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utoimmune type 1 DM. (KOREAN DIABETES J 32:428-434, 2008) Backgroun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lassify newly diagnosed diabetic patients who initially presented with diabetic ketoacidosis (DKA) into specific types of diabetes and to describe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fulminant type 1 DM in Korea. Methods: Using data from 4 hospitals of CMC from 1 January 1999 to 1 March 2008, we identified all patients who manifested DKA when they were first diagnosed as diabetes.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were reviewed from medical records. Results: We identified 51 newly diagnosed diabetic patients manifested DKA. Among them, 14 (27.4%) patients were classified as autoimmune type 1 DM, 8 (15.7%) as antibody negative type 1 DM, 5 (9.8%) as fulminant type 1, 16 (31.4%) as type 2 DM and 8 (15.7%) as secondary DM. Five patients who fulfilled the criteria of fulminant type 1 DM were older (32.2 ± 10.7 vs. 15.7 ± 4.4 years, P = 0.010), had shorter duration of symptoms (4.2 ± 2.7 vs.16.7 ± 15.2 days, P = 0.014) and lower stimulated C-peptide levels (0.1 ± 0.0 vs. 0.7 ± 0.6 ng/mL, P = 0.050) compared with patients with autoimmune type 1 DM. Conclusion Newly diagnosed diabetic patients presenting with DKA composed of heterogenous types of diabetes. The prevalence of fulminant type 1 diabetes among them was 9.8% and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patie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utoimmune type 1 DM. (KOREAN DIABETES J 32:428-434, 2008)

      • 사회적경제 교육과 미래형 인재

        장은희 한밭대학교 적정기술연구소 2019 적정기술 Vol.11 No.1

        얼마 전 종영된, 황금빛 내 인생이라는 드라마에서 자연스럽게 쉐어하우스를 소개하고, 쉐어하우스에 머무는 청년들이 자신들의 스토리 중 하나로 대기업을 벗어나 자신이 추구하 는 가치를 소개하며 사회적기업, 임팩트 투자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을 보았다. 이 드라마뿐 만 아니라 요즘 미디어를 통해 종종 젠트리피게이션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기업 에 대한 소개를 볼 수 있다. 문재인 정부이후, 일자리 창출로서 뿐만 아니라 사회혁신의 관 점에서 사회적경제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0년을 바라보며 이에 대한 비판과 우 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사회적 경제 조직을 위한 지원제도의 범위와 예산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사람”과“ 육성”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며 이는 비단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교육의 관점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2015년 충남 사회적 경제 아카데미 사업 중 하나로 필자가 참여하였던“ 초등학생을 위한 사회적 경제 교재” 개발과정과 약 3년간 청소년들을 위한 사회적경제교육의 진행상황 대해 살펴보고, 미래형 인재 양성을 위한 고민을 담아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